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오대영(Day-Young Oh)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1 No.1

        21세기 들어 아시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아시아 국가 사이에 인적, 물적 교류도 크게 늘고,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올바른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신문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이 2011년에 보도한 1786개의 국제뉴스 내용을 분석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를 알아봤다. 보도량에서는 아시아(45.7%)보다 서구(54.3%)뉴스가 많았다. 아시아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았으나, 서구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적고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아 한국신문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국제뉴스를 도덕ㆍ정의, 정치, 경제ㆍ과학, 사회, 외교ㆍ국방, 인간적 흥미,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주제별 보도량을 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외교ㆍ국방, 도덕ㆍ정의, 정치 등 경성기사를 많이 보도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경성기사 이외에 인간적 흥미, 인물 등 연성기사도 많이 보도해 아시아보다는 다양한 뉴스를 전달했다. 경성기사에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고, 연성기사에서는 긍정 또는 중립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다. 그 결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아시아에 대해 부정적이고,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나타내게 됐다. 미디어, 정부, 민간조직, 개인, 자료 등 5개의 핵심 정보원 가운데 미디어만이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시아 미디어 정보원은 서구 미디어보다 아시아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서구 미디어 정보원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 서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그런데 한국신문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뉴스에서는 전적으로 서구미디어를 핵심 정보원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서구중심적이 되고, 아시아에 더 부정적인 보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한국신문의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은 많이 보도한 주제와 외국 미디어 정보원 의존 형태에 따라 달라졌다. 한국신문은 특파원 등을 활용한 직접 취재, 인터넷을 이용한 아시아 매체활용 확대 등으로 아시아에 대해 다양한 뉴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Asia is developing rapidly in 21st century.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Asian countries have greatly increased. Korea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became important for Korean people to understand Asia more correctively. Korean media can play a key role for this. In this point, I analyzed 1786 news contents reported in 2011 by four Korean newspapers(Chosun Ilbo, Dong-A Ilbo, Hankyoreh newspaper, Kyungh Kyunghyang Daily News), to see differences of Asia and West news aspect and its reason, focusing on news topic, amount of news, news tone and foreign media sources. In amount of news, the percent of West(54.3%) was higher than that of Asia news(45.7%). In news tone, negative news were the most in Asia news, but the least in West news. Korean newspap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 West than Asia. 1786 new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opics(morality and justice, politics, economics and science, society,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human interest, people). In news amount of seven topics, Korean newspapers reported hard news like morality and justice more than soft news like human interest about Asia. However they reported many soft news about West besides hard news. In news topics and tone, hard news showed negative tone most and soft news showed neutral or positive tone most. As a result, Korean news showed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and the positive to West. Among five main sources(media, government, private organization, individual and material), only media source affected the differences of news attitude to Asia and West. Asia media source took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Asia than West. West media took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most and the neutral attitude to West most. Korean newspapers used West media as main sources in the news of all areas except East Asia. As a result, Korean newspapers showed the West-centered-attitude and reported the negative news more than neutral and positive about Asia.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newspapers had better increase Asia news in diverse spheres by the direct reporting of the correspondent and the more use of Asia media through the internet.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아시아ㆍ서구에 대한 인식 차이와 한국 미디어의 영향 연구

        오대영(Oh, Day-you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7 No.-

        한국과 아시아간의 교류가 크게 늘고, 한국은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한국에게 아시아는 매우 중요해졌고, 아시아와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사회는 서구 중심적이고, 아시아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미디어는 외국에 대한 공중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시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대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해 한국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대학생들은 아시아와 서구를 모두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서구보다는 아시아와 더 관련이 많았다. 대학생들은 서구 뉴스보다 아시아 뉴스를 찾아보는 빈도가 더 많았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한국 미디어가 서구에 대해서는 충실하게 보도하지만, 아시아에 대해서는 그렇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치, 경제, 사회, 외교안보, 문화ㆍ스포츠 등 5개 주제의 20개 항목에서 조사한 결과 대학생들은 모든 항목에서 아시아보다는 서구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4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6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3개 항목에서만 부정적이고, 10개 항목에서는 긍정적, 7개 항목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 뉴스에 대한 인식에서도 대학생들은 ‘경제성장’을 제외한 19개 항목에서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시아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부정적이고, 5개 항목에서만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평가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15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5개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보도한다고 인식했다.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인식보다 한국 미디어가 아시아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으로, 서구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으로 보도하고 있었다.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태도는 대학생들의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어,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s have greatly increased with Korea and Asia, and Asia became more important to Korea. But Korean society is still the West-oriented and has a strong tendency to downplay Asia. Media has influenced greatly the idea of the public on foreign world. Media’s role is very important for changing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on Asia. I surveryed 323 college students of Korea. Students thought that both of Asia and the West(America and Europe) are important to them, but they have more relationships with Asia than the West. Students have consumed Asia-related news more than the West-related news, but they recognized that Korean media reported the West-related news dutifully and did not Asia. Students have better perceptions about the West than Asia in all 20 items of 5 themes(politics, economy, social matters, diplomacy and security, culture and sports). In the perceptions on Korean media’s coverage attitude regarding 20 same items, students thought that Korean media has better coverage attitude to the West than Asia in 19 items except ‘economic growth’. Korean media reported more negatively Asia and did the West more affirmatively than personal perceptions of students.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s of students, so it is necessary for the coverage attitude of Korean media to be improved.

      • KCI등재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세계사 고대 서아시아 문명 서술 분석

        손태창(Son, Tae-chang)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탈서구 중심주의 및 탈중국부 중심이라는 취지를 가지고 개정된 2015년 교육과정에 맞추어 새로 저술된 고교 세계사 교과서가 도합 네 가지 즉 천재, 비상, 금성 그리고 미래엔 등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로써 교과서의 편제가 지역 중심으로 되어 대단원 2, 3, 4에서 세계사가 동부 아시아, 중서부 아시아, 유럽 및 아메리카의 세 곳으로 구분되어 서술되었다.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은 서양고대인데 이중에서도 가장 앞선 시기인 고대 서아시아로 한정하였다. 지금까지 검토가 가장 덜 되었고 최근에 교과서 개정이 이루어진 이유로 필자는 이 분야를 검토하게 되었다. 그 결과 먼저 공통적으로 교과서들이 예나 마찬가지로 아주 정형화된 유사한 패턴으로 고대 서아시아의 3000년사를 구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어서 서술의 문제점을 범주별로 두 가지로 진단해보았다. 먼저 외적인 형식적인 범주에서 보았다. 여기서도 패턴의 동일화가 먼저 눈에 띄었고 본문 이외의 보조자료의 지나친 활용으로 인한 독자의 이해에 혼란과 부작용이 있을 여지가 발견되었다. 또 한 가지 내용적인 면에서는 두 가지로 세부적으로 다시 검토의 방향을 잡았다. 먼저 통사 서술에서의 문제를 보았고 이어서 개별 사실들이 온전히 파악되어 전공지식을 잘 반영하는 지를 따져보았다. 통사 서술에서는 몇 부분에서 모든 교과서들이 엄청난 연대기적 공백을 두는 것을 발견하였고 개별적 사실 즉 전공지식의 서술상의 이해에 있어서는 조목별로 네 가지를 찾아 내었다: 고대 서아시아에서 제국의 문제, 제국으로 전환하는 사건에서 동인이 된 것들에 대한 인식, 연대기적으로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존재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문화사적으로 의미심장한 내용인 홍수설화의 중요성에 대한 것 등이다. 현 고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고대 서아시아에 관한 서술이 개선되기 위해 앞으로 집필진들은 이 지역이 3000년이 넘는 방대한 역사임을 유념하여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레반트 지역 그리고 페르시아 지역등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먼저 정확히 파악했으면 한다. 그리고 집필의 방향을 당시의 교육과정에 맞추되 고교생 독자에게 인과적으로 이해가 되는 방식으로 서술했으면 한다. 그리고 서술에는 복잡하게 그림, 화보, 도표,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을 한 페이지에 결합시키는 식을 지양함으로써 독서를 어지럽히지 않는 배려가 요구된다. 지면상의 이유로 서술이 키워드 위주로 압축되는 현실이 극복되긴 어렵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서아시아의 면면한 흐름이 그 짧은 행간에 스며들 수 있도록 많은 방법론적 고민과 노력이 담긴 정성된 공력이든 서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revis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with Eurocentrism and China-oriented historical views. It gave rise to 4 different textbooks on world history from the publishers of Chunjae, Bisang, Kemsung and Mirae-N. The structure of the regions was reclassified as eastern Asia, middle and western Asia, and Europe along with the American continent. This new system of categorization appeared respectively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of the book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nfined to the Ancient West Asia, the earliest era of ancient western history. This very specific part of western ancient history has been reviewed relatively little compared with other parts of ancient history, and the writer of this paper i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the high school textbooks on world history were rewritten recentl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xtbooks were made in very similar way as before, namely all the books were written in the stereotypical manner. The problems of the writing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two categories. Firstly, external form was observed. Here the aforesaid problem, similar pattern in the descriptions, was found. Another problem was also discovered. The auxiliary materials were used excessively much while there was not enough original text. Therefore this tendency might be a negative factor that can confuse the understanding of the readers.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writings of the books were reviewed and two points were deliberated. The first point is on the chronological description and the second point 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ary knowledge of the Ancient West Asia. In the chronological description, an enormous vacancy in all the textbooks was found. In the understanding of disciplinary knowledge, 4 topics proved to be problematic in the view point of the author: 1) the empire in the Ancient West Asia, 2) the awareness of the factors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aking the empire, 3) ignorance of the existence of the Neo Babylonian Empire and 4) the meaning of ‘the flood epics’ in the Ancient West Asia. The board of writing of the textbooks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Ancient West Asia has a vast history spread over 3000 years, and needs to gain a firm grasp on the correct history of Mesopotamia, Egypt, Levant and Persia. The writers of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who must reflect the basic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try to make the readers, highschool students, understand by explaining casuistically. They should take care not to bother the readers by displaying too many unnecessary things in the text, for example, illustrations, graphics, tables or other colorful elements. I know also that the writers have a hard job because the given space for the writings is usually very little. Thus they can not help composing the text on the basis of key words. Nevertheless they must not forget the consistent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Ancient West Asia. For this purpose they must try to deliberate on better methods.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From the peripheral point of view, it can be argued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in China has yet to be matured theoretically and still remains more sentimental than analytical. This study define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China's perception of East Asia as “an Embracing Asia Perspective,” which has been embedded in Chinese mind-set and intellectual orientation ever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sides this, China internalizes both the “representing Asia perspective” and the “China and Asia as one-body perspective”, all of which, as this paper insists,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Embracing Asia Perspective. Therefore, China rarely views peripheral states in East Asia on a horizontal perception, and instead sees itself in a hierarchical interrelationship with them. This means that China perceives East Asia, as a device or a means, not as an autonomous entity or a purpose,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US, Japan and the West. In addition, China's hierarchical view of its regional neighbors is mainly attributable to a dichotomous world-view of "China vs. the West" structure that considers China a unique counterpart matched by the West and furthermore, capable of resisting it. In this world-view, China's presence is thought to be equated with the whole of East Asia as such and peripheral states merely fall into a category of cogs or sub-system under China as a whole system. By contrast, China always draws attention to both the US and the West as a good exemplary or a bad enemy, disregarding peripheral neighbors in East Asia. Following the pan-Asianism in the 1920s,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East Asian discourse entered into a dormant phase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World War II. During the Cold War period, ideological standoff led to a frozen state of discussion of unresolved history questions in East Asia. It is therefore forth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that a reasonable and critical debate on a variety of East Asian issues would follow. In fact, recently,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ome to take part in the East Asian discourse enthusiastically than ever before. 주변부의 시각에서 비평해 보면 중국의 동아시아주의는 아직은 정서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론적 수준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근대 이래로 중국인의 문화적, 지적인 심리구조에 내면화된 동아시아관을 “포아론”적 지향이라고 정의 내리려 한다. 중국은 아직도 동아시아의 존재인식이 미국/일본/서구에 대항하는 과정에서의 수단적 의미에 머물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중국은 “중국의 동아시아”라는 기본적인 사고에서 “아시아대표의식”과 “중아일체의식”을 내면화 하고 있는데 이 같은 인식들은 “포아론”의 함의에 모두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중국의 동아시아사고는 동아시아 주변부에 대한 수평주의적 지향을 회피하면서 위계적인 관계성을 내재화하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위계적의식이 생성된 배경은 중국의 타자는 유일하게 서구이며 중국만이 서구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표적인 존재라는 “중국 대 서구의 이원적 세계관”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세계관에서 중국은 아시아 그 자체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의 하위에 있는 작은 단위일 따름이다. 반면에 서구에 대해서는 항상 중국이 배워야하는 모범으로서 혹은 대치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적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범아시아주의의 등장이래로 중국에서의 동아시아사고의 발전적 전개는 내전과 세계대전으로 휴지기를 맞이하였다. 이어서 냉전시대의 이념적 대치상태로 인해서 동아시아지역의 공통적인 주제-동아시아의 근대사문제-에 대한 지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이 정체되었다. 탈냉전은 이러한 정체상황을 토론이 가능한 상황으로 변화시켰다. 근래에는 비판적 지식인의 동아시아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 The problems of the Asia-North America Container Routes

        Esther RODRIGUEZ SILVA,Masayoshi KUBO,NAtalia Rivera Angel,Masako MURAYAMA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5 No.-

        There are two principal routes for the Asia-North america containerized cargo, that of Asia-West Coast and Asia-East Coast. On the West Coast, the Asia-Los Angeles, dominate the commerce, whereas on the Asia-East Coast it's the Panama Canal. Each of these route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ll are similar in that each is the door to the commerce of containerized cargo originating in Asia; each combines maritime and overland transportation; each has important intermodal connections and is able to distribute cargo throughout the West and East Coasts of the United States. Each route also has its port of preference that has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intermodal connec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ort of Los Angeles, in spite of some of its advantages, it has several serious problems due to the interminable containerized cargo traffic that must be solved rapidly and satisfactorily in order to progres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how the problems of two main routes.

      •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과 서기동수(西气东输) 프로젝트의 연계-중앙아시아 천연가스 수출국들과수입국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조정원 중국지역학회 2014 중국지역연구 Vol.1 No.1

        This study utilized official documents from CNPC and Chinese central government, related literature,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Connection between Central Asia – China Gas Pipeline and West - East Natural Gas Project and its economic effects. These pipelines are developing substantial energy networks between Central Asia and China. Also, They reflects the economic interests between natural gas import country (China) and main export country(Turkmenistan), transit and export countries (Uzbekistan, Kazakhstan, Tajikistan). From the economic viewpoint, China can import more cheaper price than sea transportation by LNG ship. Also, she can diversifies import lines of natural gas. Turkmenistan is able to diversify natural gas export roots and get economic gains from export to China, the biggest market in East Asia. Uzbekistan and Kazakhstan can get economic fruits from transit fee, create the opportunity to export her produced natural gas to China after the complement of connection between Central Asia – China Gas Pipeline and West - East Natural Gas Project. In Particular, Kazakhstan will resolve old domestic problem the connection of western (area of production) and eastern (area of consumption). Tajikistan also can obtain customs fee after the opening of forthline of Central Asia – China Gas Pipeline. After the openning of the first line of Central Asia – China Gas Pipeline, Russia proposed the aid of construction TAPI natural gas pipeline. It has the meaning on the containment of China’s expansion in Central Asia. Also, the demand of natural gas will be increased when the underdeveloped parts in Russia will enter rapid economic development stage. It willl be aggravated competition on central Asia natural gas between Russia and China. For this reason, construction and connection between Central Asia – China Gas Pipeline and West - East Natural Gas Project in China has huge possibility to become a competitive energy network with Russia and other countries’ natural gas pipelines in Central Asia. Also, These natural gas pipelines will help the realization of silk road economic belt which Xi Jinping proposed in September, 2013. 서기동수 가스관과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의 건설과 연결은 중국과 중앙아시아 3국(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의 실질적인 에너지 네트워크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자원 수입국인 중국과 자원 수출국인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간의 경제적 이익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천연가스 수입국인 중국은 가스관 연결을 통해 해상 운송보다 저렴한가격으로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 그리고 천연가스 수입선의 다변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천연가스 수출국인 투르크메니스탄은 러시아에 대한 수출의존에서 벗어나 중국을 통한 천연가스 수출 루트의 다변화와 적정 가격으로의 에너지 수출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자국의 숙원 사업 중의 하나인 생산지인 서부에서 소비지인 남부로의 연결을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해결하였고 중국으로의 천연가스 수출도 가능하게 되었다. 우즈베키스탄도 가스관 건설과 연결을 통해 자국의 천연가스를 중국에 수출하게 되었다. 이렇게중앙아시아 3국 모두 중국으로 천연가스를 수출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러시아중심의 에너지 네트워크 의존에서 벗어나 천연가스 수출 루트를 다변화하고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서기동수 가스관과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을 중심으로 한 중국-중앙아시아에너지 네트워크는 시작 단계부터 러시아를 배제한 상태로 추진되었다. 그리고러시아의 미개발 지역이 본격적인 경제발전 단계에 진입할 경우 러시아와 중국이 중앙아시아 에너지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가스관 중심의 중국 - 중앙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는 러시아로 수출되는 다른 중앙아시아 에너지 파이프라인들과 경쟁적인 관계가 될 것이다. 또한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중국 간의 천연가스 네트워크는 2013년 9월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이 언급한 바 있는 실크로드 경제권의 구축과 실현에 중요한 기반을마련해 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중국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이 러시아를 실질적으로 넘어서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Muslim circulations and networks in West Asia: Ethnographic perspectives on transregional connectivity

        Magnus Marsden1,David Henig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10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West Asia in relationship to recent work in the global history of Islam that points toward the existence of transregional arenas of historic significance that incorporate many of Asia’s Muslim societies. Recent anthropological work has also brought attention to the dynamic nature of the relations an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peoples living in regions that once formed part of expansive arenas of interaction yet were divided by imperial and national boundaries, as well as the ideological conflicts of the Cold War. Against this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 we deploy West Asia as a geographical scale that brings to light interconnected forms of life that have been silenced by traditional area studies scholarship. We compare our field work experiences with two different networks made-up of Muslims that span different axis of Muslim Asia. We argue that “West Asia” brings attention to influential connections, communities, and circulations that both bear the imprint of deeper past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emergent and shifting transregional dynamics in the present. Furthermore, by emphasizing connective dynamics that move beyond the rather conventional focus on east–west relationships, the category West Asia also encourages scholarship to highlight multiple yet hitherto little explored inter-Asian north–south connections.

      • KCI등재

        타자화를 넘어선 서아시아 지역 정체성 형성의 여정: 이란을 중심으로

        구기연(Gi Yeon Koo),황의현(Yuihyun Hwa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19세기 서구 지정학적 관점에서 처음 제시된 ‘중동(Middle East)’이라는 지리적 · 정치적 개념은 항상 논쟁의 중심에 있다. 오늘날 서구 학계에서는 중동 사회의 고유한 특징과 중동에서 이슬람이 가지는 중심적 위치 그리고 중동이라는 개념 자체의 적절성을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중동에 더해 한국에서 통용되는 ‘서아시아(West Asia)’라는 개념은 중동 또는 서아시아라고 불리는 지역 정의의 복잡함을 가중한다. 이처럼 중동 또는 서아시아라는 개념이 가진 모호성과 불분명함을 극복하고 적절한 범주를 정의하기 위한 노력 또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먼저 서구의 발명품이자, 타자화의 대표적인 대상인 서아시아(중동)라는 개념과 담론이 등장하고 발전한 경로를 조망하는 한편 마셜 호지슨(Marshall Hodgson)이 지리적 범주로서 중동을 대체하기 위해 제시한 대안적 개념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또한 이란 지식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서아시아 내부에서 바라보는 서아시아에 관한 이해를 분석한다. ‘동양’도 ‘서양’도 아닌 이란 내부의 정체성 담론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슬람을 바탕으로 한 주체 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서아시아에 대한 단편적이고 일차원적인 분석을 넘어 서아시아 혹은 중동이라고 불리는 지역이 가지는 복잡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geographical and political concept of the Middle East, first proposed from a Western geopolitical perspective in the 19th century, has always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these days, Western academia continues to debate unique characteristics of Middle East society, the central location of Islam in the Middle Eas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cept of the Middle East itself. The concept of West Asia, which is widely used in South Korea, adds the complexity in defining the Middle East. In this context, efforts have also been made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the Middle East or West Asia and define it in a more appropriate way. This study first looks at how the concept of the Middle East, which was invented by the West, has changed, and analyzes how discourses on the Middle East as an object of otherization have developed. This study also presents alternative concepts proposed by Marshall Hodgson to replace the Middle East, and discusses perspectives of Middle Easterners themselves on the concept of the Middle East (or West Asia), particularly Iranian intellectual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distinct Iranian identity differentiated from the East or the West. The discussion presented b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n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so-called Middle East or West Asia.

      • KCI등재

        West-Central Asia: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trajectories in Russia (Moscow) from the 1980s and China (Yiwu) from the 2000s

        Diana Ibañez Tirado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10 No.1

        Through an exploration of oral history and ethnographic material, this article make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life-trajectories of students from Yemen, Iraq, and Afghanistan who studied in Russia (Moscow) during the late 1980s, and from Tajikistan, Iran, Azerbaijan and Saudi Arabia who studied in China in the 2000s. In contrast to the cohort of students in Moscow who were mainly men from places with relatively amicable relations with the USSR, the female students of Muslim background from West and Central Asia regarded China as a place where they could pursue fulfilling forms of economic and personal autonomy. By comparing these two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article sheds light into the nature of historical, geographical and geopolitical connections and disconnections between West-Central Asia, Eurasia (especially Russia) and East Asia (especially China). By centring its attention to the demise of Soviet/Russian education and the emergence of China as a figure of economic prosperity, the article theorises West-Central Asia as a particular arena of interaction suitable to comprehend the networks, ‘third spaces’ or zones of interaction (e.g. Moscow and Yiwu), and forms of connection fostered by these students’ trajectories.

      • KCI등재

        Whither West Asia? Exploring North–South perspectives on Eurasia

        Magnus Marsden1,Till Mostowlansky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10 No.1

        The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explores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of West Asia for understanding connections between East Asia, Eurasia, and the Middle East. It seeks to go beyond the tendency in much scholarly work concerning regional connectivity in Asia to fixate on various permutations of the “Silk Road” or East–West ties more generally. We bring attention, rather, to the simultaneous significance of dense North–South connections that enable the interpenetration of varying parts of Asia and argue that West Asia is analytically helpful in bringing definition to such 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