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웰빙시대의 무용 트렌드와 전망

        정옥조 ( Ok Jo Chung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 열풍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웰빙적 무용의 트렌드를 인지하고, 변화되는 웰빙 문화에 부응하는 무용의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웰빙``의 개념이 반영되어 있는 문화센터 강좌들을 통해 국내 무용의 웰빙 트렌드를 파악하고, 향후 무용의 변화와 과제에 대해 전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여러 가지 웰빙적 무용의 가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무용의 사회문화적 활용과 기여에 있어 지침 자료 및 후속 연구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장르별 무용의 웰빙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웰빙을 요가와 접목시킨 강좌들은 [웰빙+요가=건강관리], [웰빙+요가=몸매관리], [웰빙+요가=활기찬 아침, 편안한 저녁]이라는 세 가지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웰빙을 사교댄스와 접목시킨 강좌들에서는 [웰빙+사교댄스=운동효과, 활용성]의 트렌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셋째, 웰빙을 레크댄스와 접목시킨 강좌에서는 [웰빙+레크댄스=운동효과, 즐거움]의 트렌드가 부각된다. 넷째, 웰빙을 한국무용과 접목시킨 강좌에서는 [웰빙+한국무용=심신 안정, 한국적 정서 함양]의 트렌드가 부각된다. 웰빙시대 무용의 변화와 과제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분야에서 웰빙 관련 직업으로는 웰빙댄스 지도자, 실버댄스 지도자, 댄스 테라피스트,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비만 클리닉 컨설턴트, 퍼스널 트레이너 등이 유망하다. 한편, 무용분야의 웰빙 관련 직업군이 다양하게 발전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춤장르에서도 장르별 특성에 부합되는 웰빙적 요소와의 접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무용 분야는 생활 속에서 친건강 및 건강에 아름다움을 추가한 웰루킹의 개념과 밀접하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을 지향하는 무용 장르의 아이디어 창출을 통해 충분히 신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웰빙의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능동적으로 읽어내고, 힐링이나 재활 등 무용을 통해 대중이 얻고자 하는 새로운 웰빙적 요소들에 대해 지속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웰빙 관련 특성화 학과의 신설 및 무용학과 내에서의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센터의 웰빙댄스 강좌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많은데 비해, 대학교 무용학과 내에서의 웰빙 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은 미약한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웰빙 관련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 인재들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trend of well-being dance and to suggest the assignment of the dance satisfying changeable well-being culture in the era that well-being sensation has continued. Therefore, the author comprehends the well-being trend of dance in Korea and prospect the change and assignment of dance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lectures done by culture centers, which the concept of well-being is reflected on. As this study contains several values of well-being dance, the result is anticipated to be applied as certain guiding data of the application and contribution of social culture for dance and the evidence of follow-up study. The well-being trends of dance according to each genre are as follows. First,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yoga form 3 trends such as [Well-being Concept + Yoga = Health Care], [Well-being Concept + Yoga = Body Care] and [Well-being Concept + Yoga = Vivid Morning, Comfortable Evening]. Second, the trends such as [Well-being Concept + Social Dance = Effect of Exercise, Practicability] mainly comes with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social dance. Third, the trend of [Well-being Concept + Recreation Dance = Effect of Exercise, Entertainment]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recreation dance. Fourth, the trend such as [Well-being Concept + Korean Traditional Dance = Stability of Mind & Body, Cultivation of Korean Emotion]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the lectures that well-being concept is applied to korean dance. The prospects for the change and assignment of dance in well-being era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well-being jobs such as well-being dance leader, silver dance leader, dancing therapist, diet programer, obesity clinic consultant and personal trainer in the dance field. On the other hand, to develop various well-being jobs in the dance field, certain dance genre that was not in the spotlight has to be joined with well-being factors.

      • KCI등재

        Well-being Trend에 따른 천연색 패션코디 디자인 개발

        유명의,문소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21세기 첨단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의 현대인들은 고도의 과학화, 산업화에 대한 폐해에 대하여 고민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자연과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 현대 사회 문화 전반에 흐르는 Well-being Trend의 영향은 패션에도 반영되어 의상이나 주얼리 등을 선택하고 착용할 때 천연의 재료로 이루어진 패션상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현대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천연염색과 천연보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색을 천연색이라고 보고 이러한 천연색을 중심으로 의상과 주얼리를 함께 개발하되 이들 의상과 주얼리가 잘 어우러져 조화로운 패션코디 스타일이 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디자인의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색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 하고 Well-being Trend를 고려하여 자연으로부터 얻은 천연염색과 천연보석을 디자인의 기본이자 주요 요소로 보고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천연 염색과 천연 보석으로부터 얻은 색을 비슷한 이미지의 색상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분류된 색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유사색상 코디네이션 및 대조색상 코디네이션의 방법으로 의상과 주얼리를 저자들의 논의를 통해 각각 디자인 개발하였다. 선과 면의 분할을 통해 천연색을 강조한 현대적이고 심플한 의상과 주얼리 디자인을 개발하고 동시에 이들의 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천연색의 특징을 이해하고 웰빙트랜드에 따른 패션스타일을 반영하여 의상 및 주얼리를 각각 디자인하되, 의상과 주얼리 디자인을 하나의 공통된 컨셉으로 전개함으로써 창조적이면서도 차별화된 패션 코디네이션 디자인의 기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Modern people of today who live in an age of high-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started having considerations on a high level of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which have been followed by many interests in the nature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mpacts from the well-being trend overwhelming over the modern society and culture were adopted by fashion with increasing concerns on the fashion product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when they select and wear clothes or jewelr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development making it possible to become the fashion coordination style with balance while having harmony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although such clothes and jewelry are developed around natural colors, which are deemed as colors that can be obtained from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m stones to comply with the needs of modern people as such.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n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m stones as the basic materials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along with natural colors that can be obtained from n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well-being trend while regarding roles of colors as being important among many elements in the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colors obtained from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n stones could be classified into color in similar images. Clothes and jewelry were designed and developed respectively with methods for the similar color coordination and contrasting color coordination based on the classified color image. A variety of coordinations were suggested at the same time with each development of modern but simple clothes and jewelry designing with strengths of natural colors through divisions of lines and plane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basic directions of both creative and differentiated fashion coordination design by advancing designs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designs into one joint concept while designing clothes and jewelry respectively with reflecting the trends in the modern fashion as well as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lors.

      • KCI등재

        웰빙 트렌드(Well-being Trend)에 따른 녹차음료 포장디자인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4

        소비자 중심시대라 할 수 있는 현대는 너무도 많은 제품의 홍수 속에서 포장과 디자인이 소비자의 선택을 좌우하는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포장디자인이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만남에서 제품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매로 바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강한 흡인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생활환경의 변화로 소비자의 패턴에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되어, 최근에는 건강과 가족, 자연 등의 본질적인 니즈를 충족시키려는 소비성향과 함께 웰빙 소비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웰빙 트렌드에 따라 우리 조상들이 심신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오래전부터 음용해왔던 녹차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아울러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장의 의미와 포장의 변천 및 우리나라 현대 포장디자인의 현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과 녹차음료를 중심으로 한 포장디자인의 현황 및 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이를 바탕으로 녹차음료 포장디자인의 앞으로의 전망 및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포장디자인에서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요소로서의 디자인요소, 즉 색채와 형태 및 재질과 로고타입과 브랜드네임, 그리고 일러스트레이션과 사진 및 레이아웃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녹차음료 또한 하나의 상품으로서 제품자체의 성격과 품질, 시장, 홍보 및 광고 외에 유통가격의 절감이 전제되어야만 성공적인 판매를 이룰 수 있고 이를 위한 포장디자인의 역할이 막중함을 알 수 있었다. 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녹차음료 포장디자인을 위한제안으로는, 무엇보다도 먼저 녹차음료 특성에 알맞은 디자인 요소 반영하여야 하고, 둘째는 사회 전체의 패션 트렌드를 반영하여야 하며 셋째는 친환경 또는 천연소재 및 자연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생분해 소재를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고, 넷째는 신소재를 채택하여 활용하거나 기발한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포장디자인 함으로서 제품에 대한 설명력을 높일 수 있고, 여섯째로는 포장하지 않고 제품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도 잘 된 포장디자인 못지않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In the contemporary world where the consumer take the central role in the world, there are a flood of products; therefore, packaging design is appearing as a significant element of the marketing field that greatly affects the choice of the product. This is because packaging design can not only communicate the image of a product to consumers in a direct and effective way, but also have strong attraction that can lead to purchase of consumer. Also, as consumers' behavior pattern has been hugely shifted in accord with the shift of living environment recently, Well-being trend consumerism is along with the consumer tendency to meet the substantial needs such as health, family and nature. According to this well-being trend in our era, the social interest in green tea that our ancestors have had for the peace of mind and body has increased since long time ag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consider the meaning of packaging, its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packaging design in our nation, and to examine the current packaging design and its feature particularly focusing on green tea drink. The study also intend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future green tea drink packaging design and the prospect. To this end, I have researched the design element as a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which include colors, shapes, materials, logo types, brand names, illustrations, pictures, and layouts. The main outcome of the research is that as a product green tea drink can be successfully sold not only provided the nature and quality of product, market, marketing and promotion, the role of packaging design, but also the distribution cost reduction as possible which is crucial. The following is suggested for the future green tea drink packaging design that reflects well-being trend. First of all, appropriate design element suitable for the nature of green tea drink should be reflected, and second, the whole fashion trend of society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use of eco-friendly, or natural material or bio-degradable material is suggested, and fourth, the use of new material or novel idea is suggested. Fifth, the packaging design using the storytelling technique can help have consumer understand product, and sixth, this study mention that intentional non-use packaging design show products can have as much effect as the well-designed packaging. As a study based on green tea drink packaging design in harmony with the contemporary well-being tre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posal for the future green tea drink packaging design by examining its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웰빙문화 관점에서 재해석한 근적외선구이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정민(Choi Jungm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현대 산업사회의 병폐를 인식하고 정신적. 육체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웰빙이 우리사회를 이끄는 트렌드가 되었다. 대중화된 소비코드로 자리 잡은 웰빙 문화에 대하여 논하고 웰빙의 문화적 가치를 접목하여 시장에서 큰 호응을 받은 성공사례를 미용 식품 생활가전으로 구분해서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기업에서 웰빙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면 시장에서의 상품경쟁력을 높일 수 없으며 결국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식생활의 세계화로 인한 육류 및 해물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고지방 및 조리과정에서의 발암물질 생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인식하여 웰빙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근적외선 구이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고기를 굽는 열원과 제품의 구조를 새롭게 제안하여 고기가 들러붙거나 타거나 시간이 흐르면 말라버리고 기름이 튀는 문제를 해결 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열원에 비해 열효율 안전성 무독 무취 등의 장점을 지닌 근적외선을 조리기기 열원으로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웰빙 문화는 오랜 기간 물질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가 조화롭게 균형 잡힌 진정한 모습으로 전개 될 것이다. As more and more people seek to relish happy beautiful life through spiritual and physical health in recognition of the pitfalls of contemporary industrial society well-being emerged as a trend that leads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well-being culture that settled itself as popularized consumption symbol and looked into major success cases that were well received in the market in groups of aesthetics food home electronics and clothing by grafting the cultural values of well-being. If companies do not reflect the cultural values of well-being they may not increase commodity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nd are bound to be estranged by consumers in the end. In this regard as the Korean consumption of meat and fish increases due to globalization of eating life the problems of involvement of high fat and generation of cancer producing substances during cooking process are at hand and thus by recognizing such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near infrared light roaster which is re-analyzed in well-being perspective. By newly propos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heat source and product that roasts meat this study made new attempt to apply near infrared light which demonstrates advantages like higher heat efficiency better safety no toxicity and no smell etc over existing heat source as heat source of cooking instru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meat scorching burning being stuck up and oil splashing. Well-being culture will be relished through true harmonization of material values and spiritual values for prolonged period.

      • KCI등재

        부산지역 젊은층(10-30대)의 웰빙트랜드에 따른 한과류 선택에 관한 연구

        최영준,최순희,이윤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9 No.1

        The need to develop traditional snacks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because more and more people are buying korean snacks which satisfy the needs for well-being. If snack developers succeed in creating one which appeals to people and reflect the trend of well-being, it will not only stimulate the local economy but also contribute to traditional food industry.This survey intends to find out how to popularize Hangwa(Korean traditional snacks) and make it with the value to be product,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will apply to local industry. The survey will particularly focus on the young people who will be leading the trend of well-being in the future, and try to find out what is the important factors when they select things related to well-being and Hangwa. This survey will sur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angwa industry in Busan. 현대인들의 높은 음식문화수준과 더불어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최근 웰빙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웰빙제품을 선호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한과를 더욱 다양하고 우수한 품질을 갖춘 웰빙제품으로 만들어 접근성을 쉽게 도모한다면 전통음식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실증적 분석을 통해 웰빙의 요인을 재정리하며 향후 소비계층의 주류가 될 젊은층을 대상으로 이들이 추구하는 웰빙과 한과류 선택 시 중요시하는 속성들을 살펴본다. 둘째, 이것을 토대로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된 웰빙트랜드가 한과류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한과류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웰빙’을 반영한 한과류의 선택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심신의 건강함을 추구하는 건강요인과 이를 위한 웰빙 제품으로써의 가치에 대해 만족하는 충족요인이 한과의 상품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웰빙트랜드의 삶의 질 요인과 충족 요인이 한과류 선택속성의 영양성요인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웰빙으로 인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는데, 차후 웰빙제품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대중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부산지역 젊은층의 한과 이용실태에서는 한과류가 영양적이고 위생적이며 맛과 모양의 품질이 우수한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손쉽게 구입할 수 없었다고 응답한 빈도가 높게 나왔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웰빙인식과 웰빙트렌드가 메뉴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 : 의정부지역 중심으로

        김동섭(Kim, Dong-Sub)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의정부지역 대학생들의 개인별 특성이 외식 메뉴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정부지역 4년제, 2년제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총 217부의 설문지 회수하여 사용하였고,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조사하고, 다음과 같이 요인을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웰빙인식과 웰빙트렌드는 6가지 요인( 사회지향성, 기대효과, 건강지향성, 매스컴반영, 개인성향, 안전추구)으로 도출하였고, 웰빙과 메뉴선택속성은 2가지 요인으로 건강관심형, 유행추구형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웰빙인식과 관련된 건강관심형·유행추구형의 메뉴선택속성은 사회지향성, 기대효과, 건강지향성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웰빙트렌드와 관련된 건강관심형·유행추구형의 메뉴선택속성은 매스컴반영, 개인성향, 안전추구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well-being Awareness and well-being trend on the Menu Selection attributes in the Uijeongbu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of 217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the following facto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Well-being Awareness, Well-being trend, Menu Selection attributes was conducted from 8 factors : Social Directivity, Healthy Directivity, Expectation, Effectiveness, Reflection of Mass communica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Pursuit of safety, Type of Healthy Conc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erived that type of Healthy, Inclined to fashion of the Menu Selection attributes if interested in the Social Directivity, Expectation effectiveness, Healthy directivity and thpe of healthy Concern, Inclined to fashion of Well-being trend was interested in Reflection of Mass communica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Pursuit of Safety. It is suggested that sharing restaurant marketing, relted univerisity students and using a new promotion method based on these researches.

      • KCI등재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김 명숙,홍 상욱 산업진흥원 2022 산업진흥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135 academic pap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variables) published in KCI registered sites and candidate sit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earch paper was first published in 1998, in 2017, it increased to 16 flights(11.9%), As for the number of researchers, there were many joint studies with two or more people. Research subjects were four-year system, followed by two-year system and three-year system. By sample size, 201-300 was the most common with 49 samples (36.3%).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 the research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widely used as the analysis method. In most cases, the setting of the 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examined.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added.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CI 등재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35편의 학술논문(일반적 특성, 연구자수,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변인)을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논문은 1998년도에 첫 발표되었으며, 2017년에 16편(11.9%)으로 증가 하였으며, 연구자 수는 2인 이상 공동연구가 많았다. 연구대상은 4년제가 가장 많았고 2년제, 3년제 순으로 나타났다. 표본크기별로는 201-300인 경우가 49편(36.3%)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서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분 석방법은 상관분석이 많이 사용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변인설정은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다른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본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소비자 웰빙 트렌드에 관한 연구

        최화열,김중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4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wareness of cultural uniqueness in each country and similarities and universality among countries. On that account, it raised questions about the idea that social well-being can be achieved only materialistic consumption and its cultural symbolism can lead to incongruity in social hierarchy and then dysfunctions in a counter way.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well-being can be achieved by many different ways and within one’s limited budget as well as material consumption. This paper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wellbeing products and strategies for building market segmentation in the industry. The research also provides policy makers with the direction of welfare policy in our society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creating conditions for true well being. This paper will be helpful in fulfilling well-being in our whole society. 현 사회의 웰빙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삶의 질 연구에서 의미했던 복지, 안녕의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환경 친화나 자연과의 조화, 고급스럽고 차별적인 생활방식이나 유행추구, 정신적인 깨달음의 실현과 같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웰빙 현상이 소비사회로 지칭되는 후기 산업사회의 물질지향적인 삶에 대한 반작용으로 소비자들의 삶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도출된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소비욕구를 창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전략에 의해서 소비행위를 통한 상징적이고 차별화된 개인만의 삶을 추구하는 현상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 사회에서 추구되는 웰빙이 물질적인 소비만으로 성취될 수 있다는 문화적 상징성이 사회 내의 계층 간의 위화감을 조성하여 전체 사회의 웰빙에 오히려 역기능적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소비자들에게는 물질적인 소비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와 여건에 맞는 다양한 방법의 웰빙 행동으로 실속 있는 웰빙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는 웰빙 상품의 개발과 시장 세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웰빙 산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실속 있는 웰빙 행동 활성화의 여건 조성을 위한 사회의 복지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시민참여 활동의 동기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우리 사회 전체의 웰빙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이 웰빙소비트렌드에 미치는 영향

        김영숙(Kim Yeung-So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과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의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수준과 웰빙소비트렌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국통계학적 변인과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라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은 웰빙소비트렌드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웰빙소비트렌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지향적 소비성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cognition of well-being and level of health oriented consumption propensity and investigate major determinants of health oriented consumption propensity and well-being consumption tren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oriented consumption propens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oriented consumption propensity and well-being consumption trend was verified. (3) The variable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well-being consumption trend were health oriented consumption prop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