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상담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정순둘(Chung, Soondool),임정숙(Lim, Jeungsuk),박나리(Park, Nari)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상담현황을 파악하고,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상담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인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지역의 21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467명을 임의추출방법에 의해 표본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8월말부터 9월말까지 사회복지 석사과정학생들이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상담형태는 내방상담, 상담방법은 개별상담을 선호하는 것을 나타났다. 주요상담내용은 건강과 취업 등으로 나타났다. 상담기대감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상담경험과 상담욕구는 상담기대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동거여부도 상담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담자기대감과 상담자기대감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상담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for the elderl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desire for counseling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nd to suggest the ways for improving the areas of counseling for the elder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lderly people who are the 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21 elderly welfare centers were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467 elderly people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among the users of senior welf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trained social work master student from August, 2008 to September, 2008.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 and desire for the counseling of the elderly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elderly people were to prefer the office based and individual based counseling. The areas of counseling were health and finding a job.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was appeared relatively high and factors affecting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were experience of counseling, desire for counseling, and living arrangement. Further discussions for improving counseling for the elderly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법 조항을 통해서 본 심리상담의 현실과 과제

        김영혜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3 법무보호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상담의 법적 토대가 아직 마련되지 못한 현실을 돌아보며, 이미 영유아, 아동, 청소년, 노인 등 상담 및 복지 서비스가 필요한 이들을 위해 설치된 지역사회의 공공기관들이 준수하고 있는 법들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대상의 복지 향상을 위해 제정된 법들은 공통적으로 사회복지사업법을 근거로 하고 있었고, 종사자 채용조건에는 공통적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서비스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상담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사회복지상담과 심리상담의 정의를 비교하고, 심리상담의 직무를 국가 차원에서 분석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결과와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민의 행복과 성장을 위해 국가가 제공하는 상담 및 복지서비스는 사회복지사업에 국한된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사회서비스로 확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의 채용조건도 다양해져야 한다고 보았다. 상담 및 복지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인력 채용조건을 개정해야 필요성은 첫째, 다른 학문 분야에서 상담 및 복지를 전공한 졸업생의 사회복지현장 취업 기회를 제한하여 기본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고, 둘째, 서비스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개별적 특성에 부합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법 개정을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bsence of a legal framework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focusing on legislation in public agencies across local communities that serve various demographics, including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It finds that most legislation relies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requiring social worker certification for employment. Moreover, to define the nature of counseling services offered to recipients, the study compares the definitions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is study critiques the results and issues identified in NCS, which analyze the job competencie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t a national level. Conclusively, it argues that counseling and welfare services national provided should not be limited to social welfare but expanded to encompass broader social services. This expansion necessitates diversification in the hiring conditions of service providers. The need for revising the employment conditions in public agencies in the counseling and welfare sector is discussed, emphasizing two points: firstly, restric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or graduates who majored in counseling and welfare in other academic disciplines may infringe upon their fundamental rights, and secondly, considering revisions is essential to provide social services that meet the diverse nee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recipients.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손수민,이정우,이예인,박현숙,이소연 한국상담학회 2024 상담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여 자립준비청년이 경험한 심리상담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립 후 심리상담 경험이 있는 자립준비청년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영역, 15개의 범주, 2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은 ‘상담을 신청하게 된 계기’, ‘자립준비청년 내담자의 다양한 특성’, ‘상담자와의 관계 경험’, ‘상담 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상담 후의 변화’, ‘자립준비청년 대상 심리상담 서비스의 발전을 위한 제안’이다. 영역 1에는 상담을 찾게 된 동기, 상담에 대한 기대 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영역 2에서는 자립준비청년의 다양한 개인적 특성, 자립준비청년을 둘러싼 환경적 특성 2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 3에서는 상담 관계와 개입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경험과 자립준비청년 내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의 역량과 태도에 관한 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 4에서도 상담 과정에 대한 긍정적 경험 및 부정적 경험, 상담 서비스의 수혜자로서의 경험과 관련된 3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영역 5에서는 삶 전반의 변화와 상담에 대한 이해의 변화 2가지 범주가 포함되었다. 마지막 영역 6에서는 심리상담 서비스 개선 방향과 상담자의 상담역량 강화, 현행 서비스의 유지에 관한 3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립준비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자립준비청년 상담에서 고려할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의,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YTC).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YTC who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6 domains, 15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derived. Domain 1 “Background of Seeking Counseling" included two categories, 1) motivation for counseling and 2) expectations for counseling; while Domain 2 “Various Characteristics of YTC" included two categories, 1)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2)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omain 3 “Experiences with a Counselor" included three categories, 1) positive experiences with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interventions, 2) negative experiences with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interventions, 3) counsel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counselors’ preparation level regarding YTC. Domain 4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Counseling Process" also included three categories, 1) positive and 2) negative experiences with the process, 3) counseling experiences as a service recipient. In Domain 5 “Changes after Counseling” included two categories, 1) changes in multiple areas of life, 2) changes in understanding of counseling, Finally, in Domain 6 “Suggestions for Counseling Services for YTC” included three categories, 1) suggestions for improving counseling services, 2) suggestions for counseling empowerment and multicultural capabilities, and 3) no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YTC, along with suggestions and considerations in future counseling intervention for YTC.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 정책의 변화가 상담분야에 미치는 영향: 아동ㆍ청소년복지법을 중심으로

        구본용,김택호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hift in policy raised from integration processes between child policy and adolescent policy on counseling specialities and discuss the role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is context. The main objectives of analyses were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Law of Child-adolescent Welfare’ legislation noticed (Act 2008-406) by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hich including the general provisions, the type and contents of support service, and the delivery system of support service. The effects of the revised “Law of child-adolescent Welfare” on counseling specialitie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expected that the counseling services for child and adolescent at risk will be expend. Second, while general counseling services will be expanded, it is expected that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will be decreased. Third, it is presumed that the change of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s name and function may have negative effect on the field of child and adolescent counseling specialities. Fourth, counseling theories and methods that are related to child and adolescent’s rehabilitation and self-support will be more utilized. Along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role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era of policy chang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최근 아동정책과 청소년정책의 통합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책의 변화가 상담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상담전문가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가족부가 입법예고(제2008-406호) 한 ‘아동ㆍ청소년복지법(안)’의 법률 내용을 분석의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의 주요 내용으로는 총칙, 지원서비스의 유형과 내용, 지원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이 개정 법률(안)이 상담분야에 미치는 주요 영향을 살펴보면 첫째, 위기상태에 있는 아동ㆍ청소년들에 대한 상담서비스의 제공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둘째, 상담서비스 제공의 기회는 확대되나 상담의 전문성이 약화될 우려가 내재되어 있고 셋째, 한국청소년상담원의 명칭과 기능이 바뀌면서 청소년상담학 분야의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견되며 넷째, 아동ㆍ청소년들의 자립과 자활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상담이론과 방법들이 발전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변화에 따른 상담전문가들의 역할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여성노인의 명상상담 치유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명상상담과 사회복지 통합적 접근

        신정란(일광스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0 자연치유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auses and contexts of current suffering experienced by elderly women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they had lived, and to explore what healing experiences they have had through meditation counseling. Furthermore, it aimed to examine how they put into practice their healing experiences in their own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member of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 an elderly woman with depression and stress. The narrative research was designed to study the integrated approach to meditation counseling and social welfare and ran from March to December 2018. The procedure for meditation counseling was focused on breathing meditation. Feeling meditation,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and counseling techniques. Also, the techniques such as role play, drawing, and self-compassion meditation were applied depending on the personal situation or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Date were collected by transcription of the recording, field note, counseling diary, psychological test checklists, and gratitude diary after getting consent from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meditation counseling are concluded in descriptive, explanatory, curative, and practical narratives. Through meditation counseling, the participant changed her negative thoughts positively. During the healing process she embraced her sufferings, finally releasing herself free and became more independent. The study proves that meditation counseling can greatly contribute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ing of the elderly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also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grated approach to meditation counseling and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to diverse range of people involved in social welfare, and it could be a new attempt materials to enhance the flexibility and expandibility in interdisciplinarity

      • KCI등재후보

        명상상담은 사회복지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 복지현장에서 명상상담 경험과 사례를 토대로 -

        신정란 ( Shin Jeong-ran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7 명상심리상담 Vol.17 No.-

        Purpose: This study, made on cases of meditation counseling among welfare center workers and the elderly, the disabled, conducted research on experiences and cases of how meditation counseling was used at actual sites. Methods: For over three years, the study organized and operated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for eight session programs, focused on three minute breathing and meditation counseling. Results: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in welfare organizations turned out high. While, organization's atmosphere became gentler, with the organization as a whole having more vitality. Depression, sense of loss, fear on death of the elderly were diminished along with less amnesia. Conclusion: Meditation counseling reduced exhaustion and stress of related workers and brought forth vitality and wellbeing to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so it can be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a diverse range of people involved in social welfare.

      • 고령화 현상속에서의 기독교노인복지 상담의 필요성과 가능성

        최광현 ( Gwang Hyun Choi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5 복음과 상담 Vol.5 No.-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문제에 대한 다양한 문제와 위기 를 접하면서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의 전문화, 공급주체의 다원화, 서비 스의 효율화, 전문적인 노인케어전문가의 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현 실적인 기독교노인복지 영역의 필요성속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도와 줄 수 있는 실천도구로 노인상담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기독교노인복지 의 영역 속에서 노인상담의 분야를 다룬 논문은 극히 적은 상태에 놓여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노인상담과 노인복지의 연결성과 이를 통해 노인복지의 한 실천분야로서의 노인상담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growing population of adults over the age of 65 continues to outstrip our provision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ocial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the Older Adult and other workers regarding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personnel of each senior facilitat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t welfare policies for the Older Adult. Welfare for the aged approa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gain strength in various field. But there in no official report this applied in elderly counseling. This thesis endeavored to apply welfare for the aged approach to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판 상태 자기자비 척도(SSCS-L) 구성 및 요인 검증 연구: 상담관련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현진(Hyun-J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관련 전공을 하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상태-자기자비 척도(SSCS-L)의 한국어 버전을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와 재활상담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태 자기자비, 자기자비, 정적정서-부적정서 척도가 사용되었다. 2021-2022년간 총 301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이 실시되었다. 상태-자기자비 척도에 가장 적합한 모델은 6개 요인으로 자기친절, 자기비난, 보편적 인간성, 고립, 마음챙김, 과잉 동일시로 구성된 모델로 나타났다. 자기자비의 긍정적인 요인들과 긍정적인 정서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이, 부정적인 정서 사이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사회복지와 재활상담과 같이 상담기술을 요하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핵심 역량으로, 이 척도는 자기자비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도구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 Self-Compassion Scale (SSCS-L) by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Students with the social welfare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majors completed an online survey using state self-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positive emotion-negative emotion scales. The data of 301 students collected in 2021 and 2022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best-fitted model for SSCS-L contained the factors: self-kindness, self-criticism, common humanity, isolation, mindfulness and over-identification. Positive SSCS-L factors and posi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vice versa. State self-compassion is a core competency for students who require counseling skills, such as social welfare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the SSCS-L is an appropriate tool for evaluating self-compassion level.

      • KCI등재

        청소년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양미진,신인수,방소희,유준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effects of programs through meta-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combined the study results of the programs developed by the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through meta-analysis, and analyzed each program’s effectiveness. For this work, we selected 30 studies on youth counseling programs out of 120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excluding researches that had no pilot operation to prove effectiven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elected 30 programs is .525, which indicates that these programs are effective. In detail,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participants was the largest in the effect size of the high school program. Second, the effects size of program operation type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group education and activities were effective. Third,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both the beneficiary and the field expert were effective in pre–investig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uture counsel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effective program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research directions such as topic selection, subject selection, research method, and program operation method.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이루어 졌다. 먼저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의 방법에 의해 통합하여 그 효과의 정도를 종합,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발행한「청소년상담연구보고서」120편의 연구 중 시범운영을 통한 효과성검증을 실시하지 않은 연구를 제외하고, 청소년상담 관련 프로그램 연구 30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먼저 본 연구에서 선정한 30편 연구물의 전체 평균효과크기가 .525로 나타나 프로그램들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프로그램 대상자에 따른 효과크기는 고등학교 대상 프로그램이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방식에 따른 효과크기는 집단교육과 활동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사전조사 대상을 수혜자와 현장전문가 모두 한 경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소년 상담이 프로그램 연구를 하는데 있어 주제 및 대상선정, 연구방법, 프로그램 운영방식 등 연구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복지 정체성 형성을 위한 아동복지적 아동상담의 역할과 기능

        장미경 대한아동복지학회 2003 아동복지연구 Vol.1 No.1

        최근 아동상담이 많은 기관과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아동복지 분야에서도 아동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아동복지의 정체성을 위해 제한적으로나마 아동복지에서 아동상담이 통합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학문적 체계, 실천적 위치, 아동상담사업의 현황과 방향모색에 대해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상담인력 양성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시도하였다. Recently, child cousenling have been done in various area, including child welfare. When child couseling is done in child welfare field, it is done in the frame of child welfare to integrate the identity of child welfare, instead of being done as independent service. Considering this, in this article I argue what the academic system, practical situation and func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s of child counseling to integrate the identity of child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