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최종환(Choi, Jong Hwan),김성해(Kim, Sung Hae),이현주(Lee, Hyun Ju)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1

        1950년 한국전쟁 발발직후 한국은 작전역량 부족이라는 이유로 전시작전권을 미국에 이양했다.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는 미국과 전작권 환수에 합의하였지만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문제는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정치적 입장에 따라 안보를 둘러싼 국익논쟁 역시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언론은 전작권 논의 과정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을까? 언론은 국가이익이라는 보편성을 위해 정파성이라는 이해관계를 넘어서고 있는 것일까? 국가이익의 재구성에 있어 언론은 과연 어떤 식으로 개입하는 것일까? 이 연구는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사의 프레임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진영논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작권 환수에 대한 언론의 입장을 확인 한 다음 정부 시기별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했다. 분석 샘플은 한국 ABC협회가 발표한 2013년 신문발행부수를 기준으로 상위 6개 일간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에 실린 사설 221개다. 분석 시기는 전작권 환수를 합의했던 노무현 정부를 비롯해 환수를 연기한 이명박 및 박근혜 정부를 포함했다. 귀납적 방식으로 프레임을 선정하기 위해 국가이익을 안보, 경제, 명예 및 지식 등의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각 차원에 대한 찬성과 중립, 반대 입장을 중심으로 모두 20개의 프레임을 설정했다. 전작권 보도의 정파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문제로 언론사별 프레임 비중과 국가이익 차원의 프레임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언론은 객관적 중재자가 아닌 주관적 개입자로 국가이익 재구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담론 경쟁을 통해 재구성되는 국가이익의 실체를 제시하고, 대내외 정책을 둘러싼 합리적 담론 경쟁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고민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Wartime Operational Control doesn t belong to South Koreans. The late president Sungman Rhee gave it to U.S. government in fear of lacking cap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Since then, there has followed ongoing debates over retrieving or leaving it alone. While pro-American block argue the benefit of following U.S. leadership under the current order, the other one insists the necessity of having military control especially in the time of hegemony transition. Heated controversial is easily found in Korean news media as well.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san journalism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associated with the control. Given the fact that editorials in mainstream newspapers have great impact on shaping public opinion, it analyzed six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Dongailbo, Hangyere, Kyunghwang, Mailgyengje and Hankookgyengje by differing political regim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discursive strategies adopted by partisan newspapers, it analyzed news frames in terms of security, economy, dignity and knowledge. Such frames as security normalization, matured alliance, sovereignty redemption, alternative order, lacking of preparation and political propaganda were contrived as a result of pilot study,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existed a wide range of difference in terms of frame. While conservative newspapers take advantage of those frames entangled with oppositional position, it was common to find supporting frames in the liberal ones. Journalistic partisanship was not immune from public opinion, political regime and the spirit of the age as well. When public opinion favored more national pride than humble alliance, for instance, even ultra conservative newspapers shifted their stance to defensive frames. By disclosing the reality of discursive competition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such news ecosystem in which diversity of opinion helps to facilitate market place of ideas.

      • KCI등재

        임진왜란기 대씨·태씨(조선시대 발해인)들의 활동 연구 - 『난중일기(亂中日記)』와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을 중심으로

        박순우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actions of individuals with the last name Dae or Tae. Analyzed in particular are certain actions of theirs displayed during the Imjin Wae’ran and Jeong’yu Jae’ran period, during which Joseon had to fight the invading Japanese army for seven straight years. First examined were the Dae and Tae figures recorded in Nanjung Ilgi (『亂中日記』, Wartime Journals). The record reveals that several Balhae individuals played diverse roles during wartime, such as those of military officers, technicians with certain skills, soldiers and spies, and simple servants. Then, the actions of members of the Nam’weon region-based Hyeobgye Tae house, recorded in Honam Jeol’eui-rok (『湖南節義錄』, Records of Honorable Figures in the Honam Region), was also examined. We can see that they managed to secure vast amount of grains to be provided to the Chinese Ming troops who came to aid Joseon’s war effort, and that they even organized a large Righteous army and gave their lives in the struggle to defend the Namweon fortress. All these examples show us that the Balhae people in the Joseon period existed in various social classes, ranging from influential local beings to commoner-turned soldiers and technicians and even to lowborn servants. And as a group of people who harbored slightly different identity and consciousness due to their Bahlae heritage, but still existed as part of the Joseon population, their example shows us that in Joseon, all people, despite their different social status, together endeavored to overcome a dynastic crisis that was the Japanese invasion. 이 글에서는 조선 선조대 임진~정유재란기를 배경으로, 발해인 대씨·태씨들이 보였던 활동을 재구성해보았다. 먼저 『난중일기』의 기록에 등장하는 대씨와 태씨들을 검토했으며, 이들이 이순신 장군의 군영에서 장교, 전문기술자, 군인, 심부름꾼 등으로 활동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호남절의록』에 기록된 전쟁기 남원지역 협계태씨 발해인들의 활약도 검토했는데, 병량을 모아 조선을 도우러 온 명군에 제공하거나, 대규모 의병을 조직해 남원성 방어에 목숨을 바친 사례들이 확인되었다. 이들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발해인들이 향촌 가계 구성원, 군인과 기술자 등의 양인, 그리고 천인 노비 등 다양한 신분·계층에 존재했음을 엿볼 수 있는 한편, 독특한 출자의식과 정체성을 가졌지만 국적상으로는 엄연히 조선인이었던 그들의 사례를 통해, 국난기 조선인들이 사회 상·하층을 막론하고 모두 그 극복을 위해 노력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 전시작전권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본 진영논리의 실체

        최종환,김성해,이현주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1

        1950년 한국전쟁 발발직후 한국은 작전역량 부족이라는 이유로 전시작전권을 미국에 이양했다.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는 미국과 전작권 환수에 합의하였지만 정권이 교체되면서 이 문제는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정치적 입장에 따라 안보를 둘러싼 국익논쟁 역시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언론은 전작권 논의 과정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을까? 언론은 국가이익이라는 보편성을 위해 정파성이라는 이해관계를 넘어서고 있는 것일까? 국가이익의 재구성에 있어 언론은 과연 어떤 식으로 개입하는 것일까? 이 연구는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사의 프레임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진영논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작권 환수에 대한 언론의 입장을 확인 한 다음 정부 시기별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했다. 분석 샘플은 한국 ABC협회가 발표한 2013년 신문발행부수를 기준으로 상위 6개 일간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에 실린 사설 221개다. 분석 시기는 전작권 환수를 합의했던 노무현 정부를 비롯해 환수를 연기한 이명박 및 박근혜 정부를 포함했다. 귀납적 방식으로 프레임을 선정하기 위해 국가이익을 안보, 경제, 명예 및 지식 등의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각 차원에 대한 찬성과 중립, 반대 입장을 중심으로 모두 20개의 프레임을 설정했다. 전작권 보도의 정파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문제로 언론사별 프레임 비중과 국가이익 차원의 프레임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언론은 객관적 중재자가 아닌 주관적 개입자로 국가이익 재구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담론 경쟁을 통해 재구성되는 국가이익의 실체를 제시하고, 대내외 정책을 둘러싼 합리적 담론 경쟁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고민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Wartime Operational Control doesn't belong to South Koreans. The late president Sungman Rhee gave it to U.S. government in fear of lacking cap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Since then, there has followed ongoing debates over retrieving or leaving it alone. While pro-American block argue the benefit of following U.S. leadership under the current order, the other one insists the necessity of having military control especially in the time of hegemony transition. Heated controversial is easily found in Korean news media as well.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san journalism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associated with the control. Given the fact that editorials in mainstream newspapers have great impact on shaping public opinion, it analyzed six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Dongailbo, Hangyere, Kyunghwang, Mailgyengje and Hankookgyengje by differing political regim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discursive strategies adopted by partisan newspapers, it analyzed news frames in terms of security, economy, dignity and knowledge. Such frames as security normalization, matured alliance, sovereignty redemption, alternative order, lacking of preparation and political propaganda were contrived as a result of pilot study,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existed a wide range of difference in terms of frame. While conservative newspapers take advantage of those frames entangled with oppositional position, it was common to find supporting frames in the liberal ones. Journalistic partisanship was not immune from public opinion, political regime and the spirit of the age as well. When public opinion favored more national pride than humble alliance, for instance, even ultra conservative newspapers shifted their stance to defensive frames. By disclosing the reality of discursive competition in shaping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such news ecosystem in which diversity of opinion helps to facilitate market place of ideas.

      • KCI등재
      • KCI등재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의 이미지 전쟁: 적과 아군의 정체성과 근거 프레임을 중심으로

        김성해 ( Sunghae Kim ),홍하은 ( Haeun Hong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1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시기가 기약 없이 연기되었다. 군사주권의 정상화를 요구하는 진보진영과 북한의 위협에 맞서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보수진영은 충돌을 이어간다. 언론 역시 공정한 중재자가 아닌 이해관계의 당사자라는 정황이 짙다. 본 연구는 이에 전작권을 둘러싼 언론의 개입 양상을 분석했다.『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및 『한국일보』 등 5개 신문사의 사설과 칼럼을 대상으로 분석기간은 2006년과 2010년으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언론의 담론 경쟁은 논리적 설득을 목표로 하는 프레임과 감성적 공감을 겨냥하는 이항대립의 이미지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정 주장과 낙인찍기를 활용한 언론의 정파성도 뚜렷했다. 언론의 역할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편협한 정파성을 넘어 보다 품격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언론의 길을 묻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South Korea and U.S. made a decision on postponing the due date fo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Fierce debate over the issue prevails among those experts who have revealed conflict of viewpoints. The potential costs charged to Korean society remains unknown. Given the reality of ‘Cui Bono,’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such discursive competitions mediated by the media. For the benefit of articulating image war, it first analyzed uses of languages employed to divide the friend and the enemy. Such media frames as ‘security defaulter, tax waster, security tout and flunkyism follower’ were adopted in addition. Final samples draw on five prestigious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Joongangilbo, Dongailbo, Hangyere and Hankookilbo by differing time span. Research reveals that the media take an active role not only in making identities but placing emphasis on selected frames. Both supporters and opponents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equipped with reliable data as well. The reality that neither national interests nor public policies are immune from discursive war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