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大君과 王子君 그리고 王孫의 교육연구

        육수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In this paper I examin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on of the king's principle wife(Daegun, 大君), son of the king's concabine wife(Wangjagun, 王子君) and Crown Prince's son(Wangson, 王孫).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eachers for Daegun, Wangjagun were called Gnghakcheong(講學廳) and Sabu(師傅) respectively. Gyohakcheong(敎學廳) and Gyobu(敎傅) were for Wangson.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as performed systematically as a means of governmental strategy. The education for Wangson was only conducted by Bureau of Royal Descendants(Jongch'inbu, 宗親府). The curriculum for royal families included Dongmong seonseup(童蒙先習), Sohak(小學), Hyogyeong(孝經) and other confucianism classics. This curriculum was similar with that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for other Royal descendents, the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teaching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실 자손들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의례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그 대상은 왕의 적자인 大君과 서자인 王子君, 그리고 왕세자의 적자인 嫡王孫과 서자인 庶王孫 등이다.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기관은 講學廳이라 하고, 왕손의 교육기관은 敎學廳이라 하였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스승은 師傅라 하고, 왕손의 스승은 敎傅라 하여 그 廳號와 稱號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왕위계승자인 왕세자와 왕세손 등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들의 교육은 종친부 주관으로 이루어졌다.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동몽선습 소학 효경 등의 초학과정을 이수하면 사서삼경으로 이어져 왕위계승자들의 교육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왕세자와 왕세손의 경우 왕위계승자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帝王學을 위한 방편으로써 역사서도 아울러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의 사부는 정1품, 왕세손의 사부는 종1품인데 비해,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와 왕손의 교부는 모두 종9품으로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차이를 인정하기 보다는 차별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은 각종 의례과정에서 더욱 부각되는데, 그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철저히 위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졌다.

      • KCI등재

        조선후기 大君과 王子君 그리고 王孫의 교육연구

        陸受禾(Yuk Su-hwa)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실 자손들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의례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그 대상은 왕의 적자인 大君과 서자인 王子君, 그리고 왕세자의 적자인 嫡王孫과 서자인 庶王孫 등이다.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기관은 講學廳이라 하고, 왕손의 교육기관은 敎學廳이라 하였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스승은 師傅라 하고. 왕손의 스승은 敎傳라 하여 그 廳號와 稱號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왕위계승자인 왕세자와 왕세손 등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들의 교육은 종친부 주관으로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 『소학』 · 『효경』등의 초학과정을 이수하면 사서삼경으로 이어져 왕위계승자들의 교육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왕세자와 왕세손의 경우 왕위계승자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帝王學을 위한 방편으로써 역사서도 아울러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의 사부는 정1품, 왕세손의 사부는 종1품인데 비해,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와 왕손의 교부는 모두 종9품으로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차이를 인정하기 보다는 차별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은 각종 의례과정에서 더욱 부각되는데, 그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철저히 위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졌다. In this paper I examin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on of the king's principle wife(Daegun, 大君), son of the king's concabine wife(Wangjagun, 王子君) and Crown Prince's son(Wangson, 王孫).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eachers for Daegun, Wangjagun were called Gnghakcheong(講學廳) and Sabu (師傅) respectively. Gyohakcheong(敎學廳) and Gyobu(敎傅) were for Wangson.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as performed systematically as a means of governmental strategy. The education for Wangson was only conducted by Bureau of Royal Descendants(Jongch'inbu, 宗親府). The curriculum for royal families included Dongmong seonseup(童蒙先習), Sohak(小學), Hyogyeong(孝經) and other confucianism classics. This curriculum was similar with that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for other Royal descendents, the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teaching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 KCI등재

        조선 전기 왕자 교육의 실태와 그 특징

        한희숙(Han, Hee-Soo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 왕자인 대군・왕자군들의 교육 실태와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에는 왕위 계승자인 세자와 원자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은 제도적 장치를 갖지 못하고 부왕의 관심에 따른 사부교육 중심의 개인교습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각 왕대의 대군•왕자군의 수가 소수이고 일정하지 않았던 점과, ‘宗親에게는 임무를 맡기지 않는다’는 명분에 따라 왕자들이 관직에 나가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는 왕자들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는 잠재적 존재였고, 또 외교활동 및 종친부를 비롯한 왕실관련 기관의 임무를 수행해야 했으며, 왕실 자제로서의 품위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왕자들의 지식 함양과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였다. 왕자들의 교육에는 부왕의 재위기간과 관심, 훈육 등이 많이 좌우하였다. 태종은 마음가짐이 단정하고 經書에 박학한 師傅를 뽑아서 대군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세종은 종친의 교육을 위해 종학을 설립하고, 8세가 되면 종학에 입학토록 하고,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군들을 입학시키기도 했지만 사부교육을 더 중요시 하였다. 성종도 대간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자들을 사부들로 교육시켰다. 성종은 말년에는 궁궐 내에 讀書廳을 두고 문신을 가려 贊讀이라 이름 하여 왕자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종학은 연산군 11년에 폐지되었다가 중종대 다시 설치되었지만 중종도 왕자들을 사부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였다.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주로 왕자사부에 의한 개인교습교육이 중심이 되고 여기에 종학교육이 보조적으로 이루어졌다. 종학은 종친들을 위한 교육기관이었지 왕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기관은 아니었다. 왕자 교육은 방법이나 내용면에서 양반들의 교육과 큰 차이점이 없었다. 왕자들은 기본적으로 『小學』과 『孝經』 『四書』와 『大學衍義』 『三經』과 『通鑑』 등을 배웠다. 그러나 왕자들에게는 제왕교육을 받은 세자와는 달리 治國과 平天下 등 정치적인 역량을 키우는 교육은 하지 않았다. 왕자들의 교육에 가장 큰 관심을 둔 왕은 세종이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그 실태와 체제면에서 대체로 부실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왕자들은 “宗親不任以事”의 명분에 의해 공부를 해야 할 동기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경제적인 문제와 공간 부족 문제, 그리고 道敎的인 인식, 避病, 避厄 등의 이유로 어린 왕자들을 궁 밖에 위탁 입양시키는 일이 많았던 왕실 자녀들의 양육 문화 때문이었다. 그리고 세자를 제외한 모든 왕자들은 11~14세에 결혼을 하여 궁 밖으로 나가서 살아야 했던 왕자들의 이른 혼인 나이도 영향이 있었다. 혼인 후 부왕의 관심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 90여명의 왕자들 가운데 양녕대군이나 수양대군, 안평대군, 월산대군, 제안대군 등 소수의 재능 있는 대군들만이 詩・書・風流 등에 두각을 나타냈을 뿐이었다. The early Joseon Dynasty education of the Seja and Wonja had been made by the national level institutionally. But the education of the Daegun and Wangjagun had been formed by private education as a attention of the king and it did not have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enough. Because it was the small number of Daegun and Wangjagun of each King and also the princes were prohibited from working at government office as a according to the Jongchin who did not have been entrusted with the job. However, there was the potential that the prince could be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and they had to perform the duties of royal institutions, including Jongchinbu, and diplomatic activity, and they had been trained to maintain the dignity as the royal family son. The princes had received a lot of according to the attention of the king Taejong allowed the private teacher taught the princes. Sejong established the Jonghak for the education of the princes and the Jongchin. The princes had to enroll in the Jonghak from 8years old. Sejong let the princes attended the Jonghak by good example but he thought that private teacher education was more important. Seungjong allowed private teachers taught the princes inspite of the opposition of the Daegan. In later Sungjong Doksircheung was established in the palace and the princes were taught by the Chandok. The Jonghak was abolished when Yonsangun 11years, but it was reinstalled when Jungjong who wanted to teach the princes by a private teacher. The princes were educated to the moral character, except political education which was for threat to the throne. The princes education excluding Seja was generally poor in its status as a system in early Jose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ystems in accordances with the growth process of the princes did not prepare well. That’s why instead of the princes who could not go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y had received a nice treat as a social and economic goal and their education goal motivation was not clear, and the princes were being raised at outside the palace due to economic, space, and avoid illness from the youth, and education could be interrupted by early marriage, and many students attended at Jonghak. Therefore, only small numbers of Daegun were distinction in literature and calli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