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과 근로장애인에 대한 최저임금 배제 — 한국, 독일, 미국의 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성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7 노동법논총 Vol.41 No.-

        In Korea Section 7 of the Minimum Wage Act allows exemptions from the minimum wage in the case of employee whose productivity is seriously impaired by mental or physical disabilities. Any employer otherwise required to pay the minimum wage can obtain authority from the Department of Employment and Labor to pay the lower wage rates permitted by law. The most person to whom the exemptions apply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heltered workshops. Sheltered workshops were conceived as facilities where employment opportunities were set aside for employees with disabilities, usually at a low wage, and were sheltered from competition by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They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people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to pursue a life that included work, socializing, and a sense of belonging. Sheltered workshops were seen as progressive, and a means of employing those who could not compete for jobs in the community. Exempting disabled employees from the minimum wage, however, would be likely to increase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ople by giving a signal to employers that disabled employees can be treated less favorably. In this regard Korean disability rights organizations have opposed minimum wage exemptions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on the grounds of discrimination based on disabilities. But Korea is not the only country involved in policy issues regard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heltered workshops and minimum wage exemptions. Similarly, many countries have made use of sheltered workshops for employment of the disabled. The debate over sheltered workshops and the minimum wage exemptions is part of a larger issue of the employment needs of people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in most countri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olicy measures to encourage the employment with disabilities particularly in sheltered workshop and minimum wage exemptions in Korea. It will trace the history of the use of sheltered workshops and disability law policy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Next, it will examine existing laws and policies on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in sheltered workshops in these countries.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use of sheltered workshops and minimum wage exemptions will also be considered in this article. Finally, it will be argued that Korean policymakers should find alternative minimum wage exemptions for the disabled, possibly through the use of sub-minimum wage or the difference pay between sub-minimum wage and average wage by the state. Especially disabled employees with very low levels of productivity should helped through supported employment programmes, subsidized through the state.

      • KCI등재

        보호고용된 장애인에 대한 최저임금의 적용제외 제도 - 근로장애인의 근로자성을 중심으로 -

        조성혜(Cho, Sung-Hae)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50 No.-

        최저임금법 제7조는 “정신장애나 신체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사람”으로서 사용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은 경우 최저임금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의 적용을 받는 장애인들은 대부분 직업재활시설에서 보호를 받으며 직업훈련을 받고 있는 중증의 발달장애인(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들이다.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제도의 의미는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 대한 근로기회의 제공과 중증 장애인 고용 사업주의 부담 완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저임금법」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적용하므로 근로자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에 대하여 이 법을 적용하는 것은 법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직업재활시설의 근로장애인들은 시설의 보호를 받으며 직업훈련을 받는다는 점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일반 근로자와 동일시할 수 없다. 따라서 근로기준법 또는 「최저임금법」 등에서 이들에 대한 특례 규정을 두고 일부 규정을 적용, 배제 또는 부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모든 근로장애인에 대하여 최저임금을 전면 적용하기 보다는 장애인의 근로능력에 따라 임금액에 차등을 두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본다. 문제는 장애인들의 인건비를 순전히 생산능력이 현저히 낮은 장애인의 근로로부터 나오는 수익으로부터 충당해야 하는 직업재활시설로서는 최저임금의 지급이 과도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업재활시설이 인건비 부담으로 경영난에 빠질 경우 불가피하게 감원을 하거나, 근로시간을 단축하거나, 최악의 경우 시설을 폐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감액된 최저임금을 지급함으로써 높아진 인건비 부담을 국가가 보전하는 방안이 장애인과 시설을 모두 보호하는 방법이라고 할 것이다. 중증장애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받는 것보다는 직업재활시설에서 보호를 받으며 직업생활을 경험하며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Article 7 of the Minimum Wage Act stipulates that the minimum wage shall not apply to “persons with significantly lower working capacity due to mental or physical disabilities.” Most of the persons subject to this Regulation are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re protected and employed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owever, since the Minimum Wage Act applies to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t is problematic to apply the Minimum Wage Act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o cannot be regarded as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 Therefore, it would be reasonable, legally, to introduce special provis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e Labor Standards Act or the Minimum Wage Act. However, rather than fully applying or excluding the minimum wage for all the disabled, it is realistic to place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ages depending on the working capacity of the disabled persons. The problem is that the payment of the higher wage could be an excessive burde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have to cover the labor costs purely from the work of the disabled with significantly lower production capacities. I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is in financial trouble due to the burden of labor costs, it may inevitably result in job cuts, shorter working hours, or, in the worst case, closure of the facility. Therefore, it is most desirable to support labor costs for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the stat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s to be protected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rk and participate in society rather than receiving higher wages.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종빈,백영은 한국장애인개발원 2022 장애인복지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 whether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wage-work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Using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4th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the wage-work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nterplay between leisrue activity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wage-work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 in order to diversify and revitalize the leisure experience of the wage-work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 plan to promote leisure activities and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to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disability for promoting leisure activitie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차웨이브 4차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도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임금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임금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 경험을 다양화·활성화하기 위하여 여가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여가활동 촉진을 위한 장애를 고려한 시설의 확충·다양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의 근로자성과 법적 보호 방안

        조성혜 한국사회법학회 2019 社會法硏究 Vol.0 No.39

        Sheltered workshops are workplaces that protect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re difficult to get a job in the general labor market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work. Without sheltered workshops, most disabled people would probably have been forced to spend their lives at home or at local centers for the disabled. It can be said that the sheltered workshops have enabled them to work on their own and stand on their own feet to some extent. Therefore, sheltered workshop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enabling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alization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no law specifies whether disabled people who work under the protection of sheltered workshops can be regarded as employees. It is also unclear whether the facility’s director, who protects and provides the work opportunities for the disabled, is a employer. It is also unclear how th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can be applied to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The current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stipulates that only some provisions of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shall be applied. However, since disabled people cannot be identified as ordinary employees, they cannot be required to fulfill their duties as employees. So all the labor laws (labor obligations, disciplinary measures, etc.) cannot be applied to them. Nevertheless, given that the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work just like ordinary employees, minimum protection rules that apply to employees must be applied to the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For example, the provisions essential for employee protection, such as working hours, breaks, holidays, vacations, industrial safety,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disabled in sheltered workshops. In reality, however, it is not logical to apply the application exclusion rule of the Minimum Wage Act, which is applied to regular workplaces, to the disabled people. Therefore, the disabled people, who are significantly less able to work and whose minimum wage is excluded under Article 7 of this Act, should in principle be the disabled employees in regular workplaces. Of course, the result is the same that the Minimum Wage Act does not apply to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regardless of legal revi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lementary benefits so that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who are paid significantly below the minimum wage can make a minimum living. Ultimately, to improve the legal status of disabled people in sheltered workshop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act for the sheltered workshop by readjusting the vast provisions concerning sheltered workshops currently stipulated in the Annex to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Disabled Welfare Act. Furthermore, the Social Insurance Law should apply to disabled people who are similar to employees.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인지능력 및 소통능력의 부족으로 일반 노동시장에서 취업이 어려운 중증의 발달장애인들을 보호하며 직업생활의 기회를 제공하는 작업장이다. 직업재활시설이 없다면 아마도 절대 다수의 장애인들이 집안에 머무르거나 지역 장애인주간보호센터 등에 소일하며 나날을 보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직업재활시설은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직업재활시설의 보호를 받으며 근로를 하는 장애인들을 근로자로 간주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어느 법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장애인에게 보호와 고용의 기회를 제공하는 직업재활시설의 시설장이 사용자에 해당하는지도 불분명하다. 그런 이유로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에게는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을 어떻게 적용할지 여부 역시 명확하지 않다. 현행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에서는 근로기준법의 일부 규정과 산업안전보건법만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인을 일반 근로자와 동일시할 수 없기 때문에 장애인에게는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근로자로서의 의무를 요구할 수는 없고, 또 그러기에 모든 노동법의 규정(근로자의 의무, 징계 등)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없다. 그러나 직업재활시설의 장애인도 일반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근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들에게도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최소한의 보호규정은 반드시 적용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근로시간, 휴게시간, 휴일, 휴가, 산업안전, 산업재해보상 등 근로자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조항들은 직업재활시설의 장애인들에게도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적용되는 최저임금법의 적용 배제 규정을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에게 적용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 법 제7조에 의하여 최저임금의 적용이 배제되는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장애인은 원칙적으로 일반 사업장에 고용된 장애인이어야만 한다. 물론 법리적 검토와 무관하게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에게 최저임금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결과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최저임금이 현저히 미달하는 임금을 받는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들이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를 보완하는 국가에 의한 보충급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법적 미비 상태를 개선하려면 현재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에 규정되어 있는 직업재활시설 관련 방대한 규정들을 정비하여 장애인직업재활시설법(가칭)으로 독립 제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향후 사회보험법 등에서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을 근로자와 유사한 자로 간주하여 보험 가입 의무를 부과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의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선영(Lee, Sun-Young),이홍직(Lee, Hong-Jik)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임금 수준을 결정짓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노동환경 요인,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수집한 장애인고용패널 8차 데이터에서 임금노동 장애인 975명을 최종 분석을 대상으로 추출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통합회귀모형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성별, 연령, 주소득원 여부, 배우자 유무가, 인적자본 요인 중에서는 학력, 보유 자격증, 고용서비스 경험이, 노동환경 요인 중에서는 고용형태가, 장애요인 중에서는 장애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도움 필요도가 장애인의 임금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 장애인의 임금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전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w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it analyzed how demographic factor, human capital factor, labor environment factor and disability factor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ffect on their level of wage. The 8th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which was colle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the Korean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as used and 975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ample. As results, gender, age, main bread winner, marital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number of qualifications and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employment type, working hours,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degree of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need for daily living were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w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us policy and administrat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age leve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이선우,박소리,이지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6 No.4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throug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comprised 818 wage earners(aged 19 or older)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from the first-year data(2016) of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work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although skill fit and education fi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y showed no mediating effect. By contrast, aptitude fit had both a positive and a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ptitude fit through self-efficacy, which was verifi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current job was fit for their ap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dustrial welfare interventions that improv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work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are necessar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urther, labor policies should consider their person-job fit in the workplace and provide jobs fit for their ap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 근로 중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2016년)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이며, 현재 임금 근로 중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 818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술 적합성과 교육수준 적합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력은 있었으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적성 적합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침과 동시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을 통한 적성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는 현 업무가 적성에 부합된다고 응답한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으로 장애수용,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한 산업복지적 개입, 근로현장에서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에 대한 고려 및 적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4 장애와 고용 Vol.34 No.1

        Purpose 또는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ffects happiness, and whether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to increase happiness in their relationship. Method: In response,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2nd Wave of the Disabled Employment Panel provided in 2022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Disabled under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For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SPSS's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Results: First, the participa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happiness, and second, the participa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the self-efficacy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Fourth, it was verified that self-efficacy mediates the participation and happines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activities. Conclusion 또는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increase their happiness, which can be lowered by low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through improvement of self-efficacy.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와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행복감을 높여주기 위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산하 장애인고용개발원에서 2022년에 제공한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은 SPSS의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는 그들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와 행복감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 또는 시사점: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낮은 사회활동참여로 인해 낮아질 수 있는 그들의 행복감을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논의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임금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재환,이진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s of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s factors affect wages received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mployment, including the unemployed people.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ata of 4th Waves(2019) and selected 359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 order to estimate determinant factors of the level of wage through employment, tobit model was used. Results: First, the effect of basic security inco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wag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mployment. Second, among the factors of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physical capacity, ability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interpersonal skill, level of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 and employment-related conne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wage level through employment. Among them, interpersonal skill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wage level through employment. Impl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not only the employed but also the unemployed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analyzed, suggesting what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get higher wages after employment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do not get a job.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어떠한 일상생활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미취업 발달장애인까지 분석대상에 포함시켜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 자료 중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로 응답한 359명의 발달 장애인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을 추정하기 위해 토빗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능력 요인 중에서 신체적인 능력, 대중교통수단 이용능력, 대인관계 능력, 일상생활 도움 필요 정도, 취업 관련 인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대인관계 능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임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는 취업자뿐만 아니라 미취업 발달장애인까지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실증 분석함으로써 미취업 발달장애인이 향후 적정임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일자리에 취업하려면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를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체장애 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원석,이홍직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human capital factors, and working conditions factors affect the wage level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2nd Wave 5th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Service for the Disabled.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age and the presence of a spouse amo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ed the wage level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e degree of major consistency and professional skill level among the human capital factors influenced the wage level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employment type among the working conditions factors affected the wage level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livered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nsure a higher wage level for the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체 근로장애인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차 웨이브 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원자료로 활용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요인, 근무조건요인 등을 중심으로 이들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과 배우자 유무가 지체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적자본요인에서는 전공일치도와 전문기술수준이 지체장애인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근무조건요인에서는 고용형태가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임금수준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전달하였다.

      • KCI등재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 유형화 및 영향요인 탐색

        최계원 ( Choi Kyewon ),이영민 ( Lee Youngmin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 유형을 분류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7차 자료 중 임금 근로 장애인 84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 유형은 인적·비인적 환경 불만형, 일 관련 불만형, 직무만족 유지형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연령과 직업, 일자리 종류, 직장 내 차별 경험, 임금 만족도에 따라 잠재집단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임근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혼합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 관련 불만형(집단 2)에 비해 집단 3과의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과 배우자 유무, 일자리 특성, 직무, 임금 만족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mong wage-employ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848 wage-employed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from the 7th wave of the Disability Employment Panel Survey.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job satisfac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interpersonal and non-interpersonal environmental dissatisfaction, job-related dis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maintenance type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latent groups according to age, occupation, type of job,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wage satisfaction. Thirdly, through mixed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wage-employe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job-related dissatisfaction), and factors such as age, marital status, job characteristics, occupation, and wag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fo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mong wage-employe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