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발적 참여에 기초한 온라인 여론조사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추적조사

        안주아(Ahn Joo-Ah)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2

        최근 들어 ARS 혹은 인터넷을 통한 여론조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TV 토론 프로그램에서는 논제에 관한 시청자의 견해를 ‘찬성/반대’ 또는 ‘허용/불허’의 형식으로 투표에 부치면서 그 결과를 실시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인터넷신문이나 포털 사이트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초기화면에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 방문자들의 견해를 묻는 투표 창을 마련해놓고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국민 전체를 대표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자발적 표집(voluntary sampling)′이라는 비확률적 표집방법을 통해 표본이 결정된다는 문제점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론조사의 결과는 비참여자들보다 강한 동기를 부여받아 ‘투표’라는 적극적인 행동을 했던 자발적 참여자들만의 의견일 뿐이다. 모집단 전체의 의견을 조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강제적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보았을 때 자발적 참여자의 설문 결과는 어떠한가? 만일 강제적 참여자와 자발적 참여자의 설문결과가 다르다면, 그 이유는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그러한 의문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된 대규모 추적조사(tracking study)로, 최근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에 관해 (1) 지필설문법을 통한 강제적 의견 수렴 (모집단을 구성함), (2) 온라인 설문을 통한 1차 자발적 설문 (앞서 구성된 모집단 중 일부가 자발적으로 온라인 설문에 참여함), (3) 1차 자발적 설문에서의 무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2차 자발적 설문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600명의 직장인 집단과 785명의 대학생 집단에서 공히 발견된 흥미로운 현상은 자발적 참여자들이 투표에 강제적으로 참여했던 모집단에 비해, 조사대상 이슈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결과는 그러한 현상이 설문기간 후반보다는 초반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설문이 이루어지는 기간이 짧을수록, 조사 대상 이슈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 표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자발적 참여에 의지하는 ARS 또는 인터넷 설문은 가능한 한 장기적으로 집행되어 높은 수준의 응답률을 반드시 확보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설사 장기간에 걸쳐 높은 응답률을 얻더라도, 설문기간 초기에는 그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편향된 표본의 왜곡 된 여론이 차후 설문 참여자들의 의견형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Volunteer-based polls are everywhere. Especially after the Internet becomes the fifth mass medium and the telephone-based automatic polling system called ARS (automatic response system) becomes so popular, people are encountered with yea-nay type of quick polls several times a da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blem.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l) whether the volunteer voters can be safely regarded as a reliable representation of the population and (2) if it is not the case, how and why they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tion, by running a thoroughly designed and controlled opinion poll in the real world. The outcome of an opinion poll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especially when the participants were gathered on a volunteer basi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 volunteer voters seem to be somewhat skewed to the negative direction, especially at the early stage of the polling process. That is, if a somewhat hasty generalization is allowed for the sake of summarization, it might be said that the first group of volunteer voters are likely to be the strong opponents to the issue than others, the next group of volunteer voters are likely to be composed of strong opponents to or strong advocates of the issue, and the following groups ofolunteer voters will start canceling out the negative skew created by the first group of the sample.

      • KCI등재후보

        청소년 초기 일상생활 중 자발적 혼자시간의 사용

        이미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early adolescents' use of voluntary time alone in daily lives. The goals of the study were to understand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experienc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ould be helpful for early adolescents' effective use of voluntary time alone.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to measure voluntary time alone in daily lives. One hundred and seven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54 boys and 53 girls) sampled from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or Kyonggi provinc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spent 15% of their waking hours per day voluntarily alone at home mainly between 2 to 7 pm. Their main activities were maintenance activities, such as eating, washing, resting, and sleeping. Also during alone time, the students thoughts mainly focused on rest or leisure activities. The students' emotional states while alone, when compared to time spent with family or friends, were not more negative. The students' levels of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during that tim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exts of family or friends. Findings suggest that early adolescents' voluntary time alone is necessary for their healthy development; and that social and educational supports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students' voluntary alone time more productiv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초기 일상생활 중 자발적인 혼자시간의 특성을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자발적 혼자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거주 중류층 가정 자녀들로 서울과 경기 소재 3개 초등학교에서 편의표집된 6학년 남학생 54명, 여학생 53명이다. 청소년들은 하루 깨어 있는 시간의 15%를 자발적 혼자시간에 보내고 있었고 주로 집에서 방과 후부터 초저녁 시간대에 보내고 있었다. 이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은 생활유지 활동이었고 주된 생각은 휴식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간의 정서 상태는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을 때보다 주의집중이 더 잘되고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는 시간보다 이 시간을 더 원한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초기 청소년들의 자발적 혼자시간은 주로 바쁜 하루의 일과에서 놓여나서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인 씻거나 먹기 위한 시간이라는 점에서 청소년기 적응적인 발달을 위해 이 시간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 시간을 단지 생활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활동이 아니라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하거나 지적 추구 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양육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울산지역 산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대응활동 분석 : 자발적 협약의 역할과 산업체의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김재홍 국토연구원 2011 국토연구 Vol.68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dustrial coping activities for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their determinants focusing on the effects of a voluntary agreement for energy reduction and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of 224 establishments in the Ulsan region. A two stage sample selection treatment effect model is applied in this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x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activities is estimat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stablishments with the voluntary agreement for energy reduction. Second, the petro-chemical and metal-finishing industries show the significantly higher indices and the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y for the voluntary agreement, while the auto and shipbuilding industries, which are the strategic industries in the Ulsan region, are very inactive to cope with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Finally, the index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activities tends to grow with the amount of sale of the establishments, but the indexes of the establishments with the sale size of 100~500billion KRW are lower than those with the sale size of 50~100billion KRW. 본 연구는 울산지역 250개 산업체 대상의 설문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울산지역의 산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대응활동 현황과 온실가스 감축 대응활동의 결정요인을 2단계 표본선택 처치모형을 적용하여 에너지 저감 자발적 협약의 영향과 산업체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저감 자발적 협약업체는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미협약업체보다 온실가스 감축 대응활동지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석유화학 및 1차금속 관련 업종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감축 대응지수와 에너지 저감 자발적 협약의 참여 확률이 다른 업종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울산의 전략산업인 자동차 및 조선해양 관련 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대응활동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감 자발적 협약에는 2개의 자동차 관련 업체만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매출액 규모가 큰 업체일수록 온실가스 감축 대응지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매출액 1,000~5,000억 규모 집단의 대응지수가 매출액 500~1,000억 규모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기 혼자 시간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활동 내용과 심리상태의 차이

        이미리 ( Mee Ry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혼자시간의 자발성 여부에 따라 활동의 내용과 심리적 상태가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혼자시간 중의 활동 내용과 심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경험표집법 (Exper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소재 3개 중학교와 3개 청소년수련관에서 편의표집된 194명의 초등학생과 중학생들로 남학생 86명(44.3%), 여학생 108명 (55.7%)이었다. 연구대상 청소년들은 자발적 혼자시간에는 생활유지 활동과 학업활동에 많은 시간을 보낸 반면, 비자발적 혼자시간에는 생활유지 활동과 컴퓨터 활동에 시간을 많이 보냈다. 자발적 혼자시간 중의 심리상태는 비자발적 혼자시간 중의 심리상태에 비해서 더 긍정적일 뿐아니라 가족, 친구, 선생님과 함께 있을 때 보다 더욱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자발적 혼자시간중이라고 해도 하는 일 없이 빈둥댈 때에는 생활유지 활동 혹은 학업활동을 할 때 보다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했고 비자발적 혼자시간이라고 해도 활동적 여가활동을 하거나 대화를 할 때는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자발적 혼자시간 중에 생활유지 활동이나 학업활동을, 비자발적 혼자시간 중에는 활동적 여가활동이나 친구와의 대화를 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적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use of voluntary and forced time alone in daily lives.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to measure contents of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states during time alone in daily lives. One hundred and ninety four adolescent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spent the most amount of time in maintenance activities and the second most of the time in schoolwork activities during voluntary time alone, while they spent the most amount of time in maintenance activities and the second most of the time in computer activities during forced time alone. Psychological states during voluntary time alone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states in the other interpersonal contexts including the forced time alone context. However, although the participants spent time in the voluntary time alone, their psychological states were negative when they were engaging in doodling. Likewise, although the participants spent time in the forced time alone, their psychological states were positive when they were engaging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or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make adolescents` both voluntary and forced time alone more productive and posi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한 가중치 부여방법 인터넷 조사에 대한 적용 가능성 검토

        조성겸 ( Sung Kyum Cho ),박아현 ( Ah Hyun Park ),허명회 ( Myung Hoe Huh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1 조사연구 Vol.12 No.2

        There are limitations as to how internet surveys can be used. Applying various weighting procedures has not always resulted in error reduction. A good reference survey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the weighting metho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 reference survey for non-demographic weighting variables, which restricts the use of internet surveys. We hypothesized that time use variables could be employed as weighting variables. The time use survey is conducted regularly by KOSTAT and includes various time-related variables. We tested our hypothesis using the 2009 survey results, which had been gathered by KOSTAT in 2009. When we applied weighting variables which were based on the 2004 time use survey results to the online version of the 2009 KOSTAT social survey, the gap between the online and off-line versions was slightly reduced. This result shows that we could use time use survey results to develop a better weighting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