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용성의 『금강경』에 대한 이해

        이수창 ( Lee Soo-cha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7 전자불전 Vol.19 No.-

        백용성은 『금강경』에 관한 세 권의 책을 저술했다. 용성은 57세부터 60세까지 『금강경』에 대한 탐구에 몰두했던 것 같다. 그는 세 가지 종류의 『금강경』에 관한 저서를 남겼는데, 세 가지 종류의 『금강경』에 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新譯大藏經金剛經講義』는 기존의 32분과에 의거하여 총 113단락으로 나누고, 112곳에 저자가 해설을 덧붙인 것이다. 둘째, 『新譯大藏金剛摩訶般若波羅蜜經』은 涵虛의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 중에서 야보도천(冶父道川, 1127-1130)의 설을 중심으로 저자의 견해를 추가한 것이다. 셋째, 『詳譯科解金剛經』은 기존의 32분과에 얽매이지 않고, 『오가해설의』에도 벗어나 저자 자신의 사상을 반영시켜 『금강경』을 재해석한 것이다. 이 세 가지 종류의 『금강경』을 비교해 본 결과, 용성의 『금강경』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점차 深化過程을 거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성이 『금강경』을 세 차례에 걸쳐 세 권의 책을 저술했다는 것은 그의 『금강경』에 대한 이해의 수준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의 사상을 논함에 있어서 그 사람이 가장 나중에 출판한 저서나 논문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인 常例다. 왜냐하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사람의 사상도 보다 정교해지고 심화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용성의 『금강경』에 대한 이해는 그의 세 번째 저서인 『詳譯科解金剛經』에 의거해야 함은 말할 나위없다. Back Yong-seong wrote three books on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It seems that he dedicated himself to studying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from the age of 57 to 60. He left three different books on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and they have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in Sinyuk Daejanggyung Gumganggyung-Ganguil (『新譯大藏 經金剛經講義』), the author exposited 112 sections after dividing the Sutra into 113 sections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32 parts. Second, Sinyuk Daejang Gumgang Maha-Prajnaparamita-sutra (『新譯大藏金剛摩 訶般若波羅蜜經』) added the author’s thoughts focused on Yefu-Daochuan (冶父道川, 1127-1130)’s theory among Hamhu-Duktong’s Gumgang Maha-Prajnaparamita-sutra Oga Haeseoleui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說誼』). Third, in Sangyuk Gwahae Gumgang-gyung (『詳譯科解金剛經』), Yong-seong newly explained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not being influenced by both the existing 32 parts and Oga Haeseoleui. In comparing these three kinds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books, we can verify that Yong-seong’s understanding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grew gradually deepened. The fact that Yong-seong wrote three different books on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means his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utra developed. When we discuss a person’s thought, it is commonly accepted to judge through his last book or article. Because the person’s thought becomes more elaborated and elevated with the passage of time. In this respect, it is needless to say that Yong-seong’s understanding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should be based on his third book Sangyuk Gwahae Gumgang-gyung.

      • 특집 논문 : 용성의 불전번역과 그 의의 -『금강경』과 『용성선사어록』을 중심으로-

        김호귀 ( Ho-gui Kim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5 전자불전 Vol.17 No.-

        20세기에 백용성은 새로운 불교운동의 일환으로 大覺敎운동을 주창하였는데, 그 이유는 기존의 전통불교가 쇠락하여 새롭게 불교를 개혁하고자 하는 열망이었다. 이에 백용성은 다양한 운동을 펼쳤다. 특히 불서에 대한 우리말 번역을 성취하기 위하여 삼장역회를 설립하여 한문불전에 대한 한글번역을 주도하는 한편불교의 교리에 대한 저술활동을 통하여 불교의 새로운 인식의 확대 및 보급에 정열을 쏟았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는 『금강경』의 번역과 관련된 상황, 그리고『용성선사어록』에 대하여 번역의 구성과 특징과 그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금강경』의 번역은 그 대의에 해당하는 『윤관』을 비롯하여 『詳譯科解金剛經』, 『신역대장경』,『新譯大藏金剛摩訶般若波羅蜜經』등 총 3회에 걸쳐서 번역 및 발행되었다. 그리고 용성선사의 어록은 근현대 한국불교사의 산물로서 1941년 삼장역회에서 발행되었다. 상·하 2권으로서 『前序』를 비롯하여, 본문 총 13장의 주제, 부록 및 後序와 跋文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belongs to Maha yana Sutras, more particularly among the kinds of Prajnaparamita Sutra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ranslated six times in Chines language extending from 5c - 9c. The first translation was Kumarajiva(鳩摩羅什), Jingang - banrouboluomi - jing(金剛般若波羅蜜經) year 402. Yongsung Jinjong, seon master of modern korea, has translation wit h commentary notes about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by Ku marajiva. He translation with commentary notes over three times and one time the general idea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hre e times translation with commentary notes of Vajracchedika Prajnapar amita Sutra are Shinyeok-daejangkyeong, Shinyeok-daejang-gumgang -mahabanyabarami-kyeong and Sangyeok-gwahae-VajraSutra. One tim -e the general idea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Gumgan g-maha-banyabaramilkyeong-Junbudaeyi-yunkwan. These writings wer e contained volume no.5 the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jongsa. And we can see genuine sayings form in Korean seon history, i.e. t 0he advent of Youngseonsa-aurok[龍城禪師語錄]. The advent of Youngs 0eonsa-aurok comprised in vol.Ⅰ. of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 -jongsa[龍城大宗師全集]. This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jongs a was published in year 1941 by Samjang-Yeokhoi[三藏譯會]. Youngseonsa-aurok consisted of two volumes. That summarized as follows, that is ta say, a preface introduction by Kim Sung-geun[金聲根], the body of text are 13items, a supplement, after notice by 0Kimsan-Taeheup[金山泰洽] and a epilogue by Dongsan-Hyeil[東山慧 一]. Youngseonsa-aurok recorded two types, namely, one sis genuine China alphabet the other is China alphabet and Korean alphabet. But 0the after with Korean alphabet is translated about the before with China alphabet. The contents of Youngseonsa-aurok are diversity themes. First is genuine analects of seon, Second is educations, Third is missionary work of Buddism, Forth is variety of problems modern society, etc. We know that the value of Youngseonsa-aurok are diversity. But the primary value is reappearance the genuine sayings form in Korean seon history. So, the Youngseonsa-auro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oint.

      • KCI등재

        해인사에 소장된 鄭晏 조성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5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Haein-Temple’s Buddhism—Sutra—woodblock that Jeong—An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in the process, the existed studies have been critically reviewed, and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First, this paper has confirmed the Buddhism—Sutra—woodblock that Jeong—An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 Buddhism—Sutra—woodblock has been confirmed six kinds : Saddharma-pundari-ka-Sutra(妙法蓮華經), Commentary on the Vajrasamādhi-Sutra(金剛三昧經論),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Bulseol-Yesusiwangsaengchil-Sutra(佛說預修十王生七經), Sukhavati -Vyuha-Sutra(佛說阿彌陀經). these woodblocks were created in the 1236 & 1244∼1245 year when he was in the Hadong(河東) & the Namhae(南海). among these woodblocks, the Sukhavati-Vyuha-Sutra has been not identified, the rest kinds are existing. Next, this paper has been generally arrang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 the engravers(刻手) & the title of the Sutra-woodblocks that have been existing. among the information, the Sutra-woodblock is noted the case that the title has been consisted of the Gaebeopjang- 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 the Sutra-name. and the title of the Samgyeonghapbu(三經合部) is noted the case. its the original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documentary heritage that can restored the history & culture of the mid-13th century. Finally, this paper has been newly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its Sutra-woodblocks. first,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Jeong—An's reality-consciousness that he has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 the real contradiction. second,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creative attempt of Jeong—An. the attempt has new created the Samgyeonghapbu that the Buddhism—Sutra of three kinds have been tied as one book. the three kinds included the Bodhisattva Samantabhadra's Vows of the Avatamsaka-Sutra,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the Sukhavati-Vyuha-Sutra. finally,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case that Jeong—An has reinforced the sanctity & the solemnity of the Buddhism—Sutra in the marking of the Gaebeopjang-Mantra-mark. 이 글은 13세기 중엽 유불지식인으로 활동한 鄭晏이 조성한 불교경판의 원천정보를 새롭게 정리하는 한편, 그 역사․문화적 성격도 분석하였다. 그 선행작업으로 1920년대 이후 최근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된 기존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먼저, 기존연구의 오류를 바로잡아 정안 조성의 경판에 새겨진 다양한 원천정보를 새로 정리하였다. 정안의 조성경판 가운데 『妙法蓮華經』 등 현존 5종에 새겨진 경판의 외형적 형태, 구성체계, 형태서지학 정보, 간행기록, 刻手, 標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천정보를 새로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妙法蓮華經』․『金剛般若波羅蜜經』의 경판 가운데 는 후대 보각경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정 개별경판에는 사주쌍변의 광곽 안쪽에 開法藏眞言부호와 경전이름으로 구성된 개별경전 및 三經合部의 標題가 각각 새겨진 사실을 확인하였다. 정리된 원천정보를 바탕으로, 정안 조성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도 진단하였다. 첫째, 해당 원천정보는 향후 고려왕조실록의 복원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정안은 고종 23년과 고종 31∼33년 『불설아미타경』을 포함하여 6종의 경판을 조성하였다. 셋째, 해당 경판의 조성 때 정안이 활동한 지역적 공간도 진단하였다. 『妙法蓮華經』은 고종 23년 河東지역에서, 나머지 경판은 고종 31∼33년 南海에서 각각 활동할 때 조성하였다. 『묘법연화경』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판은 海藏分司로 표기된 대장분사도감에서 활동한 전문인력을 활용한 듯하다. 넷째, 정안은 민족․국왕의 안녕, 몽골 침략군의 격퇴, 朝野의 평안 등을 기원하고, 修禪社․天台宗계열 등 당대 여러 불교계와의 우호적 관계를 모색할 목적으로 이들 경판을 조성한 듯하다. 다섯째, ‘金剛行願弥陁合部’라는 표제 등에서 정안은 『金剛般若波羅蜜經』․『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佛說阿彌陀經』의 3종의 불교경전을 함께 묶는 三經部部의 구성체계를 창조적으로 기획하였을 개연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정안이 조성한 경판의 標題 부분에는 開法藏眞言부호가 각각 새겨져 있다는 사실에서 개별경전에 대한 독송의식의 신성성과 장엄성이 담겨져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1214년에 조성된 해인사 소장 『金剛般若波羅蜜經』의 역사․문화적 성격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that is stor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Its Sutra was translated into Chinese(漢文) by the Kumarajiva(鳩摩羅什). Its woodblock was constructed at the Gunsyaeng-Temple(群生寺), that time was in first year(1214) of Goryo-Dynasty's Emperor-Gojong(高宗). First, this paper organized the various analytical indicators that contained in its woodblock. As a result, we was confirmed a fact that its woodblock had been reflected in a visual artistry & convenience of printing & scientific technology of conservation. Next, this paper newly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its woodblock. First,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a unique system and is the oldest example of the existent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Second, the structure of its woodblock creatively reconstructed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that had been created until the early 13th century. Third, its woodblock is a prime example of the memory & recitative-version that was created to ensure a strangeness&magnificence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Finally, its woodblock contain the various original information that can restored the history & culture of the early 13th century. 이 글은 고종 원년(1214) 10월 군생사에서 조성된 해인사 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鳩摩羅什 한역)의 기본정보와 역사․문화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정리하였다. 경판의 외형적 형태, 형태서지학적 정보, 경전의 구성 체제, 간행기록 등과 같은 기초적인 원천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경판에 새겨진 다양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여 기존연구의 오류를 바로잡는 한편, 본 경판에 반영된 시각적 예술성과 인경의 편의성 및 보존의 과학성을 확인하였다. 본 경판의 조성 역량이 강화경판 『고려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계승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근거로 그 역사․문화적 성격도 새롭게 밝혔다. 첫째, 본 경판은 13세기 전반 고려사회에서 조성․유통된 4종의 鳩摩羅什 한역 『금강반야바라밀경』 가운데 독특한 체계로 구성된 판본으로, 풍부한 기초정보를 담고 있는 최고의 현존 경판이다. 둘째, 본 경판의 구성 체계는 우리나라 및 중국에서 간행된 『금강반야바라밀경』이나 그 주해 경전을 저본으로 참조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경판이다. 아울러 그 구성 체계는 13세기 초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여러 유형의 『금강반야바라밀경』 판본들 가운데 특정 종류의 주요 저본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셋째, 본 경판은 受持․讀誦用의 대표적인 사례로 13세기 초기 고려 불교계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적 원천텍스트이다. 특히 본 경판에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수지․독송하면서 관련 불교의례를 강화하고, 본 경전의 불교적 장엄의식과 신성성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경판에는 13세기 초기사회의 역사․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또한 본 경판은 외형적 형태, 판각형식, 서체 등에서도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과의 출판․인쇄술과 문화적 역량의 계승관계를 복원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 彫成 현황과 書誌的 성격

        최연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the 13th-century elites, including unmanned forces and local-powered, etc. are organized by officials was published. In addition, the monks and Buddhist temples personnel were actively involved. In an optative sentence review period - there was hope th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safety, security and the war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the 14th century there was hope that the Emperor Yuan(元) and King of longevity. Such information may be published at the time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came in the 13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oroughly and check the caret such as a piece in contrast to the content. The same two kinds of woodblock this contrast is to present the results. In particular, participants i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of the 13th century sculpture professionals and many monks were investigated. The figures from the survey hyoyeo(孝如), chungseo(冲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etc., are the same person and the person involved when a piece of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Discussed previously published Sutra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goals and business looks to be the same with each other and their desire to pursue a practical sense. So hyoyeo(孝如), chungseo(冲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such as who will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business.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of business, we can guess that the propulsion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facilities and professionals. 이 글은 고려시대 간행된 『金剛般若波羅密經』(이하 『금강경』이라 줄여 부름) 각 本의 서지 사항과 지․발문, 板의 비교 등을 통해 『금강경』 조성이 갖는 시대적 의미와 역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금강경』은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阿彌陀經』과 함께 널리 알려진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 禪宗의 중심 敎義를 담고 있어 존중되며, 구마라집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읽혀져 왔다. 7세기경 신라에서 암송된 기록이 있으며, 고려 전시기에 걸쳐 여러 차례 雕成되었다. 13세기와 고려 말기에 집중되었는데,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이라 줄여 부름)에 편입된 『금강경』을 제외한 판본의 조성 및 인출 주체를 구분해 보면 고종대 무인집권자인 崔瑀를 비롯하여 鄭晏 등과 같은 집권층과 지방 유력자내지 官員과 같은 在鄕勢力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원의 승려 및 불교계 인사들이 주도하기도 하였다. 발원문의 내용으로는 13세기 판본에서는 國泰民安과 전쟁 종식을, 원간섭기 판본에서는 皇帝 또는 國王의 祝壽를 기원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성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금강경』(대자본)의 조성은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이 진행되던 고종 24년 12월에 이루어졌다. 제1장은 두 종의 목판이 있는데, 그 존재 이유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판본의 오류 정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판하본의 瑕疵가 있는 판은 폐기보다는 별도로 보관되어 온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고려대장경』 편제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조성과정에서 교감과 교정은 물론 판본 재질 등을 꼼꼼히 살펴 제작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성 주체와 참여 전문가와의 긴밀한 연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은 기왕에 활동한 刻字僧과 刻手가 적극 참여해 주도하였다. 13세기 간행된 『금강경』 조성에 참여한 孝如, 大呏, 冲敍, 釋光, 明覺 등이 『고려대장경』 각성인으로도 조사되었다. 『금강경』 경전의 조성 의도는 각성사업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염원 및 실천적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시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明覺과 釋光 등과 같은 승려 지식인들은 각성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각성사업 직전에 활동한 각자승이 적극 참여한 사실은 기왕의 사원이 보유하고 있던 인적․물적 자원은 국가사업과 공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금강반약파라밀경)』 彫成(조성) 현황과 書誌的(서지적) 성격

        최연주 ( Yeon Joo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이 글은 고려시대 간행된 『金剛般若波羅密經』(이하 『금강경』이라줄여 부름) 각 本의 서지 사항과 지·발문, 板의 비교 등을 통해 『금강경』 조성이 갖는 시대적 의미와 역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금강경』은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阿彌陀經』과 함께 널리 알려진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 禪宗의 중심 敎義를 담고 있어 존중되며, 구마라집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읽혀져 왔다. 7세기경 신라에서 암송된 기록이 있으며, 고려 전시기에 걸쳐 여러 차례 雕成되었다. 13세기와 고려 말기에 집중되었는데,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이라 줄여 부름)에 편입된 『금강경』을 제외한 판본의 조성 및 인출 주체를 구분해 보면 고종대무인집권자인 崔瑀를 비롯하여 鄭晏등과 같은 집권층과 지방 유력자 내지 官員과 같은 在鄕勢力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원의 승려 및 불교계 인사들이 주도하기도 하였다. 발원문의 내용으로는 13세기 판본에서는 國泰民安과 전쟁 종식을, 원간섭기 판본에서는 皇帝 또는 國王의 祝壽를 기원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성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금강경』(대자본)의 조성은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이 진행되던 고종 24년 12월에 이루어졌다. 제1장은 두 종의 목판이 있는데, 그존재 이유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판본의 오류 정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판하본의 瑕疵가 있는 판은 폐기보다는 별도로 보관되어 온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고려대장경』 편제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조성과정에서 교감과 교정은 물론 판본 재질 등을 꼼꼼히 살펴 제작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성 주체와 참여 전문가와의 긴밀한 연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은 기왕에 활동한 刻字僧과 刻手가 적극 참여해 주도하였다. 13세기 간행된 『금강경』 조성에 참여한 孝如, 大승, 沖敍, 釋光, 明覺등이 『고려대장경』각성인으로도 조사되었다. 『금강경』 경전의 조성 의도는 각성사업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염원 및 실천적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시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明覺과 釋光등과 같은 승려 지식인들은 각성사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각성사업 직전에 활동한 각자승이 적극 참여한 사실은 기왕의 사원이 보유하고 있던 인적·물적 자원은 국가사업과 공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the 13th-century elites, including unmanned forces and local-powered, etc. are organized by officials was published. In addition, the monks and Buddhist temples personnel were actively involved. In an optative sentence review period - there was hope th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safety, security and the war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the 14th century there was hope that the Emperor Yuan(元) and King of longevity. Such information may be published at the time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came in the 13th century, was investigated thoroughly and check the caret such as a piece in contrast to the content. The same two kinds of woodblock this contrast is to present the results. In particular, participants in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of the 13th century sculpture professionals and many monks were investigated. The figures from the survey hyoyeo(孝如), chungseo(沖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etc., are the same person and the person involved when a piece of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Discussed previously published Sutra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goals and business looks to be the same with each other and their desire to pursue a practical sense. So hyoyeo(孝如), chungseo(沖敍), seokgwang(釋光), meoungkak(明覺), such as who will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business.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 piece of business, we can guess that the propulsion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facilities and professionals.

      •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 Jong Nam Choi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 KCI등재

        1214년에 조성된 해인사 소장 『金剛般若波羅蜜經』의 역사,문화적 성격

        최영호 ( Young Ho Choy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이 글은 고종 원년(1214) 10월 군생사에서 조성된 해인사 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鳩摩羅什한역)의 기본정보와 역사·문화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정리하였다. 경판의 외형적 형태, 형태서지학적 정보, 경전의 구성 체제, 간행기록 등과 같은 기초적인 원천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경판에 새겨진 다양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여 기존연구의 오류를 바로잡는 한편, 본 경판에 반영된 시각적 예술성과 인경의 편의성 및 보존의 과학성을 확인하였다. 본 경판의 조성 역량이 강화경판 『고려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계승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경판의 다양한 분석지표를 근거로 그 역사·문화적 성격도 새롭게 밝혔다. 첫째, 본 경판은 13세기 전반 고려사회에서 조성·유통된 4종의 鳩摩羅什한역 『금강반야바라밀경』 가운데 독특한 체계로 구성된 판본으로, 풍부한 기초정보를 담고 있는 최고의 현존경판이다. 둘째, 본 경판의 구성 체계는 우리나라 및 중국에서 간행된『금강반야바라밀경』이나 그 주해 경전을 저본으로 참조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경판이다. 아울러 그 구성 체계는 13세기 초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여러 유형의 『금강반야바라밀경』 판본들 가운데 특정 종류의 주요 저본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셋째, 본 경판은 受持·讀誦用의 대표적인 사례로 13세기 초기 고려 불교계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적 원천텍스트이다. 특히 본 경판에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수지·독송하면서 관련 불교의례를 강화하고, 본 경전의 불교적 장엄의식과 신성성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경판에는 13세기 초기사회의 역사·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또한 본 경판은 외형적 형태, 판각형식, 서체 등에서도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과의 출판·인쇄술과 문화적 역량의 계승관계를 복원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that is stor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Its Sutrawas translated into Chinese(漢文) by the Kumarajiva(鳩摩羅什). Its woodblock was constructed at the Gunsyaeng-Temple(群生寺), that time was in first year(1214) of Goryo-Dynasty``s Emperor-Gojong(高宗). First, this paper organized the various analytical indicators that contained in its woodblock. As a result, we was confirmed a fact that its woodblock had been reflected in a visual artistry & convenience of printing & scientific technology of conservation. Next, this paper newly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its woodblock. First, its woodblock is composed of a unique system and is the oldest example of the existent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woodblock. Second, the structure of its woodblock creatively reconstructed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that had been created until the early 13th century. Third, its woodblock is a prime example of the memory & recitative-version that was created to ensure a strangeness &magnificence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Finally, its woodblock contain the various original information that can restored the history & culture of the early 13th century.

      • KCI등재

        An Improved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wo-layer Attention Mechanism

        Hye-jin Kim(김혜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0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추천 알고리즘은 사용자나 항목의 심층적인 특성을 학습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MITI(주의 메커니즘 및 개선된 TF-IDF)에 기반한 추천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 2중 주의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CNN의 특징 추출 능력이 향상되고, 항목 특징에 다른 선호도 가중치가 할당되며, 사용자 선호도와 더 일치하는 권고사항이 달성되었다. 대상 사용자에게 항목을 추천할 때 점수 데이터와 항목 유형 데이터를 TF-IDF와 결합하여 권장 결과의 그룹화를 완료하였다. 본 논문에서 진행한 MovieLens-1M 데이터 세트에 대한 실험 결과는, AMITI 알고리즘이 권장 사항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프레젠테이션 방법의 순서와 선택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because traditional recommendation algorithms cannot learn the in-depth characteristics of users or items, this paper proposed a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he AMITI(attention mechanism and improved TF-IDF) to solve this problem. By introducing the two-layer attention mechanism into the CNN, the feature extraction ability of the CNN is improved, and different preference weights are assigned to item features, recommendations that are more in line with user preferences are achieved. When recommending items to target users, the scoring data and item type data are combined with TF-IDF to complete the grouping of the recommendation results.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MovieLens-1M data set show that the AMITI algorithm improves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to a certain extent and enhances the orderliness and selectivity of presentation methods.

      • 특집논문 : 『금강경』 번역의 제 문제 -백용성 대종사 번역본 『금강경』의 구성 및 내용의 특징

        김호귀 ( Ho Gui Kim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3 전자불전 Vol.15 No.-

        백용성 대종사는 『금강경』에 대하여 1922년 『新譯大藏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 을 비롯하여 1926년 『詳譯科解金剛經j 및 『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J, 그리고 1936 년 『신역대장경』 등 총 4회에 걸쳐 번역하였다. 또한 1923년에는 『금강경』의 전 체적인 대의에 대한 용성의 견해를 엿볼 수 있는 『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全部大 義輪實』을 저술하였다. 『신역대장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은 蘇漢文 흔용체이면서, 治父의 주석을 중심으로 하면서, 거기에 함허의 r說誼』 및 용성 자신의 주해를 가하였다r상역과해 금강경』은 경문의 분과에 대한 용성의 견해가 가장 잘 드러난 번역본으로서 54 분과로 세분하고, 용성 자신이 41회에 걸쳐서 경문의 단락에 대하여 부연설명을 가하였다r신역대장경』은 소명태자의 32분과에 의거하여 총 113단락으로 나누 고, 112군데 걸쳐서 해설을 붙였다r윤관』은 경문의 대의를 총괄하여 판별한 것 이었다. 곧 의심한 질문의 형식에 따른 개별적인 Z7가지 의심과 의심한 질문의 내용에 따른 총체적인 107}지 의심 등 모두 37이다. So to speak, Sinyuk-DaejangGumgangMahabanyabaramilgyung in 1922, SnngyukGW1h:JeGumganggyung & GumgangMahabanyabaramilgyung in 1926, and SinyukDaejanggyung in 1936. Moreover, YongSung wrote a summing up of Vajracchechka prajiiaparamifjj-satra, that is, Gumgangbanyabaramilgyung- Yungvmn in 1923. Sinyuk-DaejangGumgangMahabanyabaramilgyung use Hangul at the same time with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ed of book. But the contents of book was made of the commentary by Yefu-Daochuan({``j3`` )(jiJI/) of Song dynasty, the commentary by Hamhu-DuktongO~EmW ii) of Josun dynasty and the commentary by Younssung himself. SnngyukGwahaeGumganggyung was composed of fifty four sections about Vajracchechka prajiiaparamifjj-satra, and Young sung dilated upon that subject through forty one sections. SinyukDaejanggyung on the basis of thirty two sections by Zaoming, namely, the prince of Liang. But Yongsung itemize the thirty two sections into one hundred thirteen, and among them one hundred thirteen sections had notes by Yongsung himself. Gumgangbanyabaramilgyung- YWJgllWl written In answer form. twenty seven theme. But The Gumgangbanyabaramilgyung- YWJgUWl was the core of prajilaptlrami tfj-satra. question and contents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