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experience 개념을 활용한 어린이 사용자 조사 방법의 개발

        함연 ( Xian Yan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 방법에서 '사용자 조사' 연구는 사용자의 실제 니즈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는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다양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사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용자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현재 UXD 사용자 조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어린이 사용자가 주목하는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아직 어린이 사용자를 위한 완벽한 사용자 조사 절차는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린이 대상 사용자 조사 방법을 개발해 어린이 대상 UXD 연구 시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내용은 UXD 디자인 과정 중 사용자 니즈(User needs)에 대한 조사 분석 단계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UXD 의 기존 사용자 조사 방법의 한계점, 이에 대한 보완개념으로 Co-experience의 필요성의 제기, 그리고 어린이 사용자 조사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Co-experience 개념을 이용한 어린이 사용자 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하여 UXD에서 진행하는 기존의 조사방법과 Co-experience개념의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어린이에게 특별히 중요하게 적용되는 Co-experience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어린이사용자를 위한 조사방법을 새롭게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어린이 사용자에게는 Co-experiencer의 중요성에 대한 가설을 가지고 새로운 방법을 설계를 하였고, 실제로 테스트를 통해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 어린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조사방법으로는 데이터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Co-experiencer의 검증 단계를 조사방법에 추가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어린이 사용자 조사의 다섯 스텝은 다음과 같다: 1 조사와 이념 제시, 2 이념 실증과 포지셔닝, 3 Co-experiencer 검증, 4 정보 종합 분석, 5 연구 결과표시 그리고 이 방법이 어린이 사용자의 니즈를 식별하는 데에 유효한지 테스트를 해보았다. 테스트를 통해 Co-experiencer 검증의 단계가 필요하며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결론 어린이에 초점을 맞춘 사용자 조사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본 연구는 Co-experience 개념을 이용해 어린이 사용자 조사의 5 단계를 제안하고 실행하여 어린이 일상생활 속의 Co-experience의 니즈를 식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Co-experience 개념은 어린이 대상에 초점을 맞춘 사용자 조사 절차에 효과적인 검증 작용을 한다. 'Co-experiencer의 검증'은 어린이 사용자의 조사 결과의 유효성을 보완하고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인터뷰 표본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후속 연구를 통해 실증 연구를 전개하여 어린이 사용자 조사 절차와 구체적인 방법을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Background 'User Research' aims to explore users actual needs. It is an important step of the design process that needs to study various research methods to meet the needs of different users. The research focuses on child user. Even though many researchers of UXD User Research argued to focus on child user, they did not put forward a complete user research process for child us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ild user research method so as to carry out child user experience researches more reasonably and effectively. Methods It reviews UXD's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through literature and analyzes the data concerning the concept of co-experience,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important co-experience for children and proposes the new research method for child user research. A new method is designed for child user and co-experiences are assumed to be very important. Then, actual tests are carried out. Result Through research, it assumes that data collected from traditional child user research methods is not reliable and effective enough. And the validation step of co-experiencer is added. In other words, the research proposes the five steps of the child user investigation: 1. Introduction of investigation and ideology; 2. Demonstration and positioning of ideology; 3. Validation of co-experiencer; 4. Analysis of comprehensive information; 5. 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method is applied in this research to find out whether it is good to identify the needs of child user. The test shows that the step of co-experiencer validation is necessary, as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 Conclus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child-centered user research, the paper utilizes the concept of co-experience according to Wang, Yafang's UXD user research method, and defines and implements the five stages of child user research. The paper puts forward an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the user needs. Through test, it is proved that the concept of co-experience is an effective verification method for child user research process. This research includes relatively few research samples. The researcher will further explore the research process and specific method for child users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in the future.

      • 사용자 조사 데이터 인터프리테이션 타입과 영향 : 구조화 방식과 비구조화 방식을 중심으로

        진보필(Jin Bopil),이건표(Kunpyo Lee)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User research has become a commonplace for reason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about users, many user research methods have been developed so far. However, interpretation, process that takes researcher from data to conclusion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literature on design research. Meanwhile, as focus of research shift from work efficiency to aspects of everyday life and emotion, new user-centered design methods appeared such as cultural probe. Unlike existing social science-based interpretation approach which pursues correct understanding about users through systematic inductive reasoning, art-based cultural probe asked researchers not to analyze probe returns but to use value of ambiguity through the process like making gossips about users from user data. With the appearance of probe, this tension has become issue around interpretation. With the lack of research on interpretation, there's few research which explain tradition and procedure of both interpretation approach, but there'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ow these two approaches affect on user data use and its implication on results such as insights and initial idea in the practical design project of a team. In this paper, we explored key difference of two approaches especially in terms of patters of data use for building insight and initial idea. We expect that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let designers and researchers have deeper understanding about interpretation process and give rich methodological reflection for further revise or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process for effective user research process.

      • 박물관 이용자 관람 형태 질적연구 신뢰도 향상 방안 : 국립중앙박물관의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수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 교육 Vol.2 No.-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전시 공간 관람 현황 연구’를 통해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을 이론화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결론의 신뢰도가 보장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추적조사와 면담, 관찰 내용을 통해 도출된 질적 연구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세 가지 과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과제로 순진한 사실주의, 암묵적 지식, 방어기제가 나타나는 과정에 대해 연구자들이 간과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둘째 과제로, 박물관이라는 환경에서 면담과 관찰이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더욱 충분하고 적절하게 실행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내용을 정리하여 면담과 관찰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셋째 과제로, 설정된 가설에 대해 결론을 내리고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를 고민했다. 연구가 신뢰가능하고 재인용되도록 하기 위해, 결론의 도출 방법과 설정된 가설을 신중하게 되짚어 보고 오류를 반성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심도 깊은 결론을 재도출하는 방법을 검토했다. One of the immediate tasks museums facing today is recognizing the shifting needs of museums in a rapidly transforming society; museums must establish an always-on system with museum users and be open to their diverse demands. For survival in this complex social environment, museums should formulate strategies to develop potential users and analyze existing ones from diverse perspectives. As interest in museum users has increased since 2010, effor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how museums and their users can establish an always-on system and conduct comprehensive qualitative research on individual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on museum users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user interviews conducted for a study of visitor appreciation of exhibitions at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study suggests making the following effort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on museum users. First, researchers should carefully observe any naive realism, silent language, or defensive mechanisms arising among the researchers and/or subjects and consider if there have been any matters overlooked in the study.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re conducted as part of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special environment of a museum.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take note of matters for particular consideration before conducting interviews and making observations in this environment and develop appropriate methods in this regard.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test hypotheses through reliable methods and apply the proven hypotheses to subsequent research in order to compile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findings of reliable qualitative research in museum education should be faithfully applied in the field to develop additional research them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accumulate high-quality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based on improved reliability and that such results can be applied to promot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museums and their users and advance always-on systems.

      • KCI등재

        사용자 관찰(User Observation)을 통한 욕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김유리 ( Yuri Kim ),최경란 ( Kyung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소비자의 생활수준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주거생활의 질이 향상하면서 욕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단순히 생리위생 공간을 넘어서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욕실 공간 사용자의 환경과 사용실태를 연구 및 관찰을 통해서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포괄적인 사용자 리서치의 여러 방법과 특징, 이를 진행하는 단계에 대해 파악하고 세부적으로 본 연구의 리서치에서 사용된 방법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여 Case 8개의 욕실 사용자 관찰 조사를 진행하였다. 관찰한 내용의 분석을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 Centered Design: UCD)의 요소 User, Space, Object 관점에 따라 문제점을 유형화 시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Space-Object의 관점에서는 동선, 행동패턴에 관하여, Space-User는 제품 사용빈도와 수납물 사용패턴, User-Object 관점으로는 사용자의 제품이나 수납물의 사용행태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는 일반적인 관찰에서는 얻을 수 없는 구체적이며 일상적인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고 발견된 연구내용은 욕실을 디자인하는데 있어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As the quality of residential life improves with the improvement of life level of the consumer and change of the life style of the consumer, the interest in the bathroom increases and the tendency of looking at the bathroom not as a simple space of physiology and hygienics but as a space for rest is being 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is desire of the consumer, the user research has been performed which can understand the user`s life pattern, going beyond the conventional fixed idea and comprehend the problems that might occur because of the life pattern of the consumer through the study and research of the environment and use state of the bathroom space users. First of all, the various characteristic of the comprehensive user research and the steps to proceed with this research have been comprehend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ent studies and to be more specific, bathroom user observation survey of 8 cases has been proceeded by proposing the method used in the research of this study and the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bserved, the problems were stereotyped according to viewpoint of the elements of the User Centered Design(UCD) which are User, Space and Object. From the Space-Object point of view, the moving line and behavior pattern was analyzed, from the Space-User perspective, the product`s frequency of usage and use pattern of stored items were analyzed and from the User-Object point of view, the use manner of the product and stored items by the user was analyzed. Through these analysis, the content which can not be obtained in normal observation and is more in-depth and more ordinary could be found and the content of the study found proposes a new scheme that can be applied in designing the bathroom.

      • KCI등재

        도서관 이용자 공간의 최근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황미영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4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6

        Modern libraries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a community space while coping with social changes and phenomena, such as trans-boundary, diversification, mobility and integration, which are the features of a knowledge & information society. Besides,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temporal and spatial limits, they have evolved as a platform of liberal knowledge and information where approaches to and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liberal, on the premise of a spatial reconstructio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cent trend of researches on library spac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y targeting library space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facility of the modern society. Besides, by analyzing the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opics, which are mostly handled by researches on library space, and library users’ space. In this way, this study can provide a method to seek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modern libraries and modern library users’ space. So far, there have been no analysis of the trend of researches on library users’ space like this study, an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find out a direction for solving urgent problems related to library users’ space as well as change and critical mind, and even a proposal can be made for a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es on domestic library users’ space in Korea. To find out the recent trend of researches on library users’ space, this study collected and investigated theses related to the field of library space published from 1991 to the end of 2013. As an analysis method, this study comprehended general research contents by investigating the number of theses and researchers by year in each academic journal, and this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the contents of collected research these were classified based on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ng methods and analyzing methods.

      • KCI등재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프로세스 선행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인균,정석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현재는 경제활동에서 경험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는 조셉파인과 제임스 길모어(Joseph Pine & J. Gilmore) 그리고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의 주장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 의 전망처럼 소비자 구매 행동과 디자인 개발에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의 연구경향을 알아보기로 하였으며, 이는 후속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방법과 내용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총 73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통계적 방법을 통한 분석결과 2012년부터 국내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확대기’에 진입한 것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양적 팽창은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의 논문 증가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가장 많이 다룬 연구내용은 ‘지침’ 이었고 가장 많이 적용된 연구방법은 ‘실증적 연구방법’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기초연구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실증연구가 중심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논문편수의 지속적 증가를 바탕으로 당분간은 연구의 양적 팽창이 계속 진행될 것이 전망되었다. 또한 지금 ‘지침’관련 연구에서 향후에는 ‘평가 또는 ’원리‘의 중심으로 연구의 내용의 변화 또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류과정에서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의 한계점이지만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에는 다양한 관련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y, Joseph Pine, James Gilmore and Jeremy Rifkin, are important argued experience in economic activity. Today, the user experience has become a verty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rend of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he provision of basic data necessary to next research. The subject of process trendy study is total 73ed in journal article and dissertations. As the methods of this thesis, the researchers applied a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udy of UX design process entered the expansion phase quantitatively from 2012 years. Quantitative such expan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rvice design paper. The most common in the contents of research was guide about experience design process. And empirical study used the most in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s expect a change in the research study to evaluate research guidelines based on the final. e results of these studies, that empirical research is the center from basic research. That the quantitative expansion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it is found through the analysis result.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tervention of subjectivity, but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e paper of the foundations of research. In the future researchers are hoping, and that the study of user experience design a variety of processes is performed.

      • KCI등재후보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활용한 사용자 콘텍스트 수집 방법에 대한 연구 : iPhone 어플리케이션 Starwalk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진(Lee HyunJhin),김현희(Kim Hyunhui)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proposes the novel user context research model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of interactions in the HCI area.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ontextual design approach used most commonly in the HCI design area since 1990s were examined and the new requirements for the user context research were found through the case studies on the recent mobile service design. As a possible solutions new user context design research model utilizing SNS(Social Network Service) was propo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proposed research model the user context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ases of actual mobile service design and the case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user context research model utilizing Social Network Service proposed in the study. In the case study the user context research of Starwalk Mobile Service is conducted in the diverse SNS media which is Tweeter YouTube Facebook Flickr and iTune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ed that the user context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has strengths of being able to extract the large and diverse contexts and to collect the wide range of contexts within short period of time as well as being free form for both researchers and the users. The limitation of this methodology is that the results are depend on proper selection of SNS media and the setting up of SNS environment for the design subjects should be prepared before th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HCI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터렉션의 속성적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변화들에 적응할 수 있는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로 HCI디자인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온 콘텍스츄얼 디자인 (Contextual Design) 방법론이 갖는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였으며 최근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를 통하여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의 새로운 요구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구 조건들에 부합하는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SNS를 활용한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연구 모델의 사례 연구로서 Starwalk 모바일 서비스를 트위터 유투브 페이스북 플리커 아이튠즈의 다양한 SNS 미디어를 사용한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사례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사용자 콘텍스트 연구 모델은 다량의 다양한 콘텍스트 추출이 가능하고 연구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자유로운 형식이면서도 빠른 시간 안에 넓은 콘텍스트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또 SNS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성격의 데이터가 추출되므로 SNS의 선정에 주의해야한다는 점과 디자인 대상에 대한 SNS 환경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은 본 방법론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 환경에 적용 가능한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오디션 프로세스 방식의 샘플 추출을 활용한 가전제품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채현정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인류학에서 출발한 에스노그라피 연구가 기업의 소비자와 제품 사용자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경향에 주목하고, 기업 환경에 맞는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형식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한다. 하루가 다르게 제품과 기술이 새로워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사용자의만족을 높이는 신제품을 만들고자 숨겨진 니즈와 상품 사용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이며 마케팅과 소비자 연구에서 정성연구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정성연구의 새로운 방법으로 에스노그라피 연구(Ethnographic Research)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에스노그라피 연구는 소비자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주목받고 있다. 인류학에서 출발한 에스노그라피 연구의 전통적인 방식을 기업의 사용자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과 연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연구방법을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소비자/사용자 연구의 목표와 연구 진행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며, 그에 맞도록 에스노그라피 연구의 방법을 변형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 시장의 수요에 맞는 냉장고 디자인을 위해 실행한 에스노그라피 연구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논문에서 소개하는 기업의 조사는 상품이 사용되는 문화적 맥락과 상품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의 특이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로서, 단편적인 정성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소비자 조사 기법을 조합한 특징을갖고 있다. 조사의 여러 단계에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는 ‘오디션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노력한 조사로 평가 받았다. 이처럼 기업의 에스노그라피 연구 사례를 통해 인류학의 에스노그라피 연구가 어떻게 기업의 사용자 연구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방법론적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인류학의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의 실용적 영역에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The more new technology and products comes out, the more important qualitative research is in the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field. Recently, ethnographic research is applied in the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since it is regarded to figure out in-depth information from product users. However, ethnographic research for the enterpri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way it used to be applied to the academic field in terms of the research condition, target, scope, and goal. In this article, I present a case of ethnographic research in the design field which studied refrigerator users in the foreign marke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a refrigerator. It will suggest an ethnographic research that assembles various methods at every step and synthetically draws a result to develop a new concept through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recruited research samples through ‘an audition process’ in which users engaged in every step of the research to get the benefit of the ethnographic research perspective. This case study will show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how ethnographic research capable of being used in user-centered research for the enterprise.

      • KCI등재

        제품디자인 수업에서 퍼소나를 활용한 사용자 설정에 대한 연구

        유연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user of the product is the important step in the initial design process in which the proposed product is positively evaluated to the user and fulfilled the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Various techniques such as observation, focus group interview (FGI), survey, and interview are used as user research method which suggest appropriate design solution for users. However, due to the physical and temporal limitations in the product design class, the design process may proceed without assigning sufficient weeks to the user analysis process. Product design is a field in which the paradigm is constantly changing accord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o lear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flects the paradigm of product design including personalization, customization, diversification, change of consumption method, and product-service convergence, the user setting process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user setting process by using persona and research method is proposed for a product design class. The persona is a user modeling method to understand and characterize the user, which is set up as a virtual pers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endencie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users or customers. Through the product design class, the user setting using persona is helpful to judge whether the proposed design is appropriate and make a decision based on the user at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In addition, research suggests that the proposed user setting and research method are useful to communicate with the instructor-student communication in class and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manage the class within a semester. 제품디자인 분야에서 제품의 사용자를 설정하는 과정은 제안된 제품이 사용자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충족하기 위해 초기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단계이다. 관찰(observation), FGI(Focus Group Interview), 설문조사, 인터뷰 등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자에게 적절한 디자인 해결안을 제시하는 사용자 조사 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품디자인 교과과정 진행에 있어 물리적·시간적 제한으로인하여 사용자 분석 과정에 충분한 시간을 배정하지 못하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품디자인은 기술의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패러다임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분야이다. 제품의 개인화, 맞춤화, 다양화, 소비 방식의 변화, 제품-서비스 융합을 포함하는 제품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디자인 개발 과정을 학습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대한 조사와 분석, 콘셉트 도출을 위한 사용자 설정 과정은 교육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인 교과에서 퍼소나 기법을 활용한 사용자 설정 과정및 리서치 진행 방안을 제안한다. 퍼소나 기법은 사용자를 이해하고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모델링 방법으로 사용자나 구매자들의 특성과 성향,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가상의 인물로 종합하여 설정하게 된다. 퍼소나를 활용한 제품디자인 교과 운영을 통해 퍼소나를 통한 사용자 설정이 디자인 프로세스 각 단계마다 사용자를중심으로 판단하고 제안된 디자인이 적절한 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제안된 사용자 설정 및 리서치 방안이 교수자-학생 간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주며 정해진 기간 내에 교과를 효율적으로운영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용자참여의 공공디자인건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동향분석 -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

        김소연,이현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Recently, the demand for people-oriented design is increasing. It is changing from technology-oriented design, which relied on mass produc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past, to a design that gives priority to humanity, that is, to meet user needs. In this design paradigm,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is changing from a concept that is owned and managed by the public sector to a facility made for public interest. In other words, the present public design aims at the opportunity to pursue the public interest through design and ultimately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alize people-centered public design, it should be done for citizens who use the public domain of urban environment. To find out the potential needs of the citizens, their direct participation should be made. The need for a bottom-up public design based on citizen's opinions is increasingly emphasized rather than a one-sided, top-down public design of the admini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terature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user 's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and grasps the approaches and trends of various researches so as to lay the foundations for basic research in presenting direction of user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field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survey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ublic participation in user participation' in Korea.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and policy flow of public design and participatory design was given priority. Second, previous studies were collected on domestic papers. The research methods, cases, results and limit points were analyzed by year to analyze the development flow and type of research. Finally, research trends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source, type of research, survey method, subject, keywords and implications. The field of public design suggests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space - user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basic data to search for the differentiation method to set up research topic on public design and architecture through user participation. 최근 사람 중심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과거 대량생산과 산업발전에 의존하였던 기술 중심의 디자인에서 인간, 즉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는 디자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패러다임 속에서 공공디자인 개념 또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즉 공공부문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시설물이라는 개념에서 공익을 위해 만들어지는 시설물이라는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다시 말해 최근의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을 통해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람 중심의 공공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시환경의 공공영역을 사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시민의 잠재적인 니즈까지 발견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행정기관의 일방적인 Top-down방식의 공공디자인이 아닌, 시민의 의견을 기반으로 한 Bottom-up 방식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의 공공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다양한 연구의 접근방식과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공공디자인 분야의 사용자 참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