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용 비행체(PAV)’의 도심지내 운용에 관한 법적 검토

        석호영(Seok, Ho-You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89 No.-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부는 2019년 9월 “신개념 항공교통수단으로 활용될 미래형 ‘개인용 비행체(PAV: Personal Air Vehicle)’의 개발 및 교통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 합동 발전전략협의체(이하 ‘협의체’라 한다)를 구축 운영한다.”고 밝힌바 있다. 이 협의체는 항공, 자동차, 배터리, 전기 전자, 교통서비스, 정비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전문가, 학자 및 연구자가 ‘개인용 비행체(PAV)’ 산업 발전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향후 핵심기술의 개발 및 국제공동개발 지원,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문인력 양성, 성능 및 품질 향상지원 및 국제표준, 민군 협력 등 ‘개인용 비행체(PAV)’의 보급 등 관련 서비스산업 등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게 된다. 현대자동차는 2020년 1월 7일 개최된 ‘국제전자제품박람회2020(CES 2020: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에서 ‘개인용 비행체(PAV)’의 컨셉트 모델 ‘S-A1’을 공개하면서, 이와 함께 현대자동차가 구상하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체계를 함께 공개한 바 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은 ‘개인용 비행체(PAV)’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이 도심지 내에서 지상의 교통정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모빌리티 환승거점(HUB)’를 기반으로 착륙 이후에는 도심지내 주요 시설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고 2028년 그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나 기업(현대자동차 등)에서 발표한 전략을 살펴보면 미래의 도심지내 교통수단은 지상에는 ‘자율주행자동차’가 달리고, 공중에는 ‘개인용 비행체(PAV)’가 날아다니는 모습을 향후 10년 이내에 현실화될 것이 기대된다 할 것이다. 다만,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체계가 ‘개인용 비행체(PAV)’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항공, 전자, 전기, 통신, 정비 등 관련 기술이나 환승거점(HUB) 등과 같은 시설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지만, 최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이러한 ‘개인용 비행체(PAV)’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라 할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에는 기존 도로 위에서 이동하면 될 것이지만 ‘개인용 비행체(PAV)’는 지상이 아닌 공중을 비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도로의 이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이 에 대한 부분이 우선 해결되지 못한다면 향후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체계의 상용화는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체계의 구축 및 그 상용화를 위한 핵심장치인 ‘개인용 비행체(PAV)’의 상용화를 위해 구축되어야 할 시설 및 도심지내 그 이동 공간 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개인용 비행체(PAV)’의 도심지내 운영에 관한 법적쟁점을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said in September 2019 that they are going to establish and to operate ‘a Joint Government-Private Development Strategy Consultative Body’ for developing the future model of ‘Private Air Vehicle’ and for revitalizing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 new concept of air transport. The consultative body will promote joint efforts by industry experts, scholars and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viation, automotive, battery, electric and electronic, transportation services, maintenance and infrastructure, while also promoting review of personal aviation (PAV) services such as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and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support for industrial ecosystems, support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quality, and cooperation among civil forces. Hyundai Motor Co., Ltd. unveiled the concept model ‘S-A1’ of the ‘Private Air Vehicle (PAV)’ at the ‘CES 2020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 held on January 7, 2020, along with the unveiling of Hyundai Motor s ‘UAM: Urban Air Mobility’ system. Using ‘Private Air Mobility (UAM)’, ‘Private Airplane Mobility (PAV)’ aims to establish a future mobility ecosystem that allows users to move freely from ground-to-ground traffic jams within urban centers and directly to major facilities in urban areas after landing on the basis of ‘Mobility Transfer Point (HUB)’. If we look at the strategie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companie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Hyundai Motor (Hyundai Motor), we will expect that the future transportation in the city will be a self-driving car on the ground and a personal airplane (PAV) flying in the air within the next 10 years.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aviation, electronics, electricity, communications, maintenance, and other facilities such as transit points(HUB) will be critical in that the ‘UAM’ system is based on ‘Personal Air Mobility’(PAV), but the top priority should be to review how to ensure that these Private Flights (PAVs) can move freely. In the case of self-driving cars, they can move on existing roads, but the use of existing roads is difficult in that ‘PAVs’ fly in the air, not on the ground. If this is not resolved in advance,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urban air mobility’ system will be difficult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Private Air Vehicle (PAV)’ in city areas through a review of the facilities to be buil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rivate Air Mobility(UAM)’ system and its moving space in urban areas, and intends to conduct a legal review of the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도심 비행 모빌리티의 승객 보호용 좌석 디자인의 시사점 고찰

        구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s to find macroscopic directions of a basic design concept implications for passenger safety seat of Urban Air Mobility developed in various countries with experimental prototypes and experimental flights and some examples of commercialized types with which have lower altitudes and slower velocity compared to the current popular passengercarrying aircraft. Therefore this study deployed a method of observing characters of major urban air mobility developed by top 4th ranked makers of recent 5 years through on-line references and bibliography materials, and reviewing as well as characters of various functional seats. Then analyzed by comparing each of them. The basic concept implications for passenger safety seat design concept of Urban Air Mobility has been preview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ower altitude and slower velocity compared to generic passenger aircraft. The design implications for urban air mobility passenger seat has resulted in order to find a safety seat design concept for protecting passengers with combining passenger safety factor and observations of various functional seats in case of the urban air mobility falling down and crashing on the ground. This study concluded as this; The passenger seat design concept is necessary that the individual passenger seat should work as a passenger protection structure under the urban air mobility flying conditions such as lower altitude and slower velocity. However, it is also required more research to develop detailed design features of the passenger safety seat, for which should be followed developing such as seatbelt airbags and sensors, and as well as lightweight high strength materials for stronger seat housing developing for secure structures of total protection with sheltered seat concept for each passenger of urban air mobility. 이 연구는 최근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모빌리티 유형 다양화의 현상과 아울러,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구조와 형태의 시제품 및 시험 비행과 일부 상용화에 의해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는 도심 항공모빌리티의 운항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항공기에 비해 낮은 고도와 느린 속도로 인한 추락 시의 승객안전 확보를 위한 좌석 디자인 콘셉트의 시사점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방법은 최근 5년의 시점 이내에 등장한 다양한 국가와 메이커의 주요한 유형의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주요 특성을 추출하였다. 이때 살펴본 도심 항공 모빌리티 대상의 선정은개발의 업체 순위에서 상위 4개사의 비행체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및 서지적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이들 중 실내에서 기능성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유형을 가진 좌석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편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좌석 또한 선정하여,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고찰과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개념의 항공기에 비해 비행 고도가 낮은 주요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승객 안전성 해결방법에서 제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낙하산에 의한 승객의 탈출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개연성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승객의 보호를 위한 안전성을 기능성 좌석의 고찰과 결합하여,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추락 시 승객의 1차 보호를 위한 안전 쉘터 개념의 구조를 가진좌석의 디자인이 요구된다는 콘셉트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운항 특성상 개별적 좌석이 승객을 보호하는 구조물의 기능을 해야 한다는디자인 콘셉트에 의해 승객의 착좌 시에 전체를 보호하는 안전 쉘터 개념의 구조를 가진 좌석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전 좌석 개발을 위해서는 안전띠 에어백과 센서, 경량및 고강도 하우징 개발 등이 요구되므로, 디자인 콘셉트의 완성을 위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Urban Air Mobility에 대한 법률상 항공보험가입의무 적용에 관한 연구

        백경원,황호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3

        On June 4, 2020, the government announced a roadmap to start commercializing Urban Air Mobility from 2025. As a new approach to solving the traffic congestion in the congested city center, air traffic through the air of the city is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once an accident occurs during the flight of UAM, a transportation system that moves in the airspace of the city at a low altitude(approximately 984-1968ft or 300-600m), the discussion about the responsibility remains in a state of principle. If UAM operators, that is, those who will be operating UAM transportation business and UAM traffic management business, are liable for damages due to an aviation safety accident, a method must be secured so that the victim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damages in a stable manner. To this end, it was first considered that the vehicle called eVTOL to be used for UAM corresponds to an “aircraft” under the Aviation Safety Act, and the UAM business is considered to be an airline business using aircraft under the Aviation Business Act.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mmercial activities for profit using an aircraft, it is applied to the air transport service of the Commercial Act. In addition, according to Article 70 of the Airline Business Act, in order to operate an airline business, it is compulsory to purchase aviation liability insurance. It was proposed to revise the Aviation Business Act and the Commercial Act to include UAM as the subject of such aviation insurance obligations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air carriers, etc. 정부는 2020년 6월4일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을 2025년부터 상용화를 시작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혼잡한 도심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도심의 공중을 이용한 항공교통을 대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심의 공중을 낮은 고도(약 300-600m)에서 이동하는 교통시스템인 UAM이 비행 중 사고등이 발생하였을 때 그 책임에 대한 논의는 원론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UAM사업 즉 UAM운송사업과 UAM교통관리사업등을 영위하게 될 자가 항공안전사고로 인해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할 경우,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UAM에 이용될 eVTOL이라는 비행체가 항공안전법상 “항공기”에 해당함을 고찰하였고, UAM사업이 항공사업법상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사업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항공기를 이용하여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행위를 하는 경우 상법의 항공운송편에 적용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UAM사업자 등이 상법의 항공운송편의 적용을 받아 항공사고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항공사업법 제70조에 따르면 항공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항공보험을 의무가입해야한다. 이러한 항공보험의무가입대상으로 UAM을 포함시켜항송운송인등의 책임을 강화하도록 항공사업법 및 상법을 개정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Advanced Air Mobility ICT 기술 현황 및 발전 방향

        오봉진,이문수,김법균,정양재,임유진,임채덕,B.J. Oh,M.S. Lee,B.K. Kim,Y.J. Jeong,Y.J. Lim,C.D. Lim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8 No.3

        In this study, the status of global advanced air mobility (AAM) was investigated to der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s) that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directions of domestic AAM development. AAM is an urban air traffic system for moving from city to city by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or personal aircraft. It is expected to establish a three-dimensional air traffic system that can solve ground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the rapid global urbanization. With the full-scale commercialization of AAM solutions, high-density air traffic is expected, and with the advent of the personal air vehicle (PAV), the flight space usage is expected to exp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 AAM service through early research on core ICTs for autonomous flight.

      • KCI등재

        도시형 공중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운영모델과 지상기반시설의 유형화

        이재홍(Lee, Jae-Hong),홍성조(Hong, Sungjo) 도시정책학회 2021 도시부동산연구 Vol.12 No.1

        While active research on Urban Air Mobility(UAM) is being conducted, interest in urban planning is insufficient. UAM s operating model and ground infrastructure are closely related to urban plan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UAM operation model and ground infrastructure. For this,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model was largely divided into passenger transport, cargo transport and special purposes. The passenger operating model was categorized into Air Metro, Air Taxi, Airport Shuttle, MaaS, and PAV. The cargo operation model was categorized into Last-mile delivery and Air Cargo. The special purpose operation model was categorized into Air Ambulance and Medical Transfer. Second, ground infrastructure was largely divided into small size, medium size and large size. Small infrastructure includes a rooftop station type and a ground station type. There are two types of large infrastructure: a terminal type located in the city center and a garage type located in a suburban area.

      • KCI등재

        도심형 공중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개발 연구

        김예린,박재흥,하슬지,황효민,오광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growth potential for 'mobility' related field is highly evaluated, domestic and foreign interests in future mobility are growing. Among them, the full fledged market growth is expecte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countries,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Recently, Hyundai Motor Group has been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to introduce its vision for a diverse and innovative mobility life and provide contents for virtual customer experience. Metaverse, a 'future convergence space', is in the spotlight as a space to promote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or present future visions as it can expand user experience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lead new possibilities based on data-driven user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and design direction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that can be us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virtual space by utilizing the potential of architectural space in metaverse. (Method) The targe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i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UAM demonstration project area. The proces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is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reviews on Metaverse and UAM are conducted, and case studies of metaverse platforms, UAM, and drone ports are conducted. Second,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of UAM/drone ports an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errestrial infrastructure typification. Third, the final result is completed after conducting the work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for visualization of UAM ground infrastructure according to design tables of spatial plan and the contents set. (Results) UAM ground infrastructure such as UAM and drone control facilities, UAM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omplex facilities, logistics facilities, and charging facilities were visualized, and th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UAM metaverse was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Conclusions)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esent new visions related to UAM commercialization, industrial ecosystem creation, and UAM business model in the future.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metaverse is free to design, away from various restrictions, but the challenge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architectural techniques to consider the movement and use effect of avatars visiting the metaverse space. However, it is hoped that a virtual space that can share new ideas and expand its vision will continue to be creat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content by users, which is a positive element of metaverse space, and that space can be expanded. (연구배경 및 목적) '이동성(Mobility)' 관련 분야에 대한 성장잠재력이 높게 평가받으면서 미래형 모빌리티에 대한 국내외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중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의 상용화를 위한 국가, 지자체, 기업들의 협업체계구축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시장 성장세가 기대된다. 최근 현대자동차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모빌리티 라이프에 대한 비전 소개와가상고객 경험 콘텐츠 제공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미래형 융합 공간’인 메타버스는 사용자의경험을 확장하고,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건축공간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UAM 지상기반시설의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개념과 설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의 설계 대상은 UAM 실증사업 구역으로 선정된 한국해양대학교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첫째, 메타버스와 UAM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메타버스 플랫폼과 UAM 및 드론 포트(port)에 관한 사례연구를진행한다. 둘째, UAM 및 드론 포트(port) 사례분석 결과와 지상 기반 시설 유형화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공간기획설계표를 작성한다. 셋째, 공간기획 설계표와 설정된 내용에 따라 UAM 지상 기반시설 시각화를 위한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작업을 진행한 후 최종결과물을 완성한다. (결과) UAM 및 드론 관제시설, UAM 수직 이·착륙장 복합시설, 물류시설, 충전시설등의 UAM 지상기반시설을 시각화하였으며, 메타버스 건축공간 디자인 특성을 반영하여 UAM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론) 도출된 결과물은 향후 UAM 상용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UAM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한 새로운 비전을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메타버스 건축공간디자인은 여러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을 방문하는 아바타의 이동 동선과 사용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존 건축 기법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점이 과제로 남는다. 하지만 메타버스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 메타버스 공간의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연결, 창조, 확장, 체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주도할 수 있다는 점 등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비전을 확장할 수 있는 가상공간이 지속적으로 창조되기를 바란다.

      •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수준 평가

        고준호,남궁옥,홍상연 한국모빌리티학회 2021 모빌리티연구 Vol.1 No.2

        Smart cities are gaining more attention as they are being considered a means to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Among the smart city elements, smart mobility tha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provided various mobility services is within the core area of smart city and people are expressing their interest in its active implementation in cities.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establishes 11 elements of smart mo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es their level of introduction in Seoul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20 expert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To this end, four indicators (urban environment, vehicle and infrastructure technology, operation technology, and legal system) are proposed for evaluating the elements of smart mobility, and comparative evaluations are conducted for Seoul and overseas cities.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 of smart public transportation was rated the highest, while urban air mobility had the lowest score. Regarding the indicator-by-indicator comparis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legal system field for smart mobility im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 The levels of overseas cities and Seoul were found to be very similar, indicating that the group of experts recognized that Seoul is not falling significantly behind in the race of smart mobility compared to overseas citi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define the elements of smart mobility and quantify the levels of their introduction in Seoul. This effort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lore future policy directions by objectively diagnosing the current level of smart mobility.

      • KCI등재

        도심항공교통 (UAM)의 효과적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 안전 확보와 활성화를 중심으로

        김소연,강욱 한국경호경비학회 2023 시큐리티연구 Vol.- No.76

        4차 산업혁명의 본격적인 성장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드론(Drone)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른 기술과 융합되 어 그 용도와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드론이 택배와 같은 물류를 운송하는 수단에서 진화하여 드론 택시나 드론 자가용과 같이 사람을 이동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전환되 고 있다. 드론 등 무인 항공기나 소규모 항공기를 활용하여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도시 교통체계가 바로 도심항공교통 (Urban Air Mobility)이다. 도심항공교통 (UAM)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드론법을 개정하거나 별도의 법률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 드론산업의 육성을 위해 특례를 부여한 것처럼 도심항공교통 (UAM)에도 사업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요구된다. 아울러 도심항공교통 (UAM)은 물류뿐만 아니라 사람의 운송수단이 되 므로 별도의 감항인증과 기체에 대한 기준이 신속하게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민들의 도심항공교통 (UAM)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및 관련 제도 분석에 집중을 하였으나, 전문가 인터뷰, 국민들의 인식 조사 등은 실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과 함께 구체적인 법령 정비 등을 포함하여 정책 발전에 제언하도록 하겠다. With the full-scale growth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ies are being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dron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ir uses and scope are expanding by converging with other technologies. Drones have evolved from a means of transporting logistics such as couriers to a next-generation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moves people, such as drone taxis and drone cars. Urban Air Mobility is an urban transportation system that uses unmanned aircraft or small aircraft such as drones to transport people and cargo. In order to introduce urban air transport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drone law or enact a separate law. In addition, special measures are required to revitalize the business of urban air mobility, just as special exceptions were granted to foster the early drone industry. In addition, since urban air mobility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people as well as logistics, separat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and standards for aircraft should be established quickly. Fi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resolve citizens'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urban air mobility. This study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system analysis, but did not include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urveys of public perception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se aspects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도심 항공 모빌리티 준비를 위한 승객 수요 예측 : 김포-제주 노선 사례 연구

        김정훈,조희덕,최선미 한국항행학회 202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8 No.4

        세계 전체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지속적인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50년 경에는 도시인구가 전체 인구의 2/3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새로운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산업 생태계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항공사 또한 UAM 산업 생태계에 속해 있으며 안전운항, 승객의 안전, 기재 운영 효율성, 정시성 등의 효율성 제고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항공의 김포발 제주행 노선의 일일 승객 수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요 예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SARIMA, Prophet, CatBoost, Random Forest와 같은 통계적 및 기계 학습 모델을 적용한다. 다양한 모델을 통해 승객 수요 패턴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평가하였고, 머신러닝 기반의 Random Forest 모델이 가장 뛰어난 예측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는 항공 산업에서 정확한 수요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제시하여 운영 계획 및 자원 할당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Half of the world's total population lives in cities, continuous urbanization is progressing, and the urban population is expected to exceed two-thirds of the total population by 2050. To resolve this phenomenon, the Korean government is focusing on building a new urban air mobility (UAM) industrial ecosystem. Airlines are also part of the UAM industry ecosystem and are preparing to improve efficiency in safe operations, passenger safety, aircraft operation efficiency, and punctuality. This study performs demand forecasting using time series data on the number of daily passengers on Korean Air's Gimpo to Jeju route from 2019 to 2023. For this purpose,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 models such as SARIMA, Prophet, CatBoost, and Random Forest are applied. Methods for effectively capturing passenger demand patterns were evaluated through various models, and the machine learning-based Random Forest model showed the best prediction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ill present an optimal model for accurate demand forecasting in the aviation industr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operational planning and resource al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