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저층 상부벽식 하부골조 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에 관한 연구

        유석형 ( Suk-hyeong Y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5

        국토교통부(2018)의 「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가이드라인」에서는 국내 필로티 형식의 다세대 주택과 같이 중저층의 상부벽식 하부 골조구조를 이루고 있는 복합구조의 고유주기를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부 벽식구조에 해당하는 식을 적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벽식구조의 고유주기 산정 기준식은 주로 휨 거동하는 고층 벽식구조를 대상으로 한 실측 결과를 통하여 제정된 것으로서 벽체가 전단거동을 하는 국내 4층이하 필로티형 다세대 주택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Park et al. (2000)은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10층 이상의 복합구조물의 고유주기에서 하부 골조구조의 영향이 상부 벽식구조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저층 필로티 구조의 고유주기에 미치는 하부골조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부 벽식구조의 전단 및 휨 강성과 하부 골조구조의 전단강성을 변수로 하는 대상 구조물들에 대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한 고유치 해석과 고유주기 산정 근사식 그리고 현행 고유주기 산정 기준식을 이용하여 고유주기를 산출하고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하부골조의 전단강성변화가 상부벽체의 휨 또는 전단강성의 변화보다 건물 전체의 고유주기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Structural Design for Piloti Building」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the natural period of middle and low rise building of upper-walled lower frame type, such as the domestic multiplex house in piloti style, is suggested for safety to apply the existing code formula of the wall structure. However, the current code formula of the wall structure was provided based on actual measurement of high-rise wall-type structures that mainly exhibit bending behavior. So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 piloti-type house with four stories or less, where the wall behaves in shear. See also Park et al. (2000)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lower frame par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wall part in the natural period of complex structures with 10 or more floors through analytical studie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ower frame on the natural period of the middle and low-rise piloti structure, the estimation of natural perio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pproximation formula and ccurrent code formula was performed for the target structures with the shear and flexural stiffness of the upper wall and the shear stiffness of the lower frame as variables. A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shear stiffness of the lower fram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natural period of the whole building than the change in the bending or shear stiffness of the upper wall.

      • 전이보 크기 변화에 따른 상부벽식-하부골조 구조물의 Pushover 거동특성

        김재웅,배경근,전대한,강병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Among various styles of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in domestic construction field,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of upper wall-lower frame system are composed of upper shear walls, lower beam-column frames and transfer girder connecting both structures. This mixed building structure usually shows irregularity of stiffness, weight and geometrics. Regarding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of upper wall-lower frame system, four models with different sizes of transfer girder were chosen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ushover analysis of structures.

      • KCI등재후보

        복합구조물의 전이층의 크기 변화에 따른 비선형 정적 응답특성

        강병두,전대한,김재웅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8 No.4

        Among various styles of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in domestic construction field,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of upper wall-lower frame system are composed of upper shear walls, lower beam-column frames and transfer girder connecting both structures. This mixed building structure usually shows irregularity of stiffness, weight and geometrics. Regarding the mixed building structures of upper wall-lower frame system, four models with different sizes of transfer girder were chosen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ushover analysis of structures. Following is the pushover analysis results. 1) As the dimension of transfer girder increases, the upper structure shows independent behavior features due to transfer girder and the increase of stiffness. Although trivial, we identified separate system behaviors between upper structure and lower structure. 2) If the transfer girder is dimensioned with depth of 1/10(m) of upper story height and width of 1/3 depth, it is safe but may be considered as an excessive schemes.

      • 중저층 상부벽식 하부골조 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에 관한 연구

        유석형 ( Yoo Suk-hyeong ),이용현 ( Lee Yong-hyeon ),고관욱 ( Ko Kwan-wook ),강대영 ( Kang Dae-you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2017년 포항지진 당시 국내 소형주택의 품질관리제도 미흡 등으로 인해 필로티형 다가구 주택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현재 「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가이드라인」 제시한 내진 설계 계수와 고유주기 산정식은 고층 벽식구조 아파트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Chun et al., 1998)를 바탕으로 제정된 것으로, 4층 이하 필로티형 다세대 주택의 경우 상부 벽체는 휨변형보다 전단변형에 가까운 거동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 벽체, 하부 골조의 조건을 변화시켜 MIDAS Gen을 활용한 고유치 해석,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고유주기 산정 근사식 (Zalk 2001), 「필로티 건축물 구조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벽식구조 고유주기 산정 근사식의 고유주기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상부벽체 전단강성을 유지하고 하부골조 전단강성을 변화시킨 경우가 더 큰 고유주기의 변화를 나타냄에 따라, 복합구조의 고유주기 산정식은 복합구조의 새로운 고유주기 산정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부골조의 층수에 따른 주상복합건물의 정정 반응수정계수에 관한 연구

        최문성,김희철 한국지진공학회 2000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4 No.2

        최근 국내에서 많이 건설되어지고 있는 주상복합 건축물은 하부의 골조형식과 상부의 벽식 구조가 결합된 구조형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동일한 형식을 가진 건축물과는 상이하고 복잡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등가정적 해석시 국내 규준에서는 기타구조물로 분류하여 3.5 의 반응수정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계수는 검증되어지지 않는 상태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므로 상당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화한 주상복합 건물의 해석 및 실제의 건물에 대한 3차원 비선형 해석을 통하여 반응수정계수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반응수정계수는 ATC 기준과 우리나라 기준의 차이를 고려한 보정을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