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정방향에 대한 연구

        박유림,한재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2

        Due to the the development of aircraft technology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 technology is rapidly progressing worldwide. In Korea, interest in the unmanned aircraft system is increasing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drone taxis and drone couriers, and recently, interest in unmanned technology has increased unmanned aircraft system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line with this tren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focuses on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 (RPAS) among unmanned aircraft systems with the aim of integrated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 and manned aircraft. And amendments of ICAO Annexes with document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 current domestic aviation safety law system is based on manned aircraft, and there is no legal system and detailed safe operation standards for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 (RPAS).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reflecting international standards considering integrated operation of manned and unmanned aircraft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unmanned aircraft system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safe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 based on the amendment to the Aviation Safety Act, which established legal grounds for the definition, qualifications, airworthiness, and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em for safe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 The directions of establishment of flight safety regulation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 have been provided. 항공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기술의 발전과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드론택시, 드론택배 등 민간 영역에서 무인항공기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 무인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교통수단으로서의 무인항공기 역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는 무인항공기와 유인항공기의 통합운용을 목표로 무인항공기시스템(Unmmaned Aircraft System) 중 원격조종항공기(RPAS,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국제기준 및 문서들의 개정안을 개발중이다. 그러나 현행하는 국내 항공법 체계는 유인항공기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원격조종항공기시스템(RPAS,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의 법률적 체계 및 세부적인 안전운항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아 유·무인항공기의 통합운용을 고려한 국제기준의 국내반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향후 무인항공기의 국제기준의 국내반영을 위해 ‘무인항공기 안전운용을 위한 항공안전법 개정방향에 대한 연구’에서의 항공법령 상 무인항공기의 정의 및 필수구성요소들의 법률적근거 마련을 근거로 그에 따른 원격조종항공기시스템의 안전운항을위한 세부기준인 감항, 자격증명, 훈련기관, 운항절차 등의 마련을 위한 무인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의 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법적책임과 보험

        김종복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Just as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viation,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RPA), and safety op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unmanned aircraft. In this thesis,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unmanned aircraft, focusing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unmanned aircraft, was discussed in depth with the issue of insurance, which compensates for damag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First of all,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unmanned aircraft was reviewed for the most basic : definition, scope and qualification of the operator of the unmanned aircraft, and the lia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the ICAO Annex, the RPAS Manual, the Rome Convention, other major international treaties and Domestic law such as the Aviation Safety Act. The ICAO requires that unmanned aircraft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minimize hazards to persons, property or other aircraft as a major principle of the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which is ultimately equivalent to manned aircraft Considering that most accidents involving unmanned aircrafts fall to the ground, causing damage to third parties' lives or property, this thesis focused on the responsibility of operators under the international treaty, and the responsibility of third parties for air transport by Domestic Commercial Act, as well as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he Rome Convention, the Rome Convention 1952 detaile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operator. Although it has yet to come into effect regarding liability, some EU countries are following the limit of responsibility under the Rome Convention 2009. Korea has yet to sign any Rome Convention, but Commercial Act Part VI Carriage by Air is modeled on the Rome Convention 1978 in terms of compensation. This thesis also looked at security-related responsibilities and the responsibility for privacy infringement. which are most problematic due to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operating unmanned aircraft. Concerning insurance, this thesis looked at the trends of mandatory aviation insurance coverage around the world and the corresponding regulatory status of major countries to see the applicability of unmanned aircraft. It also looked at the current clauses of the Domestic Aviation Business Act that make insurance mandatory, and the ultra-light flight equipment insurance policy and problems. In sum, the operator of an unmanned aircraft will be legally responsible for operating the unmanned aircraft safely so that it does not pose a risk to people, property or other aircraft, and there will be adequate compensa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legal systems such as insurance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do so. 항공에 있어서 안전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무인항공기 운영에 있어서도 안전이 가장 중요하고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법적책임에 있어서도 안전운영책임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안전운영 책임을 중심으로 무인항공기 운영자가 지게 되는 법적책임 문제를 사고 발생 시 피해를 보상해주는 보험 문제와 함께 심도있게 고찰하였다. 우선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법적책임 문제는 가장 기본적인 무인항공기 운영자의 정의, 범위, 자격요건을 살펴보고 규제동향으로 국제민간항공협약, ICAO 부속서와 RPAS Manual, 로마협약 등 주요 국제협약, 항공안전법 등 국내 관련 법률상의 운영자의 책임규정을 고찰하였다. ICAO에서는 무인항공기도 궁극적으로는 유인항공기와 동등한 수준의 기술상 및 운항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무인항공기 운영의 대원칙으로 사람, 재산 및 다른 항공기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운영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무인항공기 사고의 경우는 대부분이 지상에 추락하여 제3자의 인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대부분인 점을 감안 관련 국제협약인 로마협약상의 운영자의 책임과 국내 상법 항공운송편의 제3자 책임 관련 규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사고 발생에 따른 배상책임 문제도 살펴보았다. 로마협약과 관련하여서는 1952년 로마협약이 운영자의 책임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배상책임과 관련하여서는 아직 발효는 되지 않았지만 EU 일부국가에서는 2009년 로마협약상의 책임한도액을 따르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아직 우리나라는 어떠한 로마협약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으나 상법 항공운송편은 배상책임에 있어 1978년 로마협약을 모델로 하고 있다. 이들 이외에 무인항공기 운영에 따르는 관련 법적책임으로 가장 많이 문제가 되고 있는 보안관련 책임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책임도 살펴보았다. 보험과 관련하여서는 전 세계적으로 항공보험의 가입 의무화 경향과 이에 따른 주요 각국의 규제현황을 살펴보고 무인항공기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행 국내 항공사업법상의 보험가입 의무화 조항과 초경량 비행장치 보험 규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요컨대 무인항공기 운영자는 무인항공기를 인명이나 재산 또는 다른 항공기에 위험을 주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영할 법적책임이 있으며 사고 발생 시는 적절한 보상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보험제도 등 법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무인항공기 안전운용을 위한 항공안전법 개정방향에 대한 연구

        홍혜정,한재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3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 new growth industry as it enter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siz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he scope of airspace vary from small drones to large unmanned aerial vehicles,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Europe are developing plans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ICAO is also working on amendments to the relevant ICAO annexes to establis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orea also needs to prepare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that will come in the future,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revise the national regulation systems for the saf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is study analyzes the amendments of related annexes discussed on the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 (RPAS) pannel,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Aviation Safety Act for the saf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Aviation Safety Act.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돌입하면서 신성장 산업으로 무인항공기 산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소형 드론에서부터 대형 무인항공기까지 규모와 비행 공역의 범위도 다양해지면서 선진국(미국, 유럽)은 유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의 통합 운용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ICAO에서는 무인항공기의 국제기준 및 권고사항 수립을 하기 위해 관련 부속서 개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도래할 유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의 통합 운영에 대비가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무인항공기 안전운항에 대한 국내 제도 현황을 검토하고 정비해야 한다. 본 연구는 ICAO에서 논의하고 있는 원격조종항공기시스템(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 RPAS) 관련 부속서의 개정사항들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의 항공안전법과 비교하여 무인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안전법의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인항공시스템(UAS)의 국제적 기준과 중국의 이행현황

        최서지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8 No.-

        As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s rapidly increasing internationally,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existing aviation methods and it is difficult to regulate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erefore, international standards alone are not enough to manage and supervise UAVs. Internationally applied ‘public air law’ applies between countries, and aviation law recognizes exclusive air sovereign right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agreements. Therefore, by exercising jurisdiction over the country’s aircraft, the unmanned aircraft must be regulated by each country. Recently, China has enacted civil aviation law and is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While the scope of utilization is widen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legal system seems to be difficult to define responsibility in the judicial aspect because it is not yet embodied. As the legal regulation does not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along with the regulations on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 order to use the UAS effectively. Uniform setting of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is essential for effective legal regulation,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omestic standards can be compared in setting standards. In this area, China is actively and specifically enacting legislation, and in detail, it defines the classification, operators, pilots, manufacturers, owners and service organization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standards China can approve to unmanned aircraft regulation and what the Chinese regulatory approach can give. 국제적으로 무인항공기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항공법을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기술의 발전을 규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기를 관리·감독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기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항공 공법(public air law)’의 경우 국가간에 적용되는 데, 항공법의 경우 국제협약에 따라 배타적 영공주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가 자국의 항공기에 대하여 관할권을 행사함으로써, 무인항공기 역시 각 국가별로 규제해야 하는 것이다. 최근 중국은 민용항공법을 제정하여 무인항공기에 관한 관리·감독의 체계화를 진행중이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활용의 범위도 넓어지고 있는 반면 법률적인 체계는 아직 구체화 되지 않음으로써 사법적인 측면에서의 책임관계를 규정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법적인 규제가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음으로써 무인항공기를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무인항공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규제와 함께 기술의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무인항공기의 분류기준을 통일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법적 규제를 위하여 필수적이며, 기준 설정에 있어 국제적인 기준과 국내적인 기준을 비교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분야에서 중국은 적극적으로 구체적으로 입법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무인항공기의 분류, 운영자, 조종사, 제조회사와 소유자 그리고 서비스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규정하고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어떠한 기준에 따라 무인항공기의 규제에 접근하는지 그리고 중국의 규제방식이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상업용 민간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법제화 고찰

        김종복 ( Jong Bok Kim )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1

        현재 주요 항공기술 선진국들은 군용기에서 거둔 무인항공기의 성공을 그 성장성과 효용성에 주목하고 민간 부문으로 확대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그 결과 민간 무인항공기 시장은 2020년 경에는 그 시장규모를 약 88억불에 달할 것으로 보면서 앞으로 가장 유망한 시장의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용도도 원격탐사, 통신중계, 환경감시, 기상관측, 국경감시, 산불감시, 위험지역 정찰, 치안, 교통, 재난구호 지원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항공교통체계는 유인항공기 위주로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조종 사가가 탑승하지 않는 무인항공기의 등장으로 무인항공기 운용을 고려한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 조정에 필수적으로 수반하는 것이 법제화 작업이다. 현재 무인항공기 운용에 관한 법제화 작업은 전 세계적으로 ICAO가 중심이 되어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미국, 영국, 호주 등 국가는 개별적으로 법 규정을 마련하여 운용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ICAO산하의 무인항공기시스템연구그룹(UASSG)의 활동과 무인항공기 법제화에 앞서가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의 법제화를 소개 하였다. 이중 미국의 경우는 2012년 2월14일에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의 국가공역에서의 무인항공기를 운용하도록 하는 제반 법령 및 규정을 2015년 9월30일 시한으로 제정하도록 하는 법안에 서명함으로서 가장 적극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국내 항공법상의 정의 규정과 비행허가에 관한 일부 사항을 제외하고는 운용에 관한 규정은 거의 전무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 있어서는 군사용 및 민간 무인항공기가 실제 개발·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국토교통부에서는 상업용 민간무인항공기 개발을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작 및 수출부문에 있어 가장 국제경쟁력 있는 분야로 보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어서 국내적으로도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제반 사항에 대한 법제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법제화 작업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①공역사용, ②항공종사자 자격인증, ③무인항공기 감항인증 및 기술기준인증 등 이지만 이외에도 ④무인항공기 등 관련 사항에 대한 정의 규정, ⑤무인항공기의 분류체계, ⑥탑재장비 및 탑재서류, ⑦통신, ⑧비행규칙, ⑨무인항공기 항공종사자 교육훈련, ⑩보안, ⑪보험, ⑫기타 법제화가 필요한 사항으로 나누어 법제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도 2012년 12월에 UASSG에 참가하였으므로 국제기준의 수립에 능동적이고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국제 사회에 기여함은 물론 무인항공기와 관련된 국제 관련 법령의 동향과 선진국의 사례를 파악하여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국내 관련 법령을 선진형으로 제정·정비하는 법제화 작업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Nowadays, major advanced countries in aviation technology are putting their effort to develop commercial and civil Unmanned Aircraft System(UAS) due to its highly promising market demand in the future. The market scale of commercial and civil UAS is expected to increase up to approximately 8.8 billon U.S. dollars by the year 2020. The usage of commercial and civil UAS covers various areas such as remote sensing, relaying communications, pollution monitoring, fire detection, aerial reconnaissance and photography, coastline monitoring, traffic monitoring and control, disaster control, search and rescue, etc. With the introduction of UAS, changes need to be made on current Air Traffic Management Systems which are focused mainly manned aircrafts to support the operation of UAS. Accordingly, the legislation for the UAS operation should be followed. Currently, ICAO`s Unmanned Aircraft System Study Group(UASSG) is leading the standardization process of legislation for UAS operation internationally. However, som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have adopted its own legislation. Among these countries, United States is most forth going with President Obama signing a bill to integrate UAS into U.S. national airspace by 2015. In case of Korea, legislation for the unmanned aircraft system is just in the beginning stage. There are no regula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unmanned aircraft in Korea`s domestic aviation law except some clauses regarding definition and permission of the unmanned aircraft flight. However, the unmanned aircraft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military and under development for commercial use. In addi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 ambitious plan to develop commercial and civil UAS as Korea`s most competitive area in aircraft production and export. Thus, Korea is in need of the legislation for the UAS operation domestically. In this regards, I personally think that Korea`s domestic legislation for UAS operation will be enacted focusing on following 12 areas : ①use of airspace, ② licenses of personnel, ③certification of airworthiness, ④definition, ⑤classification, ⑥equipments and documents, ⑦communication, ⑧rules of air, ⑨training, ⑩ security, ⑪insurance, ⑫others. Im parallel with enacting domestic legislation, korea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UAS operation by actively participating ICAO`s UASSG.

      • KCI등재

        무인항공기 산업의 발전을 위한 법적 고찰

        이준복 ( Lee Joonbo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최근 정부에서는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바이오헬스케어와 함께 무인항공기산업 분야 규제를 국제적 수준으로 최소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다. 다시 말해서 무인항공기는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판단하여 무인항공기 개발을 통해 설계·제작·인증·시험 원천기술과 운영체계·원격통제소 등 운영관리 인프라 등을 개발·구축하고 시범운영을 거쳐 국내보급 및 수출기반을 조성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무인항공기는 이처럼 많은 성장가능성 및 가치를 갖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많은 문제점도 함께 상존(常存)해 있다. 예를 들면, 무인항공기는 저소음과 극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촬영을 통해 특정 국민들의 사생활이 노출될 우려가 있고, 앞으로 무인항공기가 상용화 될 경우 사생활 침해의 발생 가능성은 양적·질적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한 일일 것이다. 이와 같이 무인항공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국민의 프라이버시권 등의 침해로 인하여 발생된 정신적·신체적 손해는 현재 발전단계에 있는 우리의 무인항공기 산업의 발전을 해칠 가능성 또한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산업의 올바른 성장 및 정착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핵심적인 사항으로서 결론 부분에서 무인항공기 규제의 입법적 개선방향에 대해서 제시했다. 우선 기초적인 내용으로 무인항공기에 대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여부 및 그 한계에 대해서 다뤘다. 그리고 무인항공기도 항공법에서 규율하고 있는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에 현행 항공법의 개정을 통해 그 대안을 모색했고, 새로운 입법과제로서 무인항공기 사생활보호법 및 운영지침(가이드라인) 제정에 대해 제안했다. 또한 무인항공기 산업의 규제적 측면과 함께 진흥적 측면에서 가칭, 무인이동체 연구개발 진흥법안의 제정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다뤄봄으로써 본 연구의 결론을 이끌어 냈다.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ease the regulation of unmaned aircraft industry with Autonomous vehicle, Internet of things, Big date and Bio Health Care. That i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Creative Economy, the unmanned aircraft intends to establish domestic supply and create export-oriented base by setting up and developing operations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uch as planning, production, certification·testing, opera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center. However, the unmanned aircraft has plenty of growth potential and value as mentioned previously, but with as many problems in existence. For example, produced by low noise and extremely small, the unmanned aircraft can expose the privacy of citizens. And there is no doubt that if it is commercialized, the possibility of invasion of privacy will be increas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refore, mental and physical damages caused by the invasion of privacy due to the issue of the unmanned aircraft would hinder development possibility. In the present study, it was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gislative regulation of unmanned aircraft for the settlement of the appropriate growth and unmanned aircraft industry. Above all, it deals with for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currenc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the unmanned aircraft. And it sought protection through an amendment of the current Aviation Act, the Privacy Act and unmanned aircraft operating instructions(guidelines) as the new challenges offered enacted legislation. Also led to the conclusion by measures mentioned also in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unmanned aircraft industry.

      • KCI등재

        무인항공기시스템 사고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 운용방안 고찰

        박원태 한국항공운항학회 2023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ident cases of the U.S. Air Force and the R.O.K. Army. It analyzed the accident factors of the unmanned aircraft system using case analysis on unmanned aircraft system operators of the R.O.K. Air Force. Following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ed safety operation plans for the R.O.K. Air Force. The risk factors of unmanned aircraft system were summariz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ccident cases of unmanned aircraft system by the U.S. Air Force, collecting and analyzing accident risk factors of RQ-4 operators of the R.O.K. Air Force. Through the analyzed risk factors, a safety operation plan for the semi-automatic unmanned aircraft system and the fully automatic unmanned aircraft system was presented.

      • KCI등재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개념 설계를 위한 기능 안전 관점에서의 위해요인 식별 및 안전 요구사항 도출 - 영국 AAIB 무인항공기 시스템 사고조사보고서를 기반으로 -

        이건희,이중윤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1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tiliz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is increasing day by day in various fields. However, unmanned aircraft systems are vulnerable to functional errors due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remote control and automatic fligh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system operator and the general public may be injured, and the system manufacturer may be disadvantaged by the Product Liability Act. In addi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risk management and functional safety, such as ISO/IEC/IEEE 16085, IEC 61508, and ARP4761, risk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have become essential when developing systems. It is time to ensure functional safety at the conceptual design phase to protect public safety and manufacturers' interests. This study reviews international standard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functional safety hazards and managing requirements.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the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s of the UK AAIB to identify hazards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derive safety requirements.

      •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 정책

        안오성,오경륜,윤원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4

        전 세계적으로 군용 무인항공기의 성공적인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민간 무인항공기의 성장성과 효용성에 주목하고, 활용도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민간 무인항공기의 경우에도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가능하므로 향후 항공분야의 유망한 시장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유인항공기 위주의 항공교통체계와 무인항공기에 대한 통일된 국제기준의 부재로 인해 급격히 발전하는 무인항공기 시장을 국내 제도적, 법률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위한 다각적인 규제개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보다 선결적인 조건으로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의 시장선점과 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가격 및 성능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핵심역량의 확보와 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무인항공기 산업육성을 위한 규제개선 과제 및 선결과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Unmanned Aircraft System(UAS) have been main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various types of civil UAS have been using in diverse applications recently. However, despite the growing demand of UAS, the international regulatory framework of UA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many regulations are required to be revised to promote the unmanned aircraft industr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motion policies of unmanned aircraft industry and presents the regulation improvement and prerequisite.

      • KCI등재

        미국의 무인항공기 활용과 규제에 관한 연구

        박창석(Park, Chang-Seok) 한양법학회 2014 漢陽法學 Vol.25 No.3

        Has a history of more than half a century Military unmanned aircraft of the United States, role in counterterrorism operations in Pakistan, such as Afghanistan is well known, but in recent years, and commercial purposes by the private sector also law enforcement purpose, and homeland security by the government interest in use in the United States in non-military etc. is increasing. Reform Act and FAA modernization is established in 2012,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unmanned aircraft system in 2015, to start a normal flight. However, the concerns of privacy infringement potential by flight technical requirements related to safety, including the ability to avoid a collision by sensing the unmanned aircraft and other manned aircraft, in a residential area, problems to be solved are many. In this paper, challenges towards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the regulatory status for non-military unmanned aircraf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tents of the 2012 Act, introduces the legislative trends in the context of national states further, in 2012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