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통일사상연구의 역사와 제언 : 국제통일사상심포지엄을 중심으로

        김인수 통일사상학회 2024 통일사상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통일사상연구 50년,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 하에 국제통일사상연구 의 역사와 제언을 국제통일사상심포지엄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국제통일사상심포지 엄을 중심한 국제통일사상연구의 역사는 무엇이며, 그로부터의 발전을 위한 제언은 어떠할까?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장에서 통일사상, 통일사상연구원 그 리고 국제통일사상심포지엄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국제통일사상심포지엄 의 1차부터 26차까지 개최의 역사를 기술하였고, 연구자들의 발표논문의 수를 중심 으로 다루면서, 매 차수마다 발표된 논문의 수, 연구자별로 발표된 논문의 수, 그리 고 연구자별로 발표된 논문들의 주제 등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상술한 개 최의 역사를 중심으로 국제통일사상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6가지 질문을 통해 기술하였다. 국제통일사상연구는 등재학술지의 창간과 활용, 발표된 논문들의 Peer-review 과정 정착, 발표된 논문들에 대한 전략적 인용, 연구자들의 연구성과 창 출을 위한 적절한 자원의 투입 및 전문적 관리,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통일사상 중심 한 연구활동, 그리고 통일사상 중심한 연구방법론 개발 등이 제안된다. Under the theme of “Fifty Years of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Retrospects and Prospects,” this study discussed the history of and suggestions for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focusing on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Symposium. What are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centered on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Symposium, and what will be suggestions from it to develop it in its future?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chapter 2 briefly introduces the Unification Thought and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Institute and describes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Symposium from the 1st to the 26th. Chapter 3 deals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Symposium, focusing on the number of papers presented from each symposium, the number of papers presented by researchers, and the topics of papers presented by researchers. And in chapter 4, the prospects of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was described through six questions, focusing on the above achievements. International Unification Thought Research is expected to include the creation and use of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the establishment of a Peer-review process of published papers, strategic citations of published papers, the inpu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of appropriate resources to create research results by researchers, continuous research activities centered on Unification Thought, and finally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methodology centered on Unification Thought.

      • 통일사상연구원의 계간지 『통일사상』의 연구 경향과 의의

        임현진 통일사상학회 2024 통일사상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통일사상연구원이 1984년 8월 1일 창간하여 1997년 5월 25일 제40호까 지 발행한 계간지 『통일사상』의 연구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계간지 『통일사상』은 하나님주의 절대가치관으로 제시된 통일사상의 연구와 교육 자료로 기능해 왔다. 특히 공산주의 극복을 위한 승공사상의 이론적 검토, 분단 한국의 분열과 대립 을 넘어서기 위한 남북통일사상에 대한 논의, 종교간 갈등과 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종교평화와 종교통일 담론의 구성, 아시아평화공동체를 위한 연구와 학자 간 교류 등을 주요 주제로 다수의 자료를 게재하였다. 계간지 『통일사상』은 세계평화를 위한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말씀을 소개하며 국내외 학자들이 통일사상에 기초한 담론을 펼칠 수 있는 장으로 기능하였다. 냉전시대의 갈등을 넘어서고 탈냉전 이후 평화의 담론을 제기해 왔던 계간지 『통일사상』의 시도들을 기억하고 활용할 때다. 통일사상 연구원은 지난 활동을 바탕으로 앞으로 세계적인 분열과 대립의 양상이 격화되는 지점에서 현실문제 해결의 단초를 세계의 학자들과 실제적으로 탐구하는 기관으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arterly journal “Unification Thought”, which was first published on August 1, 1984 by the Unification Thought Institute and published up to the 40th issue on May 25, 1997. “Unification Thought” has served as a research and educational resource for Unification Thought. In particular, “Unification Thought” published various research materials focusing on 1) theoretical reviews of the idea of victory over communism, 2) discussions of the idea of unification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confrontation of divided Korea, 3) discourses of religious peace and religious unification to resolve conflicts and confusion between religions, and 4) research for the Asian peace community and exchanges between scholars. “Unification Thought” introduced the words of Rev. Sun Myung Moon and Hak Ja Han Moon for World Peace, and functioned as the space for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to discourse based on the Unfication Thought. It is time to remember and utilize the attempts of the “Unification Thought”, which has raised the discourse of peace after the post-Cold War, beyond the conflicts of the Cold War era. Unification Thought Institute should become an institution that practically explores solutions to real problems beyond global divisions and conflicts with scholars around the world based on its past activities.

      • 청소년(靑少年)과 민족정신(民族精神) : (제4) 지도사상부와 이념당(理念黨) 건설을 -민족통일(民族統一)을 위하여-

        노태구 ( Tae Goo Noh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1 청소년과 효문화 Vol.17 No.-

        The unification needs mutual life. We should concede and compromise. It is hurried to achieve unification through ripeningly thoughtful and ideological integration, not by violent means. It is necessary to accept mutual merits and to forgive mutual faults. Therefore, by protecting the dictatorship of the executive based on the separation of 3 powers(the legislature, the executive, the judiciary), it is essential to teach the necessity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for the ideological, spiritual education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We have to lear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As a result, we can advance forward to the national unification step by step. So it is the basis of the completing peaceful unific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s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world, there is neither absolute separating thought nor absolute unifying thought. All the things have not only the separating part, but also the unifying part. So if the separating part look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confrontation, if the integrating part seem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unification. Our imminent problems is to integrate the still confronting thought as one unity. If we have to know the Innaecheon(人乃天) democracy built o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we can accomplish the unification naturally without violence. Therefor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nation, at last, can be moved a date up forward by accompanying the logical teaching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and the practical movement of the ideological political party of democracy.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만물애호사상에 대한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양편승 ( Pyun Seung Yang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통일교의 만물애호사상은 그들의 교리서인 원리강론과 통일사상의 중요한 이론으로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명하였다. 첫째, 개성진리체로서의 인간과 만물, 둘째, 모든 만물은 이중목적을 지닌 연체, 셋째, 하나님의 심정 이해, 넷째, 통일교의 참사랑운동, 다섯째, 통일사상의 하나님주의, 여섯째, 양성과 음성의 조화체로서의 만물이해, 일곱째, 만물의 날 제정 등을 설명 하였다. 특히, 오늘날 세계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놓고 수많은 종교와 교회들이 나름대로 관심을 갖고 환경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그 근본문제에 대하여 어떤 철학이나 신학적인 신념의 단계에 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있어서 표면적 환경운동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한국의 신종교는 심층적 환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을 갖고 있다. 특히, 통일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교리서인 원리강론과 통일사상에 근본적 또는 심층적 환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이론과 사상을 다양하게 갖고 있다고 본다. Friendly Thought for All Things of Unification Church, as an important theory of the Divine Principle and Unification Thought, explains as follows; First, man and all things as individual truth bodies. Second, all things are united bodies with dual purposes. Third, understanding God`s Heart. Fourth, true love movement of the Unification Church. Fifth, Godism and Unification Thought. Sixth, Understanding all things as the harmonious beings. Seventh, establishment of the Day of All Things. In particular, numerous religious groups and churches today take a grow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have the campaigns throughout the world. But their movements have not reached any scope of the philosophical or theological viewpoint. So it stays as a shallow ecology. On the contrary, a new religion in Korea, the Unification Church, has abundant theoretical resources to cope with the ecological crisis as Deep Ecology. In conclusion, it is time for Unification Church to go deeper into the study of ecological crisis and theorize the Deep Ecology more concretely from the viewpoint of Divine Principle and Unification Thought.

      • KCI등재

        대학 통일교육의 역설과 활성화 방안

        변종헌 ( Jong Heon Byeon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8 No.1

        It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Korean Unification.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notably at the college level, is so elementary that it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process of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examines some strategies for activating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in terms of its method and substance.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unification education primarily has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stimulate participation and enhance the action-learning process. As for the content side,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must facilitate a long-term holistic view toward Korean unification beyond immediate interests. It is important to accept that the suc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level would require an epistemological shift for learners in their acceptance of Korean unific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바하이신앙과 통일교의 평화론에 대한 비교연구 -새로운 예언자 전통들의 유사점과 차이점-

        안신 ( Shin Ahn ),허우성 ( Woo Sung Huh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신종교로서 바하이신앙과 통일교의 평화론을 종교현상학의 입장에서 비교한 글이다. 유대교에서 시작된 예언자 전통의 흐름 아래에서 이슬람과 기독교에서 두 종교가 각각 파생되어 나왔지만 두 종교는 독특한 평화론을 구축함으로써 자신의 공동체를 ``이단``으로 비판하는 주변의 종교적 다수자들에 대한 저항의 기제를 나름대로 발전시켜 왔다. 먼저 오랜 예언자 전통이 아브라함에서 시작된 것으로 본다면 이스마엘과 이삭의 혈통에서 이슬람과 유대교의 전통이 분리된 것이다. 따라서 유대교 경전과 꾸란은 오랜 예언자 전통의 흐름이 있어왔음을 확인해 주고 있고 성경도 예수가 승천한 후에 보혜사의 도래와 예수의 재림을 약속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아, 보혜사, 재림 예수 등의 개념들은 ``새로운 예언자``에 기초한 신종교들의 출현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둘째, 바하이신앙의 평화론은 ① 하느님의 일체성, ② 인류의 일체성, ③ 종교의 일체성을 토대로 발전해 왔다. 브라흐마, 야훼, 하나님, 알라 등이 동일한 신이며, 문화, 언어, 인종이 다른 인류도 결국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종교들은 결국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현시자들도 그 시대에 필요한 계시를 전해주었지만 지금 이 시대에는 바하올라의 계시가 가장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영적인 진화론을 주장하며 구도자적인 진리추구를 강조한다. 셋째, 통일교도 ① 참부모의 동일성, ② 인간의 통일성, ③ 종교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세계 평화론을 발전시켰다. 문선명의 『원리강론』은 참부모를 중심으로 새로운 가정으로 하나의 인류를 만들고 기존의 종교들의 통합을 지향한다. 지상에 평화의 왕국을 만들기 위하여 선천의 갈등을 극복하고 후천의 개벽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두 신종교는 신·인간·종교의 일치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현시자와 메시아의 출현을 주장함으로써, 종교적 다수자에 대한 일종의 저항기제로서 평화론을 구축하는데 매진해 왔다. 그러나 바하이신앙은 상대적 진리론을 전하는데 반하여 통일교는 절대적 진리론을 포교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This paper is to compare Bahai Faith with Unification Church in terms of peace thought. After the tradition of prophets started from Judaism, Bahai Faith came from Islamic tradition and Unification Church from Christian tradition. But their peace thoughts play a role of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religious majority groups such as main line Muslims and Christians, who regard them as ``heresies.`` First, the prophetic tradition of Abraham were divided into two streams of Issac and Ishmael: Judaism and Islam. Therefore, the Hebrew Bible and the Quran confirm that Messiah or a new prophet will come back to the world. The Christian Bible promises that Counsellor will come after Jesus` resurrection and ascension and that Jesus will come gain on the final day. These terms make it possible for new religious leaders to proclaim themselves as ``new prophets.`` Second, the peace thought of Bahai faith is based on ① the oneness of God, ② the oneness of humanity, ③ the oneness of religions. Bahai believes that there is only one God behind various gods including Brahma, Yahweh, Buddha, God, and Allah. Though human beings are different in terms of culture, language, and race, humans are the same. Religions should become one religion in the futur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God transmitted truth to different ages, but Bahaullah offers the best teaching to this day. Bahais claim the spiritual evolution through gradual revelation, seeking ultimate truth as pilgrims. Third, the peace thought of Unification Church consists of ① the unity of True Parents, ② the unification of humanity, and ③ the congruence of religions. Moon Sun Myung argues that the Kingdom of Peace should be built on the earth under the guidance of True Parents. In conclusion, two new religions construct the similar unity of God, humanity, and religion in their dogmatics. Bahai Faith emphasizes the relativity of its own truth, but Unification Church teaches the ultimate value of its own truth.

      • 통일사상의 사랑론 정립을 위한 연구 : 에리히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김민지 통일사상학회 2024 통일사상연구 Vol.26 No.-

        통일사상의 사랑론 정립을 위해 본 연구는 에리히 프롬의 사랑론을 기초로 『통일 사상요강』에서 사랑에 대해 설명한 여러 부분들을 정리한 후 통일사상 사랑론 정립 을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에리히 프롬의 사랑론과 통일사상의 사랑 이해는 ①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실존의 문제이며, ②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으로 ③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 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등 여러 면에서 공통점이 많았다. 그러나 프롬의 사랑론은 개인을 중심으로 서술하는데 비해 통일사상은 사랑을 가정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어 개인화된 현대사회에서 현실적인 제언으로 다가가는 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롬의 사랑론 은 사랑의 기술이라는 용어로 사랑의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 제시되는 데 비해 통일 사상은 사랑의 실천적 방안이 강조되지 않아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고려하여 현대사회의 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일사상의 사랑론을 정립해야 할 것이며 실천적 윤리와 교육, 캠페인 등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y of love in Unification Thought, this study organized various aspects of love explained in the 『Essential of Unification Thought』 based on Erich Fromm's theory of love. The study then attempted to discuss and mak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theory of love in Unification Thought. As a result of the study, Erich Fromm's theory of love and Unification Thought's understanding of love had many aspects in common, such as: ① love is not an emotion but a matter of existence, ② love is something that is given rather than received, and ③ one must strive to have the ability to love. However, while Fromm's theory of love describes love as centered on the individual, Unification Thought describes love as centered on the family, which may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realistic suggestions in the personalized modern society. Considering these discuss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theory of love in Unification Thought should be established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that practical ethics, education, and campaig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is.

      • (제4)지도사상부와 이념당건설을 : 민족통일을 위하여

        노태구(Tae-goo Noh) 韓國精神科學學會 2011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4 No.-

        통일은 상생이 필요하다. 양보하고 타협해야 한다. 폭력에 의한 통일이 아닌 보다 성숙한 사상과 이념의 통합을 통한 통일이 시급하다. 서로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단점은 버릴 수 있는 성숙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3권분리의 정부형태를 바탕으로 독재를 방지하고, 이에 제4부인 지도사상부를 더해 민족의 발전과 평화통일을 위한 사상교육, 정신교육이 필요하다. 이로써 우리는 동학의 인내천사상을 바탕으로 한 상생, 평등, 통합 등에 대해 배우고, 인간중심철학에 대하여 배워야 한다. 그럼으로써 한반도의 평화통일에 한 발자국씩 앞으로 나아가고,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기본바탕이 될 것이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서로 다르다. 이 세상에는 완벽하게 대립되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고, 완전히 통합되어 하나인 사상도 없다. 모든 것이 융합의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가지는데 만약 융합된 부분이 더 크면 통일되었다고 보는 것이고 대립되어 있는 부분이 더 크면 대립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대립되어 있는 사상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인간중심 인내천 사상이 우리 모두가 가지게 된다면 폭력은 자연히 사라지고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견인하는 지도사상부의 통일교육과 이념당의 통일운동이 수반되어짐으로써 민족의 평화통일은 비로소 앞당겨지게 될 것이다. The unification needs mutual life. We should concede and compromise. It is hurried to achieve unification through ripeningly thouhtful and ideological integraion, not by violent means. It is necessary to accept mutual merits and to forgive mutual faults. Therefore, by protecting the dictatorship of the executive based on the seperation of 3 powers(the legislature, the executive, the judiciary), it is essential to teach the necessity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ght for the ideological, spiritual education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We have to lear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As a result, we can advance forward to the national unification step by step. So it is the basis of the completing peaceful unific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s different each other. In this world, there is neither absolute separating thought nor absolute unifying thought. All the things have not only the separating part, but also the unifying part. So if the separating part look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confrontation, if the integrating part seems to be larger, we can call it unification. Our imminent problems is to integrate the still confronting thought as one unity. If we have to know the Innaecheon(人乃天) democracy built on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we can accompish the unification naturally without violence. Therefor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nation, at last, can be moved a date up forward by accompanying the logical teaching of the (4th) government guiding thouht and the practical movement of the ideological political party of democracy.

      • ‘미의 판단’에 대한 통일사상과 칸트의 차이

        정시구 통일사상학회 2016 통일사상연구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선천적인 미의 판단에 대한 이해와 자율성에 주로 연구한 칸트의 미의 판단과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통일사상에서의 예술 활동에는 창작과 감상이라는 2가지의 측면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러한 두 측면은 분리된 별개의 측면이 아니라 통일적인 하나의 활동으 로 본다. 즉, 창작에 있어서도 감상이 뒤따르게 되고, 감상에 있어서도 주관적 작 용에 의한 창조가 뒤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창작과 감상은 떨어질 수 없는 불가 분의 관계이다. 통일사상에서의 미의 판단은 감상의 조건을 구비한 주체(감상자)와 대상(작 품)과의 수수작용에 의해 미가 결정된다. 즉, 감상자의 미에 대한 추구욕이 작품 에서 오는 정적 자극으로 채워짐으로써 미가 판단되고 결정된다. 본고에서 통일 사상의 ‘미의 판단’과 관련하여 칸트의 ‘미의 판단’에 관심을 갖고 비교를 시도하 게 된 것은 칸트가 사물에서 어떻게 미를 찾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주체가 어떻게 미를 알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서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 동일하기 때문 이다. 칸트는 미의 판단에서 무엇이 아름다운가에 대해 말하지 않고 어떻게 아름답 다고 판단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칸트 미학은 인간능력의 가능성을 묻는 인간학 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이러한 판단을 통해서만 소통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이러한 소통의 가능성을 위해 먼저 자연과 자유를 매개하는 반성적 판단 력이 필요하다. 칸트 미학에서 출발한 소통의 가능성은 사회적·정치적 영역 등 다방면으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칸트의 미의 판단은 주체의 일방적인 판단이 아니라는 점은 통일사상의 미의 판단과 맥락을 같이하 지만 인간의 순수이성의 비판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ce of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who researched mainly into self-autonomy and understand for the natural human judgment of beauty in the Judgment of Beauty. There are creation and impression in artistic activities of Unification Thought. These two aspects have not a separate and distinct aspects, however, a uniform one activity. In other words, appreciation comes from the creation, the creative action comes from the subjective appreciation. Therefore, these two aspects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s. In Unification Thought, the Judgment of Beauty is determined by give and take action of object(work) and the subject(listener) who provided the condition in impression. In other words, the Judgment of Beauty is determined by the listener's quest for beauty and static stimulation that comes from works. In this paper, attention for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in the Judgment of Beauty is that Kant is not finding the Beauty in things. How can we know the Beauty ourselves. About this problem, the Judgment of Beauty in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is same. Kant said about how to do judge not talking about what is beautiful in the judgment of Beauty. Kantian aesthetics can be said anthropology to be asking the possibility of the people ability. Because humans can communicate only through such a judgment. Antecedently the reflective judgment that connect the nature and freedom is required for the possibility of these interactions. Communication ability which comes from Kantian aesthetics influence many areas, including a social and political field. In this context that is not a one-sided judgment of the subject, the Judgment of Beauty in Unification Thought and Kant connect each other, but theory of Kant is the limitation as criticism of pure reason.

      • KCI등재후보

        허응당(虛應當) 보우(普雨)의 사상과 시적 형상화 연구

        정선양 ( Jeong Seon-yang ),백원기 ( Baek Won-g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응당 보우(1509~1565)의 사상의 특징과 그것의 시적 표현을 고찰하는데 있다. 조선 중기 숭유억불의 시대에 보우는 문정왕후의 적극적인 지원과 배려로 선종판사가 되어 목숨을 걸고 불법을 수호하고 불교중흥을 위해 진력을 다하였다. 특히 그는 선·교 회통을 주장함으로써 불교교단의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된 교단과 교세 확장을 도모하였다. 또한 그는 유·불 회통을 통한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함으로써 위기의 불법(佛法)을 지키고자 하였다. 그런데 그의 이러한 주장의 핵심 사상은 ‘일정론’을 근간으로 하는 ‘원융사상’이다. 아울러 탁월한 시적 상상력과 재능을 지닌 보우는 선지(禪旨)에 기반 한 주옥같은 많은 시문학을 남기고 있다. 자신의 시심을 시마(詩魔)라 표현할 정도로 시 창작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많은 시를 생산하였다. 무엇보다도 그의 선심(禪心)을 시심화 하는데 있어서의 중심적인 사유는 원융사상이다. 그것은 모든 사물과 현상, 사상과 이념을 분별하지 않고 하나로 일체화하여 시적으로 표현하는데서 잘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보우에게 있어 시문학은 구도와 깨달음, 자연교감과 교화 방편의 선심(禪心)을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장치였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ought and poetic expression of Seon master Heoeungdang Bowu(1509~1565). At the era of middle Joseon based on respec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Bowu, as a judge of Seon Oder, tried to do his best in protecting Buddha-dharma and in promoting Buddhism under queen Munjeong's positive support and consideration. In particular, he made an effort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conflict between Seon and Doctrine School, and also planned a unified Buddhist order and the extension of Buddhist influence by asserting the unification of Seon and the Doctrinal School. In addition, he attempted to keep endangered Buddha-dharma by aiming at harmonious co-existence through the unific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bove all, the core of Bow's thought is 'Perfect Unification' based on 'Iljeongron,' which is the very Hwaeom thought. On the other hand, Bowu, having an excellent poetic imagination and talent, produced lots of jemlike poems based on Seon intuition. That is, he created many Seon poems enough to express his poetic mind as poetic magic power, with a great interest in the creation of poetry. The point in the poetic expression of his Seon mind is 'Perfect Unification,' which is well revealed in poetic description unifying all objects/phenomena, thought/idea without discriminating them. Therefore, his poetic products are a kind of mechanic to express Seon mind in the process of obtaining enlightenment, communion with nature, and guidance of his disciples in more vivid and condensed poetic images and di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