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ientific Uncertainty as a Threshold of Precautionary Principle

        Jin Sook Chang(장진숙),Jae Ho Sung(성재호) 미국헌법학회 2017 美國憲法硏究 Vol.28 No.1

        WTO의 상소위원이 EC 호르몬 사건에서 명확한 사전주의 원칙에 대해서 언급한 이후로는 세계무역기구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향한 무역을 위해서 사전예방원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따라서 이 글은 사전예방원칙의 실질적인 초치를 발동하기 위한 세 가지의 요건 중 두번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과학적 불확실성에 관해서 논의한다. 사실상, 과학적 불확실성은 국제무역의 영역에로 사전예방원칙이 들어오게 된 중요한 필요성중의 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만큼 과학적 불확실성의 문제는 사전예방원칙의 요건으로서 중요한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사전예방원칙은 과학적 불확실성이 회원국의 환경과 건강보호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유해성을 내포한 상품들이나 물질들의 수입을 허락하는 허점으로 사용되지 않게 하는 법리로서 역할을 해왔다. 따라서 이글의 첫 단락에서는 넓은 관점에서의 불확실성에 대한 개념이 소개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과학적 불확실성의 서로 다른 정도에 관한 연구가 여러 법적문서들에 제시된 서로 다른 사전예방원칙의 구성요소에 따라 진행된다. 또한 이러한 사전예방원칙의 두 번째 요건으로서 과학적 불확실성을 운영하는 중요한 기저가치를 결정하는 분석도 제시된다. Ever since the Appellate Body"s explicit reference to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the finding of EC-Hormone case, WTO has provided research on th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for trade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Article studies the second threshold, ‘scientific uncertainty’ among three requirements to act on the practical measures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fact, scientific uncertainty is one of the crucial necessities of precautionary principle to come into the ream of international trade as well. That much, the issue of scientific uncertainty as a threshold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essential. Above all, the precautionary principle has been wielded as a rationale not to bring scientific uncertainty as a loophole to let an importation of products and substances containing the possible harmful hazards against member state"s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protectio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cept of uncertaint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In the second part, a study on different degrees of scientific uncertainty is conducted depending on different formulations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various legal documents. In addition, this article considers to determine the important underlying value to operate the second threshold of scientific uncertainty.

      • KCI등재

        불확정성 원리에 대한 대학생들의 논증 분석

        최재혁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4

        Understanding the uncertainty principle based on a probabilistic interpretation in quantum mechanics is important.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To determine the reason for that, the argumentations to explain the uncertainty principle among senior students (N = 11) whose major was physics education were analyzed. As results,they knew the fact that the uncertainty principle was related with a probabilistic interpretation. However, their ways of interpretation were different with six issues: a) the difference with classical physics, b)identifying the uncertainty principle with a probabilistic interpretation,c) overgeneralization, d) the meaning of inequality, e) analogy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f) the interpretation of the distribution of momentum and position. These were implemented for instructional study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불확정성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중요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학생들이 어려움을 가지며 이를 분석적으로알 필요가 있다. 이에 물리교육을 전공한 대학교 3학년 학생 (N = 11)을대상으로 불확정성 원리를 동료간 설명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쟁점을분석하였다. 쟁점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불확정성 원리가 양자역학적원리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나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가나타났다. 학생들의 논증 과정에서 a) 고전역학과 차이점 b)불확정성원리와 확률론적 해석의 동일시, c) 불확정성 원리의 과일반화,d)부등식의 의미, e) 비유적 표현에 대한 쟁점, f) 운동량과 위치의분포에 대한 해석에 대한 쟁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알게 된 주요 쟁점은 추후교수학습 연구에 있어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Judicial Approach to Precautionary Principles under SPS Agreement

        Lee, Eun Sup 법무부 2009 통상법률 Vol.- No.90

        The precautionary principle representing environment protectionists' viewpoints is to help regulatory authorities make policy decisions where claims of hazard are uncertain and decision-makers face the dilemma either to take immediate precautionary action or delay such action until scientific uncertainty concerning these hazards is eliminated or reduced. While there has been much academic commentary and debate on the status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a principle of international trade law, the role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international judicial society is as yet equally unclear. This paper reviews the judicial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concerned made by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in relation with the precautionary principle under the SPS Agreement to seek the more efficient and realistic approach to this principle for the proper application under the SPS agreement. Even though it is arguably possible for the gap between the provisional measures under SPS Agreement and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o be reduced through the judicial clarification of the provisional measures under Article 5.7, of the SPS Agreement introduced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o the trade sector with its own limited version, as a "qualified exemption" from the scientific obligation of the member countries requiring them to base their SPS measures on scientific principles and not to maintain such measures without sufficient scientific basis. This provision is to limit the abilities of member countries to maintain high levels of sanitary or phytosanitary measure without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that measure. While Article 5.7 recognizes a member countries' autonomy to enforce precautionary measures that may have restricting effect on market access in the face of in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such more limited version of precautionary approach could block the chance of member countries' abuse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a protectionist tools for the protection of domestic market by relying on scientific uncertainty. Adopting the limited version of precautionary principle to be applied and requiring positive risk assessment and scientific review of the pending risks,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seems to have made some contribution to materialize the dual objectives of the SPS Agreement, that is, to prohibit member countries from maintaining SPS measures lacking sufficient scientific justification, while simultaneously make them preserve the provisional right to limit market access until more relevant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the more proper incorporat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to the WTO mechanism, considering the inherited ambiguity in the term "provisional measures",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secure th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Article 5.7 without staining the spirits of the SPS Agreement, for which judicial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mbiguous science-related terms and provisions which have been treated by the WTO adjudicators but not yet clarified should be established clarified soon. 환경보호론자들이 옹호해온 사전예방원칙은 위험의 과학적 근거가 불확실하여 정책담당자들이 예방적 조치를 조속히 시행할 것인가 아니면 위험과 관련한 과학적 불확실성이 해결 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조치를 취할 것인가를 결정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제통상법상의 일반적인 법 원칙으로서 사전예방원칙을 인정할 것 인가에 대하여는 학자 및 법 실무가들간에 다툼이 있어 왔으며 동 원칙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개념의 부여 문제도 아직 미해결의 상태에 있다. 이 논문은 사전예방 원칙이 SPS 협정 내에서 보다 조화롭게 적용 될 수 있기 위한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접근법을 찾기 위하여 WTO 체계 내에서 WTO분쟁해결기구가 이 원칙과 관련한 사례들을 통하여 이 원칙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 해왔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지금까지 WTO의 분쟁해결기구가 SPS협정 5.7조를 적절하게 해석함으로써 SPS협정 내에서 사전예방원칙이 큰 무리 없이 적용되어 왔다는 주장도 있으나 WTO분쟁 해결기구는 5.7조상의 임시적 조치 규정에 대하여 사전예방의 원칙을 WTO정신에 맞도록 수정하여 회원국들이 과학적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협정상의 의무에 대한 제한적인 면제로 규정함으로써 동 원칙의 적용범위를 축소하여 왔다. 이와 같이 SPS협정 5.7조가 과학적 근거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WTO회원국들의 시장개방에 대하여 상당한 정도의 제한적 효과를 부과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전예방원칙의 제한적 적용은 과학적 불확실성의 상황에서 동 원칙을 남용하는 회원국들의 보호주의적 조치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한적인 사전예방의 원칙을 채택함으로써 WTO 분쟁 해결기구는 SPS협정이 추구하는 교역의 확대와 동시에 과학적 근거가 불확실한 SPS조치의 시행을 억제하기 위한 두 가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느 정도 기여해온 것으로 평가 된다. 그러나 동 원칙이 WTO체제 내에서 보다 원만하게 적용 될 수 있기 위하여는 WTO의 분쟁사례를 통하여 이미 다루어져 왔으나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한 과학과 관련된 애매한 협정상의 실체법적 조항 및 입증책임과 판단기준과 같은 절차법적 문제들에 대한 보다 분명한 해석과 적용기준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전주의 원칙의 규범적 이해

        송이수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4

        This article is a premise research paper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ased on discourse of European and American researchers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iming at legal understanding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ccording to Ewald, the first paradigm in which societies deal with uncertainty since the 19th century is the responsibility in the 19th century, the second is the solidarity that emerg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third is the safety that appeared in the late 20th century: precaution leads to the arrival of a world of safety, not a world of responsibility or solidarity. Although there are many forms of definit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ey share common criteria. The first is the lack of scientific certainty, that is, scientific uncertainty. The second is the potential for harm to human health or the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positions on the degree of risk required for triggering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e 1992 Rio Declaration calls for ‘threats of serious or irreversible damage’. On the other hand, the 1998 Wingspread Statement does not require such a requirement. The third is the precautionary measure. There is always uncertainty in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uncertainty leads to difficulty in anticipating consequences. Thus, scientific uncertainty means ‘the state of absence or lack of empirical knowledge needed to predict a consequence of an action’. In addition, it is not reasonable to apply the precautionary principle on the ground of mere conjecture. There is “a threshold of scientific plausibility”. Furthermore, the precautionary principle serves to turn our attention towards the question of how scientific uncertainty is dealt with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putting a brake on avoiding responsibility because of the temporal gap between cause and effect. 이 글은 산업안전보건 영역에 사전주의 원칙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전제로, 사전주의 원칙에 관한 유럽과 미국 연구자들의 풍부한 논의를 기초로 하여, 사전주의 원칙의 본질에 대하여 규범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wald에 의하면 19세기 이후의 사회가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패러다임의 첫 번째는 19세기를 지배한 책임, 두 번째는 19세기 말 대두하여 20세기를 풍미한 연대, 세 번째는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안전인바, 사전주의는 책임의 세계도, 연대의 세계도 아닌, 안전의 세계의 도래를 이끈다. 사전주의 원칙에 대한 정의의 형태는 여러 가지이지만 이들은 공통되는 기준을 공유하고 있다. 첫 번째는 과학적 확실성의 결여, 즉 과학적 불확실성이다. 두 번째는 인간의 건강 또는 환경에 대한 위해의 가능성이다. 다만 어느 정도의 위해 가능성이 사전주의 적용의 요건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 입장이 다양하여, 1992년 리우 선언에서는 심각하거나 비가역적일 것을 요구하고, 1998년 윙스프레드 선언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 번째는 위해에 대한 사전주의적 조치이다. 과학지식에는 언제나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은 결과에 대한 예측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과학적 불확실성은 ‘행동의 결과에 대한 예측을 위한 경험적 지식이 없거나 부족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추측 또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위험만으로는 사전주의 원칙을 적용하기 어려우며, “과학적 개연성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사전주의 원칙은 과학적 불확실성을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루는 방법의 문제로 우리의 주의를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는 것에 제동을 건다.

      • KCI등재

        환경법에 있어서 과학적 불확실성과 환경규제-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귀현 ( Kwi Hyeon Han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3

        지구온난화문제 등과 같은 환경문제는 인간이나 환경에 불가역적인 손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예방적으로 대응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방의 원칙은 현대환경문제의 새로운 특질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원칙, 환언하면 과학적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예방적 환경규제)에 관한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방의 원칙에 대하여 미국에서는 당해 원칙을 옹호하는 자와 비판하는 자 간에 활발한 의론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히 예방의 원칙이나 환경규제에 비판적인 자들로부터 행정의 규제근거정보의 불완전성을 문제시하여 행정의 규제를 한층 과학적으로 하는 운동인 이른바 「규제과학개혁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언뜻 보기에는 정보갭을 보완하는 전략으로도 볼 수 있지만, 행정의 규제근거정보를 공격함으로써 환경규제의 정체 내지 위축을 초래하여 오염자나 피규제자를 환경규제로부터 해방하는데 주안이 있다. 때문에, 이러한 개혁운동은 환경손해가 실제로 발생한 후에 대책을 취한다는 「환경법이전」으로 사회를 되돌려버릴 것이다. 미국환경법의 예방목적과 법률구조는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 불확실성이 있다 하더라도 환경규제의 정체, 행정의 부작위를 회피하는 것을 의도하여 왔다. 또한 Ethyl Corp. 판결을 비롯한 다수의 판례들도 과학적 불확실성하에서의 예방적 환경규제를 시인하고 있다. 다만, 지구온난화소송이라 할 수 있는 Massachusetts v. EPA 연방항소법원의 판결에서는 EPA가 부작위의 근거로서 과학적 불확실성에 의거한 것을 용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리스크평가와 리스크관리를 융합(즉, EPA의 리스크평가에 있어서 광범위한 정책고려의 인정)시켜 버림으로써 양자의 구별을 애매하게 하여버린 것은 잘못이라고 할 것이다. 요컨대 미국의 환경법은 예방적 이념을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과학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예방적 환경규제는 앞으로 더욱 더 확대·강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A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cause irreversible damage to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we must deal with environmental problems in a precautionary manne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may be construed as principle designed to deal with new characteristics of present-day environmental problems, that is, principle concerning decision-making under scientific uncertainty (precautionary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like this, hot debates a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those who advocate and those who denounce the relevant principle. Futhermore, recently those who criticize the precautionary principle or environmental regulations lead ‘sound science movement’ which raises a question about scientific inaccuracy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ory basis in order to provide more scientific manner to administrative regulations. However, such reform movement will put the society back “before environmental law”, that is, countermeasures are taken after actual damage to the environment occurs. The objective of precaution and legal structure of environmental law of the United States are intended to evade delay in environmental regulations or administrative omissions in order to protect human health or the environment even though there is scientific uncertainty. A number of precedents including the ruling in the case of Ethyl Corporation also admitted precautionary environmental regulations under scientific uncertainty: Provided, That in the ruling in the case of Massachusettes v. EPA in the federal appeals court, which may be called a global warming lawsuit, it may be considered a mistake of the EPA as the EPA not only admitted that omissions were based on scientific uncertainty but also made the distinction between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ambiguous by combining risk assessment with risk management (i.e., admission of extensive policy considerations in the risk assessment of the EPA). In a word, environmental law of the United States does not deny the concepts of precaution, and precautionary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further notwithstanding scientific uncertainty.

      • KCI등재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미치는 영향

        이상수,고재민,조정은,최수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tching principle affects analysts' herding behavior. An accounting practice that poorly matches expenses to revenues impairs earnings quality and increases information uncertainty. Then analysts tend to make forecasts close to consensus of other analysts because they are not certain about their earnings forecasts and try to hide their incompetent forecasting ability, so-called ‘herding.’ On the other hand, when poor matching increases information uncertainty, analysts are also likely to decrease their herding behavior and release earnings forecas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 consensus of other analysts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these two conflicting opinions, we examine how matching principle affects analysts’ herding behavior.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pact of matching principle on herding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ling and administrative cost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matching ha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alysts' herding behavior. This suggests that when poor matching increases information uncertainty, analysts have difficulty in analyzing the firm and are concerned with releasing inaccurate earnings forecast, resulting in their herding behavior to increase. However, when a firm has good matching practice despite its high selling and administrative costs, which is relatively poorly matched to the revenue, or when a firm has poor matching practice despite its has low selling and administrative costs, we find different results. In this case, analys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firms' matching practice, resulting in stronger information uncertainty. Thus, analysts decrease herding behavior because they would try to carefully analyze the firm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This paper makes a direct contribution to analyzing whether the degree of matching, which enhances earnings quality affects, the decision of analysts' forecasting activity.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ching principle affects analysts' herding behavior. 본 연구는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아지면 회계 이익의 질이 약화되고, 기업의 정보 불확실성이 증폭된다. 이로 인해 재무분석가는 자신이 발표한 이익예측치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지고, 시장이 자신의 예측능력을 파악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여 동료 재무분석가의 예측합의치에 근접한 예측치를 발표하는 허딩(herding) 경향을 가지게 된다. 반면 낮은 수익비용대응 수준으로 인해 정보 불확실성이 증가할 경우, 재무분석가는 동료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의 사적정보를 토대로 이익을 예측함으로써 허딩이 감소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반된 논의를 바탕으로,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판매관리비 비중에 따라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수익비용대응 수준과 재무분석가의 허딩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수익비용대응 관계가 약화됨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재무분석가는 부정확한 예측치 발표에 대한 부담으로 허딩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수익비용대응 정도가 약한 판매관리비 비중이 큼에도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높거나 반대로 판매관리비 비중이 작음에도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이 때에는 재무분석가가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을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보 불확실성의 정도가 심화되고, 재무분석가는 동료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에 의존하기 보다는 자신의 사적 정보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예측치를 발표하여 허딩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수익비용대응 수준에 따른 정보 불확실성의 차이가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의무와 국가책임

        성재호(Sung Jae-Ho),서원상(Seo Won-Sang) 성균관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6 성균관법학 Vol.18 No.1

        There are some principles and rules to protect the global environment in international law, such as "the responsibility not to cause transboundary environmental damage", "the principle of preventive action". In addition to tha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or precautionary approach has now received widespread support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a broad range of subject areas. These principles and rules are recently regarded as international obligations of states, because these are essential elements to protect and preserve the global environment.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provided that a breach of the obligations constitutes international wrongful acts in the 「Draft Articles on Responsibility of State for Internationally Wrongful Act」, and every international wrongful act of a state entails the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of that state. In the sphere of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f state and environmental damage has been required to make state responsibility. And the causal relationship should be proved scientifically. However, it is asserted that causal relationship is not necessary with regard to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is principle requires taking action before environmental damage, either preventive or anticipatory, even though a scientific certainty regarding the cause and effect is not established. The principle has evolved to meet the evidentiary difficult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s required to prove a causal relationship may be in the hands of the party causing or threatening the damage. This principle increasingly get the widespread support to be a part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It would be the most effective norm to protect and preserve the global environment. Every international wrongful act including failure to protect environmental damage entails state responsibility as provided in the Draft Articles. Accordingly, we should make every effort not to bring environmental damage through observing the principles and rule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uty to prevention and precautionary approach.

      • KCI등재

        일반 논문 : 예방원칙의 도덕적 근거와 정당화

        고창택 ( Chang Taek Ko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이 글은 예방원칙이 규범적 규정력이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예방원칙의 개념은 위험, 불확실성, 행위, 명령 차원으로 분류되는데 행위에서 명령으로 옮겨가는 규범적 추리에서 주관적 의도가 중요하며, 책임을 함축하는 가언명령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방원칙의 논리적 구조는 손상조건-지식조건-치유책-규범적 성향/지향가치로 파악된다. 예방원칙의 도덕적 근거는 해악 행하기/허용하기 구분과 인간기원적/비인간기원적 위험 구분에 의해 구축된다. 전자는 우리들이 해악을 방어할 책임보다 해악을 회피할 책임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하며, 후자는 인간기원적 위험을 정교하게 개념화함으로써 통제가능하고 무엇보다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예방원칙은 주로 의무론적 차원에서 정당화가능하다. 우리는 허용한 위험의 불평등한 분배보다는 직접 발생시킨 위험의 공정한 재분배에 더 도덕적 책임을 느낀다. 인간기원적인 위험이 도덕적 행위를 끌어내는 작인일 수 있음도 해명된다. 또한 위험의 본성에 관한 경험적 일반화를 통해서도 정당화될 여지가 있다. 인간기원적 위험이 통제가 더 쉽고, 인간기원적 환경 변화가 더 나쁘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앞으로 예방원칙의 규정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는 게 남은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moral grounds and justification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Fist of all, I examine concept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four elements; threat, uncertainty, action, command dimensi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can be recast into the following if-clause, containing these four dimensions. "If there is a threat, which is uncertain, then some kind of action is mandatory". I identify the core logical structure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four parts- damage condition, knowledge condition, remedies, normative disposition/aim value. The important moral ground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the doing/allowing harm distinctio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nthropogenic and nonanthropogenic risks. The basic idea of the former is that it is worse to do harm than to allow harm to occur. The basic idea of the latter is that anthropogenic risk is we cause(or are considering causing) and we can control. I elaborate two types of moral justification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e first justifications rests on fairness problem and the connection between causation and moral responsibility. The second justifications rests on empirical generalization about the nature, consequences, and controllability of human-caused versus natural risks.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re are not a little doubts about theoretical accomplishment and normative meaning of moral grounds and justification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Nevertheless, important problems are left not resolv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불확정성원리에 대한 인식 및 학습의 어려움

        민경모,유준희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불확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습의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18명이다. 자료는 설문과 면담으로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현상학을 사용했다. 인식은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이해를 통해 조사하였다. 인식론적 프레이밍은 관점과 설명의 논리성으로 나타낼수 있었다. 고전역학적 관점이나 화학I 기반 양자역학 관점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의경우는 불확정성원리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했다. 물리II 기반 양자역학 관점의 인식론적 자원과 중간수준 이상의 논리적 설명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는 교육과정에서 원하는 수준으로불확정성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II 기반 양자역학 관점 중에서 감마선 현미경 관점과높은 수준의 논리적 설명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의 경우가 적절하게 불확정성원리를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어려움은 내용, 맥락, 인식론, 응용 등의 측면으로 분류되었다. 고등학생은 불확정성원리를 학습하더라도 일상에서 적용이 불가능하며 믿고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데, 사고실험이 필수적인 현대물리 교육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uncertainty principl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8 high-school students, who answered questionnaires and ha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y. The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epistemological framing (e.f.) and understanding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The e.f. was described by a viewpoint and a logic. In the case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CM or Chemistry I-based QM as epistemological resources (e.r.), understanding wa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physics II-based QM as an e.r., understanding was at the desired level in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physics II-based -ray microscope and the high level of logical explanations as e.r., understanding was appropriate. The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an difficulties with content, context, epistemology and application. High school students can not apply the uncertainty principle in everyday life even though they have learned it, and its interpretation is difficult to believe and accept.

      • KCI등재

        REACH 규칙과 사전배려원칙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환경법학회 2009 環境法 硏究 Vol.31 No.3

        2006년말, 유럽연합은 유럽 전역의 화학물질 규제를 위하여 기존의 화학물질 관련 법령을 통합한 REACH 규칙을 전격적으로 채택하여 2007년 6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동 규칙은 종래의 분산·산재되어 있는 법령을 단순화·통일화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사전배려원칙을 규범화함으로써 EU 역내의 화학물질 제조·수입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사전배려원칙의 불명확성을 둘러싼 종래의 논의를 살펴보고, REACH 규칙의 주요내용을 개관한 후 REACH 규칙이 규범화하고 있는 사전배려원칙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EACH 규칙은 그 제정 자체가 사전배려원칙의 적용이며, 등록, 허가, 제한 등의 구체적인 법적 장치를 통하여 사전배려원칙을 규범화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먼저, 등록과 관련하여 사전배려원칙의 요건은 일정량 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신규 또는 기존 물질로서 과학적 평가가 이루어져 있지 아니하여 당해 물질로 인한 리스크에 관하여 과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어 있으며, 효과는 등록에 필요한 일정한 정보제출의무를 사업자에게 부과하고 등록이 완료될 때까지 해당 물질의 제조 등을 금지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또한, 허가와 관련하여 사전배려원칙의 요건은 해당 물질에 대한 정성적 리스크평가 결과에 따라 일정한 유해성이 인정되지만 그에 대한 정량적 리스크평가가 실시되지 아니하거나 혹은 실시되었더라도 그 적정성이 의문시되거나 그 결과의 신뢰성을 인정하기 곤란하여 당해 물질로 인한 리스크에 관하여 과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어 있으며, 그 효과는 해당 물질의 사용을 일반적으로 금지하되 해당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업자에게 전환시킴으로써 사업자가 해당 물질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해당 물질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한편, 제한과 관련해서는 등록이나 허가에 있어서의 사전배려원칙과는 그 정도를 달리 하는 아주 약한 형식의 사전배려원칙을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전배려원칙을 규범화하고 있는 REACH 규칙은 최근 미국, 중국, 일본 등 많은 국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도 REACH 규칙과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거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는 특히 화학물질관리라는 문제영역에서 사전배려원칙이 규범화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REACH 규칙과 유사한 시스템의 도입을 미루고 있다. 그렇지만, 더 이상 도입을 미룬다면 국가적으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유통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리스크 정보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는 결과가 되어 결국 화학물질의 적절한 관리 및 그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 방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화학물질관리에 있어서만큼은 서둘러 사전배려원칙을 규범화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있어서는 REACH 규칙이 반영하고 있는 사전배려원칙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At the end of 2006, the European Union adopted a comprehensive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industrial chemicals throughout Europe, which is known by its acronym, REACH regulation, for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The immediate impetus for REACH regulation was to replace the complicated and confusing system of over forty different directives and regulations with a single regulatory regime. The implementation of REACH regulation signals a fundamental shift in the way in which manufactured and imported chemical substances will be regulated within the E. U. This Article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some past discussions abou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t then analyzes the new E. U. chemicals regime, REACH regulation, evaluating how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institutionalized in REACH regulation, including whether it shifts the burden of proof in establishing the chemical`s safety away from the competent authorities to the industry. While the registration provisions require manufacturers and importers to generate data on the substance, they are interpreted to incorporate the precautionary principle, without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The authorisation provisions, which allow the placing on the market and use only if manufacturers and importers demonstrate that the risks arising from their use are adequately controlled, should incorporate a strong vers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with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On the other hand, the restriction provisions allow the manufacturing, placing on the market and use of substances presenting ri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be made subject to total or partial bans or other restrictions, based on an assessment of those risks conducted by the competent authorities. They incorporate a weak vers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t most. We should note tha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legal frameworks on chemicals in many countries. Korea`s Toxic Chemicals Control Act("TCCA") should be amended to be more truly precautionar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preventing risk caused by chemicals to human health or the environment and controling hazardous chemicals so that everyone can live a healthy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relate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