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나무노(Miguel de Unamuno)의 문학과 철학

        金顯瑒 대한민국 학술원 2007 학술원논문집 : 인문, 사회과학편 Vol.46 No.1

        19, 20세기 초에는 구라파의 지성인들이 기독교의 신앙으로부터 멀어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에 의하여 그리고 니체 등의 출현으로 이들의 신앙심에 위기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 증명해야만 믿을 수 있다는 이들의 사고방식은 신앙심에 큰 위기를 가져왔다. 기독교는 사후의 문제에 관하여 영혼불멸을 약속한다. 그러나 당시의 시대적 사고방식 (예를 들면 과학제일주의)에 의하여 적지 않은 지성인들이 기독교적 신앙에 회의를 갖게 된다. 살라망까 대학총장이었던 우나무노도 이들 중의 한사람이었다. 우나무노는 생각해 본다. 만일 인간이 유도탄과 같다면 큰일이 아닌가! 유도탄은 한번 발사하여 폭발하면 그것으로 끝이다. 만일 사람의 생명도 한번 사망하면 그것으로 끝이라는 사람이 산다는 것이 너무나 허무하고 무의미한 것이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우나무노는 자기 자신의 힘으로 생과 사의 문제 그리고 사후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일생을 명상으로 보낸다. 이것은 명상이라기보다도 치열한 사투를 벌이는 것이다. 이러한 실존주의적 그의 투쟁은 그의 철학적 에세이인 ‘생의 비극적 감정’과 ‘아벨 산체스’, ‘안개’, ‘순교자 성 마누엘’ 그리고 많은 그이 희곡 작품에서 그가 벌이는 세기적 고뇌를 나타내고 있다. 우나무노는 그의 고뇌를 그의 작품에서 고백하고 있다. 그는 문학작품을 쓰는 것이라기보다는 그의 내적인 고뇌를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즉 그의 작품들은 종교적, 실존적 내면세계의 실상을 고백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가 만일 동양인이었다면 유명한 선사가 되어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그가 그의 모든 작품에서 고백하고 있는 화두는 동양의 禪가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는 그가 항상 말하는 화두를 가지고 참선을 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그의 작품에서 고백하고 있는 내용은 동양의 禪가의 것 바로 그것이다. 즉 “나는 어디서 왔고 사후에는 어디로 가는가?”가 그의 의문과 철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에게 “신, 우주, 인류 등의 테마는 사유의 주제가 아니다. ‘살과 뼈’를 가진 사람이 사유의 전부다.” 문학작품은 허구적인 면이 많다. 그러나 우나무노는 자기의 모든 작품의 주인공은 자기 자신이라는 언급을 반복하고 있다. 그에게 햄릿은 셰익스피어고 돈끼호테는 세르반테스라고 말하고 있다. Unamuno is at once a great author and a philosopher Spain p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Unamuno has a very original personality, knowing how to harmonize literature and philosophy. Unamuno obtained success in transmitting his philosophical message through his literary works like “Abel Sanchez”, “San Manuel bueno, el ma´rtir”, “Niebla” and his other novels and dramas. Another quality of Unamuno is the success of his literary works harmonizing with his philosophical thoughts. They are no simple literary decoration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Unamuno is much too literary well-grounded to walk into that trap. He harmonized successfully literature and philosophy creating a very original genre and gave emotion to many readers of the world. He touched the eternal problem of human being, the problem of death and the eternity of the soul. What is death and what is coming after death? Is the soul eternally existing? If not so, the man is finished with death? If the soul disappears; all the education and religion of the man, what can they serve to the human being? His meditation did not gave us the answer for the problem of the eternity of the soul, but he gave deep emotion to the men of the world manifesting his philosophical thinking. In his philosophical essay “Del sentimiento tra´gico de la vida”, he touches directly the problem of death and the soul after death. Reason is an enemy of life for Unamuno. He refuses to express his philosophy through reason. He is convinced that reason can't solve the problem of life. Therefor he chooses novel and drama as a means to express his philosophy. The difficulties of life are the causes of anguish, and anguish appears when one can't adapt oneself to the conditions of life. However it is through anguish that we can arrive to find truth and immortality. The anguish manifested in Joaquin of the “Abel Sanchez”, Augusto in “Niebla”, San Manuel in “San Manuel bueno, el ma´rtir” is the anguish of Unamuno himself. The jealousy of Joaquin is the jealousy of Unamuno existing in the depth of his soul. According to Unamuno, religion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man, not of God. The human desire to have immortality of the soul, makes man create religion. Unamuno refuses pure and unconditional faith. Eternal ignorance is not acceptable for Unamuno. As far as his existentialism is concerned, he has been influenced by Kierkegaard and Spinoza. Unamuno realized his literature through philosophy and his philosophy through literature. Completing his monumental work, he has shown us the new horizon literature and philosophy can have.

      • KCI등재

        우나무노와 장르성의 문제

        조민현 ( Min Hyun Cho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2 스페인어문학 Vol.0 No.23

        La renovacio´n literaria de Unamuno esta´ en que la tarea de escribir es tanto un instrumento de reflexio´n filoso´fica como un medio expresivo. cuyo saber literario se dirige a plantear nuevas preguntas en el campo epistemolo´gico. De ahi´. el pensamiento de Unamuno. a partir del hombre de carne y hueso, asume un proceso de literalizacio´n. y las palabras se transportan a su sentido significante con el afa´n de captar la vida. Pero parado´jicamente, por esta misma voluntad vitalizante, Unamnuo sufrio´ la limitacio´n de este universo de la palabra frente a la vida de carne y hueso. Asi´. los fracasos por conjurar la realidad humana a trave´s de las palabras significan que los seres humanos no pueden entender el mundo directamente por medio del lenguaje. Como consecuencia se emana la necesidad de la renovacio´n gene´rica y se abre el camino para superar la limitacio´n del lenguaje y del ser humano. En el pro´logo a Co´mo se hace una novela. Unamuno afirma que la novela debe ser como la vida misma. organismo y no mecanismo, al igual que su propia teori´a literaria. Esta se manifiesta como un sistema orga´nico. indefinido y desorganizado, abierto a la espontaneidad. El te´rmino nivolaes la consecuencia de esta creencia y se expone en Niebla por medio de Vitor Goti. presunto prologuista de la obra, relatando en sus conversaciones con figuras literarias. De ahi´ que se abra hacia una relacio´n dina´mica entre las palabras y las cosas de la que emana el poder generador de nuevo. Ma´s adelante. Unamuno nos induce a pensar que el mejor medio literario para explicar la condicio´n humana es la representacio´n teatral, capaz de vencer las limitaciones del ser humano. Porque la inmortalidad de una obra y de un autor no esta´ en la persistencia del modo personal sino en la representacio´n creativa que genera en otros para recrear con sus manos. Asi´, a trave´s del mundo teatral, Unamuno plantea el problema de la identidad del ser humano y de los personajes de ficcio´n, colocando en el mismo plano a don Quijote y a Cervante, a Don Juan y a Ti´rso de Molina. a Augusto Pe´rez y a Unamuno. Asi´, Unamuno afirma que la inmortalidad de una persona esta´ en la representacio´n dina´mica e incesante de los otros en la escena teatral. Esta idea de la literatura como continua transformacio´n y persistente reconstrucio´n del ge´nero literario forma la base de la epistemologi´a gene´tica de Unamno. De esta forma, en el presente estudio hemos indagado acerca de la estrecha relacio´n entre su posicio´n filoso´fica y las formas gene´ricas a trave´s del proceso transformador del ge´nero literario en las obras de Unamuno.

      • KCI등재

        위기의 시대에 나타난 스페인에 대한 두 시각 : 우나무노와 오르테가의 관점 비교

        조민현 서울大學校 스페인中南美硏究所 2008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19 No.1

        El tema de Espan~a como materia principal del pensamiento espan~ol tiene larga tradicio´n. En la edad medieval, Espan~a se dividio´ en tres religiones. Al terminar la Reconquista, Espan~a busca implantar la unidad nacional por el camino religioso. Este unitarismo religioso es una causa de su decadencia de Espan~a, ya que no se adapta al mundo moderno. A partir de entonces, nos damos cuenta de la particular situacio´n de Espan~a dividida en dos partes: una Espan~a oficial y otra Espan~a vital y latente. Y esto se puede interpretar como un motivo de la frecuente tema´tica de lo espan~ol a lo largo de los siglos con estos exponentes; Quevedo y Mateo Alema´n en el Siglo de Oro, Cadalso, Jovellanos y Larra en los siglos XVIII y XIX. En la li´nea de esta corriente, se destacan Unamuno y Ortega y Gasset ante la crisis nacional de 1898. Ellos coinciden en diagnosticar el problema espan~ol que emana de la Espan~a dogma´tica y cerrada histo´ricamente. Sin embargo, para resolverlo tienen distintos puntos de vista. Unamuno intenta buscar lo esencial del ser espan~ol a trave´s de su ‘intrahistoria’, que esta´ debajo de la historia oficial, para salvar la hispanidad a punto de perderse. En cambio, Ortega y Gasset nos muestra una preocupacio´n practica para renovar la sociedad espan~ola. De ahi emana el sentido de su conocida frase “yo soy yo y mi circunstancia, y si no la salvo a ella no me salvo yo”, lo cual significa una activa europeizacion de Espana frente a la espan~olizacion de Europa propuesta por Unamuno. En resumidas cuentas, aunque Unamuno y Ortega empezaron con el mismo punto de partida ante Espan~a como preocupacio´n, la diferencia entre Unamuno y Ortega depende de do´nde pongan su e´nfasis. Aque´l muestra confianza por el pueblo espan~ol, en cambio, e´ste se inclina al racionalismo europeo. Las dos opiniones han contribuido a la modernizacion de Espan~a con distintas perspectivas.

      • KCI등재

        우나무노의 국가 정체성 탐색과 신비주의적 함의

        조민현 ( Cho Minhyu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6 No.-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스페인에서는 ‘스페인은 무엇인가’에 대해 당대의 지식인들이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고 논쟁을 벌였다. 그들은 점차 가시화되던 조국의 쇠퇴에 직면해서 스페인의 국가적 성격을 논하였다. 그들 중에서 우나무노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두드러진 사상가이다. 그는 절박한 실존적 문제에서 출발하여 스페인의 문제를 바라보았다. 이렇듯 사유의 소재로서 스페인은 우나무노의 지적 형성 과정에 중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그것은 그의 일생을 통해 계속되었다. 그 출발점은 1895년에 발간된 『정통주의에 관하여』이다. 이 책에서 그는 먼저 스페인의 영원한 전통과 연관된 ‘내부의 역사’ 개념을 제시한 후, 이어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요소를 탐색한다. 그중에서 그는 신비주의를 스페인의 정신으로 고려한다. 눈에 보이는 가변적인 세계를 넘어 절대적이고 영원한 것을 추구하는 이 사상이 내부 역사와 밀접히 연결된 스페인의 국가 정체성의 일면을 이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스페인 신비주의의 요소와 신비주의자들이 추구했던 방법론이 어떻게 우나무노의 국가 정체성 탐색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신비주의가 단지 스페인적인 것의 한 부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스페인의 국가 정체성을 도출해내려는 우나무노의 사유와 긴밀히 연결됨을 밝히고자 한다. Betwee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panish intellectuals expressed various opinions and debated about ‘what Spain is’. They discussed Spain’s national character in the face of the gradual decline of the country. Unamuno was one of the prominent thinkers on this subject. He adopted a desperate existential problematic as the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to examine the problems of Spain. Thus, Spain as a material became a central issue i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Unamuno, which continued throughout his literary career. Its starting point was in On Casticism, which was published in 1895. In this collection of essays, he first presents the concept of intrahistory associated with Spain’s eternal tradition, then explores various elements related to this concept. Among them, he deals with mysticism as a fundamental constituent of the Spanish spirit. This idea, which pursues the absolute and eternal beyond the visible variable world, is responsible for an axis of national identity that is closely linked with the notion of intrahistory presented by Unamuno. Thus,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the Spanish mysticism and the methodology pursued by the mystics mean in relation to the national identity presented by Unamuno. In doing so, we aim to show that mysticism not only forms an integral part of the Spanish character, but is also closely connected with Unamuno’s ideas on Spain’s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우나무노의 『세 편의 모범소설과 하나의 서문』에 나타난 소설론과 인간의 존재적 의미

        조민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0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1 No.1

        In general, Unamuno's novels are usually understood as a medium to convey his though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his novels collectively because they evolv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his outlook on human beings and society, or by his reflections on the genre of novels. If Love and Pedagogy, published in 1902, became a milestone overcoming the 19th century realism of Unamuno's first novel, Peace in War, Mist, published in 1914, is a full-fledged work of reasons for the kind of novel he was pursuing. On the other hand, Three Exemplary Novels and a Prologue, which appeared in 1920, can be seen as a work which continues with his acclaimed work Mist, but also as an important effort to provide a wider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in the context of the novel. In Mist, Unamuno recalled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 front of the Creator by means of a meeting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writer. Meanwhile, in these exemplary novels based on ‘theory of the novel as life itself’, he turn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willingness to become or not to become something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real person or a fictional character. In this way,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ree Exemplary Novels and a Prologue in Unamuno's views on novel and examines how the existential meaning of human beings, one of the representative issues raised by him, appears in this work. 우나무노의 소설은 그의 사상을 전달하는 매개로서 보통 이해된다. 그런데 그의 소설은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전망의 변화에 따라 또는 소설 장르에 대한 성찰에 따라 진화하였기에 일괄해서 평가하기는 어렵다. 『사랑과 교육』(1902)이 우나무노의 첫 소설인 『전쟁 속의 평화』에 나타난 19세기적 사실주의를 극복하는 이정표적인 성격을 가졌다면, 『안개』(1914)는 그가 지향하는 소설에 대한 사유를 본격적으로 담아낸 작품이다. 한편, 『세 편의 모범소설과 하나의 서문』(1920)은 그의 대표작 『안개』와 연속성을 가지면서도 인간의 존재적 의미에 대해 좀 더 소설적으로 형상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안개』에서 우나무노는 작가와 등장인물 간의 만남을 통해 창조주 앞에 선 인간의 존재 문제를 떠올렸다. 반면에 그는 ‘삶 자체로서의 소설론’에 기반을 둔 이 모범소설에서는 인간의 존재적 의미를 실재하는 인물인가 허구적인 존재인가에서 찾지 않고 무엇인가 되려는 또는 되지 않으려는 의지가 있는가 없는가의 문제로 전환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우나무노의 소설론에서 『세 편의 모범소설과 하나의 서문』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그가 제기했던 대표적인 논점 중 하나인 인간의 존재적 의미가 이 작품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우나무노 소설의 지역성 탈피와 모더니즘 수용

        나송주(Na, Song-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1

        Love and Pedagogy, Fog, Abel Sanchez, Agony of Christian are the major works of Miguel de Unamuno who avoids realistic writing and defamiliarize the traditional writing rules. In his works, he frees himself from the tradition of 19th century, unity of the self and the esthetics, and pursues the "new" style. This new style passed from France, England, and other center of European literary countries of the 20th century to border countries and Unamuno has accepted this new style. The writers tried to expose the unstable reality that has been following them like a shadow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ism and ventilate the liquidity of the social life and uncertainty through the novel. The major works of Unamuno listed above confirms that he and other European writers wanted independence from the society so that they stood against the nation's political and nationalistic understanding and pursued their own special art-for-art principle or literary supremacy that are not related with the history or politics. The most autonomical, esthetical, and formalistic poetic vocabularies in his novel deny and resist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national problems and try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itself. After his Love and Pedagogy, he is interpreted as a writer who freed himself from the previous (98th generation) style, subjects, and localism of Spain and aimed for the modernistic value. He also is known as a writer with his own unique language system and literary style. He is not valued as 98th generation writer who seeks Spanish values but modernism writer who alienates from the tradition and follows the art-for-art principle. That is, he describe his world, study his characteristics of his characters, and deals various incidents of this world according to the new avant-garde esthetics of Europe. Therefore, his emergence of regionalism means his acceptance of modernism and viewing the new type of writing from the 98th generation's critical mind. Publishing Love and Pedagogy, Unamuno pursues the new style by freeing himself from the Spanish value of regionalism. Seeking esthetics from imitating shares simultaneity with European modernism and becomes his novel's characteristic. He not only tried to break and reform the previous literary or artistic customs but pursued subjective experiences, personal inner life, and fragments of modernism expression, form, and contents. As he was accepting European modernism, he Europeanized modernism thinking and method. His drastic change in Love and Pedagogy continues in the Fog and Abel Sanchez. In Peace in War and Don Quijote and the life of Sancho, he discards the major interest of realistic objectivity and focuses on the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Esthetical experience that doesn't put importance to practical purpose and moral senses are not to reproduce the reality but having interest in human inner world, and he expresse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problem into the new form and language.

      • KCI등재

        우나무노의 『아벨 산체스』에 나타난 질투의 의미

        조민현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8 지중해지역연구 Vol.20 No.1

        The current study reveals that in Unamuno’s literature, jealousy is not portrayed as a mere human emotion, but as a very powerful force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his thinking. He has dealt with "jealousy" in many of his works, among which Tragic Sense of Life and Abel Sánchez: The History of a Passion stand out due to their deeper approach and detailed analysis of this subject. The latter work, in particular, reveals that the jealousy of Biblical Cain is still present in modern people’s minds and in their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his paper, we first will have a look at the existential dimension of jealousy in Unamuno’s Abel Sánchez, which will leads us to discover that this human emotion is interpreted by him as a desire to become someone else, which reveals itself as a terrible malady. We will then consider the aspects of Unamuno’s withdrawal into his inner realities in a way that may allow overcome this consuming emotion.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can conclude that jealousy in Unamuno’s literature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concept of intrahistory and his thinking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in and the rest of Europe, as well as his understanding of man from his own existentialist perspective.

      • KCI등재

        위기 시대의 역사 인식 - 우나무노의 내부 역사와 박은식의 국혼론적 역사 비교연구 -

        조민현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9 No.-

        This study compares the intrahistory of Miguel de Unamuno, a distinguished member of the Spanish Generation of ‘98, with the concept of ‘history’ in the Theory of the National Spirit of Park Eun-sik, a Korean historian and independence activist. The historical similarities exist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end of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make this comparison possible. Both countries experienced serious political and social crises at that time. Spain, which was considered to have taken its own path apart from the rest of Europe since the 17th century, suffered a national crisis due to its waning national power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orea as well had been unable to adapt to the changes which were taking place in international scene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sunk into a deep crisis which turned it into a Japanese colony. In the face of this situation, we can see that there is a similar epistemological correlation between Unamuno and Park Eun-sik in dealing with the national crises and they do so by articulating the concepts of intrahistory and history of the national spirit respectively so that their countries identities are threatened by those crises.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full meaning of both concepts and also the contexts they sprung from, while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existing between them. In addition, we explore the differences that occurred when these two thinkers linked these concepts to the realities of the times. 본 연구는 스페인의 98세대를 대표했던 미겔 데 우나무노의 내부 역사와 한국의 독립운동가였던 박은식의 국혼론적 역사를 비교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 두 나라가처한 유사한 역사적 현실이 이러한 비교를 가능하게 하였다. 두 나라는 이 시기에 정치⋅ 사회적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순수혈통에 기반을 둔 폐쇄적인 종교정책으로 17세기이후 유럽의 여타 국가들과는 다른 길을 걸어온 스페인은 19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국력이쇠약해져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된다. 한국 역시 19세기 말 이후 국제 정세의 변화에적응하지 못하면서, 위기에 처하게 되고 결국 일본에 의해 주권을 상실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적 위기에 대처하는 방식에서 우나무노와 박은식 사이에 인식론적 유사성을 보이게 하였다. 그것은 위기에 처한 조국이 고유의 정체성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내부 역사’와 ‘국혼론적 역사’ 개념을 각각 제시한 데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 개념들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떠한 맥락에서 나왔는지 살펴보고, 그 개념간에 어떠한 유사성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더불어, 두 사상가가 이 개념들과 시대적 현실을 연결했을 때 나타났던 차이점에 대해서도 탐색해보았다.

      • KCI등재

        『사랑과 교육』에 나타난 대립적 요소들의 문학적 함의와 글쓰기의 양상

        조민현 ( Cho¸ Minhyun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2 No.-

        19세기에 나온 다윈의 진화론과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는 과학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전 시대의 신학이나 형이상학적인 체계에서 벗어나 인간의 사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1902년에 출간된 우나무노의 『사랑과 교육』은 이러한 사상의 영향력이 컸던 시대에서 그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나타난 시대로의 전환을 배경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인식론적 전환은 작품 속에 제시되는 여러 대립적 요소들을 통해 나타난다. 작품 제목인 ‘사랑’과 ‘교육’이 그러한 면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은 이야기 전개에 따라 여러 모습으로 그 외연이 확장된다. 더불어 아비토, 풀헨시오 같은 등장인물들에도 갈등적이고 모순적인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대립적 요소들은 교육적인 관점이나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요소들을 바탕으로 한 우나무노의 근본적인 사상과 관련해서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작품 속 대립적 요소들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아우르면서도 그러한 요소들이 우나무노의 문학적 여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문학적 함의를 내포하는 데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사랑과 교육』에 대립적 요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제시되며 그 문학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어서 ‘현재 시점의 이야기’를 특징으로 하는 실제 글쓰기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Comte’s positivism in the 19<sup>th</sup> century, based on trust in scienc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human thinking, breaking away from the theological and metaphysical systems of previous eras. Unamuno’s Love and Pedagogy, published in 1902, set the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an era when such thoughts had a great influence, to an era when critical views on such ideas appeared. This epistemological shift is manifested through a number of contradictory elements present in this work. The title of the work, ‘Love and Pedagogy’, implies such aspects, and its connotations expand in various ways as the story unfolds. In addition, characters such as Avito and Fulgencio also show conflicting and contradictory aspects. Also, such factors we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Unamuno’s educational viewpoints or the fundamental ideas based on elements that are difficult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present study notes that the contradictory elements in this work have been mainly mentioned from the above-described perspectives, but in addition they contain literary implic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Unamuno’s literary journey.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plores how those elements are presented in the work and what their literary implication is, and subsequently examines the aspect of writing featuring ‘story in pres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