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춘천 우두동 출토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및 상관성 분석

        김수경 ( Su Kyoung Kim ),한민수 ( Min Su Han ),이명성 ( Myeong Seong Lee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0 문화재과학기술 Vol.15 No.1

        본 연구는 춘천 우두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토양과 토기에 대해서 성분과 구성광물, 소성온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거지에서 수습한 토양은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었으며, 점성과 가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성분 함량 분석결과, 토양에는 Fe<sub>2</sub>O<sub>3</sub>의 함량이 높고, 토기는 Al<sub>2</sub>O<sub>3</sub>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체적인성분함량 범위 안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광물은 토양과 토기에서 모두 유사했으나, 170호와 188호 주거지에서 수습된 토양에서 다량 포함된 녹니석과 장석류의 영향으로 MgO, K<sub>2</sub>O, CaO 등 일부 성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판별분석 결과, 토양과 토기가 서로 떨어져 존재하나 실제 구조행렬의 값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 화합물의 비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완전히 다른 차이라고 보기 어려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토양과 토기의 주요성분과 구성광물이 유사하고, 지역의 지질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으로 주거지 토양이 토기의 제작 재료로써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낙랑계 토기와는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material correlation between soils and potteri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of the soils and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Chuncheon Udu-dong site. The soils collected from dwelling had various colors and had plasticity.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ontent of major components, the content of Fe<sub>2</sub>O<sub>3</sub> was relatively high in soils, and the content of Al<sub>2</sub>O<sub>3</sub> was relatively high in potteries. However, within a wide range,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 of constituent minerals and major components of the soils with potteries, similarity was shown within a wide range. The major constituent minerals were similar in both soils and potteries, but some components such as MgO, K<sub>2</sub>O, and CaO were different due to the influence of chlorite and feldspar contained in large amounts in the soils collected in dwellings No. 170 and No. 188.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firing temperature of potteries through constituent minerals and thermal analysis, it can be divided into those estimated at 900~940℃ and those estimated at 800~900℃ regardless of the type.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soils and potteries exist apart from each other, but as can be seen from the values of the actual structural matrix,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due to the ratio of specific compounds. In conclusion, it is highly correlation that soils collected from dwellings were used as materials for potteries, as the main components and constituent minerals of soils and potteries are similar and reflect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However, it is judged to have a low correlation with the Lelang potteries,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 春川 牛頭山 素戔嗚尊 新羅國 曽尸茂梨의 虛構와 實體

        柳今烈(Ryu, Geum-yeo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8 아시아강원민속 Vol.30 No.-

        한국과 일본은 동양문화권역이면서도 한국은 대륙적인 문화이며, 일본은 해양문화를 기반으로 탄생한 신화는 이질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일본신화에 등장한 천조대신과 소잔오존을 한국의 건국시조 단군왕검과 한 형제로 기만하여 한국인을 일본인화로 습합하였다. 이는 단군왕검과 소잔오존을 동조동근론으로 날조하여 일본 천황 신민의 고굉으로 영구히 통치하려는 흉계에서 비롯했다. 일본신화에서 연원한 춘천 우두산에 소잔오존의 성역화는 내선일체의 식민통치에서 비롯한 허구성으로 본디 예읍의 추장 소시모리의 인명에서 생성한 우수국은 맥국의 성곽으로 칭하는 산세가 와우음수형의 전승을 통하여 일본신화와 무관한 지명이다. 조선총독부는 한반도 전역에 일본 신사를 세워서 천조대신을 진좌하여 조선인에게 경배를 강요하는 동시에 소잔오존이 신라국 증시무리에 잠시 거처하며 통치한 영도자로 부각시킨 춘천 우두산을 황국 융창의 유일한 성지로 정화사업을 추진하였다. 춘천 우두산은 증시무리의 음운이 소시모리와 유사한 소잔오존을 우두천황의 신격화로 1933년부터 증시무리신사의 건립을 발기, 1937년에 왜송과 벚나무를 식재, 1940년 황기 2600년 기원절에 지진제를 거행, 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으로 무산되었다. 고대 맥국의 소시모리에서 연원한 춘천 우수국과 우두산은 소잔오존의 성지로 왜곡한 신라국 증시무리는 우두산에 충렬탑을 세워서 정체성 회복에 일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일본인 마연화부(まぶちかずお)의 식민학설을 정설로 수용한 김종택과 이병선 등은 거창 우두산에 고천원 증시무리를 비정하여 식민사학이 부활하였다. 본 논고는 일제강점기 춘천 우두산에 소잔오존의 성역화로 인한 단군왕검의 고조선 역사를 궤멸시켜 일본혼의 발상지로 부각시켜 황국신민화의 성지를 전개한 과정의 실체와 허구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한향의 섬에 위치한 지금의 대마도에 저금신라국[고금신라국]에 소잔오존이 일시 유배지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일제가 춘천 우두산으로 왜곡한 신라국 증시무리에 소잔오존의 신화유적지는 허구성을 고증하는 동시에 거창 우두산과 고령에 고천원은 작위적인 일본 신화의 왜곡을 불식할 당위성이 대두된다. The identity of Korea and Japan originates from their founders of countries and myths. According to the Story of Ancient Japan, the oldest history book of Japan, "Amaterasu-Omikami", generated when Izanagi Taishin washed the left eye, is the monogonic brother and sister with "Takehaya Susanoo-no-Mikoto" generated when Izanagi Taishin washed the nose, Nihon Shoki, the Chronicles of Japan, shows that Susanoonomikoto, the younger brother of Amaterasu Omikami, is the same name with Takehaya Susanoo-no-Mikoto that appears in the Story of Ancient Japan. The Emperor Sinmu who founded Japan worships the Amaterasu Omikami, the god of sun in Gocheonwon, as the founder. Dangun Wanggeom of Korea has identity of the country founded in B.C. 2333, while Sinmu Emperor of Japan has identity of the country founded in B.C. 660, which cannot be in accord with the Foundation Day. Japan robbed Joseon of its sovereignty and fabricated the theory of Japan-Korea-same ancestor in connection with the Dangun Wanggeom of Korea and Amaterasu Oomikami of Japan. And furthermore, Japan falsified he history of Sillaguk Jeungsimuri, the place of exile in Shidai, as the holy ground in the Mt. Udu of Chuncheon, thus distorting the spirit of Koreans. Sillaguk Jeungsimuri in Shindai, Japan, is on the Island of Hanhyang, the Han Land on current Tsushima Island, which was wrongly represented as Jeogeum Sillaguk, the main production site of paper mulberry. The claim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who fabricated the history of Mt. Udo in Geochang, Gyeongnam and established Gocheonwon in Goryeong Gyeongbuk, is distortion of the fact that the country was founded in the year of 42 by Daegayaguk and nothing more than an unrelated colonial history that associates Oomikami and Susanoonomikoto in Shindai of Japan. A proposal made to build the shrine to assuage the soul of Soshimori, who ruled the territory of Maekguk and Usuguk in Mt. Udo, Chunche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 under the name of country symbolizing the history of Usuguk inheriting the Mt. Udu in Chuncheon.

      • KCI등재

        맥국(貊國) 문화 편린의 스펙트럼

        강명혜(Kang, Myeonghy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본고는 문화적 편린의 스펙트럼을 종합해서 맥국 실체를 구체화, 가시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기록과 기존 연구와 현지답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맥국(貊國)과 관련된 역사적 사료는 얼마 되지 않지만 『삼국사기』, 『고금군국지』, 『삼국유사』, 『고려사』 등과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춘천에는 ‘맥국’과 ‘맥족’이 있었다고 확신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문화적 측면에서 볼 때, 봉의산, 마적산(마작산), 맥산, 삼악산, 발산, 우두산, 샘밭, 용화산, 어둔리, 갑천, 병지방리, 태기산, 청일, 둔내, 신대리, 도주골, 투구봉, 옥산대, 백옥포 등과 관련된 설화와 지명이 모두 맥국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조선의 ‘선(鮮)’과 관련이 있는 신북면 설화 ‘우양마을이야기’는 뱀을 섬기는 풍(風)족인 맥국과 고조선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고구려 벽화에 등장하는 여와와 복희의 몸이 뱀(=용)이라는 점에서 고대사를 밝히는데 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추정할 수 있었다. 선조들이 남긴 문학작품 속에도 맥국과 춘천과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작품이 등장하는데 김시습이 지은 <도중(途中)>이나 신위가 춘천 부사로 있으면서 지은 『맥록』, 조선 후기 강현규의 <유금강산록>에도 맥국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이니 인지, 감상 등이 잘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신위는‘수춘(춘천)은 옛날의 맥국이다.’ 는 사실과 함께 공자가 살고 싶어했음도 서문에다가 밝히고 있었다. 그 외에도 춘천 지역 농악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군사나 전술, 진법 등과<군사훈련→전투→승리→축제>라는 스토리 구조를 보인다는 점에서도 맥국과의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강원도 전역에서 단오 그네를 뛸 때, ‘춘천이요!, 우두그네요!’라고 소리를 지른다는 점에서도 고대 춘천과 우두에는 강원도에 사는 모든 거주민이 선망하는 ‘무언가’, 즉 맥국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춘천에서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외바퀴수레놀이(차전놀이)도 고대의 수레놀이는 전투훈련이 목적이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맥국 문화 편린의 테두리 안에 넣을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맥적이나 맥궁 등의 용어나 춘천 지역 교가 등, 이 모든 문화 편린을 통해서 춘천에는 고대 맥국과 맥족이 있었음은 기정 사실이라는 결론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ocus on realizing and visualizing the reality of Mackook by synthesizing the spectrum of the cultural sec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field trip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only a few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the country, but existing research results such as 『Samguk Sagi』, 『Gogum Gungukji』, 『Samguk Yusa』, and 『Goryeosa』 showed that Chuncheon had "Macguk" and "Maekook race". Above all, from a cultural perspective, folktales and geomancy related to Bongui Mountain, Majeoksan Mountain(Majaksan Mountain), Maxan Mountain, Samaksan Mountain, Balsan Mountain, Udu Mountain, Sambat, Yonghwasan Mountain, Eudun-ri, Gapcheon, Byeongji-ri, Taegi Mountain, Cheongil, Dunae, Sindae-ri, Dojigol, Dojigol, Dojibongol, Dogubongol, Oksan Mountain, Oksan Mountain, and Baekokpo were all related to Mac. In particular, the Sinbuk-myeon folk tale "Story of Uyang Village," which is related to Joseon"s "Pung race"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Gojoseon, who serve snakes, which can play a key role in revealing ancient history in that the bodies of Yeowa and Bokhee in Goguryeo murals are snakes(=Dragon). In the literature left by his ancestors, there are works that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Chuncheon. Kim Si-seop"s <In the way>, Sinwi"s McRock, and Kang Hyun-kyu"s <Yugumgangsan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their thoughts on Mackook. In particular, Sinwi stated in the preface that Confucius wanted to live with the fact that "Suchun(Chuncheon) is an old beer soup." In addition, Nongak in Chuncheon showed a story structure called "Military Training → Battle → Victory → Festival" unlike other regions, and when playing Dano swing all over Gangwon-do, there was a MacGuk that all residents in Chuncheon and Udu in ancient Gangwon-do shouted, "Chuncheon!", “Udugienaeyo!”. In addition, the long-standing one-wheel cart game(chacha play) in Chuncheon could be put within the confines of the McGuk culture when it was recalled that ancient cartwheels were intended for combat training. In addition, through all these cultural expedients, such as terms such as Macjeok and Macgung, and the Chuncheon regional school songs, Chuncheon was able to converge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given that there were ancient Macgos and Mac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only assume that "Balsan" is currently a capital city of Macguk, but cultural expediency could have raised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Udu". What is clear is that it is foolish and foolish to eliminate history and culture thousands of years ago with shallow knowledge just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Such a serious matter will have to be promised a future generation.

      • KCI등재

        몽골文 史書와 근세 내륙아시아 연구

        김성수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3

        Recently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Qing history owes principally to the document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Archives of Taiwan,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and the several Provincial Archives in China. Besides of the documents in the Chinese script, these Archives above mentioned also includes a large number of the significant materials in Manchu, Mongolian, Tibetan, and Russian, most of which are the first-hand materials to research on the Early Qing politics,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nchu, Mongol, and Tibet, and the process to the formation of the Fan bu(藩部) system and so on. Most of the early Qing archival documents in Chinese, for example Qing shi lu, and military histories(fang lue) like as Qin ding ping ding shuo mo fang lue, originally translated from official chronicles in Manchu, which had composed by chosen Mongolian, and Tibetan records. In these days, scholarship on the Qing history start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the documents in Mongolian, because before Qing Dynasty established the Fan-bu system in the Mongolia, Tibet, and Xinjiang, during the 16-17th centuries, Mongols had controlled most of the Inner Asia, as Fan-bu Area of the Qing. But unfortunately little of the Mongolian archives has been published, besides of Mongɤol dangsa ebkemel-ün emkidkel, Dotoɤadu yamun-u mongɤol bičig-ün ger-ün dangsa and Arban doluduγar jaγun-u emün-e qaγas-tu qolbuγdaqu mongγul üsüg-ün bičig debter. In this paper, mainly discussed Engke amuγulang-un qorin jirγuduγar on-u dangsa from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These documents contain several significant sources on the history of the Khalkha Mongols, Dalai Lama’s diplomatic policy to the Qing and Mongols, and the Early Qing policy to the Mongols and Tibet and so on. For the research on the Inner Asian History during the 17thcentury, especially before Galdan of the Jungar Mongols had attacked the Left Wing of the Khalkha Mongols, these will show more evidence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Mongols and the Early Qing History. 최근 우리 역사학계는 시대를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사와 미시적이고 때로는 이를 바탕으로 한 거시적 통찰을 통해 새로운 단계의 시대 성격 논쟁을 준비하고 있다. 아직 명시적인 논의가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분석의 시대 기준, 지역의 한계, 중심과 부심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에서 작지만 그러한 방향성이 포착된다. 이러한 변화의 근간에는 유라시아에 대한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관점이 존재하며, 그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은 사료에 있다. 그간 존재를 알지 못했거나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사료의 발굴과 이용이 용이해지면서 관점을 달리하는 새로운 해석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심에 단연 몽골사 연구가 자리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사, 내륙아시아사, 몽골제국사, 포스트 몽골제국사, 청대 몽골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던 몽골의 역사는 최근까지도 시대의 성격을 논하기보다는 통사적 골격을 만드는 일에 급급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몽골사의 황금기였던 몽골제국 시대를 설명할 수 있는 사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했고, 그나마 몽골문 사료가 다수 남아있는 16세기 이후의 몽골사는 전체 몽골사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최근 라시드 앗 딘의 『집사』를 비롯한 페르시아어 사료가 소개, 번역되고 북경 第一歷史檔案館이 공간한 몽골문 사료가 이용되면서 몽골 제국과 제국 붕괴 이후 몽골사 연구가 풍성한 결실을 맺고 있다. 특히 중국사에서 청대에 해당하는 17~18세기 몽골문 사료에서는 앞선 제국기를 포함하여 몽골사 전체를 다룬 通史가 다수 편찬되었으므로 몽골 제국기 연구와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하겠다. 이에 필자는 16세기 이래 몽골문으로 정리된 사료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몽골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그간 청대 몽골사로 분류되었던 이 시기 내륙아시아사를 몽골을 비롯한 내륙아시아 구성원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6~7세기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 진출 양상

        심재연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8 新羅文化 Vol.31 No.-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으로의 진출은 적어도 眞興王 12(551)년경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된다 .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고분자료로. 이에 비하여 생활유적인 홍천 역내리유적, 어유포리유적 등으로 볼 때 적어도 6세기 중반경에는 군사적인 거점 내지는 임시 주거지 등으로서 영위된 물질증거는 확인할 수 있다 . 이후 고구려와의 공략과정 속에 한때는 이 지역을 잃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적어도 7세기 전반경에는 신라의 영역속에 완전히 편입되었으며 선덕왕 6년 우두주의 설치로 인하여 광역의 지방통치 체제에 편제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고고학적인 물질자료가 춘천 분지내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되는 고분군, 홍천 지역의 고분군 , 춘천~홍천간 국도상의 발견매장문화재 신고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춘천 우두동 평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통일신라기의 취락유적과 생산유적이 이를 더욱 뒷받침하여 준다고 생각된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