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해상보험법의 체계 및 구조에 따른 문제점에 관한 고찰

        남도현 ( Nam Do-hy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1

        세계무역 및 보험시장에서 미국이 관여하고 있는 규모가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음에 따라, 국제무역상 준거법으로 미국의 해상법을 채택하는 경우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기존의 영국 해상보험법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미국 해상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연방체제하에서 연방법과 주법이 병존하는 법체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연방법과 주법 사이에 적용법과 관할 재판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헌법은 연방의 사법권이 해사에 미친다고 규정함으로써 해사법은 연방법의 관할하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해사법은 해사에 관한 계약 등을 규정하고 해상보험계약은 해사에 속하는 것으로 해사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전속관할권은 연방법원에 부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사사건에 대하여 원고가 해사법이 아닌 일반 민사소송을 통하여 주법원에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 주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관한 소송에 대한 관할권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Wilburn Boat Co.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대하여 주법이 적용된다고 결정한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보인다. Wilburn Boar Co. 사건에서 연방법과 주법간의 선택의 기준은 연방해사법상 이미 성립된 판례법이 없다면 주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해상보험법 뿐만 아니라 향후 해사법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는 미국과 국제거래의 상대방에게는 법의 일관성이나 통일성의 결여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분쟁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국 해상보험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국 해상보험법이 속하여 있는 체계 및 그 구조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국제거래를 위한 실무상 대응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방법제 하에서의 미국 해상보험법 체계 및 구조상의 문제점에 대한 실무상 영향으로는 해상보험 관련 사안에 대한 적용법으로 미국 주법을 채택할 경우 해상보험의 국제 공통성 및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한 국제적 신용 하락과 잠재적 소송의 유인 및 해상화물 등에 대한 보험자의 인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약 당사자 간에 적용법 및 관할 재판지를 지정하는 유효한 약정을 체결하도록 하며, 미국 주법이나 주법원을 지정하기 보다는 보다 일관성이 있어 법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연방해사법과 연방법원을 적용법과 관할법원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As the scale of the US involvement in the global trade and insurance market is overwhelming, the adoption of maritime law in the United States as an international trade law is expanding.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S maritime law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aritime insurance law. Unlike Korea, the United States has a legal system in which federal and state laws coexist under the federal system. There i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of choice of laws and jurisdiction between the federal and state laws. The US Constitution states that maritime law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federal law by stating that the federal judicial power shall extend to all cases of admiralty and maritime jurisdiction. It means that the exclusive jurisdiction is given to the federal court since contracts for maritime affairs are governed by maritime law and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are subject to maritime law as the maritime affair. However, in the case that a plaintiff files a civil lawsuit for the dispute on the maritime affair in a state court rather than maritime lawsuit, the state court may have jurisdiction over the lawsuits related to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Especially in the case of Wilburn Boat Co., it is unprecedented that the Supreme Court to decide that state law applies to marine insurance contracts. In the case, the court stated that the case is governed by the appropriate state law if there was no federal admiralty law rule governing warranties in a marine insurance contract. These standards could affect cases related to the entire maritime law as well as the marine insurance law after the case of Wilburn Boat Co. This can be seen as increasing the uncertainty about the conflicts that may arise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of law for the counterparts of US on international trad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is requir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practical measures for the international trade. The practical impact of the systemic and structural problems of maritime insurance law could lead to the lack of international commonality and consistency of maritime insurance if the state law is applied to maritime insurance matters. In other words, the increase in legal uncertainty could cause a decrease of the international credibility, an increase of the potential dispute, and the problem of insurer to undertake the marine insurance.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clude a valid agreemen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to specify the applicable law and jurisdiction, and select the federal maritime law and federal courts, rather than the state law and state courts, as the applicable law for the maritime contract to provide more consistent and legal stability.

      • KCI등재

        미국 상사법의 개별입법화 동향

        김순석(Soon-Suk Kim)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4

        Since the jurisdiction of US private laws belongs to each state, there basically exists no federal law with respect to private matters. Therefore the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of commercial laws enacted by each state has become the major concern. The National Conference of Commissioners on Uniform State Laws and the American Law Institute, with the cooperation of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Uniform Commercial Code(UCC) in 1952 and has revised it continuously thereafter. However, the UCC does not cover all corporate laws and its contents are only composed of some parts of Korean Civil Code and Commercial Code. Therefore, the Corporate Section of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Model Business Corporation Act in 1950, which becomes the model law of state corporation laws. Regarding US insurance law, even though there is no model act, the New York Insurance Law and the California Insurance Law play major role in this field. As the jurisdiction of maritime law belongs to the federal government, several maritime laws are enacted as federal laws. This study analyzes US commercial laws in terms of general provision, corporation law, insurance law and maritime law by comparing Korean laws. It concludes that since the legal system of US commercial law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laws, it is not relevant to adopt US commercial law system to Korea.

      • KCI등재

        해상보험계약상 준거법 조항의 집행가능성에 대한 미국연방대법원 판례 소고

        권오정 한국해법학회 2024 韓國海法學會誌 Vol.46 No.2

        미국의 해상보험 법제는 개별 주단위에서 규제하는 보험법적인 측면과 연방 차원의 규율이 적용되는 해상법의 영역이 공존하는 복잡한 형태를가지고 있다. 1815년 DeLovio v Boit 사건에서 Joseph Story 판사는 연방헌법에 따른 해사관할권이 전통적인 먼 바다에서의 해상무역 혹은 항해와 관련된 사항 뿐만아니라 해상보험계약과 같은 해사 관련 영역에도 적용된다고 보았다. 1944년 연방 대법원에서 다수의 주가 관여된 보험계약에 대해 이를 주간 상거래(interstate commerce)로 보고 연방 반독점법이적용되는 것으로 판결한 사건이 있었다. 이후에, 반독점규제와 같이 주 법률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일부 연방법 적용 분야를 제외하고 오히려 전반적인 보험산업에 대한 주 법률의 적용과 규제권을 확립시키는 the McCarran-Ferguson Act (1945)가 제정되었다. 이러한 미국 보험법제의변화는 해상보험계약에도 영향을 미쳤다. 1955년의 Wilburn Boat 판결에서 미국 연방대법원은 해상보험계약상 워런티 위반과 관련하여 특정한연방 제정법이나 확립된 연방 해사 규정이 없는 경우에 연방 해상법 대신에 주법의 규정이 해상보험계약을 해석하고 집행하는데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다. 2024년 2월 미국 연방대법원은 보험계약에 포함된 준거법 조항의 집행이 해당 주의 공서조항과 충돌하는 경우 준거법 조항의 집행 가능성에 대한 쟁점을 다루었다. 대법원은 본 사건에서 계약상 합의된 준거법 조항상연방법 적용에 대한 예외 주장을 배척하고, 해상보험계약에서 준거법 조항이 추정적으로 유효하고 집행가능한다는 해상법 원칙을 확인하였다. 연방대법원은 연방 해상법과 규정이 확립된 경우 개별 주법보다는 연방 해상법의 통일적인 적용을 우선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번 연방대법원의 판결로 인해 미국에서 해상보험을 포함한 해상계약상 준거법 적용에 대한 분쟁에서 해당 주별 법규정을 일일이 살필 필요없이, 연방 해상법의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적용이 확인되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우리나라 해운기업이나 무역 업체의 경우도 미국의 거래상대방과 국제무역 거래에 수반되는 다양한 해상보험 및 해사 계약상 채택되고 있는 준거법 조항의 일관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Wilburn Boat 판결 이후의 미국 해상보험 및 해사계약상 법적 불확정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The U.S. marine insurance legal system is complex, with aspects of insurance law regulated by individual states and areas of maritime law governed at the federal level. In the 1815 case of DeLovio v. Boit, Justice Joseph Story established that maritime contracts, including marine insurance policies, were within the purview of federal admiralty courts. Shortly after a 1944 Supreme Court case in which the Court ruled that insurance contracts involving multiple states constituted interstate commerce and were subject to federal antitrust law, the McCarran-Ferguson Act (1945) was enacted, establishing the application of state law and the right of states to regulate the insurance industry as a whole, with the exception of federal intervention in areas not covered by state law, such as antitrust regulation. In the 1955 Wilburn Boat decision, the Federal Court held that in disputes involving breach of warranties in marine insurance contracts, state law, rather than federal maritime law, applies to interpret and enforce marine insurance contracts in the absence of specific federal enactments or established federal admiralty rules. In February 2024, the U.S. Supreme Court addressed the issue of the enforceability of a choice-of-law clause in an insurance contract where enforcement of the clause would conflict with the state’s strong public policy. The Court rejected an exception to the application of federal law in this case and affirmed the maritime law principle that choice-of-law clauses in marine insurance contracts are presumptively valid and enforceable. The Supreme Court held that where federal maritime law and regulations are established, courts should prioritize the uniform application of federal maritime law over individual state laws.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s positive in that it confirms the consistent and predictable application of federal maritime law in disputes over the application of governing law in marine insurance contracts and maritime contracts, without the need to examine the relevant state laws. For Korean shipping traders, the consistent application of the governing law clauses adopted in various maritime insurance and maritime contracts entailing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s with U.S. counterparties will help to resolve some of the legal uncertainties in U.S. marine insurance law and maritime contracts following the Wilburn Boat decision.

      • 북극해 영유권을 둘러싼 캐나다-미국 간 갈등의 국제정치

        라미경 한국해양안보포럼 2020 한국해양안보논총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이후 국제정치적 갈등 양상 중에서 강대국 갈등의 핵심 문제이자 전통안보의 바탕을 이루는 영유권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캐나다-미국 간의 뷰퍼트 해를 둘러싼 경계분쟁 갈등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하는데 이는 해양관할권 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의 전형을 이루고 있다. 캐나다는 이 해역의 해양경계선이 알래스카와 유콘 사이의 경계를 획정한 1825년 영-러 조약에 따라 “결빙한 바다까지(as far as the frozen ocean)” 서경 141도 자오선을 따라 200해리까지 획정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양국의 해안으로부터 등거리 선을 따라 해양경계를 획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1825년 조약은 육지 경계선만을 규율하고 있으며 이를 해양에까지 적용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양국 간의 입장 차이로 7,000㎢의 해역이 중복되고 있는데, 이곳에 상당량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어서 분쟁해결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양국 모두 이 해역에 석유개발권을 보유하고 있다. 유엔해양법협약은 북극을 아우르는 유일한 국제적 통치 기구이다. 여기에서 주지해야 할 것은 미국 국회가 유엔해양법협약을 비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뷰퍼트 해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캐나다와 미국의 갈등은 경계선 획정에 관한 각국의 입장을 내세울 뿐 물리적인 충돌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국은 환경문제나 해안선 구조 수색문제는 공동으로 대처하고 있고 북극권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는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견제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vereignty issue that forms the basis of traditional security and is a key issue in the conflict of the great powers among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political conflict since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onflict of border disputes over the Beaufort Sea betwee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is typical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ver maritime jurisdiction. Canada is 141 degrees west of the “as far as the frozen ocean” under the British-Russian Treaty of 1825, where the border of the waters defined the boundary between Alaska and Yukon, 200 nautical miles along the meridian Insist that it is going to be defined. This is to determine the ocean boundary line according to the land boundary line established in the treaty. The United States is in a position to delineate the ocean boundary along an equidistant line from the coasts of both countries.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7,000㎢ of water is overlapping, and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oil in this area, making it more difficult to resolve disputes. Both countries have oil development rights in these water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s the only international governing body surrounding the Arctic.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nited States Congress is not ratify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The conflict betwee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centered on the Buffert Sea, has put each country’s stance on the demarcation, but has not led to a physical conflict. Rather, the two countries are responding jointly to environmental issues and to search for shoreline structures, and are expressing voices of checks against China and Russia, which ar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Arctic Cir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