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해상보험법의 체계 및 구조에 따른 문제점에 관한 고찰

        남도현 ( Nam Do-hyu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1

        세계무역 및 보험시장에서 미국이 관여하고 있는 규모가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음에 따라, 국제무역상 준거법으로 미국의 해상법을 채택하는 경우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기존의 영국 해상보험법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미국 해상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연방체제하에서 연방법과 주법이 병존하는 법체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연방법과 주법 사이에 적용법과 관할 재판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헌법은 연방의 사법권이 해사에 미친다고 규정함으로써 해사법은 연방법의 관할하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해사법은 해사에 관한 계약 등을 규정하고 해상보험계약은 해사에 속하는 것으로 해사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전속관할권은 연방법원에 부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사사건에 대하여 원고가 해사법이 아닌 일반 민사소송을 통하여 주법원에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 주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관한 소송에 대한 관할권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Wilburn Boat Co.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이 해상보험계약에 대하여 주법이 적용된다고 결정한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보인다. Wilburn Boar Co. 사건에서 연방법과 주법간의 선택의 기준은 연방해사법상 이미 성립된 판례법이 없다면 주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해상보험법 뿐만 아니라 향후 해사법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는 미국과 국제거래의 상대방에게는 법의 일관성이나 통일성의 결여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분쟁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국 해상보험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국 해상보험법이 속하여 있는 체계 및 그 구조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국제거래를 위한 실무상 대응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방법제 하에서의 미국 해상보험법 체계 및 구조상의 문제점에 대한 실무상 영향으로는 해상보험 관련 사안에 대한 적용법으로 미국 주법을 채택할 경우 해상보험의 국제 공통성 및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법적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한 국제적 신용 하락과 잠재적 소송의 유인 및 해상화물 등에 대한 보험자의 인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약 당사자 간에 적용법 및 관할 재판지를 지정하는 유효한 약정을 체결하도록 하며, 미국 주법이나 주법원을 지정하기 보다는 보다 일관성이 있어 법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연방해사법과 연방법원을 적용법과 관할법원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As the scale of the US involvement in the global trade and insurance market is overwhelming, the adoption of maritime law in the United States as an international trade law is expanding.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S maritime law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aritime insurance law. Unlike Korea, the United States has a legal system in which federal and state laws coexist under the federal system. There i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of choice of laws and jurisdiction between the federal and state laws. The US Constitution states that maritime law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federal law by stating that the federal judicial power shall extend to all cases of admiralty and maritime jurisdiction. It means that the exclusive jurisdiction is given to the federal court since contracts for maritime affairs are governed by maritime law and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are subject to maritime law as the maritime affair. However, in the case that a plaintiff files a civil lawsuit for the dispute on the maritime affair in a state court rather than maritime lawsuit, the state court may have jurisdiction over the lawsuits related to maritime insurance contracts. Especially in the case of Wilburn Boat Co., it is unprecedented that the Supreme Court to decide that state law applies to marine insurance contracts. In the case, the court stated that the case is governed by the appropriate state law if there was no federal admiralty law rule governing warranties in a marine insurance contract. These standards could affect cases related to the entire maritime law as well as the marine insurance law after the case of Wilburn Boat Co. This can be seen as increasing the uncertainty about the conflicts that may arise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of law for the counterparts of US on international trad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US marine insurance law is requir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practical measures for the international trade. The practical impact of the systemic and structural problems of maritime insurance law could lead to the lack of international commonality and consistency of maritime insurance if the state law is applied to maritime insurance matters. In other words, the increase in legal uncertainty could cause a decrease of the international credibility, an increase of the potential dispute, and the problem of insurer to undertake the marine insurance.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clude a valid agreemen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to specify the applicable law and jurisdiction, and select the federal maritime law and federal courts, rather than the state law and state courts, as the applicable law for the maritime contract to provide more consistent and legal stability.

      • KCI등재

        미국 상사법의 개별입법화 동향

        김순석(Soon-Suk Kim) 한국기업법학회 2009 企業法硏究 Vol.23 No.4

        Since the jurisdiction of US private laws belongs to each state, there basically exists no federal law with respect to private matters. Therefore the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of commercial laws enacted by each state has become the major concern. The National Conference of Commissioners on Uniform State Laws and the American Law Institute, with the cooperation of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Uniform Commercial Code(UCC) in 1952 and has revised it continuously thereafter. However, the UCC does not cover all corporate laws and its contents are only composed of some parts of Korean Civil Code and Commercial Code. Therefore, the Corporate Section of American Bar Association enacted the Model Business Corporation Act in 1950, which becomes the model law of state corporation laws. Regarding US insurance law, even though there is no model act, the New York Insurance Law and the California Insurance Law play major role in this field. As the jurisdiction of maritime law belongs to the federal government, several maritime laws are enacted as federal laws. This study analyzes US commercial laws in terms of general provision, corporation law, insurance law and maritime law by comparing Korean laws. It concludes that since the legal system of US commercial law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laws, it is not relevant to adopt US commercial law system to Korea.

      • KCI등재

        업무상 질병의 인과관계에 관한 일고찰-상당인과관계를 중심으로-

        김덕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The problem of acknowledging occupational disease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which is a premise, in an insurance claim claim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s an occupational disease. In particular, how to prove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disease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recognition of work disease. There is no question that workers are currently responsible for proof of causality in relation to occupational insurance law. However, if the company's process is complicated and workers exposed to the work environment where chemicals are released, such as chemicals, suffer from chronic illnesses rather than acute illness, the workers are exposed to harmful risk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not easy to recogni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disease because it occurs after a while. Occupational disease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those of common diseases,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early, and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personally prove causality. Demonstrating occupational diseases often requires a high degree of medical and natural science knowledge. Therefore, as in the case of modern lawsuits such as toxic substances, pollution and medical lawsuits, the workers' compensation liability claim is virtually shifted to mitigate the burden of proof of worker's causal relationship, or the burden of proof responsibility by law. It has been argued that it must be specified as a user.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nd the limitations of remedies. Analyze the attitudes taken by the case. Finally, we will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actual causality, referring to the example of the United States, where many cases have been accumulated regarding recent European legislative trends and occupational diseases. 업무상질병의 인정 문제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상의 보험급여청구소송(이하 산재보험급여소송)에서 그 전제가 되는 재해가 업무상질병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업무와 질병사이의 인과관계의 존재에 대한 증명을 어떻게 하는지가 업무상 질병 인정 여부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현재 산재보험법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인과관계의 증명책임은 근로자에게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해당 기업의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그 과정에서 화학약품 등 독성물질이 배출되는 근무환경에 노출된 근로자가 급성이 아닌 만성적 질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근로자가 장기간 유해한 위험에 노출된 후 상당기간 잠복기간을 경유한 후에 발생하기 때문에 업무와 질병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직업병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해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근로자가 개인적으로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도 곤란하다. 업무상질병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의학적, 자연과학적 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독물질 ,공해, 의학소송과 같은 현대형 소송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재보험급여소송에서도 근로자의 인과관계 증명책임 부담을 사실상 전환시켜 근로자의 증명부담을 완화하거나 법률에 의하여 증명책임의 부담주체를 사용자로 명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기초로 먼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규정체계와 권리구제의 한계에 관하여 법적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 업무상질병의 인정기준으로서 유독물질에 의한 불법행위 및 반도체근로자의 상당인과관계에 대한 재 판례가 취하고 있는 태도를 분석한다. 끝으로 최근의 유럽의 입법동향이나 업무상 질병에 관하여 많은 판례가 축적되어 있는 미국의 예를 참고하여 사실적 인과관계의 적용가부를 검토하기로 한다.

      • KCI등재

        주제별 논단 : 통합금융법 제정의 기본과제 ; 통합금융법과 보험업에 대한 규제

        김형기 ( Hyung Ki Kim ) 한국금융법학회 2004 金融法硏究 Vol.1 No.1

        This research contemplated the status of life insurance industry under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Financial Act, from the Korea`s point of view in regards to the fundamental issue of whether the Integrated Financial Act is necessary, after analyzing it from the angle of both UK and US life insurance market chance as well as financial system change. In UK, almost every life insurance contract is regulated by the Financial Service Act. And the enaction of 「The Financial Services and Act」in June 2000 was gear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regulation authority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self regulator`s supervision was not properly functioning in such cases as the bankruptcy of The Baring Security Co. In US, Gramm-Leach-Bliley Act permitting the convergence of bank, security and insurance was enacted in October 1999. Thus the variable product has been controlled by the Federal Securities Act on the ground that the variable product is considered as security product which makes the insured (instead of the insurer) bear the investment risk. In Korea of traditional product-dominant market situation, US model can be a better substitute which applys market conduct regulation in life insurance selling, at the same time takes a separate legal measure in some products closer to the other financial product. Besides, if we seek to integrate financial laws, it is recommended that we have a reference to those countries with financial integration, such as US and Australia, rather than UK, while taking the Korean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미국 해상보험법상 연방법과 주법의 적용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에 관한 고찰

        박세현,한낙현 한국국제상학회 2022 國際商學 Vol.37 No.2

        Wilburn Boat 사건에 의해 해상보험 분쟁사건의 적용법에 주법의 선택을 시사한 판례법이 탄생한 이후 주법상의 비해상 판례법과 제정법도 상황에 따라 해상보험법을 충족할 수 있게되었다. Travelers v. Ocean Reef 사건에서 지방법원은 해상보험증권상 연방해사법을 엄격하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보험증권하에서 요트의 손해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할 책임이 없다고 판결하였다. 그런데 제11순회구 연방항소법원은 선장 또는 해원의 담보특약에 적용되는 해사법원칙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피보험자의 담보특약 위반의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결과적으로 플로리다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하여 지방법원의 판결을 번복하였다. 이와 같이 미국은 복잡한 법원칙이나 독특한 소송관행이 있으며 해상보험법도 그 환경 하에 있다. 본 연구에서 는 미국 해상보험법에 내재하는 문제로서 해상보험계약에 관한 준거법 선택과 관련된 문제를 분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영미법의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문제의 근원이 된 판례나 그 후의 판례법의 형성에 대한 분석을 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국법의 독특한 구조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분석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