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 Jong Nam Choi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 KCI등재

        梵・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translation by Kumārajī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 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籙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 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磧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 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 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 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 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 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 KCI우수등재

        만문(滿文)『화엄경속입법계품(華嚴經續入法界品)』에 관한 연구

        박서연(Park, Seo-yeo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만문으로 적힌 『화엄경속입법계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만문대장경은 목판으로 현존하며, 모두 108함(函)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엄경속입법계품』은 그중 제57함에 들어 있으며, 분량은 대략 10장 정도이고, 한 장의 목판에는 상․ 하 각각 31행씩 판각되어 있다. 제57함에는 화엄 계통의 소경(小經) 등이 들어 있는데, 『화엄경속입법계품』은 『보현소설경』과 『도세품경』사이에 위치하며, 경으로서의 어떤 형식이 없이 『보현소설경』에 바로 뒤이어서 만주어 경명과 본문 내용이 이어진다. 『화엄경속입법계품』의 경명은, 만주어에서 경(經)을 의미하는 ‘nomun’이 아니라 책의 편(篇)을 뜻하는 ‘fiyelen’으로 되어 있는데, 만문대장경의 편찬자는 『화엄경속입법계품』을 하나의 완결된 경이 아닌, 『화엄경』의 일부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화엄경속입법계품』의 내용은 마야부인이 선재에게 천주광 동녀를 소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덕생 동자와 유덕 동녀의 환주(幻住) 법문으로 끝난다. 또 만문『 화엄경속입법계품』을 한역과 비교해 본 결과, 지바하라(地婆訶羅)가 한역한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였으며, 선지식의 이름도 일치하였다. 하지만『화엄경속입법계품』에는 한역자인 지바하라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화엄경속입법계품』의 번역에 있어 몇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데, 범어 고유명사는 주로 음역하였고, 중국에서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온 한역 용어들은 그발음을 따라 만주어로 옮겼으며, 한역 용어의 뜻을 풀이하여 만주어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번역 용례들은 건륭제가 만주어의 쇠퇴를 막기 위해 실시한 만주어어휘 확장 정책과도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 edition of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Emperor Qianlong, the sixth emperor of the Qing Dynasty, ordered the original text to be translated into Manchu in 1773. The printing woodblocks for the Manchu Buddhist Canon fill 108 crates, and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is in crate number 57. Each woodblock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section, and there are 31 vertical lines in each section. There are also several sutras related to the Avatamsaka Sutra(華嚴經) in this crate.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is located between the Puxian suoshuo-jing (普賢所說經) and the Dushipin-jing(度世品經).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comes straight back from the Puxian suoshuo-jing without any form of sutra. It is noteworthy that its Manchu name is not ‘nomun’ which means sutra, but ‘fiyelen’ which means a part of the Avatamsaka Sutra. In other words, the translator seems to have regarded it as a part of the Avatamsaka Sutra. The contents of Huayan-jing xu rufajiepin starts with Māyā (摩耶)’s guidance Sudhana to go to see Surendrābhā (天主光) and ends with the preaching of Śrīsaṃbhava dāraka (德生 童子) and Śrīmati dārikā (有德 童女). I also compared its content with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Gaṇḍavyūha Sutra and found them very similar. I also found the content of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to be very similar to the Dafangguangfo Huayanjing ru fajie pin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 The names of the 11 sages mentioned in both are almost identical. However, I could not find the name of the translater, Jivahara, in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It seems that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al text of Huayan-jing xu rufajiepin. I also compared the terms used in both translations. Most of the Sanskrit proper nouns were transliterated into Manchu. In some places they transliterated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into Manchu, and in other places they actually translated the terms. In some instances they also coined new terms by combining Sanskrit and Manchu, such as the term ‘g‘angg‘a bira.’ They also translated the name ‘Sudhana’ into ‘Manibadara’ which means ‘precious sage.’ I believe that was done after studying the origin of the name ‘Sudhana’ in the Gaṇḍavyūha Sutra. That was a unique and practical means of translation. In conclusion, Emperor Qianlong had a policy of expanding usage of the Manchu language, and the Manchu version of the Huayan-jing xu rufajiepin was a direct result of this policy.

      • KCI등재

        건륭 시기 『대장경(大藏經)』의 만문(滿文) 번역과 짱꺄 쿠툭투 3세

        안윤아 명청사학회 2014 명청사연구 Vol.0 No.42

        佛教自元朝传入蒙古以来, 俗称喇嘛教的藏传佛教作为蒙古人们信仰的宗教, 而蒙古与西藏不同民族之间。清朝支持藏传佛教格鲁派, 采取"兴黄教以安蒙古"的政策, 便成为加强民族关系作出了积极作用。到乾隆朝评定准噶尔, 不止完成大一统多民族国家, 而且经过措施多年的宗教政策发挥作用。乾隆九年(1744)皇帝将昔日的潜龙府邸改建为藏传佛教寺庙, 成为清朝管理全国臧传佛教事务的京师地区的中心。之后来自西藏和蒙古地区的喇嘛聚居京师的益多, 随着完善驻京喇嘛制度和京师地区宗教地位的巩固, 管理教务方面提供力量和方便。 到乾隆朝中叶, 驻过雍和宫的大喇嘛呼图克图许多。其中来自青海地区的章嘉呼图克图自从雍和宫改庙以来一直掌管着京师的喇嘛印务和部分蒙藏地区的宗教事务来协助乾隆皇帝, 为乾隆朝的政治、文化作出贡献。这篇文章以乾隆朝的《满文大藏经》译经工作为中心, 探讨其对文化上的作用和清朝民族宗教政策的措施的成就。 乾隆元年(1736)伊始, 已在雍正朝奉召来京的章嘉呼图克图奉命译定《大藏经》。早在康熙年间《甘珠尔》译成蒙文刊行, 这时翻译蒙文大藏经《丹珠尔》。翻译经籍的佛教僧人需要宗教的虔诚和博学。皇帝长期以来的与章嘉呼图克图之间的公私关系, 被认主持翻译工作的最好人选。章嘉呼图克图乾隆十四年参与纂修《钦定同文韵统》, 也在进行翻译工作的过程中还编成蒙藏两种文字对照的字典, 即《正字贤者之源》等。完成《满文大藏经》的翻译和刊刻, 清朝具有汉ㆍ蒙ㆍ藏ㆍ满, 四体文字的佛教经典, 这一方面表明乾隆朝文化事业的成就, 另一方面表明清朝实行的宗教政策发挥的有效作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