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uropean Competition Law

        Joachim Jickeli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38 No.-

        유럽연합(EU)는 일반적인 시장 경제 단위 그 이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 내부 시장을 충족시키는 것은 여전히 유럽연합의 핵심적인 목표 중에 하나이다. 유럽연합은 경쟁과정에서 나타나는 왜곡과 방해에 대항해 보호되는 “매우 경쟁적인 시장경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유럽 경쟁 법은 지난 몇 년 동안 점차로 영향력을 얻었다. 그 첫째 이유는 유럽 경쟁 법을 해석하고 시행하기 위하여 당국과 법정에게 더 많은 권한을 주는 변화된 시행 시스템이다. 또 다른 이유는 유럽의 경쟁법과 국내 경쟁법의 범위를 나누는 불명확한 기준들이다. 인플레이션과 시장 중심 때문에 그 기준들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서 실제로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유럽의 카르텔과 흡수합병 통제는 유럽의 회사들 뿐 만 아니라 유럽연합 내에서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거래 총액을 가지고 있는 전세계의 다른 기업들에서도 준수되어야 한다. 삼성에 의한 캘리포니아 컴퓨터 생산업체 AST 리서치의 기업인수가 이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 단지 미미한 수량을 판매하던 삼성과 AST는 그 당시에 유럽 시장 점유율이 단지 2.5%에 지나지 않았었다. 그 회사들은 유럽연합 위원회에 흡수 통합 통지를 제출하지 않았다. 이 경우에 위원회가 비교적 소액의 벌금을 부과했지만 회사들은 위원회가 삼성/AST 사건에서 선례로 채택했던 것과 유럽경쟁법의 보다 깊은 인식을 요구했던 것처럼 장래에는 더 많은 벌금이 부과될 것이라는 것을 인지해야만 한다. The European Union(EU) is more than a common market and an economic union. Nevertheless, implementing the internal market is still one of the core goals of the EU. It aims to accomplish a highly competitive social market economy, protected against distortion of and interference with competition. The European competition law has gained increasing influence over the past years. One reason is the changed system of enforcement which gives nation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courts more competences to interpret and enforce European competition law. Another reason in the constant nominal thresholds which separate the scope of European and national competition law. Due to inflation and market concentration they are de-facto decreasing in the course of time. Furthermore, European cartel and merger control has to be observed not only by European companies but by any undertaking worldwide having small but not negligible turnover in the European Union. This has been illustrated by the take-over of the Californian computer producer AST Research by Samsung. Samsung marketed only marginal quantities in the EU and AST had a European market share of only 2.5% at that time. The companies failed to file a merger notification with the Commission. Though the Commission imposed comparatively small fines in that case, companies should be aware of higher fines in the future as the Commission might take the Samsung/AST case as precedent and might presume a greater awareness of European competition law.

      • KCI등재

        EU기능조약상의 환경보호체계에 관한 고찰 -환경 관련 통상조항을 중심으로 -

        박덕영 국제거래법학회 2011 國際去來法硏究 Vol.20 No.1

        The Treaty of Lisbon, which entered into force December 1 of 2009, is the impetus for change in the EU system. Thanks to the treaty, the EU now has legal personality and can officially take part in the global affairs using its own name. Also the treaty amended most of the TEU and renamed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mmunity to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Since the 1990s, global concern over the environment is growing and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doing their best to implement the mandato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of the Kyoto Protocol. Bearing this trend in mind, the EU has diligently focused on preserving the environment by imposing various conservation measures and now is regar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model case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But the probability of these EU measures acting as potential trade barriers against countries wanting to export to the EU is very high. As a result, the study over trade related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the EU is thriving in Korea. But even though an understanding of these regulations must be grounded on a basic knowledge of the provisions on environment and trade in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research. In other words, much of the scholarship is concentrated on specialized research supported by the industry and related organizations, while analysis on the provisions which are the prerequisites for such research is rare. This paper first reviews article 3 of the TEU, which declares the environment protection principle and is the fundamental clause on environment preservation inside the EU; articles 191-193, which constitutes part 20 of the TFEU and specifies the above principles; article 114, which stipulates the harmonization of domestic laws of EU member states; and other clauses directly regulating issues on the environment and their interrelation. Then it will touch upon articles 34 and 35, the key provisions on import and export quotas, and analyze, inter alia, how to interpret the exceptional clause of article 36 and what the current environmental trend of its interpretation i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rule of reason’ which has been developing through the ECJ rulings for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Expectations of an increase in trade with the EU are high after concluding the negotiation of the Korea-EU FTA in July 2009, but these hopes might be dashed because of the EU’s trade measures targeted on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ese trade measures are based on various regulations or directives which are grounded on environment related provisions of the EU treaties. Withou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se undertakings, the strategies Korean export firms can use when entering into the EU market are bound to be limited. Furthermore,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small businesses abandoning export plan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se barrier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a comprehensive program to lend aid to these small businesses. Also,Korea should actively adopt promising EU environmental measures to prepare beforehand for the ‘Age of Global Warming’.

      • KCI등재

        EU 집중관리지침

        김경숙 ( Kim Kyung-su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EU는 모든 회원국민들이 동일한 조건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교류하고자 하는 일관된 경제적 목표 하에 단일시장을 설립하여 운영해왔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상으로 저작물 이용이 가능해지자 EU에서는 디지털 단일시장에 대한 계획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웹캐스팅이나 온디맨드 방식의 음악 다운로드와 같은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의 유럽내 모든 지역에서의 이용에 대한 요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EU 내에서는 집중관리단체들간의 상호관리계약을 통한 라이선스라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온라인 음악서비스업자들이 회원국들의 음악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국간(cross-border) 라이선스 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른 회원국의 집중관리단체가 관리하는 다양한 레퍼토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집중관리단체와 일일이 상호관리계약을 체결할 필요가 있었는데, 상호관리계약에 의한 음악저작물이용은 집중관리단체가 관리하는 지역에 한해서만 가능하다는 지역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권리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권리자의 집중관리단체 및 신탁범위의 자유로운 선택, 계약해지의 자유, 집중관리단체의 사업운영의 투명성 등이 EU 전 영역 차원에서 요청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작권집중관리단체의 운영에서의 효율성 증진과 온라인음악저작권의 다국간 라이선싱을 촉진할 목적으로 2014년에 「저작권 집중관리 및 온라인 음악의 다국간 라이선싱에 관한 지침(EU 집중관리지침)」 이 제정되었다. 본고는 EU 집중관리지침의 입법배경과 구체적인 내용의 소개에 중점을 두면서, 우리나라에서 집중관리제도와 관련한 문제점 및 그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European Union (EU) has formed the European Economic Area (EEA) to establish and operate a joint market under the consistent economic objective of all Member States to exchange goods and services on the same terms in the internal market. As the Internet developed and works became available online, plans for the digital single market began to take shape in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2014/26/EU, regarding th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and the multi-territorial licensing of online rights in musical works, is part of a broader framework of initiatives that the European Commission had been promoting in the past years to facilitate the emergence of a European single market for the exploitation of musical works in digital format. According to Directive 2014/26/EU, since the position of collective management organisations (CMOs) in licensing and enforcing the rights collective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has changed tremendously, they are not able to rely on their monopoly and their dedication to act multi-territorially is required. Five years passed since Directive was established but it is difficult to discover the articles introducing the Directive 2014/26/EU except for fragmented trend-level introductions to the EU system with respect to the Directive. This article analyses the provisions of Directive 2014/26/EU.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through a comparative review with our CMO system.

      • KCI등재

        영국법의 동향 -브렉시트의 영향을 중심으로-

        오성근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9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UKʼs Brexit on UK law, especially corporate law.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take such study, an analysis was made of the business activities of the European Union (UE) and European Economic Area (EEA) and related basic rights of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TFEU), EU directives, and the overall UK legal system. In the case that there is a hard Brexit, it appears that there will be many restrictions on the operations of UK companies in the EU and EEA. For this reason, the establishment and transfer of companies that want to acquire legal status in the EU as well as cross-border mergers will be much more difficult than now. With regard to tender offers for companies, little impact is expected in the short term because of the history of UK and EU legislation; however, in the medium to long term, the gap between the laws of the UK and those of the member states of the EU may wide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Korean companies to prepare for this situation. An alternative is a soft Brexit. That is, if the UK participates in the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EFTA) after Brexit and becomes a member of the EEA, there should be no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activities such as freedom of movement.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UK and the EU will be important. To describe these contents, this study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Ⅱ EU legal system and the influence of Brexit on UK law, Ⅲ the impact of Brexit on corporate legislation, and Ⅳ concluding remarks. 이 글에서는 영국의 브렉시트가 영국법 특히 회사법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수단으로서 EU 및 유럽경제지역(EEA)의 기업활동과 관련이 있는「EU운영조약」(TFEU)상의 기본권, EU의 지침 및 영국의 법제를 개괄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검토의 결과 하드 브렉시트로 귀결되는 때에는 EU 또는 유럽경제지역에서의 영국의 기업이 EU에서 활동을 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EU의 법인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기업의 설립이나 기업의 이동, 그리고 국제적 합병이 현재보다 크게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의 공개매수와 관련하여서는 영국과 EU법제의 연혁상 단기적으로는 우려만큼의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영국과 EU회원국 법률 간의 간극이 확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기업으로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하여 소프트 브렉시트, 즉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에도 유럽자유무역연합(EFTA)에 참가하고, 유럽경제지역(EEA)의 가입국이 되면, 기업의 이동의 자유 등 기업의 활동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영국과 EU 간의 개별협정의 내용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내용을 기술하기 위하여 이 글의 전개순서는 Ⅱ. EU의 법체계와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법의 영향, Ⅲ. 브렉시트가 회사법제에 미치는 영향, Ⅳ. 맺음말 순서로 하였다.

      • KCI등재후보

        EU Competition Policy and its Exterritorial Application: Case of Korea-EU FTA

        ( Tomasz Wierzbowski ),( Eui Chan 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문화와 세계 Vol.2 No.1

        역사적 맥락에서 오늘날의 유럽연합(EU)의 통합과 발전은 유럽 대륙을 끔찍하게 파괴한 제 2 차 세계 대전 이후 성공적인 경제 회복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제 2 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국가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더 나은 유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고, 유럽 경제의 회복과 유럽 통합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왔다. 이러한 유럽 통합 실현의 첫 번째 단계는 경제 분야에서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결과를 창출해내는 것이었다. 경제 통합은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통합에 비해 국가적 저항이 적은 분야로 유럽 국가들의 경제 개발 계획과 맞물려 통합이 용이한 분야였다. 그리고 유럽의 경제 통합에 있어 경쟁 정책은 가장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경쟁 정책은 기업이 가능한 최상의 가격으로 최상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저해하는 반 경쟁적 행동을 방지하고 보다 원활하게 기능하는 시장의 형성을 촉진하는 정책으로 EU 와 회원국들은 오랫동안 경쟁 정책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오늘날 EU 경쟁 정책은 EU 경쟁법에 따라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는 기업에 의해 시장이 왜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요 정책 중 하나이다. 특히 국제 무역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경쟁 정책의 역외 적용은 국제사회에서 경쟁 정책과 관련된 분야를 선도하는 행위자인 EU 의 입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경쟁 정책은 유럽 통합의 첫 번째 단계가 경제 통합이라는 점과 복잡성이 증가하는 국제 무역 환경에서 경쟁 정책의 역외 적용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In the historical context, today’s EU development started from the successful economic restoration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at ghastly destroyed European continent. After the Second World War, European countries actively cooperated to restore European economy and accelerated European integration in order to develop better conditions in Europe in many fields. The first step of this realization of European integration was to promote and create economic integration actively, because economic integration was the easiest field to draw European countries’ attraction and their hospitality for cooperation. Theoretically, competition puts businesses under constant pressure to offer the best possible range of goods at the best possible prices, because if they do not, consumers have the choice to buy elsewhere. To preserve well-functioning product markets, authorities must prevent or correct anti-competitive behavior. In this sense, EU and its Member States have developed and maintained fair trade with competition policy for a long time. Now EU Competition Policy is one of the main policie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efforts of government could not be distorted by corporations abusing their market power under the EU Competition law. EU Competition Policy is one of the success stories of Europe.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EU Competition policy as a part of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is notably significant in that economic integration was the first stage of European integration. Furthermor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competition is one of the main strengths for international trade with other countries because the EU is the leading actor in the field of competition policy.

      • KCI등재

        EU 사법재판소의 개인정보관련 판례에 대한 고찰

        함인선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2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rought new challeng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The scale of data sharing and collecting has increased dramatically. Technology allows both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authorities to make use of personal data on an unprecedented scale in order to pursue their activities. Individuals increasingly make personal information available publicly and globally. Technology has transformed both the economy and social life. Building trust in the online environment is key to economic development. Lack of trust makes consumers hesitate to buy online and adopt new services. This risks slowing down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uses of new technologies. The protection and free flow of personal data therefore play a central role. This article is composed of 4 Chapters as follows ; Chapter Ⅰ Introduction, Chapter Ⅱ The Personal Data-related Cases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hapter Ⅲ The Comparison with the related Cases in Korea, Chapter Ⅳ Conclusion. 최근 개인정보와 관련한 움직임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EU의 개인정보 관련지침의 개정동향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 EU는 1995년 10월에 개인정보관련 지침(이하 ‘지침 95/46’이라 한다.)을 입법하였다. 동 지침은 EU에 있어서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일반법적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서, 그 규정에 의해 다수의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EU는 2012년 1월 25일에 현행 지침 95/46을 대체하는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안(이하 ‘2012년 규칙안’이라고 한다.)을 공표하여, 입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새로 공표된 2012년 규칙안은 법형식에 있어서 ‘지침’(Directive)이 아니라 ‘규칙’(Regulation)이라는 점, 새로운 정보기본권(예컨대, ‘잊혀질 권리’, ‘정보이동권’ 등)을 명시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점, 위반 시에 강력한 제재규정을 두고 있는 점 등에서 그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EU의 개인정보관련 연구는 주로 법제에 치중하여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개인정보관련 운영 실제를 알기 위해서는 법제와 아울러 그러한 법제가 실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입각하여, EU 사법재판소의 개인정보관련 판례의 주요내용을 지침 95/46과의 관련에서 사건의 법적 쟁점이 된 개인정보의 내용에 따라, 개인정보의 개념, 정보주체의 권리, 개인정보의 처리, 개인정보의 보호와 표현의 자유 및 개인정보 감독기관의 순으로 나누어 고찰한 다음, 이 가운데에서 특히 우리나라 법제 및 판례와의 관계에서 공통된 기반을 갖는 개인정보 자체, 정보주체의 권리, 개인정보의 보호와 표현의 자유 등 다른 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생성된 관련판례를 우리나라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의 그것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 KCI등재

        Patents on Standards -Highwaymen in Ambush or Driving Force for Innovation and Competition?-

        ( Picht Peter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3

        The article first analyses the interplay between standard-setting and patents. Especially de iure product-standards have a major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nd they can generate a number of very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vulnerability of markets that depend on a standard can impose a great danger. Due to the network effect and other factors, the disadvantages of switching away from a standard to another can be so high that markets and market players adhere to a standard even if this entails severe disadvantages. This effect can give much power to a market player controlling the standard, for example by holding a patent that covers a technology which forms a part of the standard. All safety measures against abusive behavior of such patent holders require that the patent and its relevance to the standard are known in advance. A patent holder may, however, conceal a standard-relevant patent, wait until the standard is implemented, and then demand high royalties to the standard users. This scenario can be called a patent ambush. The article then analyzes one of the most famous patent ambush-cases, the Rambus case, and shows how differently this case has been handled in the US and Europe respectively. Core problems in the handling of patent ambushes become evident in the Rambus case: relevant patents and their holders are not necessarily identifiable. The right to proscribe the use of a patented technology and the right to grant a license only in return of a royalty payment are core elements of the protection a patent confers. To restrain those powers in patent ambush cases means interfering heavily with the patent law system and its coherence. The protection and the rewards an intellectual property confers are very important incentives that help to foster a dynamic and innovative economy capable of generating public welfare. Therefore, interfering with rights conferred by standard-relevant patents is potentially very dangerou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rticle discusses several possible solutions to the patent ambush-problem, i.e. contract law, patent law, and competition law. As this exercise shows, patent law may be the most appropriate area of law to deal with patent ambushes but it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 effective and widely accepted instrument.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is, for the time being, still necessary to assure the prevention of harmful patent ambush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