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가법상 도주죄에 있어서의 구호의무

        황일호(Il Ho Hwang) 중앙법학회 2009 中央法學 Vol.11 No.3

        The crime of hit and run driving is a crime which is stipulated under heavy punishment against the hit and run driver in traffic accident in view of difficulty of investigation and high level of criticism on it. It is quite clear that pertinent driver is under obligation to render assistance to the victim in the Crime of Fleeing without Rendering Assistance on the The Road Traffic Act which is element of constituting crime of hit and run driving under The Extraordinary Criminal Act for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However regarding other required actions it is stipulating comprehensively thus specific fact is entrusted to theory of interpretation. In the crime of hit and run driving under the Extraordinary Criminal Act for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it is stipulated as `when the pertinent driver fled without performing duty of rendering assistance provided in Clause 1, Art. 54 of the Road Traffic Act.` Thus over the concept of fleeing there is a room of controversy of interpret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sufficient when simply duty for stopping the car and rendering assistance was carried out or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duty of identification by the pertinent driver as decided in the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It seemed that Supreme Court`s decision not recognizing the crime of hit and run driving under the Extraordinary Criminal Act for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in case of light traffic accidents in no need of assistance by relenting strict law application in the earlier stage is reasonable. However Supreme Court`s including duty of identification in the contents of rendering assistance by the driver involved in the accident has not legal basis and it is contrary to interest protected by law and purpose enactment of Extraordinary Crime Act for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and also against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al Law prohibiting of making disadvantageous statement against oneself and also against guaranteeing right to remain silent under Criminal Proceedings Ac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hange Supreme Court`s precedent of punishing hit and run driver who failed to carry out duty of identification under the Extraordinary Criminal Act for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in a manner of focusing more on protecting life and body of the victim of traffic accident which is purpose aimed by the law on crime of hit and run driving under the Extraordinary Act on Heavy Punishment on Some Crimes as early as possible.

      • KCI등재

        일본 위험운전치사상죄의 개정현황과 그 시사점

        김연주 ( Kim Yeon-jo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3

        현대 산업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경제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한 교통의 발달은 우리 생활의 편의성을 높여 주었지만, 교통범죄의 피해자가 될 위험, 나아가 사고에 있어서 가해자가 될 가능성에도 적지 않게 노출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통범죄 중 특히 중요하며 대표적인 것은 바로 음주 또는 약물운전과 관련된 것이다. 이는 음주 또는 약물의 영향에 따라 그 인지능력 저하 등의 영향이 증가하여 결과발생에 있어서 더욱 심각한 피해 발생 우려가 다분하여 그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이에 따라 한국은 음주운전으로 인한 피해에 엄중한 대처를 위하여 2007년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11 위험운전치사상죄를 신설하였다. 한국보다 앞서 일본은 이미 2001년 형법 제208조의 2에 위험운전치사상죄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였고, 이후 2013년 11월 27일 자동차운전사상행위처벌법이 공포되어 2014년 5월 20일에 시행되었다. 한국은 일본의 위험운전치사상죄에 상당한 영향을 받아 신설되어 일본과 마찬가지로 “위험운전”이라는 표현을 쓰면서도 그 내용적으로는 음주 및 약물운전에 대한 것만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위험”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보다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 일본의 위험운전치사상죄에 비하여 그 내용적 빈약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일본의 위험운전치사상죄는 신설 당시 비난 여론에 힘입어 성급히 추진되어 안정적인 것을 추구하며 변화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일본스러운 침착함을 조금 잃고 그 부적응 및 부작용으로 비교적 빈번한 개정이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따라서 이는 일본의 위험운전치사상죄에 영향을 받은 한국의 위험운전치사상죄가 고려하여야 할 시사점이 될 것이다. 다시말해, 현재 한국의 위험운전치사상죄는 실효성 및 적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위험”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운전치사상죄에는 음주와 약물의 영향으로 인한 부분만 있다. 뿐만 아니라 위험운전치사상죄와 음주운전과 같은 도로교통법상의 범죄는 나름의 상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본의 위험운전치사상죄 상에서 나타나는 유형이 도로교통법 상에서 신설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위험운전치사상죄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그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험한 운전으로 인한 사상사고에 대한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대처를 위해서는 위험운전치사상죄에 대하여 보다 더 근본적이고 충분한 검토와 심도 깊은 논의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hich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al technology, improved the convenience of our lives but exposed us to the danger of becoming victims or perpetrators in traffic accidents. Among the traffic crimes, the most prevalent is related to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drugs. The influence of drinking and drugs lowers the cognitive ability, leading to more serious results in accidents. Accordingly, to strictly handle the accidents resulting from drunk driving,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rticle 5 Section 11 of Additional Punishment Law on Specific Crimes in 2007. Prior to Korea, Japan had already established a provision for the crime of fatal driving in Article 208 Section 2 of the criminal code in 2001, an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Fatal Driving was established in November 2013 and was enacted on May 20, 2014. With the influence of Japan’s crime of fatal driving, Korea uses the term ‘fatal driving’ as Japan but regulates only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drugs. With the use of the term ‘fatal’, the Korean act is incomprehensive compared to Japanese law, which includes various types of crimes. Rather than taking the typical Japanese way of pursuing stability and being careful in making changes, the law was pushed forward hurriedly by public opinion so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lead to frequent revisions due to maladjustment and side effects. Therefore, this would be some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pplying the Korean act on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In other words,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of Korea’s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Despite the word ‘fatal’,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only includes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drugs. In addition, crimes related to traffic laws such as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nd drunken driv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newly made provisions are from the laws that are seen in Japan’s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This can also serve as a factor to fade the meaning of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nd impair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and rationally cope with accidents caused by risky drivi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have a more fundamental and thorough examination and in-depth discussion of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 KCI등재후보

        교통범죄의 현황과 처벌 규정에 관한 연구 -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및 뺑소니운전을 중심으로 -

        이범오(Lee Beom-O),최순호(Choi Soon-Ho)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4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자동차 관련 산업은 성장위주로 발전했다. 자동차의 증가로 교통환경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른 교통범죄도 증가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 자동차 교통범죄에 대한 대응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형사처벌과 행정처분을 부과하는 처벌위주의 정책을 집행하여 왔으나 쉽게 근절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동차와 관련된 교통범죄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근절되지 않고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및 뺑소니운전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교통범죄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고,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등 공식적인 통계를 토대로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사회적 파급력이 큰 음주운전, 무면허, 뺑소니운전과 관련된 대법원 판례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둘째로,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범죄의 단속 및 처벌법규는 일반법으로는 형법, 특별법으로는 도로교통법, 교통사고처리특례법,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 적용 법률이 산재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점과 실태를 연구하였다. 셋째로 교통범죄의 효과적인 대응방법으로 경찰 등 사법기관,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등과의 상호 협력방안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해지고, 다양화 되어 가는 교통범죄에 대하여 주요 교통범죄의 현황, 처벌규정 등을 고찰함으로써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Until now, the automobile-related industry in Korea has developed mainly for growth. With the increase of automobiles, the traffic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and traffic crimes have also increased accordingly. Until now, Koreas response to automobile traffic crimes has traditionally been a punishment-oriented policy that imposes strong criminal and administrative penalties, but it is not easily eradicated.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focusing on drunk driving, unlicensed driving, and hit-and-run driving, which have not been eradica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cause many social problems. First, the concept and status of traffic crimes were examined, and based on official statistics such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Road Traffic Authority,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drunk driving, unlicensed driving, and hit and run driv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ublic life and have a large social impact, were reviewed. . Second, the current laws for the control and punishment of traffic crimes in Korea are scattered with applicable laws such as the Criminal Act as a general law, the Road Traffic Act as a special law,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Handling, and the Aggravated Punishment Act for Specific Crime. Third, as an effective way to respond to traffic crimes, a mutual cooperation plan with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the police,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was deriv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traffic crimes that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major traffic crimes and punishment regulations.

      • KCI등재

        노인교통범죄 추이분석과 대책방안

        박숙완 ( Park Suk-w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4

        노인교통범죄는 사소한 질서위반 행위에서부터 타인의 생명과 신체에 대한 중대한 침해행위로까지 그 피해가 특정개인에 국한되기보다 장소와 시간 그리고 불특정다수의 전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교통범죄 피해가 매우 심각한 수위까지 도달하였다. 그 결과 노인교통사고의 발생으로 노인교통범죄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교통사고범죄는 운전자 - 자동차 - 도로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이 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노인교통범죄자 즉 교통약자 중심의 규제방식으로 전환시킬 것인가가 중요한 노인교통범죄의 해결방안 문제로 귀결된다. 나아가 노인은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젊은이들과 다른 특성을 갖고 삶을 영위한다. 노인이 피해자든 범죄자든 일반 평균인과는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고 수사나 재판절차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서 범행동기, 과정, 결과 및 향후 발생되는 부작용이나 회복에 있어 적정한 사법절차가 진행될 수 있고, 노인교통범죄자들의 처우나 사법복지가 제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인교통범죄와 관련된 공식통계자료를 중심으로 한 노인교통범죄 발생 실태 및 교통범죄추이 분석을 통해 나타난 노인교통범죄의 급증현상에 대한 효과적인 교통범죄예방과 실질적인 처우, 나아가 노인교통범죄에 대한 접근방식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인교통범죄방지 대책방안으로서 형사정책적, 사법복지적, 노인교통복지적, 노인교통공학적 그리고 융복합적연구 측면에서 대책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In the case of the elderly traffic crime, from the violation of minor order to the serious infringement of life and body of others, the damage may occur not only to a specific individual but also to place, time, Traffic crime has reached a very serious level of damage. As a result, elderly traffic accidents have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due to the elderly traffic accidents. However, elderly people live life with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young people. Whether the victim or the offender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verage, the elderly should understand and proceed with the investigation or trial process. By doing so, proper judicial procedures can be carried out in terms of motive, process, outcome and future adverse effects or recovery, and protection and justice welfare of elderly traffic criminals can be implemented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elderly traffic crim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ffic crime on elderly traffic crim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oach to the crime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and measures to prevent the elderly traffic crime.

      • 고령화 사회의 노인 교통범죄 추이에 관한 연구

        김순석(Kim, Soon-Seok) 한국범죄심리학회 200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4 No.1

        이 연구에서는 인구 노령화를 염려하는 사회 각계의 우려와 때를 같이 하여 일각에서 제시하는 인구 노령화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특히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특별한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노인의 범죄화, 그중에서도 특히 노인 교통범죄의 발생과 관련하여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자료들과 범죄관련지표들을 수집․분석․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인구의 급격한 노령화 현상이 노인 범죄의 증가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특히 교통범죄의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노인교통범죄의 증가 원인으로 신체적 나이는 과거보다 젊어졌음에도 사회적 나이로 인하여 퇴직을 경험하는 노령층이 재취업이나 사회보험 등의 혜택으로 경제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노령층에 의한 교통범죄가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인구 노령화가 지금보다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에 더욱 큰 사회문제로 자리 잡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노인문제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교통문제와 관련하여 노령층이 가지게 될 비중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향후 교통관련 법령의 정비 및 교통 시스템의 재정비에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후적 단계에서 교통범죄로 인한 노인 범죄자의 보호와 구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Our aging population has been sharply increased in numerical aspect due to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by the continuous decrease in death rate, and this situatio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ccordingly, problems of population aging are rising as significant issue from socioeconom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made an approach b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blem of population aging and specially, collecting, analyzing and reorganizing existing data in relation to crimes of the elderly who form a special class in physical, mental, and economic terms - in particular,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harp population aging is related with increase in elderly crimes as well as increase in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and such increase in traffic-related crimes of the elderly causes more possession of cars as the elderly who retire from office due to sociological age have better economic status by the benefit of reemployment or social insurance, which results in traffic-related crimes. To solve out the said trouble, social interest in the problems of aging and the relation between aging and traffic-related crimes should be examined again,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upon arrangement of traffic-related laws and rearrangement of traffic system.

      • KCI등재

        교통법규위반과 죄수(罪數)

        정신교(Jeong, Shin-Kyo)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文集 Vol.37 No.1

        Counting for crime is a theoretical field of theory of crime dealing with an issue on criteria about counting on numbers of crime. Violations of traffic laws and regulations mostly consist of several overlaid violative actions in traffic accidents, resulting in uncertainty of the number of violations, or crimes. Therefore, administrative agencies consistently tend to deal with traffic violation cases through relatively light punishments to get rid of disputes related. That being said,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over the matter in the sense that some clear criteria are necessarily clarified with regard to such cases as driving all the way to Busan from Seoul violating the bus-only lane regulation at the risk of penalties and fines, violating speed limits quite a few times while driving to Daejeon from Seoul and driving under the influence against safety. In that sense,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raffic culture in Korea by theoretically establishing a standard for the number of violations, or crimes, against traffic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our daily lives.

      • KCI등재

        웹 검색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범죄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박정민(Jung-Min Park),정영석(Young-Suk Chung),박구락(koo-Rack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1

        현대 사회는 다양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범죄를 예측 하는 것이 필요하고, 범죄 예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범죄 관련 데이터는 검찰청에서 1년에 한번 통계처리를 하여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처리 된 자료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약 2년 전의 자료로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데이터로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범죄를 예측하는 데이터로 네이버 트랜드를 적용했다. 네이버 트랜드의 웹 검색 트래픽을 이용하면,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관심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네이버 웹 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을 구성하였고, 예측 이론으로 마코프 체인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범죄 중 살인, 방화, 강간을 대상으로 예측 모델링에 적용하였고,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 발생한 범죄 발생 빈도수를 기준으로 20% 이내의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향후에는 계절의 특성을 고려한 범죄 예측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In modern society, various crimes is occurred.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criminal in order to prevent crimes, various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crime is in progress. Crime-related data, is announced to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once a year from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However, relative to the current point in time, data that has been statistical processing is a data of about two years ago. It does not fit to the data of the crime currently being generated. In This paper, crime prediction data was apply with Naver trend data. By using the Web traffic Naver tre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data of interest level for crime currently being generated. It was constructed a modeling that can predict the crime by using traffic data of the Naver web search. There have been applied to Markov chains prediction theory. Among various crimes, murder, arson, rape, predictive modeling was applied to target. And the result of predictive modeling valu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got the same results within 20%, based on the value of crime that actually occurred. In the future, it plan to advance research for the predictive modeling of crime that tak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

      • KCI등재

        해상교통사고 과실범과 공동정범에 관한 고찰

        박상식,김두상 한국해양경찰학회 2014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4 No.2

        현재 해상교통에 관한 관계법규나 논의는 부족한 측면이 적지 않다. 해상교통사고 는 육상교통사고와 다르게 신뢰의 원칙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처리특례법과 같은 특례법이 입법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상교통사고 관여자에 대한 처벌이 육 상교통사고 관여자 보다 처벌이 가혹하다. 특히 과실에 의한 사고인 경우에도 큰 처 벌을 받는 것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처럼 육상인가 해상인가에 따라 그 처벌이 달라져 해상근무자를 범법자로 취급 하는 것은 사회적 통합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형법의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과실에 의한 교통범죄에 대한 형사처벌은 가급적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형사처벌 은 질서유지를 위한 우리 사회의 최후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과실범의 공동정범에 대하여 대부분의 학자들은 죄형법정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 법치국가에서 자신의 행위가 아닌 공동행위자의 행위로 인한 결과까지 책 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부당하다는 이유로 부정하고 있다. 즉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를 “2인 이상이 공동의 주의의무를 위반으로 죄를 범한 때”로 확대해석하여 처벌하는 현재의 관행은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다. 법관은 법률의 명확성의 원칙을 고려하여 입법자가 선택한 법개념을 가능한 한 좁게 해석하여 가벌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례가 공동정범을 넓게 인정하는 것은 입증의 편의를 도모하 여 법원의 사건처리 부담을 덜고 이론보다는 양형에 의해 구체적 타당성 있는 해결을 하면 족하다는 사고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론적 통일성 을 포기하는 것은 그 자체가 문제일 뿐만 아니라 피고인에게 지나치게 불리한 해석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법률에 명확한 근거 없이 과실범의 공동정범을 처벌하는 관행은 조속히 중단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here are shortages of discussion and rule that are ralated to marine traffic. Because marine traffic accident, unlike overland traffic accident, is excluded from principle of trust and laws covering special cases lik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are not enacted, punishment of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is more severe than punishment of a participant in overland traffic accident. Especially it has room for improvement of that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caused by negligence is severely punished. Like this, because the punishments depend on whether accident is marine traffic accident or overland traffic accident, in aspect of social integration, it is not desirable that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is treated as offender. So, according to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criminal law, criminal punishments of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caused by negligence have to be refrained as much as possible. Namely criminal punishment has to be done as a last measure for maintenance of order. And most of scholars deny co-principals of crimes of negligence by reason that taking responsibility for result that is caused by behavior of joint doer is unjust in a law-abiding country that is based upon principle of legality. Namely,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with current practice that judge expand meaning of when two or more people commit crime jointly into when two or more people violate duty of care and punish. Judge has to be careful not to expand possibility of punishment, regarding principle of clarity in law and interpreting narrowly the legal concept that legislator select. Nevertheless, that precedent admit co-principal is based on thinking of “If, considering convenience of proving, load of handling of events of court is lightened and court make resolution that contain specific validity by using determination of punishment rather than theory, it will be enough.” But, like this, abandonment of unity of theory is a problem in itself and, in addition, it can cause interpretation that is excessively unfavorable to defendant. Therefore, practice that co-principals of crimes of negligence are punished without clear basis of law has to be stopp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철우,강소영 한국경찰연구학회 2014 한국경찰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2012년 하반기 경찰청에서 실시한 국민 체감안전도 조사 자료인 2차 데이터를 바탕으로 체감안전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찰청 고객만족센터의 무작 위 전화면접조사(CATI: Computer Aided Telephone Interview)방법으로 총 9,045명에 대하여 설문방식으로 이 루어졌으며, 결측자료 3,841건을 제외한 5,204건을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가시적 경찰활동은 범죄, 교통, 질서안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각각의 요 인들은 체감안전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경로분석결과에서는 가시적 경찰활동이 범죄안전에 가 장 강한 영향을 주었고, 범죄안전 요인은 체감안전도에도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범죄, 교통, 질서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가시적 경찰활동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무엇보다 치안사각지 대의 범죄안전 그리고 고질적인 교통 및 무질서에 대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과정에서는 체감안전도를 조사하는 도구에 대한 한계점도 발견하였는데, 조사에 반영되지 못한 개인 및 거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내용들이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relations among factors that affect fear of crime in relation with policing. In result, the factor of visible policing g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from the crime, traffic safety, and social order. In terms of indicators for fear of the crime, it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them(safety from the crime, traffic safety, and social order. Considering influential relation among given factors, visible policing was one that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safety from the crime, while the factor of safety from the crimes was record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erms of relation with indicators for fear of the crime. According to the result, alternatives related to intensifying invisible policing were suggested for securing safety from the crime, traffic safety, and social order. Most of all, alternatives that underscore crime prevention for blind spot and solutions to traffic problems and social disorder as chronic problems.

      • KCI등재

        아파트 단지 출입구 및 통행로의 주정차행위 단속을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에 대한 소고

        성홍재 ( Seong Hong-Jae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외법논집 Vol.45 No.3

        아파트 단지 앞 출입구나 단지 내 통행로에 비스듬하게 주차를 하여 주민들 차량들의 통행을 막고 있을 때, 관할 행정청에 신고를 하더라도 경찰공무원 등은 도로법이나 도로교통법상의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할 뿐이다. 경찰공무원은 도로교통법 제35조에 따라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 대해 이동명령이나 주차방법 변경 명령을 내리거나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즉, 경찰공무원은 도로교통법에 근거하여 경찰하명이나 즉시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런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그 장소가 반드시 도로교통법상 ‘도로’여야 한다. 도로교통법상 ‘도로’는 도로법상의 도로뿐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마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개된 장소를 의미한다. 그런데 위 장소는 아파트 주민이나 택배차량 등 그들과 용무가 있는 사람 외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곳이 아니므로, 도로교통 법상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경찰공무원은 위 조치를 취할 수 없다. 그래서 경찰공무원은 일반교통방해죄라는 형법을 적용하게 된다. 형법 제185조 일반교통방해죄는 ‘육로, 수로, 교량을 손괴 또는 불통하게 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교통을 방해한 자’를 처벌하는데, 위 죄의 성립 여부는 ‘육로’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육로’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 또는 차마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를 의미하는데, 위 장소는 이에도 해당하지 않아 일반교통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고, 단지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경비원의 업무를 방해했다는 의미에서 업무방해죄로 처벌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아파트 주민이 원하는 조치는 사후 형사처벌이 아니라 현장에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확보이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상 ‘도로’의 개념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위 장소가 도로교통법상 ‘도로’에 해당 하는지 여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법리적 해석방법인 역사적 해석방법, 문리적 해석방법 및 목적적 해석방법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사적으로 해석하면, 도로교통법 제정시부터 83차례에 거쳐 개정된 현행 법률까지 개념상 변화는 없다. 문리적으로 해석하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인지 여부가 핵심이고, 이를 아파트 단지에 적용하면 차단기 설치여부나 경비원에 의한 출입통제여부가 아니라 아파트 주민이나 그들과 용무가 있는 사람이나 차량 외에는 통행이 불가한지 여부가 관건이다. 게다가 아파트 단지 내 주차장이 ‘도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은 일관되지 않는다. 이는 도로상태법과 도로이용법과의 관계에서는 도로이용 법인 도로교통법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도로상태법 유보의 원칙이 적용된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목적적으로 해석하면,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장해를 방지 및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확보를 목적으로 하는데, 이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다닐 수 있는 장소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 내 통행로처럼 특정 다수 또는 불특정 소수가 다니는 장소에서 도 필요하다. 그런데 ‘도로’의 개념을 다수의 대법원 판례처럼 해석하면 아파트 단지 내 통행로는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도로교통법 제정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은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상 ‘도로’의 개념조항을 ‘현실적으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장소로서, 불특정 또는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로 개정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러나 이렇게 개정할 경우 비용부담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정차금지장소에 대한 규정에 ‘도로 외의 곳’을 추가하는 형태로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입법안을 제시할 수 있을 듯하다. Police officer or officer in City Hall can not take any action when a driver is blocking the passage of residents’ vehicles by parking the car at an angle at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or on the passageway in the complex. This is because it does not fall under ‘road’ under the Road Act or the Road Traffic Act. Police Officer may issue an order to move or change the parking method to a driver of an illegally parked vehicle. Otherwise, the police officer may move or change it himself in accordance with article 35 of the Road Traffic Act. But in order to take these measures, the place must be a ‘road’ under the Road Traffic Act. ‘Road’ in the Road Traffic Act means not only a road under the Road Act, but also an open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However, the above place is not a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so it is not a ‘road’ under the Road Traffic Act. And police officers cannot take the above measures, They just can apply the Criminal Law of general traffic obstruction. Article 185 of the Criminal Law punishes “a person who damages or obstructs a land road, waterway, or bridge, or obstructs traffic in other ways” for the offense of obstructing general traffic. The criminality depends on whether the place is land road or not. Land road means a public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so the above places do not fall under this category and cannot be punished as a general traffic obstruction crime. In the end, it can only be punished as obstruction of business in the sense that it interfered with the work of the apartment management office or security guard. However, the action that apartment residents want is to secure safe and smooth traffic at the site, not post criminal punishment. This is why the definition of road by the Road Traffic Act must be reinterpreted. For this purpose, I used 3 interpretation methodologies, namely historic, grammatical an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s found reasonable to interpret the concept of ‘road’ in the Road Traffic Act as a place for the passage of unspecified or a large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as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afe and smooth traffic realistically. However this leads to burden of expenses. For this reason, I propose to insert a provisoclause in the article No-Parking Zone as an amendment to the Road Traffic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