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지형과 종교문화

        박승길(Park Seung Gil)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2014년 국내 인구조사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종교인구분포를 보면 가장 뚜렷한 현상 중 하나가 동불서기(東佛西基) 현상이다. 이 글은 국내 신종교운동의 종교지형의 유형과 그 특성 및 변화를 추적하여 국내 종교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학이 지배했던 조선조의 단일 종교지형에 기독교가 유입된 후, 그 충격 속에서 대항적 신종교인 동학이 탄생했지만, 동학도 역시 전통적 종교지형에서 발생한 신종교였다. 그러나 강증산이 주도한 새로운 종교운동은 동학혁명과정에서 목도한 억울한 주검들과 그들의 앙갚음을 신적 활동인 천지공사로 풀어가고자 하는 것이었다. 증산의 사후 그의 신격화는 침해자에 대한 신적 보복의 기대가 만들어 낸 종교윤리의 발전 형태 중 하나였다. 증산과의 관계나 영통(靈通)을 내세워 다양한 구제재를 차별적으로 제시하는 여러 가지 ‘신불적 유형’의 종교지형이 전북 김제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간다. 두 번째로 궨당문화가 오래 존속해 온 제주도에서는 신성들이 각 궨당 지역을 나름의 신화를 통해 신성공간화하면서, 외부의 침해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신성을 불러들이는 방술에 치중한다. 즉 현존상태를 영속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자기 방어적인 주술과 방편을 개발하여 밖으로부터 오는 질병이나 분쟁, 침해자의 압박 등에 대처하는 수단을 가지려 한다는 점에서 ‘생신방술형’ 종교지형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교권체제를 갖춘 대규모의 조직화된 신종교 교단이 자라난 대구·경북 지역은 국내 신종교운동사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하나의 종교지형을 보여준다. 대구가 일제하에서 대도시화되면서 유입된 인구는 해방정국에서 신종교 창교 붐이 일어났을 때 중요한 신종교의 인적자원으로 활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궁리지성과 자기수련을 통해 현세의 치리권을 지닌 지도자가 조직화된 종교단체를 구성하는 ‘교권지향형’ 종교지형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종교지형은 해방 이후 신종교뿐 아니라 기성종교시장에서도 각 지형별 특이성을 낳는 주요 토양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2014 census on religious population in Korea reveals that the number of Christians is higher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whereas more Buddhists live in the eastern regions. This shows the regional disparity i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Korea. First, new religious movements based on the deification of Jeungsan should be understood as a development of religious ethics originated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ir revenge on foreign invaders. New religious movements of Jeungsan in the Jeonbuk area can be called ‘Divinizing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Second, Guindang culture in Jeju offered a special network to resolve hardship like poverty, sickness, and struggles in daily life. This kind of religious topography nourished self-fulfilling salvation. This can be called ‘Necromantic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Last, Daegu-Kyungbuk, where several new religions were systemized with powerful religious authority, was the center of new culture and missionary works of new Christianity. The intellectuals in this area found a new path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ecclesiasticism. This area can be classified as ‘Ecclesiasticism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 KCI등재

        지형창조 거인설화의 성격과 본질

        권태효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탐라문화 Vol.0 No.46

        This paper mainly focus on supplement in research of the giant myth in topography creation. Until recently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topography myths were separately understood as god creating universe and giants in topography creation. However the example research made in other countries show that the giant myths are more in relation with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refor there needs to be an interest in study of our myth and see any relations between the two. So this paper gathers passed on myths from all parts of the world and divide them into the type that coming into being world from the carcass and the type of universe orderly categories. However type that coming into being world from the carcass does not appear in our topography myth, therefor decided to extend the myth to the universe orderly <Jungbumyojokgoga> and <Reouhteoi> and seek for understanding. Especially 1) Is there any universe creation trace in our giant myth? 2) Is there any giant myth trace in our universe creation? based on these two questions and the traditional literature of <Cheonjiwangbonpuli>, <Seoulmundaehalmang> and <Okgue river's pearl rock>, when finding answers. Also the paper is detailed as following. First, the possibility of omission in the creation god's work of topographic creation. Second, the possibility of the giant of topography myth to be deformed and reduced during the transmission. Third, the possibility of drop out in the universe creation yet minimized topographic myth and the action to be more supporting than leading. 이 글은 우리의 지형창조 거인설화에 대해 연구가 부족했던 점들을 보완하고자 마련한 글이다. 지금까지 우리 거인설화 자료를 파악함에 있어 우주기원은 창세신의 창조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지형창조는 설문대할망이나 마고할미 등 별개의 거인신이 있어 그 작업을 완성하는 것으로 파악해왔다. 하지만 외국의 창조신화 사례를 보면 지형창조 거인설화가 우주기원신화의 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의 경우 또한 우주창조 작업과 연계되어 지형창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세계 곳곳에서 전승되는 우주창조 작업과 연계 양상을 보이는 지형창조신화 자료들을 모아 사체화생형과 우주정돈형으로 구분 정리하였다. 이 중 사체화생형의 자료는 우리 지형창조신화에는 나타나지 않기에 <중부묘족고가>와 <러어터이> 등 우주정돈형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지형창조신화를 이해하는데 바탕으로 삼았다. 특히 1)우리의 우주창조 거인신에게 지형창조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가? 2)우리의 지형형성 거인신들에게 우주창조의 면모는 있는가? 하는 두 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천지왕본풀이>, <설문대할망>, <옥계천의 진주석> 등을 자료 양상을 따져 첫째, 창세신 스스로 우주창조 작업 일환으로 지형창조 행위까지 수행했으나 그 부분이 약화 또는 탈락되었을 가능성, 둘째, 설문대할망과 같은 거인 신격 스스로가 우주창조신의 역할까지를 수행했으나 후대로 전승되면서 변모되어 <설문대할망> 자료와 같이 지역적으로 한정시키고 지형형성에 초점을 맞추는 형태로 변형되었을 가능성, 셋째, 본래 우주창조작업을 총괄하던 창조신 부분은 탈락된 채 창세신을 돕는 부신적 성격의 존재에 의한 지형창조만 남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천연기념물 지형의 지리학적 분석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1

        As of January 2010, 59 topography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monuments. From the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ese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can be categorized into weathering, coastal, karst, volcanic, tectonic, etc. The 59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are mostly tectonic (28), followed by karst and volcanic (12 each), coastal (5), and weathering (2).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ating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tectonic,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the major designations for national monuments. Tectonic topography were associated with fossil, whereas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very scarce as special topography. Recently, however, even common topography such as coastal and weathering topography are starting to draw attention for their academic value with regard to size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Jeju (11), Gangwon (10), and Gyeongnam (9) have a concentrated distribution; they have relatively large portions of volcanic, karst, and tectonic topography, respectively.

      • KCI등재

        일반논문 : 지형창조 거인 설화의 성격과 본질

        권태호 ( Tae Hyo Kw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이 글은 우리의 지형창조 거인설화에 대해 연구가 부족했던 점들을 보완하고자 마련한 글이다. 지금까지 우리 거인설화 자료를 파악함에 있어 우주기원은 창세신의 창조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지형창조는 설문대할망이나 마고할미 등 별개의 거인신이 있어 그 작업을 완성하는 것으로 파악해왔다. 하지만 외국의 창조신화 사례를 보면 지형창조 거인설화가 우주기원신화의 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의 경우 또한 우주창조 작업과 연계되어 지형창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세계 곳곳에서 전승되는 우주창조 작업과 연계 양상을 보이는 지형창조신화 자료들을 모아 사체화생형과 우주정돈형으로 구분 정리하였다. 이 중 사체화생형의 자료는 우리 지형창조신화에는 나타나지 않기에 <중부묘족고가>와 <러어터이> 등 우주정돈형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지형창조신화를 이해하는데 바탕으로 삼았다. 특히 1)우리의 우주창조 거인신에게 지형창조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가? 2)우리의 지형형성 거인신들에게 우주창조의 면모는 있는가? 하는 두 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천지왕본풀이>, <설문대할망>, <옥계천의 진주석> 등을 자료 양상을 따져 첫째, 창세신 스스로 우주창조 작업 일환으로 지형창조 행위까지 수행했으나 그 부분이 약화 또는 탈락되었을 가능성, 둘째, 설문대할망과 같은 거인 신격 스스로가 우주창조신의 역할까지를 수행했으나 후대로 전승되면서 변모되어 <설문대할망> 자료와 같이 지역적으로 한정시키고 지형형성에 초점을 맞추는 형태로 변형되었을 가능성, 셋째, 본래 우주창조작업을 총괄하던 창조신 부분은 탈락된 채 창세신을 돕는 부신적 성격의 존재에 의한 지형창조만 남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mainly focus on supplement in research of the giant myth in topography creation. Until recently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topography myths were separately understood as god creating universe and giants in topography creation. However the example research made in other countries show that the giant myths are more in relation with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refor there needs to be an interest in study of our myth and see any relations between the two. So this paper gathers passed on myths from all parts of the world and divide them into the type that coming into being world from the carcass and the type of universe orderly categories. However type that coming into being world from the carcass does not appear in our topography myth, therefor decided to extend the myth to the universe orderly <Jungbumyojokgoga> and <Reouhteoi> and seek for understanding. Especially 1) Is there any universe creation trace in our giant myth? 2) Is there any giant myth trace in our universe creation? based on these two questions and the traditional literature of <Cheonjiwangbonpuli>, <Seoulmundaehalmang> and <Okgue river``s pearl rock>, when finding answers. Also the paper is detailed as following. First, the possibility of omission in the creation god``s work of topographic creation. Second, the possibility of the giant of topography myth to be deformed and reduced during the transmission. Third, the possibility of drop out in the universe creation yet minimized topographic myth and the action to be more supporting than leading.

      • KCI등재

        삼척 흥전리사지의 입지 환경과 공간 활용

        허의행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3

        산지 및 산간 지형에 자리한 흥전리 사지는 입지 환경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사지는 산지 지형을 선택하였지만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 등과 같이 고려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지형 공간을 적절히 이용하고 활용하는 모습이 명확하다. 유형의 공간으로는 사찰 건축물을, 무형의 공간으로는 기도와 도량 등의 신앙적 장소 등을 지형의 형태와 특성에 맞게 배치하고 이를 사역 범위에 포함시켰다. 그러한 모습은 발굴조사 자료를 통해 확인된 유구의 배치, 고고 지형학적 관점의 고지형분석 그리고 과거 풍수 지리 환경 자료 등을 종합하고, 여기에 GIS의 TPI분석 등을 통해 그 특징을 명확히 살필 수 있었다. 흥전리 사지와 그 일원에는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지형 흔적이 모두 확인된다. 사지의 중심으로는 평탄대지를 넓게 조성한 흔적이 있고, 그 외부로는 단차를 두는 사면과 곡부 내 습지 그리고 도로로서의 임도 등을볼 수 있다. 이러한 지형의 모습은 사지를 둘러싼 산지와 하천의 분포에서도 그 특징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북쪽의 산지 정상에서 동서로 뻗은 능선과 남쪽의 하천 그리고 그 너머의 산지 지형은 전형의 풍수지리적자연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한 자연 환경의 중심에는 흥전리 사지의 건물들을 배치하고 그 외부로는 생산지대로 활용하면서 사역의 범위를 넓혀 가는 모습이다. 경내에서 경외로 그리고 가시적 경관 차원의 사역의범위로 확장하였다. 경내 사역은 금당과 부속 건물의 축조를 위해 대지를 조성한 지형으로서 인위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반면 경외 사역은 인위적 행위가 이루어지긴 하지만 형질 변형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는 조금 더 자연 지형에 순응한 지형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경관적 사역은 흥전리 사지를 대상으로 주변 자연환경을 바라보는범위인데 온전히 자연에 순응한 지형이다. 이러한 사역 범위는 흥전리 사지의 내·외부로 지형 공간 활용과도 연관된다. 발굴된 흥전리 사지를 둘러싼 경내는 불지의 공간이며 다시 승방과 불방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경외는 속지의 공간으로서 출입공간, 생계를 위한 생산공간, 경내의 오폐수 처리 공간 그리고 도량을 위한 개별의 신앙 공간 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역의 확장된 범위로서 경관의 범위는 가시권이 미치는 무형의 지형 공간으로 살필 수있을 것이다. The Heungjeon-ri Buddhist Temple located in mountainous and mountainous terrain, is characterized by its location environment. Temple chose the mountainous terrain, but thought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time. Above all, it is clear that Heungjeon-ri Temple appropriately uses and utilizes the topographical space. As a tangible space, the location of the temple building and as an intangible space, religious space places such as prayer and temple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y, and these were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temple. Such features could be clearly examined through the TPI analysis of GIS by synthesizing the layout of remains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 data, paleo topography analysis from an Geoarchaeological perspective, and past Geomancy (Fung Shui) environment data. Natural and artificial terrain traces are identified at Heungjeon-ri Temple and its surroundings. At the center of the Temple, there are traces of a wide flat land, and outside of it, you can see a stepped slope, wetland in the valley area, and forest roads as thoroughf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opography could be clarified in the distribution of mountains and streams surrounding the slopes. The ridge extending east and west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in the north, the stream in the south, and the mountainous terrain beyond have a typical Geomancy natural environment. The building of Heungjeon-ri Templ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such a natural environment, and the outside is used as a ploughed land, expanding the Temple. It has been extended from the precincts and from the inside Temple to the outside Temple. The temple in the precincts is artificial as the land was created for the construction of Main hall(金堂) and its affiliated buildings. On the other hand, the out of precincts is confirmed to be a more natural terrain where artificial behavior is carried out. In addition, the landscape of Temple refers to the range of viewing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for Heungjeon-ri Temple Site, and it is a topography that fully adapts to nature. This range of Temple is also related to the use of topographical space inside and outside Heungjeon-ri Temple. The precincts surrounding Heungjeon-ri Temple, which were excavated an Buddha’s land and divided into a space of Buddhist nunnery(僧房) and Buddha’s space(佛房). As the outer space of Temple, there are a possibility that there are entrance spaces, ploughed lands for a living, sewer spaces for the precincts, and individual faith spaces for Buddha. Finally, as an expanded of the Temple range, the scope of the landscape can be examined as an intangible topographic space of visibility.

      • KCI등재

        지형분석을 통한 땅밀림지의 특성조사

        박재현,박성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landcreep area by analyzing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landcreep area generated in Korea. The landcreep area with an Aspect ratio of less than 1.00 was 27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47.0%) with a range of 0.28 to 0.97 per cent. In addition, 55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96.0%) were found to have a plan ratio of less than 2.00. There are 34 plots out of 57 plots locations (approximately 59.0%) in areas where the longitudinal ratio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H/L) of landcreep area is less than 1.00, and the landcreep is a small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due to the large number of rocks and short travel distances. The equivalent friction coefficient is large because clay and watery landcreep area are highly flexible, and 23 plots of Korea's landcreep area sites (approximately 40.0%) are found to be equivalent. Of the 57 plots landcreep area sites, the number of micro-geographical areas was 27 plots (approximately 47.0%) of the total 57 plots sites. The largest number of horseshoe types were 29 plots (approximately 50.0%). The average contour clearance of the micro-gear in a dense area was 27.2 m (range 0.0 ~ 82.2 m), with the mean contour clearance within the land-milled land excluding the micro-gear being 26.3 m (range 0.0 ~ 65.6) m, which was 0.9 m wider than the contour clearance of the micro-gear.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landcreep potential area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topographical analysis, and that analyzing the micro-geography of the landcreep area can develop technology to predict the landcreep area on topographical roads, and increase its accuracy.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땅밀림지의 지형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면형상비(Aspect비)가 1.00 미만인 땅밀림지는 전체 57개소 중 27개소(약 47.0%)로 0.28 ~ 0.97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평면형상비가 2.00 미만인경우는 전체 57개소 중 55개소(약 96.0%)로 나타났다. 땅밀림지의 종단형상비(등가마찰계수, H/L)가 1.00 미만인 지역은 총 57개소 중 34개소(약59.0%)로 이 지역의 땅밀림은 암괴가 많고 이동거리가 짧아 등가마찰계수는 작게 나타난 것이다. 점토와 수분이 많은 땅밀림지는 유동성이 크므로등가마찰계수는 크게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땅밀림지 중 23개소(약 40.0%)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7개소의 땅밀림지 중 등고선 상에서지형의 변화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지형 즉, 땅밀림이 발생하기 전 비탈면의 지형에 따라 땅밀림 지형도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특히 땅밀림에 기여하는지형인자 중 사면형태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사면의 형태는 요형사면, 애추(40◦이상의 경사지의 전부) 철형사면, 평행사면 요형사면과 복합사면으로 구분하고, 이렇게 미세하게 변하는 지형인 미세지형은 볼록(凸)상대지상지형은 전체 57개소 중 27개소(약 47.0%)로 가장 많았다. 평면형지형은말발굽형은 29개소(약 50.0%)로 가장 많았다. 땅밀림지역의 미세지형의 등고선 간격은 평균 27.2(0.0 ~ 82.2)m로 땅밀림지 내에서 미세지형을제외한 땅밀림지 내의 평균등고선 간격은 26.3(0.0 ~ 65.6)m로 미세지형의 등고선 간격이 0.9(0.0 ~ 16.6)m 더 넓었다. 따라서 지형분석을 통하여땅밀림 발생가능지역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땅밀림지에 대하여 미세지형을 분석하면 지형도로 땅밀림지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할수 있고,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침식저항도 차이에 따른 지형발달 및 지형인자에 대한 연구 - 2차원 수치지형발달모형을 이용하여 -

        김동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2 자원환경지질 Vol.55 No.5

        구조지형은 기반암 단층과 암석의 경연차와 같은 약대를 따라 풍화, 침식의 프로세스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지형이다. 지구조지형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지진, 화산, 단층과 같은 지구조운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지형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판의 내부에 위치하여 지구조운동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고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면 실제 현장에서 이 둘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최근 활성단층 연구의 증가에 따라 지구조지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더 명확한 지구조지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기반암의 특성에 따른 구조지형의 발달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기반암의 특성만을 따로 비교분석하기에는 현재 지형은 지구조운동과 기후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기 때문에 구조적 요인만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2차원 수치지형발달모형을 이용하여 기후와 지구조운동에 의한 요인을 제한하고, 기반암의 차이에 따른 지형의 시공간적 발달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반암 차이에 따른 지형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사면·하천과 관련된 지형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침식가능성이 높은 지형은 평균고도, 기복량, 경사도, 하천차수, 하천경사도지수 모두 낮게 나왔다. 또한 기반암 하천분석 결과 기반암 경계부분에서 천이점이 나왔다. 실제 지형을 연구할 때 지금까지는 지구조운동으로 인한 것인지, 구조적 요인을 받은 것인지 구분할 때 천이점에 있는 기반암의 차이만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지구조지형과 구조지형을 분류할 때 구조지형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기반암의 차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형인자들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환경부 자연환경조사를 위한 지형학도 범례 개발 방안

        김희창,권동희 한국지도학회 2015 한국지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범례 기호 사례 중 국내 실정에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변형, 신규제작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지형학도 범례 기호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범례 및 기호는 대축척 지형도 상에서지형의 형태적 특징과 지리적 분포 특징을 개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 생태지도 작성을 위한 범례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지형기호는 지형의 형태적 특징을 강조한 것으로, 각 단위 지형의 성인, 발달과정, 형성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내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a legend and symbol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hreetypes, i.e., applied, transformed and newly made, using the materials of Europe. It is believed that the legendsand symbol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generally identifying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opography and the features of geographic distribution on large-scale geomorphological map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materials in developing legends for the preparation of ecomaps related to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the topography symbols proposed in this study only stres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opography, and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judge the causes of topography formation of each uni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time of formation. Thus, it is thought that they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 KCI등재

        무인항공기로 촬영한 수직 영상과 고경사 영상을 이용한 소규모 계단식 지형에 대한 정사영상 및 3차원 모델 제작 및 비교

        이기림(Lee, Ki Rim),한유경(Han, You Kyung),이원희(Lee, Won H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6 No.3

        우리나라의 지형은 70%가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산악지형 중 농사, 묘지, 도로 건설 등의 개발로 인해 계단식 지형 또는 경사면 지형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계단식 지형 또는 경사면 지형의 경우 재해 발생 시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한 신속하고 정확한 측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단식 지형에 대해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로 촬영된 수직 영상과 고경사 영상을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3차원 모델을 제작하고, 정확도에 대해 비교 ·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사영상의 경우 두 영상 모두 1/500 축척지도에 대한 정확도를 만족하였으며, 3차원 모델에 대한 시각적, 정량적 결과 고경사 영상으로 제작된 3차원 모델 지도가 수직 영상보다 정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계단식 지형에 대한 3차원 모델 제작 시 고경사 영상이 수직 영상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Korea, 70% of the terrain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mountain terrains are transformed into terraced topography or slope topography due to agricultural, cemetery and road construction. But, this terraced topography or sloped topography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natural disaster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o a quick and accurate survey for stability is needed. In this study, orthophotos and three dimensional(3D) models were generated using vertical and high oblique images taken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UAV) for terraced topography, and their accuracy was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both orthographic images satisfied the accuracy of 1/500 scale ma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3D model map produced by the visual and quantitative result high oblique images for the three dimensional model is more accurate than the vertical imag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oblique images are superior to the vertical image when the 3D model is generated for terraced topography.

      • KCI등재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를 이용한 각막난시 측정값에 따른 비구면 RGP 렌즈의 각막에서 동적움직임 비교

        박상일,이세은,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1 한국안광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y difference in the movement of aspheric RGP lens by the amounts of keratometiric astigmatisms using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Methods: Corneal curvatures in thirty six eyes of males and females of with-the-rule keratometric astigmatisms in their twenties were measured by a keratometer and worn aspheric RGP lenses. Then, lens rotations,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of lens by blinking were measured to compare with lens movements when aspheric RGP lenses were fitted by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s using corneal topography. Results: The case having higher amount of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61.1% of subjects, however, 36.1% of subjects showed higher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indicating that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not alway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Since over 0.25 diopter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s was shown in 19 eyes (52.8% of subjects), the prescription for lens fitting could be chang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orizontal movement was detected with increase of astigmatism when it compared based on th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a keratomet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s rotatio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amount of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using a corneal topography. When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keratometer wa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estimated by corneal topography, bigger lens rotation was shown compared with opposite case. Also, the tendency of bigger lens rotation was measured with the increase of keratomatric astigmatism in the case of same prescription having same base curves with sam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but different curvatures.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we concluded that lens movements on cornea were not totally different when aspheric RGP lens fitted on with-the-rule astigmatism by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However,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certain lens movement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riptions for lens fitting should be conducted for improving the rate of successful lens fitting by keratometer or for the proper application of corneal topography for lens fitting. 목적: 각막곡률계(keratometer) 측정값과 각막지형도(corneal topography) 검사에 의해 분류된 난시량에 따른 비구 면 RGP 렌즈의 동적 움직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난시를 가지고 있는 20~30대 남녀의 36안을 대상 으로 각막곡률계를 이용하여 각막의 곡률을 측정하고 난시량에 따라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한 후 회전량, 순목에 의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 량을 기준으로 하여 피팅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비구면 RGP렌즈 동적움직임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곡 률계로 측정하여 얻은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얻은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더 크게 나 타난 경우는 61.1%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는 36.1%로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언제나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크게 나 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각막 난시량과 중심부 각막 난시량의 차이값이 0.25D 이상인 경우가 19안으로 52.8%에 해당하는 피검안 경우는 비구면 RGP 렌즈 처방이 틀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막 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각막 난시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수평방향의 이동이 각막의 난시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 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각막지형도에 의해 전체 각막 난시량으로 분류하였을 때는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양,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거리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각막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중 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에 의해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량에 비해 클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렌 즈의 회전량이 더 많았다. 또한, 각막의 곡률 반경이 다르더라도 각막 난시량에 의해 동일한 베이스커브를 가진 렌 즈로 처방이 내려지는 동일처방의 경우에는 각막 난시량이 증가하면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량이 증가하는 경향 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직난시안에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 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동적움직임이 완전히 상이하지는 않았으며 특정 움직임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막곡률계를 이용한 피팅의 성공률을 더 높이기 위해서 혹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한 피팅의 적절한 적 용을 위해서 피팅 방법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