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속 정밀 가공기의 공구셋업 측정기술

        박경택(K. T. Park),신영재(Y. J. Shin),강병수(B. S. Kang) 한국정밀공학회 2004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4 No.10월

        Recently the monitoring system of tool setup in high speed precision machining tool is required for manufacturing products that have highly complex and small shape, high precision and high function.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ime to setup tool in order to improve the machining precision and productivity and to protect the breakage of cutting tool as the shape of product is smaller and more complex. Generally, the combination of errors that geometrical clamping error of fixing tool at the spindle of machining center and the asynchronized error of driving mechanism causes that the run-out of tool reaches to 3∼20 times of the thickness of cutting chip. And also the run-out is occurred by the misalignment between axis of tool shank and axis of spindle and spindle bearing in high speed rotation. Generally, high speed machining is considered when the rotating speed is more than 8,000 rpm. At that time, the life time of tool is reduced to about 50% and the roughness of machining surface is worse as the run-out is increased to 10 micron. The life time of tool could be increased by making monitoring of tool-setting easy, quick and precise in high speed machining center. This means the consumption of tool is much more reduced. And also it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s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tool-setup time of operator. In this study,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ool-setting monitoring the measuring method of the geometrical error of tool system is studied when the spindle is stopped. And also the measuring method of run-out, dynamic error of tool system, is studied when the spindle is rotated in 8,000 ~ 60,000 rpm. The dynamic phenomena of tool-setup is analyzed by implementing the monitoring system of rotating tool system and the noncontact measuring system of micro displacement in high speed.

      • SCOPUSKCI등재

        NC 밀링에서 짧은 공구설치 방법으로 생산성 향상

        김수진(Su-Jin Kim)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8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5 No.5

        The tool overhang length affects tool deflection and chatter that should be reduced for machined surface quality, productivity and long tool life. The shortest tool setting algorithm that uses a safe space is proposed and applied with simulation software in NC machining. The safe space in the coordinate fixed in the tool is computed by the virtual machining system that simulates NC machining by stock model, tool model and NC code. The optimal tool assembly that has largest diameter and shortest length is possible using the safe space. This algorithm has been applied over fifty companies for safe and rigid tool setting. The collision accident between holder and stock was reduced from 3 to 0 a year and the productivity was incensed about 15% by using faster feed rate acceptable for shorten tool length.

      • KCI등재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구디자인 개발 : 문화원형인 전통 짜맞춤 기법의 체계화를 통해

        김은주,정수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It is no wonder that importance of the value of one’s ideas and creativity by human brain in today’s era. The education based on creative thinking is in main stream to lead change of education system for cultivating its human resources. Creativity is potential ability in all person has a possibility to improve their ability by certain circumstances and educational supports. Many opinions and the way of thinking for creativity cumulate as long time, though Guilford(1964), J. Feldhusen, Treffinger approach on solving problems mainly. Also, il-sook Han(2000) emphasize to a playing with blocks and three dimensions puzzle as educational tools for children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rough solve the problem. Although the tools by blocks and puzzle being emphasized i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our education system depends on tools from other countries. Existing playing with block adhere to build blocks but not in new way. In this regard, approach on applying the setting-up technology as Korean traditional woodworking for combining as use in educational tools. For the practical way of creativity education as developing tools on setting-up technology by 2 steps. Furthermore, this may inherit the traditional heritage by using as educational resource. 이 시대는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가장 큰 가치를 지니는 두뇌 생산성 경쟁사회이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며 그것은 바로 창의성에 근간을 둔 교육이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이 잠재적으로 갖고 있는 보편적인 능력으로 환경적인 자극이나 교육을 통해 창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창의성에 관한 많은 접근방식들과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그중 길포드(Guilford, 1964), 펠듀즌(J. Feldhusen)과 트레핑거(Treffinger)는 문제해결관점에서 창의성을 접근하고 있다. 또한, 문제해결력을 통한 창의성 증진교육에 관한 여러 연구들 중 한일숙(2000)은 아동의 교구들 중 3차원 퍼즐놀이 학습과 블록 쌓기 놀이가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창의성이 증진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퍼즐과 블록놀이 교구가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개발된 교구들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블록 결합방식 또한 새로운 방식의 결합법보다는 단순한 쌓기 위주의 기존 방식만 고수하고 있을 뿐 새로움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무형문화재들에게만 전수되고 있는 전통 목공 결합방식인 짜맞춤 기법을 체계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1·2단계의 짜맞춤 블록 교구를 개발하였고 창의성 교육에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원형 컨텐츠를 교육 컨텐츠 소재로서 활용하여 전통문화 컨텐츠를 보전하고 계승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통 짜맞춤 기법을 활용한 아동용 교구디자인개발

        정수경,김은주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4 No.4

        The traditional value ,which the traditional culture has, is the important basis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The setting up, one of our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s our ancestors' traditional skills. Even though it has high level of execution in skills, it still stays at the level of imitating the previous ones without adapting itself to the trend. It is getting difficult to let the legacy continue even by masters artisan and what is worse it is, in reality, getting disappeared. In this regard, approach on applying the setting-up technology as Korean traditional woodworking for combining as use in educational tools. For the practical way of creativity education as developing tools on setting-up technology by 3 steps. Furthermore, this may inherit the traditional heritage by using as educational resource. 전통문화는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며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에 알맞은 문화의 발전방향을 정립하는 기초이다. 또한 전통문화가 갖는 문화적 가치는 전통문화 컨텐츠의 산업화에 중요한 근간이 된다. 우리나라 전통무형문화 중 하나인 짜맞춤은 우리선조의 전통기술로서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가지고 있으나 시대적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장인에 의해 그 맥을 이어가는 것마저 어려워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무형문화재들에게만 전수되고 있는 전통 짜맞춤 기법을 체계화하여 단계별 짜맞춤 교구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문화를 교육 컨텐츠 소재로서 활용하여 전통문화 컨텐츠를 보전하고 계승하고자 한다.

      • KCI등재

        파티션 복구 도구 검증용 데이터 세트 개발 및 도구 평가

        박송이(Songyee Park),허지민(Gimin Hur),이상진(Sang-ji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7 No.6

        손상된 저장매체에 대해서 디지털포렌식 조사를 진행할 때 복구 도구를 활용한다. 하지만 사용하는 복구 도구에 따라서 복구 결과가 다른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도구의 성능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파티션 복구 도구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도록 MBR, GPT 디스크 인식방식과 FAT32, NTFS 파일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을 고려한 검증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그 후 검증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한 데이터 세트를 통하여 기존 복구 도구에 대한 성능 검증을 진행한다. When a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a damaged storage medium, recovery is performed using a recovery tool. But the result of each recovery too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use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tool for accurate investig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enario considering the disk recognition type such as MBR, GPT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T32 and NTFS filesyste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tion recovery tool. And then We validate the existing tools with the data set built on the scenarios.

      • KCI등재

        윈도우 포렌식 도구의 검증용 데이터 세트의 개발

        김민서(Min-Seo Kim),이상진(Sang-ji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5 No.6

        디지털 기기나 컴퓨터의 포렌식을 통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디지털 포렌식 도구의 신뢰성 검증이 매우 중요하다. 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도구에 입력할 데이터 세트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 기준과 사용자 행위 기준의 윈도우 포렌식 아티팩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개의 윈도우 아티펙트를 모두 분석할 수 있도록 윈도우 환경에서 데이터 세트를 개발한 후, 공개용 디지털 포렌식 도구들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데이터 세트는 행위 기준의 아티팩트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용으로, 디지털 포렌식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 테스트를 목적으로, 새로운 아티팩트 분석을 위한 재활용성의 특성을 들어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For an accurate analysis through the forensic of digital devices and computer, it is a very important validation of the reliability of digital forensic tool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oo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ata set to be input to the tool. In many-used Windows operating system of the computer, there is a Window forensic artifacts associated with time and system behavior.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et of data i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to be able to analyze all of the two Windows artifacts and we conducted a test with published digital forensic tools. Therefore, the developed data set presents the use of the following method. First, artefacts education for growing ability can be analyzed acts standards. Secondly, the purpose of tool tests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digital forensics. Lastly, recyclability for new artifact analysis.

      • KCI등재후보

        전통 짜맞춤을 활용한 한글교구연구

        정수경 ( Su Kyoung Je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2 No.-

        무형문화유산은 원형의 보존에도 의의가 있지만, 후대로의 전승과 나아가 우리의 생활문화로 활용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은 사회적 인식의 부재 속에 몇몇 장인에 의해 그 맥을 이어나가는 것마저 어려워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교구시장은 은물과 같은 외국기업의 교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민족성과 정체성을 담은 교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구를 활용한 유아기의 한글 교육을 통해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계승과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 중 못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물을 만드는 전통 기술인 짜맞춤 기법을 유아의 한글 교육용 교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교구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From so many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a traditional skill setting-up has been praised for its technical completion and usability and yet, the skill has failed to keep pace with flows of the times as it would repeatedly stick to the same conventional method. For that reason, in addition, setting-up has been losing its chance to be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by a master of the skill.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ould be as important as anything else but still, how to pass the property down should be more emphasized as researches on how to utilize the property as well as how to distribute it as a living culture are carried out with significance. Hence, the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ontribute itself to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well as the property`s being distributed as a living culture by proposing contemporary value of the concerned property. While the research is in process, a guideline for how to develop Hangul the Korean language block educational tool would be offered with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etting-up skill applied. As the setting-up skill that has been handed down only by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orderly arranged by this study, the guideline for how to adopt the skill to an infant`s Hangul educational tool will be proposed. Meanwhile, in addition, practical ways to improve creativity of children will be established. Not only that, in order to conserve, inherit and develop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at is in danger of extinction, the study has also looked for ways to reinterpret and to utilize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a modern manner.

      • KCI등재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구디자인 개발; 문화원형인 전통 짜맞춤 기법의 체계화를 통해

        김은주 ( Eun Ju Kim ),정수경 ( Su Kyoung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이 시대는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가장 큰 가치를 지니는 두뇌 생산성 경쟁사회이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며 그것은 바로 창의성에 근간을 둔 교육이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이 잠재적으로 갖고 있는 보편적인 능력으로 환경적인 자극이나 교육을 통해 창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창의성에 관한 많은 접근방식들과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 길포드(Guilford, 1964), 펠듀즌(J. Feldhusen)과 트레핑거(Treffinger)는 문제해결관점에서 창의성을 접근하고 있다. 또한, 문제해결력을 통한 창의성 증진교육에 관한 여러 연구들 중 한 일숙(2000)은 아동의 교구들 중 3차원 퍼즐놀이 학습과 블록 쌓기 놀이가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창의성이 증진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퍼즐과 블록놀이 교구가 창의성 증진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개발된 교구들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블록 결합방식 또한 새로운 방식의 결합법보다는 단순한 쌓기 위주의 기존 방식만 고수하고 있을 뿐 새로움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무형문화재들에게만 전수되고 있는 전통 목공 결합방식인 짜맞춤 기법을 체계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1·2단계의 짜맞춤 블록 교구를 개발하였고 창의성 교육에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원형 컨텐츠를 교육 컨텐츠 소재로서 활용하여 전통문화 컨텐츠를 보전하고 계승하고자 하였다. It is no wonder that importance of the value of one`s ideas and creativity by human brain in today`s era. The education based on creative thinking is in main stream to lead change of education system for cultivating its human resources. Creativity is potential ability in all person has a possibility to improve their ability by certain circumstances and educational supports. Many opinions and the way of thinking for creativity cumulate as long time, though Guilford(1964), J. Feldhusen, Treffinger approach on solving problems mainly. Also, il-sook Han(2000) emphasize to a playing with blocks and three dimensions puzzle as educational tools for children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rough solve the problem. Although the tools by blocks and puzzle being emphasized i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our education system depends on tools from other countries. Existing playing with block adhere to build blocks but not in new way. In this regard, approach on applying the setting-up technology as Korean traditional woodworking for combining as use in educational tools. For the practical way of creativity education as developing tools on setting-up technology by 2 steps. Furthermore, this may inherit the traditional heritage by using as educational resource.

      • KCI등재

        기계학습을 위한 색 추적 기반 데이터셋 구축 자동화 기법

        박라온,고소정,김성백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7 No.2

        기계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한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것이다. 기존의 데 이터셋 구축 방법은 트레이닝 과정에서 소량의 이미지에 변화를 주어 데이터를 부풀리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과 ‘google 이미지 검색’에서 이미지 크롤링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데이터로서 이미지 의 신뢰성이 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기계학습 중 딥러닝 트레이닝을 위해서는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셋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 를 설계 및 구현한다. 적은 노력으로 큰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그 방안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셋의 신뢰성을 테스트한다.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예시로 꽃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이미지 검색 꽃 사전’에 적용한다. 적용 결과로, 사용자는 딥러닝 트레이닝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셋을 보다 쉽고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 고, 구축된 데이터셋을 통한 트레이닝에서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있음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의 아이디어를 기본으 로 활용한다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성이 변하더라도 대량의 이미지 데이터셋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for solving problems through machine learning is to build a data set. Most previous methods of the data set generation are using commands to inflate data by changing small amounts of images during training, and image crawling in Google Image Search. However, these methods often do 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as data. For deeplearning training among methods of machine learning, a reliable data set must be establish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novel tool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build a data set that can ensure reliability. We propose ways to build large data sets with little effort, and test the reliability of data sets built through them. As an example to ensure reliability, a set of flower image data is established and applied to ‘image search flower dictionary’. As a result, users can more easily and cost-effectively build the data sets needed in the deep-learning training process, and ensure reliability and efficiency in training through the generated data set. In addition, the underlying use of the idea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enable the production of large sets of image data, even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to build the data set will be changed.

      •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再檢討

        Bae Jin sung(裵眞晟)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인한 석제공구세트의 완비는 목제농경구의 발달 및 농경사회의 성장과도 관련된다는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근래 전기의 주상편인석부 자료가 질적ㆍ양적으로 상당히 축적되어 재검토 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前期後半에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후반의 주상편인석부는 가장 주요한 속성인 後面의 형태를 통해 直(Ⅰ)→曲(Ⅱ)→段(Ⅲ)으로 분류 및 변화하는데, 이는 同시대의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빠른 형식변화를 거듭하면서 기능적으로 향상된 공구로 개량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구석부와 용도 및 기능이 같은 주상편인석부는 전기 후반에 완성된 형태를 보이며 석기조성상에서도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석제공구세트가 완비되는 것은 후기가 아닌 전기 후반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일상의 필수품이기도 한 주상편인석부가 전기 후반이라는 특정시기에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신속하게 변화하는 현상은 전기 후반의 사회 변화에 대한 무문토기인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대규모 취락ㆍ동검ㆍ굴립주건물 등에서 전기 후반 무문토기사회의 발전적ㆍ역동적인 측면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분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기존의 전기 후반을'中期'로 분리하여 조기ㆍ전기ㆍ중기ㆍ후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상편인석부의 등장 및 발달과 석제공구세트의 완비 역시 새롭게 분리된 시기의 특징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으므로 본고는 新中期걩의 第二步이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ted that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by appearance of the Grooved-adze was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wooden farming tools and growth of agrarian society. But recently the Pillar-shaped Adze of the Early Mumun Period has increased steadily, it is known that most are conformed to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e Pillar-shaped Adze was chan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tools. This is common in stone tools composition. Therefore, we can argue that a set of stone tools were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ose in the backgrou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Mumu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Becaus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Recently on a large-scale settlementㆍBronze Dagger and so on, we pay attention to an expansive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Grave construction is also begun in this time. With these features, it was claimed that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must be newly established to the Middle Mumun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and appearance of the Pillar-shaped Adze as features of time di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