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빈의 Q로 측정한 사회적 책임활동의 장기효과 및 사외이사제도의 역할

        김정옥,신유진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장기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이들 특성이 사회적 책임활동과 장기기업가치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가 t기부터 t+3기까지 측정한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며, 둘째, CSR에 대한 투자와 장기 Tobin’s Q와의 관계에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는 장기 Tobin's Q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수, 전문성, 독립성, 활동성으로 측정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CSR이 장기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이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활동성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CSR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또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우수할수록 더욱더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할수록 CSR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CSR에 대한 투자의 효과를 장기간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효과가 사외이사제도의 특성과 결부되어 차별화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중요한 차이점을 지닌다. 즉,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SR이 장기간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여 CSR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경영자를 포함한 기업의 관계자 및 시장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사업내용과 특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CSR에 대한 투자가 궁극적으로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업의 사회기여활동의 건전성 및 내용 등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의 한계로 인하여 CSR이 장기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더 확장된 기간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다는 것과 사외이사제도 이외에 다른 특성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에 그 한계가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연구과제로 남을 것이다. 그리고 CSR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에 기여하더라도 기업 입장에서 CSR에 대한 투자를 무제한 할 수 없으므로 적정수준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we use CSR instea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A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OD an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In here, we use the Tobin’s Q as the proxy of the firm value. And we measure CSR using the index of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s Justice from 13 to 20. Specifically first, we examine the effect CSR on Tobin's Q from year t to year t+3. The reason why use the period from year t to year t+3 is to investigate short and long term effect of CSR. Second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 Korea, the ratio of the investment of CSR is higher rather than other asia country and developed country. Therefore, to investigate why company in Korea increase to invest to CSR will give important contribution. And also the ratio is increasing recently. The investment of CSR is not forced to insiders and outsiders of firm. And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firm interest. So several kinds of research suggest why the company spend big money to CSR. First, the purpose of investment of CSR is to increase to the public interest independent of company interest. But ultimately, the activity of CSR will contribute the growth of firm value. Second, the company invest the CSR to achieve the private purpose of company. Therefore he standpoint of CSR is confused. Our hypothesis are as follow; First, we expect that the index of CSR will effect on future Tobin’s Q. That is, Tobin’s Q will be higher when the index of CSR is higher. Therefore investors place the importance on the index of CSR. Second, we posi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x of CSR and Tobin’s Q will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Because the well-established corporate governance will effect firm value positively. Therefore we expect the Tobin’s Q will increase when the firm hav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vest the CSR.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BOD as the prox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also to examine our hypothesis, we use Heckman’s two-stage model. Because the CSR of company can be influenced by firm characteristics, so it need to control firm characteristics to find the effect of CSR. We found that Tobin's Q of firm increased when firm increased to invest on CSR. That is, the investment of CS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bin's Q measured by from year t to year and t+3. And also, we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measured by number of outside directors,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and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s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BOD have a crucial rol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except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creased when firm have more the number of BOD. That is, the number of BOD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nd we found the similar result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regard the CSR of firm as a good new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simultaneously when they evaluate firm value. These results consist with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which the effect of CSR one firm value is affected by of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Our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Our study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 of CSR on the other hand the prior research examine the short-term effect. And we have a difference that we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BOD with the effect of CSR on Tobin’s Q.

      • KCI등재

        연구논문 : 토빈의 Q로 측정한 사회적 책임활동의 장기효과 및 사외이사제도의 역할

        김정옥(제1저자) ( Jeong Ok Kim ),신유진(교신저자) ( Yoo Jin Shi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장기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이들 특성이 사회적 책임활동과 장기기업가치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가 t기부터 t+3기까지 측정한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며, 둘째, CSR에 대한 투자와 장기 Tobin``s Q와의 관계에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는 장기 Tobin``s Q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수,전문성, 독립성, 활동성으로 측정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CSR이 장기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이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활동성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CSR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또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우수할수록 더욱더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할수록 CSR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CSR에 대한 투자의 효과를 장기간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효과가 사외이사제도의 특성과 결부되어 차별화된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중요한 차이점을 지닌다. 즉,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SR이 장기간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여 CSR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경영자를 포함한 기업의 관계자 및 시장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사업내용과 특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CSR에 대한 투자가 궁극적으로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업의 사회기여활동의 건전성 및 내용 등도 포함하여야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의 한계로 인하여 CSR이 장기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더 확장된 기간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다는 것과 사외이사제도이외에 다른 특성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에 그 한계가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연구과제로 남을 것이다. 그리고 CSR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에 기여하더라도 기업 입장에서CSR에 대한 투자를 무제한 할 수 없으므로 적정수준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we use CSR instea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A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OD an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In here, we use the Tobin``s Q as the proxy of the firm value. And we measure CSR using the index of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s Justice from 13 to 20. Specifically first, we examine the effect CSR on Tobin``s Q from year t to year t+3. The reason why use the period from year t to year t+3 is to investigate short and long term effect of CSR. Second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 Korea, the ratio of the investment of CSR is higher rather than other asia country and developed country. Therefore, to investigate why company in Korea increase to invest to CSR will give important contribution. And also the ratio is increasing recently. The investment of CSR is not forced to insiders and outsiders of firm. And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firm interest. So several kinds of research suggest why the company spend big money to CSR. First, the purpose of investment of CSR is to increase to the public interest independent of company interest. But ultimately, the activity of CSR will contribute the growth of firm value. Second, the company invest the CSR to achieve the private purpose of company. Therefore he standpoint of CSR is confused. Our hypothesis are as follow; First, we expect that the index of CSR will effect on future Tobin``s Q. That is, Tobin``s Q will be higher when the index of CSR is higher. Therefore investors place the importance on the index of CSR. Second, we posi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x of CSR and Tobin``s Q will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Because the well-established corporate governance will effect firm value positively. Therefore we expect the Tobin``s Q will increase when the firm hav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vest the CSR.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BOD as the prox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also to examine our hypothesis, we use Heckman``s two-stage model. Because the CSR of company can be influenced by firm characteristics, so it need to control firm characteristics to find the effect of CSR. We found that Tobin``s Q of firm increased when firm increased to invest on CSR. That is, the investment of CS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bin``s Q measured by from year t to year and t+3. And also, we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measured by number of outside directors,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and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s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BOD have a crucial rol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except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creased when firm have more the number of BOD. That is, the number of BOD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nd we found the similar result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regard the CSR of firm as a good new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simultaneously when they evaluate firm value. These results consist with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which the effect of CSR one firm value is affected by of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Our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Our study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 of CSR on the other hand the prior research examine the short-term effect. And we have a difference that we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BOD with the effect of CSR on Tobin``s Q.

      • KCI등재

        기업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강길환,진종백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최근 3년간 500개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기업소유구조를 나타내는 대주주지분율과 기업가치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소유구조가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기업가치의 대리변수인 Tobin's Q를 종속변수로 하고 대주주지분율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레버리지비율, 기업규모 및 R&D집중도를 통제변수로, 그리고 산업효과를 더미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치와 대주주지분율 사이에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대주주지분율 제곱을 추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주주지분율 제곱의 계수가 유의한 정(+)의 값을 가지므로 기업가치와 대주주지분율 사이에는 단순한 선형관계가 아니라 비선형 곡선관계를 알 수 있었다. 기업가치와 대주주지분율 간의 비선형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대주주지분율을 10%씩 구간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자 간에 관계가 단조감소나 증가를 나타내는 단순한 관계가 아니라 기업가치가 대주주지분율의 구간에 따라 상이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본 연구의 시사점은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바람직한 지배구조수준이 현실적으로 존재한다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주주지분율의 적정수준을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value in KOSPI firms using the ordinary least squares(OLS) regression model Tobin's Q is used as a proxy for corporate value. In the empirical analysis, Tobin's Q is regressed on major shareholder's ownership variable and other control variables, including firm size(log total asset), financial leverage(debt ratio), research and develope(R&D expense/sales) and industry dummy variables. We firstly employ sim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value. Secondary, we use multi-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 of corporate value(Tobin's Q) and other variables(firm size, Leverage ratio, R&D and dummy variable) including major stockholder's ownership. Thirdly, We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value and different levels of major stockholder's ownership By the results, It appears that Tobin's Q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 against major stockholder's ownership. And it also appears that positive relation of corporate value(Tobin's Q) and other variables(firm size, Leverage ratio, R&D and dummy variable) including square of major stockholder's ownership.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ontrol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value. Also we guess nonlinear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value. In particular, we find that is the optimal ownership structure to maximize the corporate value in KOSPI firms. It is an optimal corporate value from 20% to 40% of major shareholder's ownership.

      • KCI등재

        비대칭 규제하에서의 기업의 신규투자와 토빈 Q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이원흠(Won Heum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6 규제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투자의 수익률, 신규투자의 투자수익률을 모두 추정할 수 있는 M-M(1961, 1963)의 기업가치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기업투자의 결정요인인 성장기회에 대한 대용변수로 활용되는 토빈 Q를 대체할 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새로 개발한 성장기회 대용변수(이하 “내재가치 Q”)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인 기업지배구조 규제제도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BR>  공정거래법상의 대기업집단 지정제도와 증권거래법상의 대규모기업에 대한 지배구조 규제제도가 기업의 투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추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토빈 Q에 대한 대안으로서 새로 개발한 성장기회 대용변수인 내재가치 Q변수는 투자-성장기회 민감도 분석에 있어서 일관되게 토빈 Q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한 특성을 보였다.<BR>  둘째, 내재가치 Q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 및 Logit분석 결과, 비대칭적 규제제도하에서 대기업집단 소속기업 및 대규모기업의 투자는 성장기회를 잘 반영하여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대칭적 규제제도의 강도가 작은 비그룹/소규모기업의 투자에 있어서는 성장기회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develop a valuation model, based on the seminal papers of M&M(1961, 1963), to estimate the growth opportunities, the proxy variable of which will be called as “intrinsic Q”. Using the intrinsic Q, we are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investment and growth opportunities during the post-IMF period, when the government has exerted asymmetric regulations on corporate governance.<BR>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trinsic Q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vestment-growth opportunities sensitivity, which is stronger than quasi Tobin"s Q, which is adopted as a proxy variable of growth opportunities in general. Second, the large and Korean conglomerate firms show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nvestment-growth opportunities sensitivity than the smaller and non-conglomerate firms.<BR>  In sum, the regulations on corporate governance would help firms with great growth opportunities to invest more.

      • KCI등재

        KEJI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와 경영성과 비교

        강경이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3

        ISO 26000은 강제성을 띠지 않고 자발적 채택을 권유하는 즉 인증(certification)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국제적인 표준이다. 그러나 여기에 참가한 대부분의 국가와 이해관계자들은 기업간, 국가간 거 래와 계약질서에서 ISO의 SR Guidance가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ISO 26000 지표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적인 지표인 ISO 26000 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이하 ISO 26000)과 경제실천정의연합의 좋은 기업으로 선정된 200대기업 (이하 KEJI 200이라고 한다)중에서 어떤 지표에 의해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Tobin's Q)와 경영 성과(ROA, ROE)가 더 높은지 또는 영향을 더 주는지 T-검증과 회귀분석 및 추가로 Mann-Whitney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SO 26000선정된 기업과 KEJI 200대 선정된 기업과의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 다. 둘째, 시가총액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 ROA, RO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CSR 활동의 대용치로 주로 KEJI 200 또는 ISO 26000 을 단독으로 기업가치 또는 경영성과를 분석했던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국제표준 ISO 26000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과 국내표준 KEJI 200대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치와 경영성과를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ISO 26000지표를 향후 우 리나라에서도 CSR평가지표로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여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obin's Q, ROA and ROE of 30 companies (or 50 companies) selected in ISO 26000 are better than Tobin's Q, ROA and ROE of 200 companies selected by KEJI index. The sample period for this study is from 2015 to 2017. T-tests and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obin's Q than those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Second, Among the 100 largest companies with market capitalization, Tobin's Q, ROA, ROE of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were higher than companies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I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SR activities of enterprises selected by the ISO 26000 index in general show better performance in enterprise valu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ISO 26000 CSR activities of companies are certified by stakeholders in the market.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nies do not have the mandatory ISO 26000 index, but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can be a useful means for enhancing corporate value. It is also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licy implications of adopting the ISO 26000 index.

      • KCI등재

        무형자원과 경쟁력 지속성의 관련성

        박원,박상규,이창수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6

        자원기반관점 이론에서는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무형자원을 들고 있다. 하지만, 현행 회계처리방법은 무형자산성 지출로 인해 미래 창출되는 경제적 효익의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이와 같은 지출의 대부분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회계분야의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의 무형자산성 지출을 자산화할 경우 회계정보 유용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가치 관련성 측면에서 자산화 입장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무형자원이 기업의 경쟁력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자원기반관점에서 실증적인 증거와 함께 무형자산성 지출의 회계처리 논쟁에 새로운 증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기업의 산업초과이익을 경쟁력, 무형자원을 토빈 q, 무형자산성 지출에 대한 가치를 토빈 q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자원의 가치는 미래 기업의 산업초과이익과 산업초과 이익 지속성에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형자산성 지출의 경우에도 미래 기업의 산업초과이익과 산업초과이익 지속성에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 자원은 산업의 차이에 따라 미래 경쟁력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의 기술 산업인 정보통신산업일 경우 무형자원과 미래 경쟁력 지속성은 비정보통신산업보다 더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intangible resources and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ccording to the resource-based view of a firm(RBV), a firm's intangible resources is what makes its competitive advantage sustainable in time. We provide indirect evidence on the current debate on capitalization versus expensing of intangibles. We use regression models that had been used by Waring(1993) and by McGahan and Porter(2003). We use the estimated persistence of firm's excess profits to measure sustainability, and Tobin's q to measure resource intangibility. We introduce accounting of that is the predicted value from a hedonic regression of q on several accounting measures of intangibles. The sample consists of 2,821 non-banking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obin's q as a measure of intangible resources is positively related persistence of firm's excess profit. Second, the predicted value from the regression of q is positively related persistence of firm's excess profit. Third, the impact of resource intangibility on the persistence of firm's excess profit differs significantly across industries. Our results suggest that intangible resources play an effective role in sustaining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lso, our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s of debate on the accounting treatment for intangible outlays.

      • KCI등재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가?

        장지경(Ji-Kyung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함에 있어 상이한 도입과정을 보인 한국과 중국을 대상으로 하여 국제회계기준의 도입효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은 2011년부터 일시에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였으나, 중국은 2007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의 적용범위를 순차적으로 확대하고 자국의 회계기준과 일치시키기 위한 개정작업을 지속하는 등 점진적인 도입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양국의 국제회계기준 수용과정 상의 차이는 양국의 회계기준 변경 효과 측면에서도 차이를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우 토빈의 Q값이 국제회계기준 도입이전 기간에 비해 도입이후 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국의 경우 토빈의 Q값이 전반적으로 증대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제회계기준을 전후하여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의 도입효과를 검증함에 있어 국가별 도입과정의 이해가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research, it is empirically tested whether firm value after the adoption of IFRS is increased in Korea and China using Tobins Q model. In Korea, IFRS was mandatorily adopted in 2011 for all companies. China mandated IFRS conversion for public traded companies starting 2007. The revisions bring Chinese standards closer to the IFRS benchmark of internationally recognized quality, but the new standards will not be word-for-word translations of IFRS, though they founded on similar principle. We expect the different adoption process between Korea and China can make different impact of IFRS on firm val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bins Q seems to be increased after the adoption of IFRS, and the firm value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IFRS adoption in Korea. Second, Tobins Q seems to be increased after the adoption of IFRS, but the analysis by t-test is not significantly higher for post IFRS. These results could be a good finding in that the impact of IFRS a option on firm value is different by adoption process.

      • KCI등재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Auerbach의 q에 의한 투자결정의 기준

        구본열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5

        An issue related to the firm financial decision is the proper criterion for new investment. Tobin (1969) has argued that firm will have an incentive to invest when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greater than the reproduction cost of the capital. This implies that . Personal income taxes affect the after-tax return to equity financing. Two taxes are relevant, namely the dividend income tax, the capital gain tax. Under personal income taxes, Auerbach (1979) and Armitage (2005) has suggested that, even though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less than the reproduction cost of the capital, that is , firm has an incentive to invest for new investment if the investment source is retained earnings. They argued that the cost of equity is less if the investment source is retained earnings than if the source is new issues assuming that the dividend income is more than the capital gain tax. In this paper, under a world of certainty, we explore once more the determination of firm equity policy and investment on the basis of Auerbach (1979) and Armitage (2005). For this purpose, first, we try to derive the cost of equity for new issues and the cost of equity for retained earnings using the constant growth dividend discount model on the basis of Auerbach (1983). Using this model, given that the proportion of profits is retained, we derive the cost of equity for new issues before personal tax, . Also, the cost of equity for retained earnings before personal tax, is derived by letting . From this, we find the cost of equity is affected by the capital gain tax rate but not the dividend income tax. Second, using the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before personal tax with no arbitrage condition, we derive the Auerbach’s which is, . The fact that the Auerbach’s is less than 1 means that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less than the replacement value of its assets. Also, if , there will be no retention. Shareholder wealth is greater if all profits is paid as dividend. If , investment from retention is preferred compared with paying out dividend. If , both investment from retention and investment from new issues are worthwhile. Third, we try to link this cost of equity to ratio. That is, a change in ratio implies a change in the cost of equity; if is going to fall next period, there will be a capital loss on shares, and the new cost of equity exceeds the original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under equilibrium condition. In addition, with , we derive the cost of capital for new issues in single period, , which is the same as Auerbach (1983), for proving that this cost of equity is also exceeds the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Finally, we analyse how the market value may fall below reproduction cost of capital in a economy. By this analysis, we conclude that if , firm will not issue new shares to finance investment. But, they will reinvest all of their retained earnings in new capital. 기업의 재무정책과 관련된 이슈는 새로운 투자에 대한 합당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토빈(1969)은 주식의 시장가치가 실물자본의 재생산비용보다 클 경우만이 기업은 투자할 유인을 가진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토빈의 q가 1보다 큼을 의미한다. 그러나 Auerbach(1979)와 Armitage(2005)는 개인소득세가 존재하여 배당 소득세가 자본이득세보다 크고 투자자금의 원천이 유보이익이라면 토빈의 q가 1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투자할 유인이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확실성하에서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기업의 재무정책과 관련된 투자결정의 기준으로 Auerbach(1979)와 Armitage(2005)에 의한 Auerbach의 q의 산출과정에 대하여 살펴 보고 이들의 연구를 보다 재무론적인 관점에서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Auerbach (1983)에 기초한 항상성장 배당평가 모형에 의거하여 신주발행시의 자본비용과 유보이익의 자본비용을 유도 하였다. 그리고 만약 q가 하락한다면 자본비용이 상승함을 증명함으로서 기업의 자본비용과 Auerbach의 q와는 서로 음(-)의 관련성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새로운 투자에 대한 유보이익의 투자기준은 이 됨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재무정책에 대한 투자결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통화정책과 기업 설비투자: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 분석

        박상준,육승환 한국은행 2018 經濟分析 Vol.24 No.4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monetary policy affect corporate investment or not,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sset price channel and the balance sheet channel among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mechanisms. Unbalanced dynamic panel model based on system GMM method is employed and annual financial statements data of Korean firms from 2000 to 2016 are used. For estimating the asset price channel, Tobin’s q i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for estimating the balance sheet channel, the cross products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call rate difference or liquidity asset ratio and rate of increase in monetary base are used as interaction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debt ratio and operating profit ratio are included as the regressors. The dependent variable is investment ratio (the ratio of real investment amount to real tangible fixed asset amount). The empirical test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vestment at t and Tobin’s Q at t-1. Considering lowering policy rate possibly increase stock price, and then stock price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obin’s Q, the plus signal of Tobin’s Q means that the asset price channel of monetary policy func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efficient of liquidity asset ratio at the former period (t-1) is also estimated as plus – it means that there might b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banks. Meanwhile, the coefficient of interaction term which is the cross product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call rate difference is estimated plus and the one which is the cross products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rate of increase in monetary base is estimated minus.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liquidity asset on investment gets weaker during the time of easing monetary policy; therefore, the balance sheet channel of monetary policy fun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estimation by firm size distribution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asset price channel and the balance sheet channel are stronger in the smaller firms. Besides, the impact of operating profit on investment is estimated more powerful in the smaller firms rather than in the larger firms. On the contrary, only the debt ratio coefficient of top 50% sized-firm group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minus sign.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firms’ investment during the time of tightening monetary policy, and external fund premium for smaller firms. 저자 : 박상준(와세다대학교), 육승환(금융통화연구실) <요약> 본 연구는 통화정책이 기업의 설비투자에 미치는 파급경로를 불균형 동태적 패널모형으로 분석하였다. 2000~2016년 중 우리나라 기업의 재무제표 데이터(연간)를 이용하여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GMM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t-1기의 토빈 q는 t기의 투자율과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금리의 인하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주가 상승이 토빈 q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추정된 토빈q의 계수는 자산가격 파급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기 유동성자산의 계수도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은행과 기업 간에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유동성자산 비율과 콜금리 차분의 교차항은 양의 값을, 유동성자산과 본원통화 증가율의 교차항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확장적 통화정책이 실시되고 있을 때에는 투자에 대한 유동성자산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기업을 규모별로 분류하여 추정한 결과,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가 더 뚜렷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업이익률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력도 규모가 큰 기업보다는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채비율은 상위 50% 기업에서만 유의적인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 단위의 분석을 통해 통화정책의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여, 통화정책이 기업의 투자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 또한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 규모별로 상이할 수 있음을 보인 것도 정책적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기업의 ESG 등급과 재무성과에 관한 연구 -연도 및 업종 차이를 중심으로-

        조인영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4 로고스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위기 기간을 중심으로 연도 및 업종별 ESG 등급과 재무성과를 비교하고 기업의 ESG 등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ESG기준원에서 매년 제공하는 ESG 등급을 한국ESG기준원의 등급 자료 기준과 동일하게 ESG 점수로 변환하여 측정하였다. ESG 등급과 재무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813개 기업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과 한국거래소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팬데믹 기간별로 기업의 ESG 등급과 재무성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의 ESG 등급, 환경, 사회책임, 지배구조는 업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토빈의 Q는 ESG 등급, 환경, 사회책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ROE와 ROA는 ESG 등급, 환경, 사회책임, 지배구조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ESG 등급, 환경, 사회책임이 토빈의 Q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ROE와 ROA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연도 및 업종별 ESG 등급과 재무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기업의 ESG 등급에 환경, 사회책임, 지배구조까지 확대하여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SG ratings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year and industry,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crisi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a company's ESG rating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ESG rating provided annually by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from 2020 to 2022 was measured by converting it into ESG scores in the same way as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s rating data standar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and the Korea Exchange for 813 companies that can measure ESG ratings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a company's ESG rat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was identified by the period of the COVID-19 pandemic.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porate ESG ratings, environmental,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by industry. Third, Tobin's Q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SG rating,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ROE and RO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SG rating, environmental,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Finally, i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at a company's ESG rating,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negatively affect Tobin's Q, but positively affect ROE and RO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ESG ratings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year and industry, and expands the corporate ESG rating to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to analyze th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