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수업 교시와 총에너지소비량

        김미정,나현주,김영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lass hour in school on daily activities‘ time and energy spent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2 days of the 4, 6 class hour gather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386 students in Seoul were analyzed. The types of activity were divided into in school activiy and out of school activity, and out of school activity was divided into study, rest, leisure, commuting, household choir, and personal hygiene. The students spent 2300㎉/day in the class hour of 4 and 2230㎉/day in the class hour of 6, and activity coefficient was 1.73, 1.67, respectively. The most affected activity on time and energy spent was the leisure by the class hour in school. The activity coefficient of in school activity was 1.8, which is not reach to low intensity activity. The 35% of the students was classified as low active level, and 40% was active level according to 4 levels of activity determined by the 1 day average of activity coefficien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energy expenditure of individual activities were analyzed. Total energy expenditure were higher in 6th grade than 5th grade, in boys than girls, and in over-weight & obese than under-weight group. Among the out of school activities, energy expenditure in study and household choir were not different by grade, gender, and obesity. On the other hand, energy expenditure in rest & leis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obesity.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수 차이에 따른 학외활동의 소비시간 변화와 활동종류별 평균활동계수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활동 내역을 사전 조사하여 기존의 인터넷 프로그램을 보완한 다음, 서울시내 거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교시 수업일과 6교시 수업일의 활동별 소비시간을 조사하였다. 활동의 종류는 학내활동과 학외활동으로 구분하고, 학외활동은 학습, 휴식, 여가, 통학, 가사, 생리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총에너지소비량은 4교시 수업일 2300㎉, 6교시 수업일 2230㎉로 조사되었으며, 1일 평균활동계수는 각각 1.73, 1.67로, 6교시 수업일이 4교시 수업일보다 낮았다. 학교에서의 수업시간이 길어지면 여가활동의 시간 및 소비 에너지가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내활동의 활동 강도는 평균활동계수(PAL)가 1.8 가량으로 저강도 활동(PAL = 2.0~2.9)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동실태를 4단계 활동수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조사 대상 학생의 35% 가량은 저활동적 단계, 40% 가량은 활동적 단계로 밝혀졌다. 총에너지소비량은 6학년이 5학년보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으며, 과체중 및 비만, 정상, 저체중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외활동 가운데 학습활동과 가사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가 없었으며, 휴식활동과 여가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차이는 없고,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는 있었다.

      • KCI등재

        교사의 행정업무와 학생 평가 활동 시간의 연관성 분석: 학생 평가 및 피드백 투입 시간의 인식과 실제를 중심으로

        이재선,임소정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how the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and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focusing on the recognition and practicality of time spent on student assessment and feedback injection time. The sample of this study is 1,294 home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curriculum for students attending the fifth grade of 242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in 2013,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Panel(KELS). The authors found that first, the administrative work hours of teacher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eacher awareness of the time spent on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Second, chief teacher showed that when administrative work hours increase, student assessment activity time decreases. Third, the nonchief teacher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ime spent on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as the administrative work hours increased. These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support for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olicies is needed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hours of teachers so as to form a teacher's recognition that there is no shortage of time for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Second, when the time for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administrative work hours of nonchef teacher, empirical research on how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were run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 평가 및 피드백 투입 시간의 인식과 실제를 중심으로 교사의 행정업무와 학생 평가 활동 시간은 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KELS)」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3년 전국의 242 개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하는 학생의 담임교사 및 교과 담당교사인 1,294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행정업무시간은 학생 평가 활동 시간에 대한 교사 인식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보직교사는 행정업무시간이 증가할 때 학생 평가 활동 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직교사가 아닌 평교사는 행정업무시간이 증가할 때 학생 평가 활동 투입 시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생 평가 활동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는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도록 교사의 행정업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교육행정 및 정책의 지원이 필요 하다. 둘째, 보직교사가 아닌 평교사의 행정업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 평가 활동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을 때, 학생 평가 활동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생활시간 배분과 일·생활 균형

        조성호 ( Sungho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8 No.-

        이 글에서는 일·생활 균형 관점에서 생활시간 배분 현황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육아·가사도 가정에서의 일이라는 관점에서 일, 육아, 가사에 투입하는 시간의 총합을 산출한 결과, 유배우 응답자의 남녀 차이가 무배우 응답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유배우 여자의 총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시간 사용에서는 여가, 기타, 필수시간이 비교적 부족하였고, 일·생활 균형의 어려움은 유배우 응답자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00년대 이후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음에도 여전히 유배우 여자의 이중 부담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 육아와 가사를 하는 부모들이 유연한 시간 구조를 갖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사업체 급식소 영양사 직무분석(제2보)

        양일선,김현아,이진미,차진아 대한영양사협회 199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actual time spent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on management activities, and b) develop standardized indices of dietetic staffing needs in employee foodservice. A job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65 dietitian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ractice Group, members with management responsibilities in employee foodservice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32 dietitians for a response rate of 49%. The questionnaire contained two parts with a total of 99 statem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ual time spent on management activities by dietitians in employee foodservice was 69.80 hours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was 61.81 hour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 ILO allowance rate(11%) was applied: The standardized working hours per week of dietitians working in employee foodservice with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plants, and office building were 79.61 and 64.25 respectively; Staffing need indices were 1.81 and 1.46 respectively on the base of 44 working hours. 3. The average standardized working hours per week was 68.61 hours and staffing need indices was 1.56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