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사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 『조선-한국 당대문학사』를 중심으로

        이승윤(Lee Seung Yun)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This article looked into "Joseon - Korean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published by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Yanbian University, which may be a third eye toward Korean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literary history aimed at bo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y utilizing data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as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in a third country. Concerning the period that this study aimed at, it ranges from the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Korean War in 1950.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is period by classifying it into poetic literature, novel literature, and play literature along with an overview of the time. Among them, this study proceeded to a discussion limited to the poem genr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e entir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1945 to 1980 while indicating South Korea as "Hanguk (Korea)" and North Korea as "Joseon". It is also interesting that in the main body of the book, it uses neutral expressions that do not belong to either South Korea or North Korea, just as the literature of the "South" and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side from its use of "(North) Joseon" and "Hanguk" indicates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nd the South.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of literary history, the book is classified into 10-year periods from the 1950s to 1980s, and only Chapter 1 covers about five years from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period immediately before the Korean War under the title of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reason wh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adopted such a classification of periods may be because the book was intended to be poised on the border that does not belong either to the South or the North. The fact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emphasized in particular "mutual contac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and brought it to prominence while explaining the situation of literary circles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enables us to glimpse the direction of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aimed at b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That may be read as a different expression of a consciousness of seeking "mutual conta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r aspiring to such contact and to be voluntarily in charge of its role under the special situation of being an "autonomous prefecture of the Joseon people in China", namely a third country. Meanwhile the "Literary History of the Joseon Race in China" (2007), which is used as a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Joseon Literature at the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located in Beijing, China,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another literary history produced in the same China. The guidelines that they determined are the literature and history of the citize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also of the "Joseon race as a minority race" and they are not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people" who immigrated to China. Therefore, prior to mentio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country for literature of the Joseon race, it is defined in the semantic network with Chinese literary circles or Chinese society and history.

      • KCI등재

        해방기 시어의 일면

        김종훈(Kim, Jong-Hoon)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2

        이 논문은 정지용과 조지훈의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어의 일면을 살핀 시도이다. 1935년 개척된 시어의 영역은 반봉건?반외세?민족국가 설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자장 안에서 축소되었다. 고어나 한자어는 새로움에 위배되는 것으로, 방언은 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표준어’와 대치되고 있었다. 정지용이 개척했던 여러 개성적인 시어, 고어와 한자어에 관심이 컸던 조지훈의 시어, 두 시인의 시어가 시대정신의 압력에 어떠한 반응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대결에서 한자어가 밀려나는 모습이 해방 이후 정지용의 시에는 담겨 있다.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고어나 방언이나 조어가 주류 시에 포함될 기회가 지연되었던 것이다. 조지훈은 해방 전 창작한 시에서 유서 깊은 대상의 고유명사를 한자어에 담았다. 그의 한자어는 고어와 밀착했다. 해방 이후 조지훈 시에는 특정 대상을 지칭하는데 쓰이는 한자어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한자어가 등장했다. 조지훈의 시는 스승인 정지용과 걸었던 길과 교차하며 갈라졌다. 정지용은 시대 현실과 유리된 동시에서 고유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시적 이력을 마감했고 조지훈은 시대현실이 투영된 관념적 추상어들을 보여주며 남한 시단의 일반적인 흐름에 동참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view the trends of the poetic words in the time of Koream Liberation focusing on poems by Jeong Ji Yong and Cho Ji Hoon. In 1935, the scope of pioneered poetic words was reduced into the field of to build an anti-feudal, against-foreign, and national country. Old or words in Chinese letters were considered as new ones while dialects were regarded as violation of the regulation to the standard language. This article aims at figuring out how poetic words by Jeong Ji Yong who pioneered diverse original words for poetry and by Cho Ji Hoon, who had great interest in old words and one in Chinese letters, have reacted by suppress of the ethos of the time. Jeong Ji Yong’s poems after the liberation contains defeat of words in Chinese letters in the competition between original Korean words and it. After Jeong Ji Yong, the possibilities of universal old words, dialects, and coined words were gone. Cho Ji Hoon included the proper nouns of the old objects consisting of Chinese-derived words in his poems before the Liberation. His use of words in Chinese letters were closely tied to old words. Since the Liberation, Cho Ji Hoon"s poems showed daily-used words in Chinese letters not one designating a specific object. Cho Ji Hoon"s poems separated from those of Jeong Ji Yong, intersecting with them. Jeong Ji Yong used original Korean words actively in the situation isolated from the reality at that time and finished his career as a poet while Cho Ji Hoon showed idealistic abstract words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time, participating in general flow of poetry in South Korea.

      • KCI등재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에 대한 유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박진철 ( Park¸ Jin-chul ),장지영 ( Jang¸ Ji-yeong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7

        본 연구는 대학(원)의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에 대한 유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원)에서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경험한 79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는 실시간 수업 48%, 동영상 수업 40%, 실시간 및 동영상 혼합 방식의 수업 12%의 비율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방식에 따른 유학생들의 만족도는 실시간 및 동영상 혼합 방식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 수업 및 동영상 수업의 장단점에 대한 설문 결과 실시간 수업 방식의 경우 참여자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점, 동영상 수업의 경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온라인 교양 한국어 수업의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학교 행정 차원의 안정적인 기반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 수업의 학습 영역에 따라 실시간과 동영상 수업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학생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in online Korean classes in university through a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79 international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at the university, 48% of real-time classes, 40% of video classes, and 12% of real-time and video-mixing classes were run online.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the highest in real-time and video mixing methods.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pros and cons of real-time classes and video classes, it was positively evaluated for being able to interact with participants in real-time classes and for video classes, repeatable playback regardless of time.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a stable foundation at the school's administrative level to facilitate online classes in Korean language. Second, depending on the learning area of Korean language classes, strategies are needed to operate classes by appropriately mixing real-time and video teaching methods to elicit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Finally, systematic educational material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classes of international students.

      •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체육에 관한 연구(Ⅱ) : 해방 직후 과도기의 학교체육을 중심으로

        이달원,배정행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2 啓明硏究論叢 Vol.20 No.1

        본 연구는 해방 직후 과도기 교육과정 속의 체육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 직후 우리나라는 혼란 속에서도 우리 민족선각자들의 민족주의 교육열망과 민주주의에 의한 미군정의 서구적 의식에 의하여 체육이 표면적 발전을 이를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불안정한 시대적 상황과 첨예한 이념의 대치 속에서 그 가치는 혼미를 거듭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현대 체육교육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완벽한 준비와 교육 본연의 의미를 희석시키는 모든 상황과는 단절할 수 있는 교육의 독립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physical education of school during the time of transition after liberation. Enthusiasm of old scholar and influence from USA educational pattern, Physical education acquired superficial development. However. Value of physical education under social disorder and ideology conflict were not fully assessed, Preparation and Isolation of education itself are critical to realize true meaning or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이호우와 김상옥 시조 비교 연구

        강호정(Kang, Ho-Jung)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이 논문은 김상옥과 이호우 시인의 비교를 통하여 현대시조가 한국의 험난한 근현대사를 어떻게 견뎌왔는지, 또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이들의 새로움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대시조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두 시인의 비교의 기준점은 전통과 시대정신으로 삼았다. 김상옥과 이호우를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두 시인 모두 가람 이병기의 추천으로 『문장』지를 통해 등단했고, 등단 이전에도 작품을 발표한 바 있는 준 기성시인이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두 시인이 모두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4.19 등 근현대사의 변혁을 고스란히 겪은 세대로서, 동시대를 관통해 왔다는 점이다. 셋째는 시조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는 점이다. 넷째는 지역(경남)의 시인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는 것이다, 비교의 기준으로 삼은 전통과 시대정신은 역사의식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다른 맥락의 개념으로 봐야한다. 시대정신이 공시적이라면 전통은 통시적이다. 시대정신이 당대의 근대적 인식을 보여준다면, 전통은 전근대적 인식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시대정신이 현실에 밀착되어 있다면, 전통은 과거를 출발점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호우의 시조가 시대정신을 바탕으로 자주 사회를 항하여 발언한다면 김상옥의 시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인간의 내면과 자연에 집중한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김상옥의 시조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시형을 실험하고 있다. 두 시인의 세계는 다르지만 그 다른 세계는 서로를 비추는 거울이며 현대시조가 나아갈 두 개의 동력이자 방향성이기도 하다. 시조에 있어서 전통(성)에 대한 것이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면 상대적으로 시대정신에 대한 것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modern sijo(時調)) endured perilous modern history of Korea through comparison between Kim Sang-Ok and Lee Ho-Woo and find out what is the novelty of their contents and forms. The standard of comparison between two poets are tradition and `the spirit of the times`(zeitgeist) The reasons for comparing Kim Sang-Ok and Lee Ho-Woo are as follows. First, they both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through 『Munjang(文章)』magazine with the recommendation of Lee Byeong-gi, and were a quasi-poet who had published his work before debuts. Second, they are from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War and 4.19 Revolution and other major modern historical incidents. The third is that he has built a world of his own in the form and content of Sijo. The fourth is that he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s a poet of the region (Gyeongnam). The tradition and the spirit of the times are common in that they are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strictly speaking, they are different. `The spirit of the times`(zeitgeist) is synchronic while tradition is diachronic. If the spirit of the times shows modern perceptions of the day, tradition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premodern perceptions. If the spirit of the times is close to reality, tradition can be sai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past. If Lee Ho-woo`s poetry frequently speaks against society, Kim Sang-ok`s poetry focuses on human inner and natural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world of the two poets is different, but the other world is a mirror that shines on each other, and it is also the two power and direction of modern poetry. If the tradition has been constantly discussed in the sijo,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pirit of the times relatively.

      • KCI등재

        해방 직후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

        임종명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Basically, the space time of Korea right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was a kind of amorphous one where the seemingly hegemonic ideology of nationalism and its aspirations were cast doubts on,and criticized and disputed by other contemporarily scaturient desires and projects of all kinds. Facing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Yi Pŏm-sŏk,based upon his own perspective of society and history, theoretically argued for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in his The Nation and the Youth. And yet, his argument was a nationalist one in that it suggested the state as an apparatus which should serv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welfare. Following his nationalism, The Nation and the Youth eulogized the Korean nation as the most ideal of all the nations on the ground that the Korean nation was a single-race nation. The Korean people, he asked, should sacrifice everything that belonged to them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is shows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was a structured argument for the self-sacrificing devotion of the Korean people to the nation and the state. In terms of what has been introduced thus far, we can say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meant to absolutize the primary nationalist agenda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establish the discourse of sacrifice in the space time of amorphism. This constituted the meaning of his theory and its nationalist implicatio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Within his theory, there existed not a few of tensions and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nd implosions. His blood nationalism was contradicted by his following argument that ‘common territory, culture, and fate’ played a more decisive role than ‘bloo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lso, there emerged two contradictory images of the Korean nation. One was the ideational image of the nation constructed as ‘the loftiest of all’ and the other was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who suffered from self-destructive inveterate and chronic diseases. This contradiction determined the authentic characteristic of his nationalism. In front of the contradiction, Yi’s nationalism meant to realize the ideational nation in the actual world by asking the Korean people in the actual world to sacrifice all they had for the ideational nation. Moreover,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carried within itself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national supremacy and the supremacy of the state. In front of two contradictory supremacies, his theory was not able to specify which was supreme. This reflected the post-War space time that nationalism and the idea of democracy reigned over the post-liberation Korea like a kind of Zeitgeist.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 situations after the World War Ⅱ and Korean liberation brought forth the obscurantism inherent in his theory. This obscurantism determined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expressing contemporary Korean and global history. 해방 공간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열망과 민족·민족국가의 가치가 당시분출하고 있던 여타의 다양한 욕망과 기획에 의해 의심되고 비판・반박되고 있던 ‘무정형’(無定型)의 시・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해방 공간에서 조선민족청년단 단장이었던 이범석은 자신의 역사・사회관에 입각하여, 民族과 靑年에서민족과 국가를 지상화하였다. 그의 민족・국가지상론은 국가를 ‘민족의 복리 발전에 복무하는 기구’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입론이었다. 이러한 위에서, 民族과 靑年은 단일 민족이라는 것을 이유로 한민족을가장 이상적인 민족으로 상찬한다. 이와 같은 민족과 국가를 위해 그의 동료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모든 것을 희생할 것을 그의 책은 요구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과, 이범석의 대중 헌신 요구가 논리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의 민족・국가지상론은 무정형의 해방 공간에서 민족・국가라는 민족주의의 핵심적 의제(議題, agenda)를 절대화하면서 대중에게 그에 대한 헌신을 요구할 수 있는 담론을 확립한다는 의미를지닌다. 바로 이것이 해방 공간에서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이 가지고 있는역사적 의미였고, 또한 민족주의적 함의였다. 이와 같은 의미의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 내부에는 적지 않은 긴장과충돌, 균열과 내파가 존재하였다. 먼저, 그의 혈연 중심 민족론은 논의의 진행과정에서 혈연이 ‘영역’이나 ‘문화’, ‘운명’에 비해 부차화되면서, 그 결과 민족형성에 있어 혈연의 중심성이 부인된다. 또한, 이범석의 민족주의에서는 이념형으로 제시된, “가장 完全”한 민족과 경험태로서 재현된, ‘자기 파괴적 숙질(宿疾)’에 신음하는 민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민족상의 충돌이 이범석의 민족주의의 실제 내용이자,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충돌 앞에서, 이범석의 민족주의는 이념상의 한민족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지상의 것으로 관념화 민족을 위해 잠재적 민족 구성원인 현실의 한국인들에게 그들의 모든 것을 바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그의 민족지상・국가지5집상론은 민족지상과 국가지상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배리(背理)의 것이자, 지상화된 민족과 지상화된 국가가 상호 배척적(排斥的) 관계라는 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고 있었다. 두 개의 상충하는 지상의 것들 앞에서 그의 이론은 민족과 국가 양자 중에서 ‘어느 것이 지상의 것인지’를 명시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민족주의와 함께 민주주의가 일종의 시대정신(Zeitgeist)처럼 해방 직후의한국을 지배했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역사의 표현이었다. 다시 말해서 전후・탈식민지의 역사적 상황이 그의 이론의 애매함을 낳았다. 바로 이러한 애매함이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이 가진 또 하나의 특성이었고, 그 특성은 당대 역사적 상황의 표현이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해방 직후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

        임종명 ( Chong Myong 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해방 공간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열망과 민족·민족국가의 가치가 당시 분출하고 있던 여타의 다양한 욕망과 기획에 의해 의심되고 비판·반박되고 있던 ``무정형``(無定型)의 시·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해방 공간에서 조선민족청년단 단장이었던 이범석은 자신의 역사·사회관에 입각하여, 『民族과 靑年』에서 민족과 국가를 지상화하였다. 그의 민족·국가지상론은 국가를 ``민족의 복리 발전에 복무하는 기구``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입론이었다. 이러한 위에서, 『民族과 靑年』은 단일 민족이라는 것을 이유로 한민족을 가장 이상적인 민족으로 상찬한다, 이와 같은 민족과 국가를 위해 그의 동료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모든 것을 희생할 것을 그의 책은 요구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과, 이범석의 대중 헌신 요구가 논리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의 민족·국가지상론은 무정형의 해방 공간에서 민족·국가라는 민족주의의 핵심적 의제(議題, agenda)를 절대화하면서 대중에게 그에 대한 헌신을 요구할 수 있는 담론을 확립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바로 이것이 해방 공간에서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였고, 또한 민족주의적 함의였다. 이와 같은 의미의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 내부에는 적지 않은 긴장과 충돌, 균열과 내파가 존재하였다. 먼저, 그의 혈연 중심 민족론은 논의의 진행과정에서 혈연이 ``영역``이나 ``문화``, ``운명``에 비해 부차화되면서, 그 결과 민족 형성에 있어 혈연의 중심성이 부인된다. 또한, 이범석의 민족주의에서는 이념형으로 제시된, "가장 完全"한 민족과 경험태로서 재현된, ``자기 파괴적 숙질(宿疾)``에 신음하는 민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민족상의 충돌이 이범석의 민족주의의 실제 내용이자,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돌 앞에서, 이범석의 민족주의는 이념상의 한민족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지상의 것으로 관념화 민족을 위해 잠재적 민족 구성원인 현실의 한국인들에게 그들의 모든 것을 바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그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은 민족지상과 국가지상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배리(背理)의 것이자, 지상화된 민족과 지상화된 국가가 상호 배척적(排斥的) 관계라는 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고 있었다. 두 개의 상층하는 지상의 것들 앞에서 그의 이론은 민족과 국가 양자 중에서 ``어느 것이 지상의 것인지``를 명시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민족주의와 함께 민주주의가 일종의 시대정신(Zeitgeist)처럼 해방 직후의 한국을 지배했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역사의 표현이었다. 다시 말해서 전후·탈식민지의 역사적 상황이 그의 이론의 애매함을 낳았다. 바로 이러한 애매함이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이 가진 또 하나의 특성이었고, 그 특성은 당대 역사적 상황의 표현이었다. Basically, the space time of Korea right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was a kind of amorphous one where the seemingly hegemonic ideology of nationalism and its aspirations were cast doubts on, and criticized and disputed by other contemporarily scaturient desires and projects of all kinds. Facing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Yi Pom-sok, based upon his own perspective of society and history, theoretically argued for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in his The Nation and the Youth. And yet, his argument was a nationalist one in that it suggested the state as an apparatus which should serv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welfare. Following his nationalism, The Nation and the Youth eulogized the Korean nation as the most ideal of all the nations on the ground that the Korean nation was a single-race nation. The Korean people, he asked, should sacrifice everything that belonged to them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is shows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was a structured argument for the self-sacrificing devotion of the Korean people to the nation and the state. In terms of what has been introduced thus far, we can say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meant to absolutize the primary nationalist agenda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establish the discourse of sacrifice in the space time of amorphism. This constituted the meaning of his theory and its nationalist implicatio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Within his theory, there existed not a few of tensions and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nd implosions. His blood nationalism was contradicted by his following argument that ``common territory, culture, and fate`` played a more decisive role than ``bloo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lso, there emerged two contradictory images of the Korean nation. One was the ideational image of the nation constructed as ``the loftiest of all`` and the other was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who suffered from self-destructive inveterate and chronic diseases. This contradiction determined the authentic characteristic of his nationalism. In front of the contradiction, Yi`s nationalism meant to realize the ideational nation in the actual world by asking the Korean people in the actual world to sacrifice all they had for the ideational nation. Moreover,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carried within itself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national supremacy and the supremacy of the state. In front of two contradictory supremacies, his theory was not able to specify which was supreme. This reflected the post-War space time that nationalism and the idea of democracy reigned over the post-liberation Korea like a kind of Zeitgeist.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 situations after the World War II and Korean liberation brought forth the obscurantism inherent in his theory. This obscurantism determined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expressing contemporary Korean and global history.

      • KCI등재후보

        한국근·현대사 텍스트로서『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 대한 검토

        이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민주화 시기의 역사의식을 대표하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며, 선진화시기의 역사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이라고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 위에서 새로운 역사교육의 텍스트로서 후자의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것은 후자가 지금 이 시점에서 ‘선진화 시기’의 새로운 역사인식을 제안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선진화 시기 새로운 역사교육의 목표는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에 의해 선진화와 통일로 이끌 한국인의 육성을 목표로 하면서, 역사적 사고력도 기르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하는 방향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의 기준도 새로운 목표에 부응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를 배경으로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을 기룰 수 있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논의의 결과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먼저,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로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의 확립을 추구하는 측면에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선진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상대화를 통해 민주 시민적 자질의 기초를 함양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has the following two prerequisite. First, the historiography which represent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is 'Korean history of the before and after time of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y 「해방전후사의 인식」'. Second, the representative history description which reflect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riod of pursuing a advanced nation' is 'New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of the before and after time of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y 「해방전후사의 재인식」(From below, 'New understanding') On this above prerequisite, I will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latter('New understanding') as a text of new Korean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this paper. Why do I investigate 'New understanding'? It is not because I evaluate 'New understanding' representative historiography of 'the period of pursuing advanced nation', but because I think 'New understanding' a good text, which involve the new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period of pursuing advanced nation'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It can be set with aim of the new history education that they will rear the Korean who will conduct Republic of Korea with advanced and unified nation by freedom and democracy. With this together, it also may be set with aim of the raising of historical thinking and citizenship. The text of new history education must correspond with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First, the text must guarantee to support the justifiability of ROK &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ROK. Second, it must aim at a peaceful unification of ROK which will be come true by freedom and democracy. Third, it must pursue the advancement of ROK on the background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 base society. With this together, it must pursue the raising of historical thinking and citizenship. As a result of discussion in this paper, I can assert that the 'New understanding' involve the following kind of significance. Above all, it seems that the 'New understanding' as a text for new history education satisfies the conditions on which it must guarantee to support the justifiability of ROK &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ROK. But, it seems that the 'New understanding' is holding a problem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aim at a peaceful unification of ROK. Also, the 'New understanding' have both a limit and a possibility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pursue the advancement of ROK. And then, 'New understanding' will be permitted with affirmative evaluation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pursue the raising of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근․현대사 텍스트로서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 대한 검토

        이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민주화 시기의 역사의식을 대표하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며, 선진화 시기의 역사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이라고 전제한다. 이러한 전 제 위에서 새로운 역사교육의 텍스트로서 후자의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것은 후자가 지 금 이 시점에서 ‘선진화 시기’의 새로운 역사인식을 제안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선진화 시기 새로운 역사교육의 목표는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에 의해 선진화와 통일로 이끌 한 국인의 육성을 목표로 하면서, 역사적 사고력도 기르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하는 방향에서 설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의 기준도 새로운 목표에 부응 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 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 셋 째,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를 배경으로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역사 적 사고력을 기룰 수 있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논의의 결과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먼저,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로서 대한민 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의 확립을 추구하는 측면에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평화 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선진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는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상대화를 통해 민주 시민적 자질의 기초를 함양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분단 역사에 대한 통합서사적 상상력과 통일교육

        박재인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1 No.-

        This research aims to heal the distorted memories and emot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Korea, focusing especially on the younger generation by. Examining their memories about the division history. Students responded by mentioning what they felt were the reasons for the division, as follow: (1)conflict between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after liberation (2)the North's invasion of the South on June 25, 1950, (3)interference from the major powers involved in the Cold War, (4)reversal of time from June 25, 1950, to 1951, (5)the ceasefire in July, 1953. However, the memories and causes they missed were the violence that arose from internal problems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also did not remember the conflicts between the youth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ause, for them, history of division was one of Kim Il Sung's revolutionary achievements. As a concrete action plan, I discuss an epic map of a story of integration based on the oral testimonies of war victims and a creative unification education plan. These are narratives of wives / avoidance / division of enemy. An integrated narrative of accusation / embracing / harmony is a branching education methodology that can systematically appreciate various stories about division and war history. Creative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n active experienc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I discussed the cas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an actual high school. 이 연구는 분단사에 대한 성찰적 기억의 재구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통일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단과 전쟁의 피해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분단사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현재 청소년들의 분단사 기억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의 기억은 ‘해방 후 좌우익 대립, 냉전시기 외부세력의 신탁통치 및 간섭, 1950년 북의 남침, UN군 개입(인천상륙작전), 중공군 개입(1.4후퇴), 1953년 휴전’에 해당하였다. 이는 분단과 전쟁의 책임을 타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의 기억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분단사 교육은 우리의 과오를 지우려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고, 반성적 사유를 시작으로 평화를 희구하고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도록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서 역사경험담 기반의 통합서사지도와 창작형 통일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부인/회피/적대의 분단서사 및 고발/포용/화합의 통합서사로 구성되는 통합서사지도는 분단과 전쟁 역사에 관한 다양한 스토리들을 체계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분단사 교육방법론이며, 창작형 통일교육은 분단사에 대한 자성적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적인 체험활동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통합서사지도를 활용한 콘텐츠 창작 교육활동을 예시로 들어 분단사에 대한 통합서사적 상상력이 실현되는 통일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