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황정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2

        This paper analyses South Korean's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threats’. Based on survey data sets collected from 2007 to 2015, this research organizes several regression model to investigate whether perceived threats of South Korean respondents intensify their exclusive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Now there are almost 29,000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They have multiple and often contradictory positions in South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they are legal citizens and the same blood brother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fugees or migrants who have to adapt to a new host societ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prejudice against minority groups like North Korean defector is not only reinforced by explicit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increased labor market competition and conflicts around additional policy costs to support minor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that respondent's perception of social threats, sense of insecurity, concerns about unemployment and unstable future may provoke mechanisms of contra-identification to put minority groups out of majority’s boundary of communit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cale of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inclines to extend when respondents' level of perceived threats increases. However, respondent's occupation and education background show no significant impact in our regression model. This means that exclusive attitudes toward minorities tend to be reinforced if ordinary people are more worried about instability and insecurity in their everyday lives.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threat is more significant among young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Young people who are more concerned about unemployment crisis, especially since 2013 survey, incline t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South Korea may increase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powerlessness which in turn amplify exclusive attitude toward minorities and out-groups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s. It also supports for the importance of policy measures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value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among young generation and also social in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남한 주민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이 위협 인식(perceived threat)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2007-2015년 통일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위협 인식이 높아질수록 외집단이자 사회적 소수자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타적 태도가 확대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거리감은 남한 주민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위협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으로 인한 집합적 위협과 더불어 남한의 사회환경 위협, 즉 빈부격차나 실업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생각할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이 줄어든다. 셋째, 20대 연령층에 대한 분석에서 인지된 위협의 효과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2013년 이후 청년들은 실업 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을수록 북한이탈주민을 더욱 소원하게 느끼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과도한 경쟁과 취업 위기에 직면한 청년들의 구조화된 무력감이 사회적 소수자에 배타적인 태도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수용뿐 아니라 앞으로 통일 전망 및 통일 준비 과정에서 사회통합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위협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정하나(Jeong, Hana)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2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증가는 서구 이민 국가에서 볼 수 있었던 인종, 문화적 다양성이 한국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시행해왔다. 그러나 점차 이주민이 확대되고 세분화되면서 주류 집단인 한국인들과 함께 이주민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 사회가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화 되는 것을 위협으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있음에도 그동안의 연구는 반이주적정서에 대한 요인이 아닌 다문화 지향에만 초점을 맞춰온 경향이 적지 않아 위협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를 위협으로 인지하는데 있어 이주민과 한국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다문화 사회에 맞는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국민 정체성, 사회적 거리감, 차별인지 및 집단 편견으로 다문화 위협에 대한 한국인과 이주민의 인식지형을 파악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한국인과 이주민 사이의 인식차이는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른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 한국인의 다문화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접촉경험이었다. 접촉경험의 영향력이 높다는 것은 다문화 사회를 당연시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실제 이주민을 접하는 경험이 낮아 접촉이 강화되었을 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정책적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이주민들의 경우 자신들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고 편견이 강화될수록 다문화를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는 이들이 가진 이중정체성, 즉 한국인에 대해서는 외국인이지만 다른 외국인과 자신을 구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 한국 사회에서의 동화만이 대안이 아니며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 강화를 위한 진정한 다문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Increase of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means that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witnessed in Western immigration countries is also appearing in overall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which fit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As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re is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for which different policy directions are required. First, it was contact experience that decided Koreans’ multicultural attitudes. High level of influence of contact experience means that although Koreans take multicultural society as granted, they actually have low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immigrants, which requires policy tools to convert actual strengthened contact experience into positive directions. Second, in the case of immigrants, the less they recognize discrimination and the more bias is fortified, the more they accept multiculturalism as a threat. This exhibits their dual sense of identity in which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foreigners toward Koreans but the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foreigners. Thus,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is not deemed to be the only alternative and Korean society needs to practice genuine multiculturalism to strengthen immigrants’ ethnic identity. Study also conducted in-depth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s of above results.

      • KCI등재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작업기억 및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경은(Lee, Kyoung eun),이완정(Lee, Wanjeoung),최기홍(Choi, Kee-hong),김현택(Kim, Hyun Taek),최준식(Choi, June-seek)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기억 및 정서인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이 지니고 있는 노화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고정관념 위협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60세 이상 노인 17명(남=7)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방문 시 K-WMS-IV와 MMSE를 포함한 기본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 노화 불안, 노화에 대한 태도, 연령 정체성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실험군의 경우 노화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킨다는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여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시켰으며, 대조군의 경우 중립적인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였다. 고정관념위협을 조작한 이후 공간 작업기억 과제 (콜시 블록 태핑 과제)와 정서 인식 과제 (얼굴 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행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된 노인 군이 그렇지 않은 노인 군에 비해 정서인식 과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 정확도 (p<.05)를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 위협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어(p<.05),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더라도 정서인식 과제와 어려운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행 정확도를 보인 반면,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었을 때, 매우 저조한 수행 정확도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정서인식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자신의 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고정관념 위협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e examined the effect of stereotype threat (STT) on spatial working memor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Korean elderl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ole of expected moderator such as self-perception of aging. Seventeen seniors (male=7) received basic cognitive tests including K-WMS-IV, MMSE and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self-perception of aging, anxiety of aging, attitude toward aging and age identity on the first visit. On the second visit, they were exposed to negative stereotype by reading a script detailing cognitive decline related to aging while a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a neutral content. Following the exposure, they were tested on a spatial-working memory task (Corsi-block tapping task) and emotion recognition task (facial expression identificat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iors exposed to STT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emotion recognition task (p < .05) (i.e., especially on the more difficult facial stimuli).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T and self-perception of aging (p< .05), indicating that those who have positive self-perception of aging did not show impairment in emotion recognition task and difficult spatial working memory task under STT.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negative self-perception of aging showed impaired performance under STT. Taken together,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being exposed to STT could negatively influence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ing of elderly. Interestingly, having a positive self-perception of aging could protect the underperformance caused by STT.

      • SCIESCOPUSKCI등재

        New Approach for Detecting Leakage of Internal Information; Using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 Ho-jae Lee ),( Min-woo Park ),( Jung-ho Eom ),( Tai-myoung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9 No.11

        Currently, the leakage of internal informatio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ecurity concerns in enterprise computing environments. Especially, damage due to internal information leakage by insiders is more serious than that by outsiders because insiders have considerable knowledge of the system`s identification and password (ID&P/W), the security system, and the main location of sensitive data. Therefore, many security companies are developing internal data leakage prevention techniques such as data leakage protection (DLP),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and system access control, etc. However, these techniques cannot effectively block the leakage of internal information by insiders who have a legitimate access authorization. The security system does not easily detect cases which a legitimate insider changes, deletes, and leaks data stored on the server. Therefore, we focused on the insider as the detection target to address this security weakness. In other words, we switched the detection target from objects (internal information) to subjects (insiders). We concentrated on biometrics signals change when an insider conducts abnormal behavior. When insiders attempt to leak internal information, they appear to display abnormal emotional conditions due to tension, agitation, and anxiety, etc. These conditions can be detected by the changes of biometrics signals such as pulse, temperature, and skin conductivity, etc. We carried out experiments in two way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trics signals. We analyzed the possibility of internal information leakage detection using an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trics signals through experiments.

      • KCI등재

        한미동맹의 진화와 발전방향

        송세관 대한정치학회 2019 大韓政治學會報 Vol.27 No.4

        본 논문은 북한 비핵화 방법,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조건부 연기 결정 등에서 표출되고 있는 한국의 문재인 정부와 미국의 트럼프(Donald Trump) 행정부 사이에 국익 차원에서 존재하고 있는 정책적 차이를 분석・평가하여 한미동맹이 동맹 공동이익과 동북아시아 안정과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동맹으로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동맹관련 이론과 한미동맹의 형성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발전에 영향을 주고 있는 다양한 환경 요인 중에서 북한에 대한 동맹의 위협인식,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일본, 중국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한 후 한국의 전략적 고민과 지속 가능한 한미동맹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동맹내부의 정치, 군사, 경제적인 문제위주로 분석하고 주변 국가들의 국가정책이 한미동맹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한미동맹은 양국의 국익확충과 관련 국가들의 동북아시아의 패권 장악을 위해 갈등과 협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한미동맹의 진화를 위해서는 한미동맹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사고와 접근은 물론 한국의 국익보호를 위해 주변국가와도 동반자적인 관계 설정이 요구되었다. This paper is analyzing and estimating 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erms of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revealed regarding to North Korea’s methods of denuclearization and GSOMIA(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termination. The purpose of it is to find out solutions to let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develop into a sustainable relationship which can contribute to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nd a security and a piece of Northeast Asia. For that, this paper examines alliance related theories and a formation and a development of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suggesting strategical thoughts of South Korea and suggesting way of development of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while categorizing the alliance’s recognition of threats from North Korea,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problems of defense cost share, and causes of Japan and China. A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political, military, economical problems within the alliance and to assess causes of neighboring countries’ policies affecting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in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alliance will continue conflicts and cooperations for their national interests and for holding hegemony of related Northeast Asia countrie. To make the sustainable alliance possible, South Korea’s strategic thoughts are requested, as well as a partner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for national security.

      • KCI등재

        KNN-Based Automatic Cropping for Improved Threat Object Recognition in X-Ray Security Images

        Joanna Kazzandra Dumagpi,Woo-Young Jung,Yong-Jin Jeo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3 No.4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algorithms is the detection of threat objects in x-ray security images. However, in the practical setting, this task is complicated by two properties inherent to the dataset, namely, the problem of class imbalance and visual complexity. In our previous work, we resolved the class imbalance problem by using a GAN-based anomaly detection to balance out the bias induced by training a classification model on a non-practical datase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alleviate the visual complexity problem by using a KNN-based automatic cropping algorithm to remove distracting and ir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x-ray images. We use the cropped images as inputs to our current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substantial improvement to our model, e.g. about 3% in the practical dataset, thus further outperforming previous approaches, which is very critical for security-based applications.

      • KCI등재

        KNN-Based Automatic Cropping for Improved Threat Object Recognition in X-Ray Security Images

        Dumagpi, Joanna Kazzandra,Jung, Woo-Young,Jeong, Yong-Jin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 201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3 No.4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algorithms is the detection of threat objects in x-ray security images. However, in the practical setting, this task is complicated by two properties inherent to the dataset, namely, the problem of class imbalance and visual complexity. In our previous work, we resolved the class imbalance problem by using a GAN-based anomaly detection to balance out the bias induced by training a classification model on a non-practical datase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alleviate the visual complexity problem by using a KNN-based automatic cropping algorithm to remove distracting and ir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x-ray images. We use the cropped images as inputs to our current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substantial improvement to our model, e.g. about 3% in the practical dataset, thus further outperforming previous approaches, which is very critical for security-based applications.

      • KCI등재

        북미 불신구조의 형성원인과 극복방안

        안문석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uses of North Korea-U.S. distrust and the ways to overcome it. The structure of North Korea-U.S. distrust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were involved in the Korean War. The North took advantage of the Pueblo-a U.S. naval intelligence ship which was captured by North Korean military forces in 1968 while conducting surveillance of North Korea-to demonize the U.S. Pyongyang continued to conduct image manipulation which has caused a diabolic image about the U.S. In the early 1970s, Pyongyang sought to conclude a peace treaty just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but the U.S. rejected the proposal. In the late 1970s, the U.S. proposed a three party talk including the U.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ut it was rejected by the North in turn. Such a process worsened the U.S.–North Korea distrust. In terms of the nuclear issue, they criticized each other for not complying with the 1994 Agreed Framework and the framework was abandoned in 2002. Hereafter Pyongyang began to develop nuclear weapons in earnest and carried out the first nuclear test in 2006. To eliminate the distrust between the two nations, they have to take specific measures step by step. The first step should be mutual recognition which was emphasized by the English school scholars. The strategy of mutual threat reduction needs to be applied to the two nations’ relations. In addition, multi-channel consultation and neo-functional approach can be effective to decrease the U.S.–North Korea distrust. South Korea needs to adopt the policy of liberal-constructive engagement to encourage North Korea and the U.S. to interact and lead to similar identities and interests. 현재 한반도 문제의 핵심은 북핵문제이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북미 간에 형성되어 있는 불신구조가 극복되는 것이 급선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북미불신구조 형성의 역사적 원인을 찾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불미불신구조는 한국전쟁 당시 직접 교전국이었다는 사실에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후 북한의 미국 악마화를 통한 다양한 상징조작, 푸에블로호 사건 등을 이용한 기억의 정치는 미국의 북한에 대한 불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북한의 대미대화시도, 북미평화협정 제안, 미국의 거부, 이어진 미국의 3자회담 제안과 북한의 거부 등은 양국의 서로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했다. 1994년 제네바합의 이후 이행을 둘러싼 공방, 2002년 2차북핵위기의 원인에 대한 논란은 북미의 불신을 보다 구조적인 것으로 변화시켰다. 뿌리 깊은 양국 사이의 불신구조 극복을 위해서는 영국학파와 자유주의이론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영국학파가 중시하는 ‘상호인정’은 북미불신구조 타파를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자유주의적 문제해결의 방안인 ‘상호위협감소’, 상호의존론이 강조하는 ‘다채널 협의’, 1979년 미중관계 정상화에도 적용되었던 문화협정-안보문제 논의 트랙과 같은 신기능주의적 접근법도 북미불신구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북미양국이 상호교류를 하면서 정체성과 이익의 접근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하는 관여, 즉 ‘자유주의적 구성주의 관점의 관여’에 중점을 두고 양국에 대한 외교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세대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분석: 사회자본과 위협인식을 중심으로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영향요인을 사회자본과 위협인식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고 세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자료로 한국인의 가치관·의식 조사 2019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의 세계시민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었으나, 세계시민의식의 영향요인은 세대별로 상이하였다. 둘째, 개인특성요인으로 대도시 거주는 모든 세대의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차원에서 외국인 신뢰는 모든 세대의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 나타났다. 셋째, 위협인식은 장년층에서 경제적 양극화 인식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년층의 시민참여는 세계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수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최근 성인 단계에서 시민의식이나 세계시민의식을 개선하거나 향상하기 위해서는 형식교육보다 평생교육체제에서의 비형식 또는 무형식 학습을 통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성인 대상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에서 세대별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단순한 국제 이해나 다문화 이해를 넘어서서 외국인이나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외국인 신뢰를 형성하는 교육활동과 경험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adults’ global citizenship by a generation with two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and threat perception. Data from the Korean Value and Consciousness Survey 2019 were used f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by generation b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were varied by generation. Second, residing in large c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in all generations regarding personal background features. Besides, the trust in foreigners in all generations played a role as a key influence variable on global citizenship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ird, the threat percep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economic polarization from the elderly. In addition, the citizen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education level. This implies that informal learning in the lifelong ongoing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rather than forma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or global citizenship in the adult stage. It also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programs for fostering th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Furthermore, education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could help in the formation of trust in foreigners should be design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fostering social sympathy for foreigners or immigrants beyond simple understanding for international or multicultural traits.

      • KCI등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정책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세 가지 분석 수준을 활용한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 평가

        최윤미 ( Choi Yunmi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9 국방연구 Vol.62 No.4

        본 논문은 전시 작전통제권 논의 배경과 변천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정책결정 변화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한다. 한국군의 전작권 전환문제는 1950년 6.25전쟁 발발 직후 유엔군 사령관에게 단일 지휘권이 이양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1978년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작전 지휘권이 전환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뜨거운 쟁점이 되어왔다. 그러나 전작권이라는 동일한 사안을 두고도 정부마다 문제 인식과 접근방법이 상이했으며, 첨예한 정치적 갈등과 대립 속에서 국민적 공감대까지 부진하여 전작권 논의는 전환-연기-재연기-조속한 환수 등 서로 다른 정책 결과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논문이 제기한 연구 질문은 명료하다. 전작권 전환 결정을 변화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한 국가의 정책결정 변수를 연구하는 데 있어 가장 유용한 분석의 틀로 손꼽히는 ‘세 가지 분석 수준(three levels of analysis)’을 활용하여 전작권 전환 결정에 변화를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즉, 대통령 개인 또는 집권 정당의 정치적 이념을 포함한 개인적 수준, 북한 위협에 따른 국내 안보환경과 위협인식을 반영한 국가적 수준, 그리고 미국의 국제안보전략 변화에 따른 영향력을 고려한 국제체제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 수준에서 도출한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평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전작권의 핵심 개념 및 변천과정을 되짚어봄으로써 전작권 전환이 내포한 내·외부적 갈등 요소들을 도출하고 정책결정 시 고려되어야 할 교훈을 도출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olicy-making changes on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OPCON) by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n OPCON. The issue of transferr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South Korean troops to the U.N. commander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and has been used as a key base for forming the Korea-U.S. military alliance to the present day and a useful issue in terms of domestic political ideolog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in 1978. However, the problem perception and approach of each government differed over the same issue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e discussion of wartime control resulted in different policy outcomes and changes, including the conversion-delay-reaction-quiet return as the public consensus remained sluggish amid sharp political conflicts and conflicts. Against this backdrop, the question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simple. What are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change the decision to transfer wartime control? Using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useful framework for studying a nation's policy-making variables, we want to identify th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decision to transfer wartime control.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derived at each level of analysis will be assessed, divided into personal levels, including the political ideologies of an individual president or a ruling party, national levels that reflect the domestic security environment and threat awareness due to North Korean threats, and international system leve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U.S. international security strategy. Based on the core concep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factors that the transfer of wartime control implies, the government will provide policy suggestions on the challenges of achieving a solid Korea-U.S. alliance after the transfer of wartime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