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조선 초기 법화사상과 불교의례

        김인묵,심일종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2

        『법화경』의 사상적 내용은 일불승(一佛乘)한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정신을 바탕으로 청문(聽聞)과 수지(受持)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신라와 고려의 통일 과정에서 사상적 밑받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통일신라시대 비록 정토불교가 성행하였고, 고려시대에 선불교가 유행하였지만, 대중들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고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경전은 『법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인들의 내면에 문화적 DNA로 새겨져 있는 법화사상에 대해 굳이 언급할 필요는 적겠지만, 조선 유교사회에 들어서는 『법화경』과 법화사상에 대해 주목하는 일은 아직은 필요해 보인다. 그것은 조선사회가 20세기와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화사상 나아가 한국불교가 걸어 나가야 하는 방향과도 직결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조선초기 불교의례의 존립에 대해 『법화경』과 법화사상의 맥락에서 소화하려고 하였다. 우리는 『법화경』이 지니고 있는 대승불교의 논리, 즉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사유에 매료되어 있다. 또한 『법화경』은 인간은 누구나 내면적인 가치를 존중받아야 하며 인격적인 차원에서 평등하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불교의례의 차원에서 조선초기에도 여전히 불교경전은 그러한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태조와 태종대는 물론이고 세종과 문종대에도 여전히 불교의 힘에 의지하여 자신들의 선왕과 선후의 극락왕생을 빌고 있는 모습은 이 땅에 불교가 들어왔을 때의 모습을 닮아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초기 『법화경』과 법화사상이 이전 시대에서부터 전승되었다는 점과 새로운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만났을 때 보여주었던 법화사상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때 조선 초기 불교의례라는 문화요소에 법화경이 어떻게 사용되고, 왕실과 사대부 및 일반 대중들에게 무엇을 의미하게 되었는지를 효용과 가치의 측면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The ideological content of The Lotus Sutra is based on the spirit of Cheongmun [聽聞] and Suji[受持], which is based on the spirit of Ilseung[一乘]. Thus, it can be said that in Korea, it was an ideological found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between Silla and Goryeo. In addition, although Jeongto Buddhism was prevalent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Seonjegyo was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utra that were constantly loved and studied by the public can be said to be The Lotus Sutra. As such, it is not necessary to mention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engraved with cultural DNA inside Koreans, but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he Lotus Sutra and the idea of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Confucian society. This is because Joseon society believes that it has a problem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galization ideology and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Buddhism should walk in a democratic society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In the text, the existence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tried to be digested in the context of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 are fascinated by the logic of Mahayana Buddhism in The Lotus Sutra, that is, the innovative thinking that anyone can become a Buddha. In addition, The Lotus Sutra teaches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respected for their inner values and are equal at a personal level. And in terms of Buddhist rituals, it can be seen that Buddhist scriptures still played such a role ev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ot only Taejo and Taejongdae, but also Sejong and Munjongdae still rely on the power of Buddhism to pray for the paradise of their predecessors and ancestors,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Buddhism entering this l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otus Sutra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ere handed down from the previous era, and the aspects of 『The Lotus Sutra』 that were shown when meeting new ideologies of the times were examined. At this time,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Lotus Sutra was used in the cultural element of Buddhist ritual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hat they meant to the royal family, the high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in terms of utility and value.

      • KCI등재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곽승훈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9 新羅文化 Vol.3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Buddhist activities around Jirisan(智異山) area in Silla Dynasty and erection of 'Shinhaengsonsabi(神行禪師碑 inscription of Shinhaeng's biography)' during the reign of King Hunduk(憲德王). Around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Silla, following Buddhist activities took place in Jirisan area: Lee Soon(李純), a royal high officer of King Gyeongduk(景德王), established Dansok Temple(斷俗寺); a monk Youngjae(永才) who wrote Korean folk poetry Hyangga(鄕歌) went into hermit in Jirisan; the Avatamska Sutra was transcribed in Hwaeom Temple(華嚴寺) initiated by the Buddhist teacher-priest Yeongi(緣起); and Virojana Buddha statue and stone tower were created in Seoknam Temple(石南寺). Initiators of such activities were considered to be the supporters of an authoritarian monarchy of King Gyeongduk. A new sovereign power of the late Silla organized activities in memory of the eminent monks, so as to gain support of the Buddhist sector of society. For instance, statues of the ten most important figures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of Silla were enshrined in a golden chapel of Heungryun Temple(興輪寺). Moreover grave stones for many eminent monks were erected to commemorate their thoughts. One of these commemorative objects is a representative of the Zen Buddhism, Shinghaengsonsabi erected in Jirisan area. The motivation for the new sovereign power to erect Shinhaengsonsabi is as follows: Shinhaeng belonged to the Kim(金) family and ‘jingol(眞骨)’ royal family; he was a Zen Buddhist monk; and his philosophical inclination was appropriate. His Zen Buddhist thoughts were based on the comprehensive knowledge of various scriptures and it was inclusive as well as integrative with various other thoughts. He was also well-informed of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法華思想)’ in which coexistence and a ‘Theory of Harmonization(和諍思想)’ were emphasized. It was within a similar context of promoting the Theory of Harmonization in Buddhism by the new regime based on the Thoughts of Lotus Sutra of Wonhyo(元曉). Such motivations of the new regime for promoting the thoughts of Shinhaeng also resulted in supporting Dansok Temple. The new regime attempted on convincing people of Dansok Temple to become their supporters. Later, people in Cheongju(菁州) region joined in as a result of the Riot of Kim Heonchang(金憲昌). However it did not encourage any significant activity and was eventually pacified. It is considered to be a strategic gain of the financial support and persuasion by the new sovereign power targeted to Dansok Temple. The foundation of Shinhaengsonsabi marked an official approval of Zen Buddhism by the state. As a result, Zen Buddhism began to disseminate throughout Silla which in turn carries a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

        사천 다솔사의 역사와 사격(寺格)

        장일규 ( Chang Il-gyu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사천 다솔사에는 통일신라시대나 고려 전기에 조성되었다는 석굴과 불상이 자리하고 있다. 한편 16세기 초반 이후에 작성된 다솔사 관련 문헌 자료도 전한다. 다솔사는 지영이 창건한 뒤 자장, 의상, 도선, 나옹에 의해서 네 차례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다만 ‘타솔사’, ‘영봉사’, ‘영악사’ 등으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 혜근 이후에 계속 香火를 이었지만, 1592년에 경내 건물의 반 이상이 불탄 뒤에는 1696년의 중건불사로 옛 모습을 회복하였고, 1758년의 중건 불사로 10년 전 소실된 전각의 일부를 회복하였으며, 1777년과 1785년에는 팔상전 중수를 계기로 일부를 복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1758년에 절 이름을 ‘다솔사’로 변경하였다. 다솔사 주변에는 서봉사가 위치하였다. 서봉사의 기록에서 의명, 도선 이야기는 다솔사와 관련되었다. 의상과 동일인으로 여겨지는 의명과 함께 도선은 서봉사는 물론 다솔사와도 인연을 맺었다. 다솔사의 보안암 석굴이 경주 석굴암과 비슷한 구조를 갖추었고, 석굴에 봉안된 불상이 고려 전기에 조성되었으므로, 다솔사는 의상과 도선이나 그 문도의 영향을 받았다. 고려 말에는 정오가 서봉사에서 법화사상이나 천태사상관련 불서를 꾸준히 간행하였다. 서봉사에는 고려 말까지 법화신앙을 강조하는 경향이 유지되었는데, 다솔사도 그 영향에서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다솔사는 18세기 중반-후반에 서봉사와 함께 造紙 및 納紙의 寺役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서봉사의 역사나 불교사상 및 신앙은 다솔사의 그것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의상의화엄사상은 신라 왕실과 밀접히 관계하였고, 정오의 불서 간행은 불교사상이나 불교신앙의 홍포에 기여하였으므로, 다솔사는 신라나 고려 왕실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조선개국 이래에는 불서를 간행하면서 종이를 납품하는 보급처로 기능하였으므로, 다솔사는 조선 왕실의 관심도 줄곧 받았다. 다솔사는 서봉사와 함께 사천 일대는 물론 지리산 동부 및 남해안 연안 일대의 사찰 가운데 고대 이래 주요 사찰로 자리한 古刹의 하나였다. The data related to the Dasolsa Temple are conveyed. It is a cave, Buddhist statue, and documentary material. Dasolsa Temple has been re-built four times since its founding. However, before the end of Goryeo dynasty, Dasolsa Temple was not maintained steadily. Dasolsa Temple remained steadily sinc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ut more than half of it was burnt down in 1592. After that, Dasolsa Temple was built again in 1696, 1758, 1777, and 1785. In 1758,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Dasolsa'. Seobongsa temple is located near Dasolsa Temple. Seobongsa temple and Dasolsa Temple were close to the Uisang Monk and Doseon Monk.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Seobongsa temple published a book. In the mid-to late 18th century, Dasolsa Temple made paper with Seobongsa temple. Therefore, the history and Buddhist thought of Seobongsa temple are connected with that of Dasolsa Temple. Dasolsa Temple received the attention of Silla, Goryeo, and the Joseon royal family. Therefore, Dasolsa Temple was one of the old temples among the temples around Jiri Moun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