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리적 행동이론(TRA)과 계획행동이론(TPB)의구조방정식모델 비교연구: 음식관광행동 예측을 중심으로

        손정기 ( Jeong Ki Sohn ),남장현 ( Jang Hyeon Na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관광에 있어서 TRA와 TPB 중 음식 관광행동을 예측하는데 우수한 이론을 검증하는데 있다. 그리고 음식관광에 있어서 TRA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음식관광에 있어서 TPB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5년 7월 19일 까지 20일 간이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해 음식상품을 구매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는 총 261부이고 이 중에 불성실한 설문 5부를 제외한 256부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은 IBM AMOS 20.0을 이용하여 확인요인분석, 구조방적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TRA와 TPB의 설명력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TRA의 모형적합도가 TPB의 모형적합도 보다 양호하여 음식관광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기에는 TPB보다 TRA가 양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TRA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PB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기재하고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cellent theory for predicting food tourism behavior.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self-administerd survey was undertaken from first of July to 19th of July respondents who buy food products at the Jeon-ju Hanok Village. A total of 261 responses were collected. Excluding missing data, 256 usabl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RA model fit is better than TPB model fit. second, it is found that TRA factor attitude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third, it is found that TPB factor attitude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positive effect to behavior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od tourism tourists are discussed. The limitations are also mentioned and suggested for future study.

      • KCI등재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된 행동이론, 휴리스틱 변수가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격수업에 참여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수험생 중심으로

        김형준(Kim, Hyeong-Jun),이상주(Lee, Sang-Joo),김정훈(Kim, Jung-H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합리적 판단기준인 합리적 행동이론(TRA), 계획된 행동이론(TPB), 직관적 판단 기준인 휴리스틱(heuristic) 변수가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원격수업 성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합리적 행동이론(TRA)의 두 가지 변수 모두 학습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계획된 행동이론(TPB)의 세 가지 변수 중, 학습행동태도만 제외하고 모두 학습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주관적 규범 변수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마지막에 투입한 전형적 휴리스틱 변수는 합리적 행동이론의 학습행동태도, 주관적 규범 변수들뿐만 아니라, 계획된 행동이론(TPB) 변수들 중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함께 학습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리스틱이 연구대상자들의 행동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를 증대시킨 결과를 주목할 만하다. 이는 학습행동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드러난 합리적 판단과 직관적 판단의 요소들을 중요하게 고려하면서 원격학습의 설계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학습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학습행동 유발을 야기해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s of rational-judgment criteria, rational-action theory(TRA), planned-action theory(TPB), and intuitive-based-heuristic variables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 participants in remote classes preparing for the social welfare official exa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mpa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variables of theory reasoned action(TR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nd among the three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ll but learning behavior attitud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especially subjective normative variables. It was also shown that the last typical heuristic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in subjective normative variables of theory reasoned action as well a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heuristic has increased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 subjects. This means that the design of remote learning is necessar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of rational judgment and intuitive judgment that have been revealed as the influence factors of learning behavior intention. Furthermore, the results that affect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found a mechanism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inducing learning behavior.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고채환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eco-tourists which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tourism.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on visitors from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Island based on apply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has been verified in the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explai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explored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mposed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ith additional factors including perceived valu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s the antecedents of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identified that epistemic valu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in the sequence of the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xamined tha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clear implications for ecotour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keting and promotional planning, and the various ecotourism programs that reflect visitors’ epistemic valu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elated to their behavioral intention. Also, it is essential to provide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and to organize governa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ies, environmental groups, experts and administration in order to raise social awareness regarding diverse values of ecotourism..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TPB)을 적용한 호텔 한식당 이용고객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권미영 ( Kwon Mi-young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TPB)의 이론에 근거한 행동의도 및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는 약 6주간에 걸쳐 서울지역 8개 특급호텔 한식당을 이용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서울지역 특급호텔 8곳에 총 400부를 배포하여 총 374부(93.5%)가 회수되었으며, 이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9부를 제외한 365부(91.3%)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서울지역 특급호텔의 한식당을 방문한 고객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등 세 요인 모두 한식당 방문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태도는 한식당 방문 행동의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은 한식당 방문행동의도에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는 한식당 방문 행동의도에 상대적으로 중간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가설검증에서 지각된 행동통제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연구가설4)만이 유의하지 않은 가운데 나머지 4개의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지각된 행동통제는 직접적으로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계획행동이론을 토대로 서울지역 특급호텔 한식당을 방문한 고객들이 만족을 하여 실질적인 소비행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동의도를 방문고객들에게 갖추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behavioral inten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o this end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visitors who deluxe hotels in seoul for more than six-weekly. The obtained data(365)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nd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statistical programs of empirical analysis.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constructs showed that most of research hypothe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hypothesis 5(perceived behavioral control-behavioral adherence). Concretely, all exogenous variables of TPB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importance among variables explaining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was first, follow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Also, the results of the effect relationship on consumption behavioral proved that the behavioral intention had an impact on the consumption behavior, where as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behavioral.

      • KCI등재

        환경행동이론(TPB, NAM, VBN)에 기반한 환경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이화진(Hwa-ji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1

        본 연구는 환경행동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 중에서도 계획된 행동이론, 규범 활성화 모형, 가치-신념-규범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국내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환경교육에서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2020년까지 국내의 여러 학술지에 게재된 환경행동이론을 활용한 26개 논문들에 대해 연구대상, 연구방법, 활용이론, 환경행동 결정요인을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환경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대다수는 특정한 성인을 대상으로 이뤄져 왔고 계획된 행동이론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향후 환경교육 분야에서 학생을 포함한 불특정 다수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할 필요성이 있고, 환경행동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여러 이론들을 융합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환경행동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 결정요인의 영향력의 정도가 달라지는지를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throug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Norm Activation Model (NAM), and Value-Belief-Norm Theory (VBN) among the various studies on environmental behavior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future environment education. To this end, 26 papers using environmental behavior theory published in several domestic journals from 2011 to 2020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pplied theories, and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behavi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 based on the theory of environmental behavior over the past 10 years, most of them have been conducted on specific adults and tended to focu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us, it is necessary to target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including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and converge several theories to better explain 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whether the degree of influence of determinants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따른 대학생 졸업 예측 척도 타당화와 대학생 졸업 예측 변인과 진로 변인과의 관계

        안성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ostsecondary Graduation Questionnaire (TPB-PGQ) i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and to find a tentative cutoff score to predict gradu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predicted variable of intention to graduate. And it was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redictor variables of TPB-PGQ and career-related factors such a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in a variable-centered approach and a person-centered approach, respectively. Data were from 531 college students in three different southern areas of South Kore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OC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OVA were conduc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TPB-PGQ was found to be valid in Korean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and its tenttive cutoff score was found to be 12.44.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ound to affect significantl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s much as academic self-efficacy. As restuls of LPA, six different latent profiles were found and the TPB-PGQ total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x latent profiles. Lastly, we discussed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졸업을 예측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따라 개발된 TPB 졸업 척도를 국내에서 타당화하고자 하였으며, 졸업의도 점수를 기준으로 한 TPB 졸업 척도의 잠정적 절단점(tentative cutoff score)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TPB 졸업 척도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가 진로 관련 변인과 어떤 관계인지를 변인중심접근 및 사람중심접근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즉, 변인중심접근으로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TPB 졸업 척도의 세 하위변인에 대한 학업중단요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사람중심접근으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석한 후, 각 잠재집단별 TPB 졸업 척도의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남, 충남, 전남 지역의 대학생 53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척도 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상관분석, 절단점 산출을 위한 ROC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과 잠재프로파일분석(LPA), 일변량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TPB 졸업 척도는 부정문항의 방법효과로 인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나 척도의 구조 및 요인과 문항 간 관계가 양호하였으며, 졸업의도 척도 평균점을 중심으로 한 잠정적 절단점은 12.44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학업적 효능감과 함께 지각된 행동 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진로정체감 지위 척도(VISA-K)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동일한 6개의 잠재집단을 확인하였으며, 잠재집단 간에 TPB 졸업 척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진로정체감 지위가 성취인 집단으로 갈수록 미분화나 혼미 등인 집단보다 TPB 졸업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건강행동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수진 ( Su Jin Han ),황윤숙 ( Yoon Sook Hwang ),백대일 ( Dae Il Paik ),김윤신 ( Yoon Shin Kim ),김영수 ( Young Soo K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4 No.2

        Objective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children from a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to build a hypothetical model for this study. The past oral health behavior was added to strengthen the prediction model and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ailored to low income class children.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July 24 to November 23, 2008, from. 634 elementary children in 20 local children`s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hildren agreed to be surveyed and participate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fter the first survey, they participated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a second survey was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concluded, with a third survey following two weeks later. Incomplete surveyes were excluded, leaving responses from 501 stu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nd AMOS 5.0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s. The children`s intention of oral health behavior was predicted by their attitude to oral health behavior (β=.35), subjective norms (β=.3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22) and past oral health behavior (β=.13). Their actual oral health behavior two weeks later was predicted by past oral health behavior (β=.52) and intentionality of oral health behavior (β=.24). All goodness values (x2/df=1.910, GFI=.955, AGFI=.937, NFI=.927, NNFI=.955) were good except the x2 value and RMR value (.295), indicating that the model was generally good. Conclusions. The TPB model was a good predictor of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from lower-income classes. The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local children`s centers mainly used by low income children are required to help improve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 KCI등재

        외래 관광객들의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행동예측

        임윤정,장형욱,김성혁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4 No.6

        본 논문은 TPB(계획행동이론)를 바탕으로 드라마나 음반과 같은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일본ㆍ중국 등 외래 관광객들의 행동을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그들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래관광객들을 위한 전략적이며 차별화된 시장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8년 1월 26일부터 2월 3일까지 약 2주에 걸쳐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보완ㆍ수정하여 2008년 3월 21일부터 4월 6일까지 일본인 외래관광객 300명과 중국인 외래 관광객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지 중 476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TPB는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모형이 외래 관광객들의 태도를 측정하고 분석함에 있어 활용 가능한 적합한 모형으로 검증 되었으며,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인 관광객과 중국인 관광객에 의해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관광객의 행동은 다른 차원들보다 지각된 행동통제에 의하여 직접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관광객들은 주관적 규범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에 따라 문화적인 차이와 콘텐츠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d to formulate theoretical models expressing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developed within the fram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o verify the models. In addition,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change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untry (Japan and China). What is mor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lans to utilize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for sustaining the Korean wav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We conducted a survey and collected 561 data from international flight passenger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f the recovered ones, 85 questionnaires replied insincerely or with unanswered questions were excluded, and 476 responses(245 from Japanese and 231 from Chinese)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used SPSS 15.0 and Amos 7.0 as a tool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as to the estimated effect (path coefficient) of foreign tourists' consumpti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ir behavior,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both the models on Japan and China. TPB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s been proved the one of the available models to study about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for surveying and analysis of the attitude of foreign tourists and attitude, subject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can be affected to consumption behavioral intention is dependent on foreign tourists's behavior. Also it shows u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ourist and Chinese. The result for Japanese tourist shows it can be more affected from recognize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an other factors. And the same of Chinese tourist does not show subject norm has been affected to consumption behavioral intention. We can consider that those result can be obtained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the contents according to nations.

      • KCI등재

        계획적 행동이론(TPB)에 기반한 윤리적 구매의도 및 소비행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리적 소비동기를 중심으로

        주가혜(Jiahui Zhu),정원식(Wonsik Jung) 한국윤리경영학회 2021 윤리경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동기에 따른 윤리적 제품의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위해Ajzen(1985)의 계획적 행동이론(TPB)을 사용하여 윤리적 구매의도에 대한 윤리적 구매태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의 영향정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동기가 계획적 행동이론(행동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성요인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한다. 둘째, 계획적 행동이론(TPB)의 구성요인들이 윤리적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셋째, 소비자들의 윤리적 구매의도가 실제로 윤리적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윤리적 소비동기가 구매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윤리적 소비동기가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윤리적 소비동기가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소비태도는 윤리적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윤리적 소비의 주관적 규범은 윤리적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윤리적 소비의 지각된 행도통제는 윤리적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구매의도가 윤리적 소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motivation behind ethical consumer behavior. First, it attempts to verify whether consumers’ motives for ethical consumption have implications for major components of planned behavior theory, namely the role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s. Second,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factors underpinning planned behavior theory influence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Third, it aims to discover whether consumers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consumption motiva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attitudes, and ethical consumption motivations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norm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tivation for ethical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behavior controls. Second,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and the subjective norms of ethical consumption not to affect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In addition, the perceived direction of ethical consump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Third, ethical purchasing intentions have been identified as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음주와 흡연 행동의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정지형,홍석호,장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4

        To investigate current research trend on alcohol use and smoking behaviors and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this study conduct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tudies that published to June in 2018 were searched through academic online database including KISS, DBpia, E-Article, and Scholar. Only empirical studies that researched alcohol use and smoking behaviors building study model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ut of 4,389 studies from database search, 14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review. General characteristics(published year, study methods, gender, etc), alcohol use and smoking behaviors, and study models(fundamental・modified models) were analysed. In results, first, the studie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norms and control of perceived behaviors influencing alcohol use and smoking behaviors. Secondly, there have been various modified model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in the studi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lcohol use and smoking prevention.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음주 및 흡연 행동을 살펴본 국내 연구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를 통하여 관련 행동의 연구동향과 이 이론에 대한 후속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주요 국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KISS, DBpia, E-Article, Scholar)를 활용하여 2018년 6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을 선정대상으로 하였다. 선정 기준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며, 음주 및 흡연 행동에 관한 실증 연구들이다. 최초 4,389편의 논문에서 전문 검토 과정을 거친 후 최종 14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은 일반적 특성(연도, 연구방법, 성별 등), 음주 및 흡연 행동별, 모형별(기본・수정모형)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주 및 흡연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음주・흡연 행동 예측에 있어 계획된 행동이론에 대한 수정모형의 다양한 활용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래연구를 위한 계획된 행동이론의 활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