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東洋의 理想的 人間觀

        장세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3 남명학연구 Vol.16 No.-

        The way of recognizing the existing things in the East is to see the things as they are. The East thinks that everything exists not by being created by something, but by being naturally, even without the beginning of it. It isn't important for the East from where it comes or to where it goes. How things are created and perished isn't important for them, neither. What the East is interested in is how the thing becomes to be, and, above all, the human life itself. The problem is how he has to live. Where he comes from or goes to is not the focus of their interest. Therefore realistic life of human being is valued above everything else, while the next world is considered as meaningless. Not only Confucian and Taoist but also Buddhism regard the realities of human life as most important. In particular, Confucian sets a high value on human duties and makes a person attain a stage of “the union of Heaven and man" through a moral life. Taoist aims to get a man reach a stage of "the union of the nature and man” by making him dismiss the selfish desire and thus keep the pure mind. Buddhism aims to make a man to attain a stage of spiritual enlightenment by making him give up the human desire, and thus restore the pure nature which had essentially been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iew of life in the East emphasizes the restoration of the pure nature in human mind as well as the effort to keep such a nature by getting rid of the human desire. >동양에서의 사물의 존재에 대한 생각은 원래 있는 그대로를 중시한다.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어떤 무엇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 아닌 원래 시작도 없이 그냥 존재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그 존재하는 것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사물이 어떻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되어 가느냐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소위 서양철학에서 발달한 형이상학의 문제가 동양적 사고방식의 문제에서는 관심이 적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형이상학보다는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불교·성리학·도가의 형이상학도 있지만 무엇보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더 관심이 많은 것이다.인간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에 있어서의 인간의 위치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바로 인간의 사유능력과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능력을 중시하는 인간본위의 측면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신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인간관과는 전혀 상이한 것이다.동양의 사상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유가, 도가, 불교에서 주장하는 이상적 인간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각 사상에서 강조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추구하여야할 실천방법이 다를 수가 있는 것이다. 각 사상의 이상적 인간상의 실현을 위하여 수반되는 구체적 수양방법이 뒤따라야 한다. 유가·도가·불교에서 주장하는 많은 수양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살펴봄으로써 각 사상의 수양론의 특징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결국 동양에서 내세우는 이상적 인간관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가는 인간의 욕망의 절제를 내세우고 인륜을 중시하여 도덕적인 삶을 통하여 궁극적인 천인합일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가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을 버리고 순수한 인간의 마음을 지켜나감으로서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의 인간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끝으로 불교는 인간의 욕망을 끊어버리고 원래 우리의 마음속에 내재하는 순수한 본성을 되찾음으로써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KCI등재

        고려후기 주역 인식의 특성과 그 의미 : 白文寶를 중심으로

        김보경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2

        본고는 淡菴 白文寶(1903~1374) 周易 認識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高麗時代 性理學의 한 면목을 고구하고자 시도되었다. 백문보의 주역 인식에는 宋代 象數易的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는 邵雍의 상수역 이론을 받아 들여 數를 제1의로 삼아 세계를 해석했다. 이것은 寓倬이 『程傳』을 연구·교수하고 元 制科 고시 과목에 朱子易과 함께 정신역이 포함되 있었으나, 그것이 확정적 지배력을 획득하지는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고려후기 元의 다기한 易學 조류를 감안하면 그의 상수역적 경향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백문보 주역 인식의 특성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그는 ‘一本萬殊’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一本이 萬殊로 현상되는 것은 ‘此心’이 움직이고 그치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것은 이전의 문인들에게서는 좀처럼 찾아 보기 힘든, 거의 최초라고 할 만한, 세계의 본질과 생성에 대한 해석이다. 또한 일본만수는 자연과 인간, 주체와 객체가 하나의 상관하는 전체임을 함의한다. 이러한 전체로서의 세계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을 一氣라고 보았다. 즉, 그는 氣를 본원자로 파악하고, 그 氣에는 天人의 조화와 합일의 근거를 찾고 있는 것이다. 둘째, 그는 이러한 一氣的 世界觀의 바탕 위에서 인간과 자연의 조웅과 합일경지를 추구했다. 인간과 자연은 美的 범주에서 끊임없이 상호 조웅을 이루며, 나아가 道德的 범주에서도 상호 융합하는 경지를 지향한다. 이 도덕적 융합의 경지가 바로 人道로써 天德에 합치하는 天人合一이다. 특히 『斥佛疏』는 성리학에 입각해 불교를 배척하는 글이거니와, 천인합일의 도덕 내용이 성리학으로 명백히 규정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셋째, 그의 주역 인식에서는 生成의 의지와 함께 變通의 논리가 적극적으로 강조되어 있다. 生成의 의지는 단순히 生物學的인 生에 그치지 않고 사회·역사적인 의미를 띠고 나타난다. 그는 邵雍의 元會運世說·皇帝玉覇說을 동원하고 檀君紀元說을 적용해 당시 고려가 변혁을 이룰 시기에 도달해 있다고 주장했다. 백문보 역시 인식에 나타난 數와 氣에 대한 강조, 一本萬殊에 입각한 세계 본질 및 생성에 대한 해석은 중대한 사상적 의미를 갖는다. 한편, 그가 주역에서 다시 고려 현실에 대응하는 논리를 끌어 내었던 점도 중요하게 지적될 수 있다. 차후 李穡 등 후배 문인들의 주역 인식을 고찰하는 작업이 이어진다면, 고려후기 사상 상황이 더욱 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makes an attempt to consider the one aspects of Seongree-hak(性理學) in the latter period of Coryo by means of studying the traits and significance in the way Moon-Bo Baek(1303- 1374), a.k.a. Damam, perceived Jooyeok(周易). Moodo Baek's conception of Jooyeok shows a tendency of Sangsooyeok(象數易). He interprets the world with a primary basis on Soo(數), while accepting Ong So's theory of Sansooyeok. This fact provides the counter-evidence against the established dominance of Jeongieon(程傳), which was studied and taught by Tak Woo and served as a main role in the inclusion of Jeongiyeok(정신역) along with the doctrines of Joojayeok(朱子易) in the state examination subjects of Won In the meantime, it seems rather natural that Moon-Bo Baek should have a propensity toward Sangsooyeok, considering the divergent trends of Won's Yeok in the latter tenn of Coryo. The characteristics of Moon-Bo Baek's perception about Jooyeok can be three-fold. First of all, he proffers the notion of 'Il-Bon-Man-Soo(一本萬殊) , and renders the manifestation of Il-Bon into Man-Soo as the moving and Ceasing Of 'Cha-Sim(此心). This is almost the first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essence and generation of the world, which is hardly to be found in the thoughts of his predecessors. The idea of Il-Bon-Man-Soo entail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al wholeness between nature and human on the one hand, and subject and object on the other. He looks upon Il-Gi(一氣) as the being that makes possible the wholeness of the world. That is to say, he considers Gi to be the source, and here he seeks the foundation of the harmony and unity of heaven and human. Second of all, He pursues the accordance and union of human and nature, on the basis of the kind of Il-Gi outlook on world. Human and nature correspond continuously with each other in the domain of beauty and, furthemore, aims at the mutual amalgamation in the domain of morality, as well. This very amalgamation of morals is called humanity which corresponds to the heavenly virtue, i.e., the union of heaven and human Cheokbulso(斥佛疏), especially, ostracizes Buddhism from the standpoint of Seongree-hak and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moral of heaven-human unity is patently defined via Seongree-hak. Lastly, in His understanding of Jooyeok, the logic of flexibility along with the volition of generation is positively emphasized. The volition of generation is represented with m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which is not just a biological birth. He turns to Ong So's Wonhoiwoonse(元會運世) theory and Hwangjewangpae(皇帝玉覇) theory. In addition, he adapts Dangoongiwon(檀君紀元) theory. By dint of these theories, he argues that Coryo should come to the stage of reformation at that time. Moan-Bo Baekk emphasis on Soo and Gi,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and generation of world, grounding on Il-Gi-Man-Soo, have critical ideological implications. Meanwhile, it is importantly pointed out that he extracts from Jooyeok the corresponding logic to the contemporary reality of Coryo. With some ensuing examinations on the perceptions of Jooyeok by the successors like Sack Lee, it is expected that the ideological situation of the late period of Coryo will come to richer light.

      • KCI등재

        Das Zusammentreffen der Kantschen Philosophie mit dem Konfuzianismus

        이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5

        The ultimate goal of Confucianism can be said to lie in the union of man and heaven. This idea of Confucianism is almost the same as the assertions Kant made in his new ethics, ‘metaphysics of moral.’ Kant argues one can truly become an intellectual being only through the moral life, in other words, only through the mental transformation from the life guided by the advice intent on seeking self-interest to the life obeying the unconditional and categorical moral order. Such a change can be possible through ‘a revolution within,’ he says. His philosophy of reason, however, is somewhat limited in the accomplishment of revolution of this sort, since the moral awakening by means of reason is not expected to eradicate selfishness of desires rooted in our unconsciousness.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entering into the world of intelligence that ‘metaphysics of moral’ seeks to attain, I believe, it is needed to engraft the tradition of ‘Suhaeng,’ the Oriental method of self-revolution into Kant’s philosophy of reason. 유교의 궁국적인 목표는 천인합일(天人合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음 상태가 사사로운 이익에 얽매어 있는 사심(私心)의 상태에서 무사성(無私性)과 무목적성의 성격을 지닌 하늘 마음인 공심(公心)의 상태가 될 때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유교의 이러한 주장은 칸트의 새로운 윤리학인 ‘도덕 형이상학’에서 하고 있는 주장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칸트는 인간이 형이상학의 본래적인 소망인 지성계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는 도덕 세계라고 한다. 즉 인간은 도덕적인 삶을 통해서만, 그러니까 각자의 이익과 이러한 이익을 얻기 위한 수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 충고에 따른 삶에서 무제약적이고 정언적인 도덕적 명령에 따른 삶으로 자신의 삶이 변화될 때, 지성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칸트는 이러한 변화는 ‘인간 내면 안에서의 혁명’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칸트의 이성 철학은 이러한 혁명을 실질적으로 이루는데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성에 의한 도덕적 자각이 무의식에 뿌리내리고 있는 욕망의 이기심을 깨끗하게 지울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 형이상학’이 추구하는 지성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동양의 자아 혁명 방법론인 수행의 전통을 칸트의 이성 철학에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 KCI등재

        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

        박정해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location and space organization in Beomeosa Temple from the Feng shui point of view. Especially, topographic shape conditions is focused on. And as the head temple of Zen what features inhere in it. To do so, relative Feng shui literature and field survey has been executed with present Beomeosa Temple as the center. Beomeosa Temple is located on the utmost edge of the Baekdoodaegan (白頭大幹) which shows the Feng shui features of vigorous energy vaporing of earth. Especially, Seonwon Training Center of the temple has been located just on the acupuncture point on that the most powerful energy of the earth is condensed. This shows the center’s high position in Korean Zen Buddhism. Space organization of Beomeosa Temple is composed with three areas of top, middle and bottom by height level of mountain. Top area is Buddist altar(佛壇) and middle area is Bosal-dhan (菩薩壇) or Shinjung-dhan(神衆壇). And bottom area is Shinjung-dhan and Ryeong-dhan(靈壇). This reflects the idea of three treasures in Buddhism and the idea of union of heaven, earth and man in Confucianism. And Samseshimhyeolbeop(三勢尋穴法) in Feng shui is also cognized. Therefore, Beomeo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one to show the most rational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organization which has been harmonized with the features between Buddhism and Feng shui. 본 연구는 범어사 입지와 공간구성에 반영된 특징적인 모습을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형세적 관점에 중점을 두고자하며, 선찰대본산이라는 특징 속에는 어떤 모습으로 승화⋅발전되고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범어사를 기준으로 여러풍수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본다. 범어사는 백두대간의 가장 끝부분을 차지한 지기(地氣) 왕성한 입지를 통해 풍수적 특징을 실천하였다. 특히, 지기가 가장 왕성하게응결한 혈처에 금어선원을 배치함으로써, 한국 불교선종의 수사찰(首 寺刹)의 지위를 차지하는 모습이다. 범어사의 공간구성은 금정산의산세에 따라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었다. 상단은 불단으로, 중단은 보살단 혹은 신중단으로, 하단은 신중단과 영단으로 구분하지만, 불가의 삼보사상과 유가의 삼합사상 그리고 풍수의 삼세심혈법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따라서 범어사는 불교와풍수적 특징이 절묘한 조화를 통해 가장 합리적인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을 이룬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수운(水雲) 최제우의 남녀평등관

        양삼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4

        수운 최제우는 동학의 창도를 통한 종교적 기여와 더불어 민중 의식의 제고와 자주⋅민족의식의 앙양을 통해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수운의 사상은 시천주와 동귀일체로 대표되는 인도주의적 측면과 아울러 평등의식, 자주적 국가관 등으로 대표된다. 특히 수운의 사상에는 본원적 평등관의 휴머니즘적 요소와 더불어 사회적 평등의 요소가 내포하고 있다. 사회 인식에 기초한 수운의 평등관에는 남녀평등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그는 양성평등의식의 제고를 통해 근대 여성의식의 앙양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수운의 사상들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에 의해 제시된 폐정개혁안으로 구현되었던바 이것은 한국의 근대 정치사에서 여성의 평등의식을 일깨우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독립운동과 여성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수운의 남녀평등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유교적 윤리관의 범주를 탈각하지 못하고 있음을 근거로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에서는 남녀 차별적 관념이 배태되게 된 조선 초기의 유교관과 수운의 여성관이 나오게 된 사회적 배경, 수운의 여성관에 대한 평가와 아울러 이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수운의 남녀평등관을 조명하고자 한다. Suwoon Choi Jewoo jas been highly evaluated for his contribution in founding Donghak and offering an ideological basis for elevating the status of the mass people and the consciousness of self-reliance and nationhood. His thought is symbolized as such elements of humanitarianism expressed in Si Chun Joo and Dong Gui Il Che, equality consciousness, and national independence as well. Suwoon's thought includes humanitarian elements of original and social equality. His view of equality, based on social consciousness, includes element of the equality of the two sexes. Suwoon contributed to enhancing modern woman consciousness through the equality of the sexes. These Suwoon's thoughts specified in Pyejunggaehyuk were pursued by the military group of Dong Hak during the period of Dong Hak revolution. His thoughts contributed to women's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and influenced on subsequent independence and feminist movements. Nevertheless, some scholars evaluate his thoughts negatively on the ground that his attempt to realize the equality of sexes could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established horizon of confucian ethics. In defense of Suwoon, however, this study will examine Suwoon's thought of equality of sex, by focusing on the womanhood in early and middle Chosun dynasty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his view of woman.

      • KCI등재

        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

        박정해 ( Jeong Hae Par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location and space organization in Beomeosa Temple from the Feng shui point of view. Especially, topographic shape conditions is focused on. And as the head temple of Zen what features inhere in it. To do so, relative Feng shui literature and field survey has been executed with present Beomeosa Temple as the center. Beomeosa Temple is located on the utmost edge of the Baekdoodaegan(白頭大幹) which shows the Feng shui features of vigorous energy vaporing of earth. Especially, Seonwon Training Center of the temple has been located just on the acupuncture point on that the most powerful energy of the earth is condensed. This shows the center’s high position in Korean Zen Buddhism. Space organization of Beomeosa Temple is composed with three areas of top, middle and bottom by height level of mountain. Top area is Buddist altar(佛壇) and middle area is Bosal-dhan(菩薩壇) or Shinjung-dhan(神衆壇). And bottom area is Shinjung-dhan and Ryeong-dhan(靈壇). This reflects the idea of three treasures in Buddhism and the idea of union of heaven, earth and man in Confucianism. And Samseshimhyeolbeop(三勢尋穴法) in Feng shui is also cognized. Therefore, Beomeo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one to show the most rational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organization which has been harmonized with the features between Buddhism and Feng shui.

      • KCI등재

        성경의 세계관과 상고시대 천손민족의 세계관

        김종성 ( Jong Seo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09 국학연구론총 Vol.0 No.4

        유일신관과 홍익인간의 이념 등에서 또 삼재합일과 영적인, 무형상의 하느님관과 관계적 인간관 등에서 상고시대 천손민족의 세계관은 성경의 세계관과 매우 유사하다. 이 여러 유사성때문에 최근에 기독교 계통의 사람들 가운데에 천손민족이 노아의 후예, 또는 아브라함의 후예 또는 잃어버린 이스라엘의 한지파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상고시대 천손민족에게 안식일에 관한 계명이 없다는 점과 또 인류의 타락에 관한 신학적 설명이 천손민족에게 없다는 점 등에서 볼때에 상고시대 천손민족이 이스라엘이나 그 조상 아브라함보다 더욱 고대에 속하며 이스라엘의 신앙의 원형의 일부가 천손민족의 신앙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천손민족에게 하느님의 심판으로서의 대홍수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한님의 시대의 일부는 노아의 홍수보다 오래되었다고 보인다. A world view is a view of the world, including life, or a perceptual framework of the world and of life. This world view is often reflected in languages and documents. By analyzing languages and the documents written in those languages, one can see the world views of the people who used those languages or wrote their documents in those languages. This essay analyzes some aspects of Korean language and ancient Korean laws and the stories of people called “Ancient Descendants of God,” who include ancient Koreans, Manchurians, Mongols, Turks, American Indians, Japanese and other people in China and Russia. Then it detects the world views of ancient Koreans and Descendants of God and compares them with biblical world views. Both the biblical world view and the world views of ancient Koreans and Descendants of God have a similar monotheism, a similar view of God who does not have a form and should not be made in an image, similar creation stories and similar, relational views of humans. They also both have a similar view of the need for harmony among God, humanity and nature. Finally, they have a similar view of trinity. The world view of ancient Koreans and Descendants of God differs from the biblical world view in some ways: For example, they do not share the biblical view that the first humans’ violation of God’s commandment regarding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caused their fall from God and their loss of paradise. Their stories of many floods also lack the ethical nature of the biblical view of Noah’s flood. Finally, the ancient Koreans and most of the Descendants of God did not have laws about the Sabbath. From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also from the fact that ancient Koreans and Descendants of God were more ancient people than Abraham and his descendants, it is proposed that ancient Koreans and Descendants of God influenced the Israelites’ world view as shown in their scripture, not the other way around, as some contemporary Korean Christians think.

      • KCI등재

        《중용(中庸)》과 화광동진(和光同塵)의 연관성

        박석 ( Park Seo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4 No.-

        “和光同塵”的意思是把神聖的光芒隱藏起來, 與紅塵的俗世同化. 和光同塵的特徵是以內聖外凡的樣態追求聖凡兩端的和諧. 因此達到此等境界的人, 雖然內面含着深奧的境界, 可是表面上顯得?平凡. 我認爲孔子的中庸之道與和光同塵有着密切的關係. 子思著述 《中庸》的目的在於主張孔子思想裏面有神聖面貌和形而上學的要素, 以期對抗道家思想. 最適合的方法是發掘孔子通過和光同塵的實踐隱藏了的神聖面貌和形而上學的要素. 我要把 《中庸》分成三個部分, 第一篇是從開頭到十一章, 第二篇是從十二章到二十章前半, 第三篇是從二十章後半言及誠與誠之的部分到末尾. 第一篇的宗旨是建立天人合一的心性論和修養論, 第二篇是主張君子之道旣有愚夫愚婦能知能行的平凡性又有聖人有所不知不能的深奧性, 第三篇的內容比較複雜, 其核心在於 “天下至誠, 能盡其性, 可以贊天地化育, 可以與天地參”, 而且闡明孔子便是達到這種境界的聖人, 臨完强調君子之道的味道是淡而不厭的, 愼獨是達到 “不動而敬, 不言而信”的關鍵. 從此我們看得出和光同塵是把握 《中庸》內在邏輯的重要線索.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