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형벌 그림의 전개와 의미

        신선영(Shin, Sun-young)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1

        형벌의 시각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금기시되었기 때문에 자주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었다. 드물게 제작되었던 형벌 그림의 목적이나 기능은 미술의 보편적인 기능인 감상이나 자기감정의 표현 등을 위해 제작되지 않았다. 형벌의 입안과 집행은 국가의 독점권한이었고 백성을 통제하려는 정치권력의 통치수단이었기 때문에 봉건시대 형벌 그림은 정치성을 띨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 세종과 정조연간에 제작·반포되었던 〈고신도〉나 「형구지도(刑具之圖)」·「곤제지도(棍制之圖)」 등은 형정 책임자인 관리들을 교육하기 위한 지침서로 제작되었다. 국가권한인 형벌 집행이 조선시대 전시기에 종종 사적으로 남용되었던 사례들 때문에 통치자인 왕으로서는 백성들을 통제하는 권한이 중간 책임자인 관리나 신분적인 지배층인 양반이 아니라 국가라는 사실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불교의식에 사용되었던 독특한 구성의 불화인 감로탱화에도 형벌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 조선시대 오형(五刑) 중 태·장형, 참형과 고문형인 신장이 주로 표현되어 있다. 인간 과오의 업보로서 형벌이 표현되었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자들을 독려하는 감로탱화에서도 정치적 성격의 일면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말 이후 제작되었던 김준근의 형벌 그림과 김윤보의 ≪형정도첩(刑政圖帖)≫은 정치권력이나 종교권력에 의해 제작된 것이 아니라 일반 화가들이 제작한 것이었고 그 수요자는 국내인이 아니라 외국인들이었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조선의 풍속과 생활에 흥미를 가진 서양인들에게 시각화된 민족지(民族誌)로서 역할을 했다. 그리고 김윤보 ≪형정도첩≫은 그 일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의 형무관이었던 나카하시가 저술한 『조선시대의 형정(朝鮮舊時の刑政)』 이라는 연구서에 실려 조선시대 형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이나 우리나라를 침탈한 일본인들은 고문과 같은 전근대적 형벌 풍속을 가진 조선의 풍속에 대해 우월감을 가졌고 더욱이 일제의 침략의 정당성을 지지하기 위한 문화적 우위를 드러내고 있어 이들의 형벌 그림 역시 정치적 성격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었다. The penal visualization was difficult to make frequently because it was taboo in both East and West. The purpose or function of penal paintings produced rarely were not for universal appreciation or self-emotional expression. The penal painting in the feudal period was forced to be political because drafting and enforcing punishment was the exclusive power of the state and it was governing means of political power to control the people. 〈Gosindo〉, Hyeonggu Jido, and Gonje Jido,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reign of King Sejong and King Jengjo of Joseon Dynasty, were made as instructions for the officials in charge of penal administration.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fact that, as a ruler, an authority to control the people is on the state, not the officials or Yangban, ruling class, because of the examples of punishment execution, that is the state authority, often misused in private during the wartime of Joseon Dynasty. And the penal painting is also described in Nectar Ritual Painting, a Buddhist painting with unique composition, which is used in the Buddhist ritual for the spirit of the dead to heaven. It was expressed mainly the lashing and flogging, beheading, and Sinjang, torturing with a cudgel, among five punishments in the Joseon Dynasty. The punishment was expressed as a karma of human error, and it showed a part of political characteristic even in Nectar Ritual Painting that encourage believers to overcome it. However, Kim Jung-geun’s penal painting and Kim Yoon-bo’s ≪Hyeongjeongdocheop≫ after the end of 19th century were not produced by political power or religious power, but they were painted by ordinary painters and consumers were foreigners not local people. Kim Joon-keun’s genre painting took a role of visualized ethnography to Westerners who were interested in Joseon’s custom and life. The part of Kim Yoon-bo’s ≪Hyeongjeongdocheop≫ also helped readers understand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study report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Nakahashi who was a prison officer of the Joseon in Japanese colonial era. Westerners who visited Joseon and Japanese who invaded Korea felt their superiority to Joseon’s custom which had the outdated penal custom such as torturing and, moreover, as they showed the cultural superiority to legitimize Japanese invasion, their penal paintings were also forced to have polit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죄와 벌의 시각화: 일제강점기 김윤보(1865~1938)의 《형정도첩》을 중심으로

        신선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한국학 Vol.45 No.3

        The Album of Punishments (《刑政圖帖》) is a painting album created by Pyongyang painter Kim Yun‒bo(金允輔, 1865‒1938) for Matsudera Takeo(松寺竹雄, 1870‒1935) who served as the chief prosecutor of the Pyongyang High Court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from 1918 to 1920. The Album of Punishments, which covers the crime and punishment that took place in the Joseon Dynasty, had no choice but to reveal its political intentions as it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Matsudera carried out his duties as the chief prosecutor of the High Cou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e led various projects in line with the policy direction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seize the colonial Joseon and its people.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Penalty Association(治刑協會, 1923) and the participation in Chosun Exhibition(朝鮮博覽會, 1929) was an attempt to emphasize the modernized penal administration(刑政)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comparison with the premodern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make it known at home and abroad. Through Nakahashi(中橋政吉)’s writing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 朝鮮舊時の刑政 ), he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historical roots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penal administration that had greatly advanced with Japanese peoples’ help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seems that Kim Yun‒bo’s Album of Punishments, Matsudera received, played a major role in his actions. This is because the Album of Punishments contains almost all pictures in Annual report on the judicial system ( 司法制度沿革圖譜 )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so that it could exp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Joseon criminal justice system that Matsudera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stantly wanted to emphasize. In particular, the ‘Korean Era’, which refers to the Empire of Daehan(1897~1910), was juxtaposed with the ‘Tokugawa Period’ in Annual report on the judicial system in order to show that they were also reforming the ‘Korean Era’ into a new Joseon, just as a feudal country Tokugawa Period was reformed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Moreover, the illustrations of the ‘Tokugawa Period’ depicted law enforcement officers as dynamic and courageous, whereas The Album of Punishments depicted the law enforcement officers in the ‘Korean Era’ as those who took brides and undermined the rule of law in. Since this message is conveyed through pictures not text, the image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deeply impressed on the minds of those who read and see the pictures. 《형정도첩(刑政圖帖)》은 평양화가 김윤보(1865~1938)가 1918~1920년에 평양복심법원검사장으로 재직했던 마츠데라 다케오(松寺竹雄, 1870~1935)를 위해 제작한 화첩이다. 옛 조선에서 벌어진 죄와 벌을 망라한 《형정도첩(刑政圖帖)》은 일제강점기라는 정치적 상황과 결부되면서 정치적 의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마츠데라는 조선총독부 법원검사장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해 나가면서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의 땅과 조선인들을 장악해 나가기 위한 정책 기조에 발맞추어 다양한 사업을 이끌었다. 즉 1923년 치형협회의 창립, 1929년 조선박람회의 참여 등을 통해서 옛 조선의 전근대적 형정과 비교하여 일제 강점 이후의 근대화된 형정을 부각시켜 국내외에 알리고, 치형협회에서 발간한 나카하시의 조선구시의 형정 의 저술을 통해 옛 조선 형정의 역사적 근원을 밝히고 일제강점 전후로 일본인들의 도움으로 크게 진보한 형정 발전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마츠데라의 일련의 행보의 근저에는 평양복심법원검사장 시절에 받았던 김윤보의 《형정도첩》이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형정도첩》은 조선구시의 형정 뿐 아니라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사법제도연혁도보 에도 거의 전 그림이 실려 마츠데라와 조선총독부가 끊임없이 강조하고자 했던 옛 조선의 형정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법제도연혁도보 는 대한제국(1897~1910)을 일컫는 ‘한국시대’를 ‘도쿠가와시대’와 병치하여 놓음으로써 봉건제 국가인 도쿠가와시대를 메이지 유신을 통해 개혁하였듯이, ‘한국시대’ 역시 일제강점을 통해 새로운 조선으로 개혁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도쿠가와시대’의 삽도들는 역동적이고 용맹한 법 집행인들의 모습을 강조했던 반면에 ‘한국시대’ 《형정도첩》에서 법 집행인들은 뇌물로 받음으로써 법질서를 혼란시키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메시지는 글이 아니라 그림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그 이미지는 그림을 보고 읽는 사람의 뇌리에 강렬하게 새겨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송사형 우화소설의 유형적 본질과 존재 의미

        장예준 ( Jang Ye Jun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송사의 관점에서 송사형 우화소설의 유형적 본질과 존재 의미를 고찰했다. 먼저 송사형 우화소설은 등장인물 설정, 갈등의 형상화, 이야기 진행 측면에서 우화 기법을 적절히 활용, 변용하였다. 판관과 그 주변 인물들만 사회적 전형성이 뚜렷해지도록 하고, 갈등을 단순화하여 단순한 사건을 통해 집약해서 드러냈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서사적 초점이 송사 진행 양상에 맞추어지게 하였다. 송사 진행 양상 형상화 과정에서 원고의 소지, 피고의 공사를 통해 사실과 그럴듯한 논리가 대비를 이루도록 하였는데, 이때 원고와 피고가 각기 다른 전략을 구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증인 심문을 통해 사건의 정황을 파악하려는 모습을 그리기도 하고, 다양하게 벌어지는 뇌물 수수 양상을 포착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송사형 우화소설은 궁극적으로 판관의 자질과 뇌물 수수 문제를 제기하였다. 즉 판관의 심리 원칙 미준수, 판관의 관행적인 형벌권 남용, 판관의 무능과 무성의, 우유부단 등을 폭로하였으며, 뇌물 수수가 조선 후기 이전부터 송사 및 감옥 생활과 관련해 폭넓은 범주에서 관행으로 고착되었음을 꼬집었다. 송사형 우화소설은 18세기 중후반 조선 사회가 형정 사회로 전환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출현하였는바, 송사와 관련하여 백성들의 소박한 기대 지평을 송사 진행 양상의 형상화를 통해 드러낸 유일한 소설 유형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categorical essence of lawsuit-type fable novels a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their 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awsuit. First, lawsuit-type fable novels appropriately utilized and altered fable techniques in terms of character setting, conflict embodiment, and story progress. Through this, they let the narrative focus naturally be put on the phase of the lawsuit progress. In the process of the embodiment of the phase of the lawsuit progress, they contrasted fact and specious logic through the plaintiff’s expression of intent and the defendant’s statement of crime, illustrated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affairs through an examination of a witness and captured various aspects of bribery. Through this, lawsuit-type fable novels ultimately the issues of the judge’s qualifications such as the non-observance of the principle of trial, conventional abuse of penal authority, incompetence and insincerity, and indecisiveness, etc., and conventionally fixed bribery since long ago. lawsuit-type fable novels appeared in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the Joseon society in the mid-to-late-18th century moved to a penal administration society, so it can be said that they revealed the people’s simple horizon of expectations related to the laws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