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체명사(實體名詞)의 의미형질(意味形質) 분석(分析)

        최상진 ( Choi Sang-j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論文은 實體名詞를 對象으로 單語가 文章의 意味構成要素로서 구실을 할 때, 그 意味成分은 어떻게 分析되어야 할 것인가를 考察한 것이다. 이 연구는 用法說을 바탕으로 實體名詞가 意味形質이라는 資質模型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提案하여 單語意味 成分分析에 대한 새로운 方法을 摸索해 보았다. 實體名詞의 의미형질을 形相과 質料라는 두 資質因子로 분석하였다. 實體名詞의 단어의미는 홀로 獨立해 있을 때는 하나의 個別 意味單位지만 文章 속에서는 意味構成要素이다. 독립된 의미단위로서의 단어는 여럿의 義素를 未分化的으로 가지고 있는 意味이며, 문장 의미구성요소로서의 단어는 固定된 하나의 義素를 가진다. 이 意味構成要素는 문장 속에서 部分과 部分, 部分과 全體의 有機體的 共起關係를 통한 自己組織으로 의미를 얻는다. 실체명사의 意味領域은 流動的이며 다른 의미구성요소와의 意味的 共起關係로 의미가 轉移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laying an methodological foundation upon the provision of more specified semantic components of the substance noun of Korean by analyzing its semantic form and matter. Just as every existing substance of the world has its own features, the meaning of the word signifying its existence also has its own semantic features.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word are products of concepts created in the space of human spirit, and they have abstract semantic quality and quantity. First, the semantic form and matter refers to the unique semantic quality and quantity of a word, which is divided into two semantic atomics, form and matter. Form and mater refer to reference and sense, respectively. Secondly, the semantic domain of the substance noun can be spread in a sentence, and this, in turn, changes its semantic form and matter. Thirdly, the substance noun acts as a semantic constituent of a sentence, forming a partial meaning space in a whole meaning space of a sentence. It gains its own semantic form and matter through the self-organization among partial meaning spaces. Fourthly, the semantic form and matter of a word in isolation is different in semantic quality and quantity from that of a word acting as a semantic constituent of the sentence. A substance noun in isolation is the undivided whole of many sememes, and it gains a single sememe when it is related to other semantic constituents in a specific sentence. Fifthly, semantic form and matter can be divided into form semantic feature and matter semantic feature. The form semantic feature of a substance noun can be subdivided into unit, boundary, division, and continuity. The matter feature of a concrete noun can be dealt with the hierarchy of a semantic domain.

      •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1) : 심신상관을 중심으로 Centered on His Psychosomatic View

        황정현,이동건 東亞大學校附設스포츠科學硏究所 2001 스포츠科學硏究論文集 Vol.19 No.-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aristotle's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focused on his psychosomatic view of body and mind. He interprets that all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s is composed of form (eidos) and matter (hyle). Human mind or soul is form, while human body is matter. Based on this view of form and matter, Aristotle sees a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unity. He rejects seeing human body and mind as two completely separate things like the captain and the boat. He sees mind without body or body without mind cannot exist. So the two are unified as one. On the other hand, Aristotle maintains, "Form cannot exist without matter, but form doesn't exist for matter only." In other words, as matter cannot be defined or decided without form, it exists thanks to form. That is, because form is superior to matter and because human mind is more important human body, a human being can exist as a substance by way of form or mind. However, we have to be very careful. Even though Aristotle thinks of mind higher than body, he was different from Plato who saw human body as the grave or prison of human soul.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that Aristotle regarded body as a living, life-forming foundation.

      • KCI등재

        변증법적 미학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 -헤겔과 아도르노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배용준 ( Yong Jun Ba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변증법적 미학은 그 자체로 실천적인 매개의 학으로 사회적 실천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점에서 헤겔과 아도르노의 변증법적 미학은 현대산업사회에서 인간해방의 가능성을 지닌 좋은 실천적 대안이다. 헤겔에 있어서 미학의 특징은 현실적이며 역사적이면서 그 내용에서 미 이념과 연관된다. 예술작품에서 그 내용은 감각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 속에서 실현된 이념이고 형식과 내용이 작품 속에서 통일된 미학은 현실적이면서 구체적인 개념 내용이 있는 객관적 실재성이다. 반면에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작품을 통한 사회적 실천을 매개로 해서 예술의 자율성을 회복하고 유토피아를 위한 미학적 실천을 주장한다. 그것은 끊임없이 현실을 부정하고 비판하고 대립하는 길이다. 헤겔은 적극적으로 대립된 것을 내용으로 매개하고 지양해서 종합하는 변증법적 미학의 태도를 요구한다. 그러나 현실과 이성의 동일화는 추상적 공허함으로 끝났다. 이에 대해서 아도르노는 예술을 통해서 현실과 대립하고 사회적 실천을 매개로 하여 유토피아적 현실을 추구한다. 헤겔은 부정의 부정의 방법을 극단까지 끌고 가서 체계성에서 종합된 목적에 도달하여 미 이념을 현실화하는 미학의 목적을 추구하였다. 미 이념이 다시 절대적 이념으로 이행하지만 현실에서 미 이념을 경험하고 숭고한 미 이념을 통해서 절대적 이념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아도르노는 헤겔 체계가 지녔던 종합의 목적을 넘어서 그것과 대립했던 자리에 서서 스스로 매개되지만 결코 종합되지 않는 부정의 부정의 미학을 주장한다. 예술은 본질상 부정성이고 자율적이며 내재적 비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헤겔은 형식과 내용의 통일을 통한 변증법적 방법을 적용하였지만 관념론의 체계라는 헤겔 철학의 전제에서 가능성으로만 끝날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헤겔의 형식의 변증법을 비판하면서 부정의 부정의 변증법으로 현실적인 변증법적 미학으로 시작한 아도르노 역시 자신의 미학적 방법론의 한계에서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미학의 방법론이 될 수는 없었다. 변증법적 미학이 가장 실천적인 미학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이고 감각적인 세계에 직접 뛰어들어 형식의 변증법을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있기에 아도르노의 미학 역시 현실적 가능성으로 남아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aesthetic Form and Matter in dialectical Aesthetics and will be limited to compared Hegel`s dialectical method with Adomo` dialectical Aesthetics. dialectical Aesthetics aim at mediate between Idea and actualities. Their`s dialectical Aesthetics i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Aesthetics will be practical philosophy. but Thet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For Hegel dialectical Aesthetics is unity of Form and Matter. but Hegel`s theory went down idealistic aesthetics in the end. However, Adorno criticized the Hegel`s unity of Form and Matter as external forcibleness. According to his view of esthetics, a formality of an art is a place of refuge which is escapable suffering(s) in a second but is not a place of rest. I researched of Their` theory of an artwork which has an Aesthetics Form which is mediated between Social and Utopia that can not be reach.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1) Meaning of Hegel`s Aesthetics and dicourse of Aesthetic` Form and Matter (2) Meaning of Adorno`s Aesthetics and dicourse of Aesthetic` Form and Matter (3) to Critic of Theory in the dialectical Form and Matter. Despite of the Adorno`s Belief that autonomy of Aesthetics can make general Form of mediated Matter, he have an empty Theory that can rule out the un identical individual.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 개념의 개별성 문제 ― 『형이상학』 Ζ를 중심으로 ―

        김덕천 ( Kim¸ Deok-cheo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5 가톨릭철학 Vol.0 No.7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스승 플라톤의 초월적 참여론과 더불어 서구 존재론의 토대와 시원을 점하고 있는 기념비적인 연구 성과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중세의 보편 논쟁에서뿐만 아니라 근현대에 이르는 2,0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숱한 아포리아들을 양산해온 가장 난해한 철학 논고 가운데 하나로 손꼽혀 왔다. ‘제1철학’으로 일컬어졌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존재로서의 존재에 대한 원리적 탐구로서 존재로서의 존재 개념의 핵심은 실체에서 포착될 수 있는데, 실체 개념의 성격 문제는 그러한 실체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이 과연 개별적인가 보편적인 것인가 하는 쟁점으로 귀결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의 정신사에서 최초로 존재 개별성의 의식적인 화두(話頭)를 제출한 사상가로서, 실재론-관념론의 알력과 개별-보편 상호 간의 관계 정립의 과제는 바로 이 사상가로부터 촉발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론』에서 제1실체와 제2실체를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바, 제1실체가 이 세상에 실재하는 개별적 사물들을 가리킨다면, 제2실체는 능동 지성의 추상과 추상에 따른 술어화의 기제를 통하여 파악되는 동일한 공통 본성·형상·본질·보편 개념을 각각 가리킨다. 보편 본질이나 관념을 현실적 개별자들과 동의어적(同義語的)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실체의 이름을 부여하고 있는 『범주론』은 실재론적 본질주의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면모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많은 주석가들은 『형이상학』의 핵심 논고들이 제2실체로서의 (실체적) 형상과 본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생각해 왔으나, 1970년대 이후의 문헌학적 원전 판독의 결과들은 제2실체뿐만 아니라 제1실체 또한 변증법적 사유 실험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제1실체를 대변해 주는 개별 실체와 다름이 없는 것으로서의 제2실체, 즉 실체적 형상이 『형이상학』의 경우에는 개별성을 담지한 것으로 논증되고 있다고 강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논자는 『형이상학』의 논변이 제1실체와 제2실체 모두를 취급하고 있으므로 논리 논문집인 『오르가논』의 일부로 구분되어 왔던 『범주론』이 본격적인 『형이상학』의 서론격에 해당한다는 점은 받아들이지만, 실체적 형상과 본질이 개별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이른바 ‘개별적 형상론’의 주장에는 공감을 표명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형이상학 핵심 논고의 번세한 변증 추론들을 종합하고 있는 Ζ권 13장 이후 Η, Θ의 논의들은 현실태인 전체로서의 물질적 제1실체와 가능태인 부분 혹은 구성요소로서의 실체적 형상이라는 이론적 구도하에 명백히 보편 본질의 실체적 개별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현상계의 참된 제1실체·궁극적 주체는 질료와 형상의 통일체이며, 이때에 형상은 동일성 및 통일성의 원리로 기능하고 질료는 비동일성의 원리로 자리 매김 된다. 그리고 동일성의 원리는 그것이 종적인 단일성이든 전체적 통일화의 맥락에서 본 수적인 단일성이든 하나임[一性]의 원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질료는 개별화의 원리라기보다 비동일성 내지 차별성의 원리로 이해되어야 하며,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서의 실체적 형상은 결코 개체 차별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Aristotle’s metaphysics, together with Plato’s theory of transcendental forms, is a monumental masterpiece that formulates the foundations of western ontological pursuit. However, the book Metaphysics has been evaluated for over 2000 years as one of the most aporetic philosophical writings not only for the ancient and medieval but even for the modern commentators as well. Aristotle’s metaphysics, called by the name of “first philosophy”, is the study of being as being, and the core of being as being is seized with the concept of substance. To understand the notion of substance, we should be able to know what intention the word substance has and that would lead us to the issue of whether it is individual or universal. As we know, Aristotle is a thinker who first cast the problem of individuality of being in western philosophy, and so, as was revealed in medieval controversy over universals, the tension between realism and idealism or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universal were triggered by himself. Aristotle explicitly mentioned two kinds of substances, namely the primary and secondary in Categories. To sketch briefly, primary substances denote individual things in nature contrasted with secondary meaning the same common nature, form, essence or idea that are grasped through the mechanism of predication brought from the abstraction in epistemology. And here Aristotle’s showing the identity of realistic essentialist for he regarded essence or idea as being synonymous with the real individuals. Generally so far, most scholars have thought that the central books of Metaphysics are focused on the notions of (substantial) form or essence as the secondary substance in Categories. But the philological commentaries after 1970s have assumed that besides the secondary primary substance as true real substance plays a pivotal role in dialectical thought experiment of Metaphysics and furthermore substantial form as the secondary substance synonymous with or representing the primary substance has individuality of being. With regard to this reasoning, I accept the fact that Metaphysics includes the inferences on secondary and primary substance as well and thus Categories which has been treated as a part of logical works Organ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ractical prolegomena of Aristotelian metaphysics, but disagree on the argument, so called “theory of individual form” that the substantial form has individuality of being. Because discourses in Η, Θ starting from Ζ,13 have never ever granted the substantial individuality of universal essence under the theoretical scheme of actuality which is primary material substance as the whole and potentiality which is substantial form as the part or constituent of the whole. For Aristotle true primary substance or ultimate subject in this material world is a composite unity of form and matter, and now if the form functions as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unity, matter is established a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The principle of identity means principle of the one, whether oneness in form or oneness in number in the context of holistic amalgamation. Therefore the matter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but a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or difference, and the form cannot be the cause of differentiation.

      • KCI등재후보

        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케이아에 대한 교육적 해명

        서명석 한국인격교육학회 2012 인격교육 Vol.6 No.1

        The central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Aristotle’s metaphysics has the matter-form hypothesis focused on his conception of the Four Causes. Indeed, this hypothesis is essential to Aristotle’s philosophy. He believed that human development involved this matter-form process. At this case matter is potentiality and form is actuality. Aristotle tries to unite the world of matter with the world of form. To unite two elements he is illustrated by his conception of the Four Causes: material, formal, efficient, and final. In this structure entelecheia/entelechy means the full realization of form-giving cause as contrasted with mere potential existence. Fir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that efficient of the Four Causes plays same role of teacher in education. Like many developmental psychologists, Aristotle was interested in self-realization of children tha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uman being emphasized a continuous movement toward ends. At this point,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interventions of teachers are designed to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student ’s matter-form. Additionally, Aristotle gave us the re-examination of happiness in educational settings.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근간을 이루는 질료-형상론을 4요인설에 비추어 검토하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메시지를 판독하는 것이다. 그의 형이상학은 질료가 언제나 형상으로 발달해 나간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 발달론의 시원적 선언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고 그의 4요인설은 현대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다시 보게 하는 중요한 계기를 우리들에게 제공해준다. 실제 이 글에서는 교사의 역할을 도공과 목수의 비유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런 도공과 목수의 역할은 4요인설의 관점에서 동력인으로서의 도공과 목수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하게 교사도 교육에서 동력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질료와 형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설파하는 우리 삶의 의미와 행복에 대한 관점이다. 그는 삶의 의미란 행복 추구에 있다고 믿으며, 행복 추구란 모든 인간이 각자 가지고 있는 질료의 가장 이상적인 형상화에 담겨 있다. 이것이 이른바 엔텔레케이아 이론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 교육론의 요체는 결국 그의 엔텔레케이아론에 숨겨져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 KCI등재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일반원칙(PICC)하에서 계약의 형식요건에 관한 법적 기준과 판결례

        심종석 ( Chongseok Sh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4

        본고는 계약의 형식요건과 관련한 PICC상의 서면요건, 특정사항에 및 특정형식에 의한 합의를 조건으로 하는 계약의 성립, 일부의 계약조건이 의도적으로 미정인 계약, 통합조항, 특정형식에 의한 변경 등에 관한 법적 기준과 판결례를 통해 법적 시사점과 유의점을 추론한 논문이다. 승낙의 의사표시에 있어 계약교섭단계에서의 합의를 기초로 서면확약조건과 다른 추가 또는 변경사항은 계약의 일부를 구성하며, 서면확약의 수령자가 침묵과 무위에 임한 경우 당초 합의내용을 중대하게 변경하지 않는 한, 이는 승낙으로 취급된다. 다만 수령인이 부당한 지체 없이 그 조건에 반대하지 않아야 한다. 계약교섭단계에서 일방이 특정사항 또는 형식으로 합의되기까지 계약이 체결되지 아니한다고 선언한 경우 특정사항 또는 특정형식으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계약은 체결되지 아니한다. 계약당사자가 계약체결의 의도를 가지고 일부 미결정내용을 추후 합의하거나 또는 제3자가 결정하도록 한 경우 이는 계약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중대하지 않은 사안, 합의내용의 확정성 정도, 미결정내용의 성격상 추후 확정될 수 있는 사항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 합의사항이 일부 이행과정에 있다는 사실 등이 결정기준으로 기능한다. 또한 서면에 의해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는 추후 계약의 수정 또는 종료가 서면 또는 특정형식에 의한다는 사실을 확약할 목적으로 특별조항을 계약내용에 포함할 수 있다. PICC are dealing with form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 under writings in confirmation, conclusion of contract dependent on agreement on specific matters or in a particular form, contract with terms deliberately left open, merger clauses, modification in a particular form. If a writing which is sent within a reasonable time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and which purports to be a confirmation of the contract contains additional or different terms, such terms become part of the contract, unless they materially alter the contract or the recipient, without undue delay, objects to the discrepancy. Where in the course of negotiations one of the parties insists that the contract is not concluded until there is agreement on specific matters or in a particular form, no contract is concluded before agreement is reached on those matters or in that form. If the parties intend to conclude a contract, the fact that they intentionally leave a term to be agreed upon in further negotiations or to be determined by a third person does not prevent a contract from coming into existence. A contract in writing which contains a clause indicating that the writing completely embodies the terms on which the parties have agreed cannot be contradicted or supplemented by evidence of prior statements or agreements. However, such statements or agreements may be used to interpret the writing. A contract in writing which contains a clause requiring any modification or termination by agreement to be in a particular form may not be otherwise modified or terminated.

      • KCI등재

        寺院의 造形性과 禪的 表現 硏究

        진철문(Jinn Churl-Moon)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寺院의 여러 가지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불교가 어떠한 근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매우 중요하다. 먼저 寺院를 전체적으로 볼 때 하나의 塊體를 가진 조형성으로 볼 수가 있겠다. 그래서 造形性을 형태를 가진 像으로 보고, 이 像의 탄생을 살펴보기 위하여서는 像의 탄생을 禪과 藝術을 통한 表現에서 찾아본다. 따라서 우선 이것을 硏究함에 있어서 먼저 인간의 보편적이고 감각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像의 탄생과 인간의 감각적인 것에 대한 관점을 먼저 살펴보고 像의 의미 그리고 佛身과의 관계에서 형상의 의미와 발생을 경전 속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 불멸후 무불상시대에 대한 관점이 불타의 가르침에 충실한 조형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것으로 밝혀졌고 그 후 불상의 출현은 32상 80종호의 像을 완전하게 하기 위한 의궤에 의해서 禪의 형태로 중생에게 전달하려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 불교의 교리는 형상에 대한 본질적 의미가 잘 표현되어 있었고, 이 형상을 바라보고 느낌을 갖는 인간과의 상관관계도 잘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선종의 미학적 미학적인 관점은 선과 예술적인 표현을 통해서 결국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매개로써 그 기능을 다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결국 상에서 나타난 아름다움은 미학으로서 깨달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결론 내려진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ltimate significancy of Buddhism, in order to see various functions of temple. Such a perfect temple like Seokbul-Sa in Toham mountain can be seen total as a great sculptural body. In this study sculpture is taken to be a matter with form. The birth of matters is inquired into the expression of Zen and Art. I researched first the humanistic universal and sensuous standpoint to show it. And then the birth of matter and the meaning of it, and its relation to Buddha body could be seen through the Sturas understanding. In this study, the view on Non Buddhist Image Age proves that Non Image had dominated in that age as the image in itself which was faithful to Buddha's teaching. Thereafter people began to sculpture Buddhist Image so that they wanted to communicate the matter of 32 phrenological interpretations and 80 kinds of them in the form of Zen completely. Between the doctrins of Sutras we can see the ultimate meaning of matter, and its relation to us who watch and feel it. It is the ultimate significancy of Buddhist Image, the matter. This study found that especially aesthetics viewpoint of Zen Buddhism has the ultimate role to lead people to Enlightenment through artistic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beauty in Buddhist Image is the symbol of and for aesthetic Enlightenment.

      • Asymmetry in the neutrino and anti-neutrino reactions in a nuclear medium

        Cheoun, M.K.,Choi, K.S.,Kim, K.S.,Saito, K.,Kajino, T.,Tsushima, K.,Maruyama, T. North-Holland Pub. Co 2013 Physics letters: B Vol.723 No.4

        We study the effect of the density-dependent axial and vector form factors on the electron-neutrino (ν<SUB>e</SUB>) and anti-neutrino (ν@?<SUB>e</SUB>) reactions for a nucleon in nuclear matter or in <SUP>12</SUP>C. The nucleon form factors in free space are presumed to be modified for a bound nucleon in a nuclear medium. We adopt the density-dependent form factors calculated by the quark-meson coupling (QMC) model, and apply them to the ν<SUB>e</SUB> and ν@?<SUB>e</SUB> induced reactions with the initial energy E=8-80 MeV. We find that the total ν<SUB>e</SUB> cross sections on <SUP>12</SUP>C as well as on a nucleon in nuclear matter are reduced by about 5% at the nuclear saturation density, ρ<SUB>0</SUB>. This reduction is caused by the modification of the nucleon structure in matter. Although the density effect for both cases is relatively small, it is comparable with the effect of Coulomb distortion on the outgoing lepton in the ν-reaction. In contrast, the density effect on the ν@?<SUB>e</SUB> reaction reduces the cross section significantly in both nuclear matter and <SUP>12</SUP>C cases, and the amount maximally becomes of about 35% around ρ<SUB>0</SUB>. Such large asymmetry in the ν<SUB>e</SUB> and ν@?<SUB>e</SUB> cross sections, which seems to be nearly independent of the target, i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s in the helicities of ν@?<SUB>e</SUB> and ν<SUB>e</SUB>. It is expected that the asymmetry influences the r-process and also the neutrino-process nucleosynthesis in core-collapse supernovae.

      • KCI등재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김선영(Kim, Sun-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2 No.-

        현대철학에서 다시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는 개체화 원리 문제는 사실 중세철학자들에게서 많이 다루어졌지만 라이프니츠를 제외한 근대철학자들에게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필자는 이러한 개체화 원리 문제의 논의 전개 과정에서 스코투스와 데카르트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이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개념들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스코투스는 물질적 실체들의 개체화를 순수형상으로 간주되는 천사들의 개체화와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면서 순수 철학적 측면에서 개체화 원리를 다룬다. 이는 존재를 물질과 형상의 결합체로 파악하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거부하는 것이며, 또한 이것은 개체화 원리 문제를 개체화 원인의 문제로 변환시킨 것이다. 스코투스에게서 한 존재자의 ‘이것임’은 그 개체의 종이 단일하다는 전제에 의해 가능하다. 이에 반해 데카르트는 개체화 원리 혹은 원인을 문제 삼지 않는다. 데카르트는 보편질료와 보편형상을 물질적 실체의 개체화와 형상적 실체의 개체화의 가능 조건으로 제시하며 한 존재의 개체성과 보편성을 밝힌다. 필자는 데카르트의 이원론, 물질과 형상, 신체와 영혼의 강조가 한 존재의 단일성 문제보다는 그 동일성의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영역을 제기하는 것으로 해석하려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rough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which has resurfaced in contemporary discussions, was a crucial subject for medieval philosophers; however,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disappears among the Moderns. This paper aims primarily to examine the role of the philosophy of Scotus and Descart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ndeed, Scotus understands how the individuation of material substance through angels who define themselves by the pure form. This implies the rejection of the Aristotelian definition of being as composed of matter and form. The question of the unity of being is characterized by haecceitas, which assumes unity of the species. Descartes, meanwhile, does not speculate on the cause or principle of individuation. He raises general subjects and the general form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of the substance material and immaterial substance and individuation. Cartesian du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matter and form, that of the body and soul, opens a new field of inquiry, that of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man. Thu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s transformed into the question of identity.

      • KCI등재

        1960-70년대 한국 조각에 표현된 물질성

        이상윤(Sang-Yoon Lee) 현대미술사학회 2005 현대미술사연구 Vol.17 No.-

        The 1960-70's is significant period to Korean arts history. Many artists were interested in materials during the time. However considering recent studies of the 60-70's, it doesn't mention material and materiality as it should and the study of Korean sculpture absolutely lacks as compared with painting's. Moreover many critical articles treat one-way effects from foreign arts to Korean art neglecting the interaction among the domestic arts. For these reasons, I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materiality appearing on Korean sculptures because sculpture has an intimacy with materials for the texture and form. The first thing, expression of materiality in the 60's sculpture came from a certain form concerned with physical phenomena such as explosion, destruction, eruption and expansion which are given out from the emotion as ruin, devastation and tragedy. Also it is same as contemporary painting, "Korean Informel". That form emphasized the prominence and depression and it revealed the rough surface and the "carter" assembled with marks of shot. As the 60's sculpture related with "Korean Informel", so the 70's sculpture was influenced by the 70's painting called "Korean Monochrome". "Korean Monochrome" is found using of new materials beyond colors and canvas that had not been used for art work before. Concretely the new aspect based on the physical phenomena was shown to use soil, fabric, cement and plaster powder etc. Also it drove two formal aspects the 1970's sculpture. The first is the representation of materiality by traditional way and it appeared on works of Jeseung Noh, Gwangwoo Kim, Kukgwang Jeon, Giwon Choi etc. Their works represented physical phenomena that soft stuff was crushed and bent although substance of sculpture was hard such as bronze, woods and steel. The second aspect is use of non-artistic materials for art object and outstanding artists are Moonsup Shim, Jonghyun Ha, Yongik Kim etc. Their object is good comparison with Japanese modern art, "Monoha" because it is found the influence of Monoha in its shape. However their works have differences to Monoha in the perspective that Monoha's works show "objecthood" and express only itself. Furthermore Korean artists in the 1960-70's thought much of value of "working" therefore they didn't free themselves from representation. To this point of view, the materiality expression of Korean art had its origin in Modernism not like Postminimalism and Monoha. Final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ateriality of Korean art was not influenced by foreign arts in passive way because it related with formalism and Modernism. And this specific eclecticism is related in historial background. Also this unique materiality appears not only in that time, it has appeared all over the time. In conclusion the study of materiality may have enough value for the reason why until now the materiality keeps appearing with various aspect throughout the time and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