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장진영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ubdivided Teachings in the Huayan appears in the Hwaeomgyeong-Mundap, presumably a transcript of Uisang' lecture. It's overall sketch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Five Essentials of Teaching in the SuXuan-Ji earlier written by Zhiyan. The case of using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is rarely found in the other texts than Zhiyan's Kongmu-zhang where Zhiyan introduces the those to explain the tathatā. I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ve teachings in Mundap and Kongmu-zhang. The details of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are elaborated in the Gradual teaching. The division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seems to be the influences of the new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related Canons, especiall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athatā. The essence of the teaching of the Beginning is the sūnyatā but includes the consciousness-only theory of the Dharmalakṣaṇa in the Beginning. It doesn't fall within the Final because of not relying on the tathatāgatha and dosen't go into the Ending of the Elementary teaching because of revealing sūnyatā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and of the Sudden teaching, adopts the explanation of three steps of the Speaking of Huiyuan about the Non-dual Dharma in the Vimalakīrti Sutra.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he Verbal and Non-verbal teaching, and Speakable and Non-speakable teaching, in which the Sudden teaching takes place in the ultimate teaching of the Final teachings. This seems corresponding to the Sudden teaching of the Five teachings of Uisang. Only in the Mundap, the Sudden teaching is closer to the Final teaching of the Three Vehicl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ect teaching of the One Vehicle. It seems that the types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in the Final teaching wa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division of the true consciousness and altered false consciousness. They share the meaning of non-sūnyatā because both arise on the strength of tathāgatagarbha including the Old school of Consciousness-only in China. Only they individually divide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 of development. Finally it seem that it is impossible to divide each other throughout the Essential of Teaching from the Final Teaching to the Perfect Teaching.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viding between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s discover from the view of the Verb on the Principle without differentiation a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Three Vehicle and the One Vehicle is due to whether getting the standpoint of One Vehicle or not. 의상의 강의록으로 추정되고 있는 『화엄경문답』에는 좀 더 세분화된 5교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지엄의 초기 저작인 『수현기』에서 언급된 5종 교체를 5교판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이미 지엄의 『공목장』에 이를 진여의 대한 설명에 적용한 사례가 있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5교판의 세분화된 모습은 점교문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초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을 나눈 계기는 신역 경론의 진여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초교는 본래 空義를 본질로 하는데 시문에 법상유식의 내용을 소속시키고 있다. 그 의지가 眞識이 아닌 妄識이기 때문에 종교에 속하지 못한 것이며, 그 밝힌 진여가 공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초교 중에서도 시문에 속한 것이다. 종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은 돈교문과 함께 봐야 하는데, 그것이 『유마경』의 不二法門에 대한 혜원의 說에 대한 3단계의 설명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종교문과 돈교문은 言(가설)과 黙(불가설)으로 구분되고 돈교의 교체도 명확해졌으며, 돈교의 위치도 삼승의 궁극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의상은 돈교를 5교판의 돈교로 보았는데, 『문답』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보며, 다만 돈교를 일승원교보다 삼승의 종교에 더 밀접하게 파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교문 내에서 시문과 종문의 구분은 구유식내에 진식(리야유식)과 망식(의식유식)의 전개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종교의 시문에 속한 망식은 여래장진식을 의지로 하기 때문에 초교의 시문에 속하는 신유식의 망식(아뢰야식)과는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종교부터 원교까지 표면상 그 교체를 공유하므로 교체만으로는 서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종교와 돈교는 둘 다 무분별의 理의 입장에서 가설과 불가설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게 되었고, 삼승(종교‧돈교)과 일승(원교)과의 구분은 일승에 대한 안목을 갖추었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라 및 고려시대 화엄학 문헌의 성격과 내용

        최연식(Yeon Shik Cho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60

        고대와 중세 한국 불교계에서 『화엄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교학 연구의 중심을 이루었고, 그에 따라 수많은 종류의 『화엄경』 관련 문헌들이 저술되었다. 하지만 일부 단간이라도 전해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을 모두 합쳐도 20종이 채 안 되며, 그 내용이 온전하게 전해지는 문헌은 10여 종 정도에 불과하다. 이 논문에서는 그 내용이 확인 가능한 신라와 고려시대의 화엄학 문헌인 義相의 『法界圖(記) 』와 『華嚴經問答』, 元曉의 『華嚴經疏』, 明효의 『海印三昧論』, 表員의 『華嚴經文義要決問答』, 均如의 『敎分記圓通초』, 『旨歸章圓通초』, 『三寶章圓通記』, 『十句章圓通記』, 『法界圖圓通記』, 『法界圖記叢髓錄』, 知訥의 『華嚴論節要』, 體元의 『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그리고 신라 화엄학의 영향 하에 찬술된 『華嚴一乘成佛妙義』와 『健拏標訶一乘修行者秘密義記』 등의 내용을 토대로 한국 고대 및 중세의 『화엄경』 관련 문헌들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와 고려에서는 『화엄경』 자체에 대한 주석서는 매우 드물어서 원효의 『화엄 경소』와 태현의 『화엄경고적기』 외에는 확인되지 않는다. 『화엄경』과 화엄학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문헌도 표원의 『화엄경문의요결문답』 이외에는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 및 고려 화엄학의 주류를 이루었던 의상계에서는 주로 義相과 智 儼, 法藏 등의 저술에 대한 해설서 즉 私記성격의 문헌을 찬술하였다. 특히 의상의 『법계도기』에 대한 해설서가 가장 많이 찬술되어 신라와 고려의 화엄학이 『법계도기』를 기반으로 하였음을 보여준다. 신라 및 고려시대의 화엄학은 주로 60권 『화엄경』및 그 주석서들에 기초하였고, 80권이나 40권 『화엄경』과 관련된 저술은 많지 않다. 80권 『화엄경』과 관련된 것은 13세기 지눌의 『화엄론절요』, 40권 『화엄경』 관련 문헌은 14세기 체원의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가 각기 유일하다. 한편 의상의 『법계도기』를 비롯하여 『해인삼매론』, 『화엄일승수행자비밀의기』 등 화엄의 진리를 槃詩를 통해 표현한 문헌들이 많다는 것도 한국 화엄학 문헌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들 문헌은 화엄학의 이론들을 설명하기보다 깨달음의 경지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데, 『법계도기』에 기초한 한국 화엄학의 발전 양상의 또 다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 Korean Buddhism the Huayan Sutra was one of the most popular sutras among the scholar monks and the study on it was the main theme of the time. Also many works on the Huayan Sutra was written in the times. However the number of preserved works even including some ones left in the fragments is less than 20. There remain only a dozen of works intact. In this article we try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uayan Literature in ancient and medeival times through the investigations on the works written in Shilla and Koryeo dynasties which include Uisang`s the (Expalanation on) the Dharma-dhatu Diagram(『法界圖(記)』) and the Catechism on Huayan Sutra(『華嚴經問答』), Wonhyo`s the Commentary on Huayan Sutra(『華嚴經疏』), Myeonghyo`s On the Ocean-seal Sammadhi(『海印三昧論』), Pyowon`s the Explanations on the Essentials of Huayan Sutra(『華嚴經文義要決問答』), Gyunyeo`s Commentaries on Zhiyan, Fazang and Uisang`s works(『十句章圓通記』, 『敎分記圓通초』, 『旨歸章圓通초』, 『三寶章圓通記』, 『法界圖圓通記』), Jinul`s the Summary of (Li Tongxian`s) Commentary on Huayan Sutra(『華嚴論節要』), Chewon`s the Commentary on the Holy teaching of Avalokitesvara in Huayan Sutra(『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Gyeondeung`s the Excellent Teaching of Huayan One Vehicle on Attaining Buddhahood 『華嚴一乘成佛妙義』and anonymous the Collection of Essences of the (Expalanation on) the Dharma-dhatu Diagram(『法界圖記叢髓錄』) and the Ganda-vyuha eka-yana Practicer`s Secret Teaching(『健拏標訶一乘修行者秘密義記』). There were very few commentaries on Huayan Sutra itself in Shilla andKoryeo dynasties. Wonhyo`s Commentary and Taehyeon`s the Archaeological Commentary on Huayan Sutra(『華嚴經古跡記』) are the only ones known while the former remain in fragments and the other only in name. The systematical introduction to Huayan Sutra was also very rare; the Explanations on the Essentials of Huayan Sutra is the only one known and preserved. Uisang`s school, the mainstream of Huayan School during Shilla and Koryeo, had much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thoughts of Zhiyan, Uisana and Fazang and produced only the explanations on their works. Especially the explanations on Uisang`s the (Expalanation on) the Dharma-dhatu Diagram were much popular. Shilla and Koryeo Huayan study was mainly based on 60 volume Sutra and its commentaries, while the 80 volume and 40 volume Sutras got very little interest. Both of the two Suras have only one related work; the Summary of (Li Tongxian`s) Commentary on Huayan Sutra is on 80 volume Sutra, while the Commentary on the Holy teaching of Avalokitesvara in Huayan Sutra is on 40 volume Sutra. It i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rean Huayan Buddhism that there were many works which show the Truth by diagram such as the (Expalanation on) the Dharma-dhatu Diagram, the Ocean-seal Sammadhi Treatise and the Ganda-vyuha eka-yana Practicer`s Secret Teaching. These works focus on directly describing the state of Enlightenment instead of logically explaining the Huayan theories, which may be an aspect of Korean Huayan Buddhism based on Uisang`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