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 협력에 의한 문화콘텐츠 개발 모델 연구

        유애령(Yu Ahe-ryung)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2 N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restricted normal people’s contact for about 60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Law for Mutual Trad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ince ceasefire in 1953.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developed economy carried out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and with growing foreign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t can approach various cultures all over the world. In addition, the South Korean has respected individuals’ value and diversity since the pro-democracy movement of the 1980s while the North Korean society has made an idol of father and son Kim Il-sung and Kim Jung-il under the pretext of Juche Idea with isolation from the national community. The two Koreas has not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under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 for 60 years, so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heterogen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 solutions to restore inter-Korean homogeneity are discussed. This study looked into possibility to supply and develop unification cultural contents for restoring inter-Korean cultural homogeneity through the compilation cases of Digital Encyclopedia of Hangsan Culture. Digital Encyclopedia of Hangsan Culture is very meaningful academically to summarize and provide North Korea’s local culture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understand North and South Koreas that are divided for 60 years as well as restore homogeneity. Moreover, Digital Encyclopedia of Hyangsan Culture is the material with summarized cultural asses in North Korea in order for normal people to approach easily. It is regarded to have very high competiveness as a unification culture contents to restore inter-Korean homogeneity.

      • KCI등재

        역사민속콘텐츠의 창출 현황과 대중화의 과제

        박경하,박주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5

        Since the mid 1990s, there has been an international trend of neo-liberalism based on the logic of information and market competition around the world and the bailout crisis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tionwide. Paradoxically, the popular use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was triggered as a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humanity crisis’ in the context of social pragmatism.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popularization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it is necessary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contents infrastructure to util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raditional era. For those businesses, there ar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Project」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999~ ), 「The Cultural Resource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Program」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Korea Culture Contents Agency, 2002~ ),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4~ ). The ‘Cultural Archetype Project’ which was proposed by the Korean Culture Contents Agency under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2, to make use of digital technology and make it more competitive as a creativ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t became a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The field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need efforts to re-establish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tablishing scholarship, seeking methodology and theory. In order for the public to have high-quality contents, the university should produce outstanding individuals who can make the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research education curriculum. The public’s perception on history is produced through contents such as movies, cartoons, or games and they perceive those contents as real historical fact. It can lead the public to understand wrong history. To correct thi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historians to create a circumstances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story when they produce historical-folklore contents. Additionally, they should continuously consider how to coexist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pure academy. The efforts to popularize historical-folklore contents will not only be limited to the revival of the humanities itself and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but also be a creative process that will create a new value orientation for the entire society and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historical-folklore and humanities in the 21st century at the same time. 1990년대 후반부터 정보화와 시장경쟁논리를 바탕으로 한 신자유주의라는 세계화의 동향과 국내적으로는 IMF의 구제금융 위기 속에서, 실용주의가 강조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학에서도 실용성이 떨어지는 학문단위의 구조조정이 시작되었다. 인문학 관련학과들이 통폐합되는 현실에서 이를 인문학 연구자들은 새로이 등장하는 문화콘텐츠분야에서 대안을 찾으려 하였고, 역사민속학계에서는 역사민속콘텐츠의 창출과 이의 대중적 활용에 주목하였다. 역사민속콘텐츠의 대중화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통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사업에 주목해야 한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문화진흥원, 1999년~ ), 「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화사업」(문화관광부․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2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사업」(한국학중앙연구원, 2004년~ ) 등이 있다. 2002년 2월에 문화관광부 출연기관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디지털 기술을 이용, 콘텐츠화하여 문화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창작소재로 경쟁력을 높이고자 공모 제안한 ‘우리문화원형사업’이 역사민속콘텐츠의 본격적인 창출의 기폭제가 되었다. 역사민속콘텐츠 분야는 학문의 정립과 그와 관련된 방법론 및 교육론의 모색, 고증, 검토 등 학문을 재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중이 수준 높은 콘텐츠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작하기 위한 인력을 대학에서 배출해야 할 것이다. 즉,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교육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즈음 대중의 역사 인식은 영화․게임․만화 등의 콘텐츠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대중들은 이것을 실제의 역사 사실로 인식하기도 한다. 즉, 대중을 잘못된 역사 이해로 몰고 갈 수 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역사민속콘텐츠의 제작에 있어서 역사의 고증을 중시하는 분위기로 만들어가는 것도 역사민속학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책임이다. 또 순수학문과 지나친 상업화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에 대해 앞으로 계속 고민하며 풀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순 인문콘텐츠학회 2006 인문콘텐츠 Vol.0 No.8

        이 글의 목적은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하고, 지역문화콘텐츠를 학교교육의 영역으로 도입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지역문화와 지역문화콘텐츠를 살펴보고, 2장에서는 두 가지 대표적인 지역문화콘텐츠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과 ‘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의 사업 개요를 알아본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다룬 두 가지 콘텐츠들을 어떻게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지역문화교육적 입장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지역문화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여 이 방향에 맞추어 지역문화콘텐츠들을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안된 내용을 정리하면, 실제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특정 교과 혹은 창의재량활동 수업에서는 어느 한 지역문화콘텐츠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상콘텐츠 자료를 요소별로 활용할 때에도 요소 그 자체를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그 요소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학습 활동으로 발전시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따라 수업방법도 달라져야 한다. 이에 대하여 사실, 방법, 가치를 중심으로 각각 세 가지 유형을 제안한다. 특히 ‘디지털 문화원형’의 영상콘텐츠 자료는 기본적으로 학습 전개 활동 중 학습 소재의 하나로써 활용한다. 따라서 영상콘텐츠 자료가 학습 전개의 전체 흐름 중에서 어떤 단계에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그 경우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가, 전후의 학습지도는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등에 대한 검토도 이 글에서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