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 구인사 창건과 그 의미

        황상준 ( Hwang Sang Ju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9 전자불전 Vol.21 No.-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는 한국 천태종의 총본산이자 한국 관음신앙의 중심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대한불교천태종은 상월조사에 의하여 근대불교기에 중창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불교종단의 하나이자 관음신앙의 성지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람의 지정학적 연구 또는 가람배치에 관한 연구와는 달리 구인사가 종교적 성지로서 갖는 위치에 대한 조명과 대중불교 수행도량으로서 갖는 수행공간으로서의 사격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 논문을 통해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 구인사의 건립 역사와 그 내력을 통하여 구인사가 관음신앙의 중요한 성지로서 갖는 사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느 사찰과는 달리 구인사는 관음주송 수행을 실천할 수 있는 수행공간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구인사는 기존의 사찰건축문화와는 달리 콘크리트 다층한옥건물을 중심으로 기능성과 실용성에 기초하여 사찰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중심 전각의 내부구성에는 『묘법연화경』의 경설을 구체화하여 천태종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관음신앙이 강하게 구현되어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찰건축은 불교의 교리적 체계를 바탕으로 조영된 것이며, 이는 단순한 물리적 실체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구인사의 가람배치는 단순히 부처와 보살을 모시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상세계의 표현과 교학의 기능과 의미를 담고 있는 수행의 공간이자 중생들의 안식처를 제공하는 곳이다. 또한 구인사는 관음영험도량으로 천태종의 수행체계와 함께 현대 한국 관음신앙의 중심에서 있다. Korean Buddhist Temple Guinsa has been the headquarter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n Avalokitesvara Cult. The Cheontae Order was commemorated during the modern Buddhism by the Sangwol and it is now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temples in Korea and a sacred place of the Avalokitesvara Cult. In this paper,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geopolitics of Buddhist temple or the study of Buddhist temple place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reviewing of the position of Guinsa as a religious sacred place and the shooting as an execution space that has a mass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is paper, I examined the history of the construction of Guinsa as the headquarter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it can be used to confirm that Guinsa has an important place of worship for the Avalokitesvara Cult in Korea. Unlike the existing Korean temple building culture, Guinsa built temples based on the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of concrete multi-story hanok buildings. However, the inner structure of the central embossed material embodies the mystery of < The Saddharma-pundari-ka-sutra > in the central Buddhiat hall and expressing the Cheontae Order’s identity and discovering the strong embodied the Avalokitesvara Cult. The temple architectu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Buddhist doctrinal system, which means more than just physical reality. As the headquarter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arrangement of Guinsa is not only providing a space for Buddha and Bodhisattva, but also a place of practice and a place of all sentient being containing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ideal world and expression. Korean Buddhist Temple Guinsa is also the center of modern Korean Avalokitesvara Cult along with the Cheontae Order’s performance system as the Buddhist practice in Korea.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천태종단사와 구술사

        황상준 ( Hwang Sang Jun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8 전자불전 Vol.20 No.-

        본 논문에서는 天台宗團史와 口述史를 大韓佛敎天台宗에서 실시한 인터뷰 작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종단 대내외적으로 간행된 단행본을 중심으로 한국 天台宗의 중창조인 上月의 生涯史를 살펴보았으며, 그리 길지 않은 開山의 역사 속에서 韓國近代佛敎에 자리 잡은 大韓佛敎天台宗과 그 중심에 있는 上月의 敎化와 天台宗團史를 口述史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행 불교계에 구술 작업에 대한 제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구술사를 진행하는 연구자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구술의 중심인 불교계 인물에 대한 사전조사와 그와 관련된 질문안의 작성과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구술 작업과 병행하여 구술된 사항과 관련된 사진자료 또는 문서의 수집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구술 작업 후 인터뷰 대상자에 그 내용을 확인받고 공증 또는 그 자료의 활용에 대한 동의를 문서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구술 작업 후 기록된 내용을 일반 대중이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한국 근대고승 구술사 아카이브를 구축하여야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history of the Cheontae religious order and the Oral history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through the Interview Work by the central organization of its order. Also, I reviewed the life history of the founder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focusing on the monographs published in Buddhist academy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is, a proposal for oral work was derived for the current Buddhist system. First, it is essential to educate researchers who are engaged in oral history. Second,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Buddhist personality which is the center of dictation, question and discussion about it should be preceded. Third, the collection of photographs or documents related to the dictated matters should be done together with the oral work. Fourth, after the oral work, the interviewee should confirm the contents and document the notarization or consent for utilization of the data. Fifth, the contents recorded after the oral work should b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Sixth, Korean Modern Buddhist Venerable Oral Archives should be constructed.

      • KCI등재

        대한불교천태종의 의례와 신앙

        고병철(Byung Chul Ko) 한국종교학회 2013 宗敎硏究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aith and rituals in religion, checking the contents and lists of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in Korea. And, by this, I t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faith which the Cheontae Order aims. For this reason, in the first chapter, examining the main literatures and histories of the Cheontae Order, I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second chapter, classifying the main lists of ritual of the Cheontae Order, I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Buddhist organizations and the Cheontae Order. Then, in Chapters 3 and 4, I examined the spaces and contents of rituals in the Cheontae Order. And, by this, I pointed out that faith of the cheontae Order is concentrated in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Goddess of Mercy) and memory of the Cheontae Order` founder. As a result, the Cheontae Order aims to faith on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he Cheontae Order` founder constructing various spaces and contents of rituals. And, through these, the Cheontae Order has been making a feature that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igions. Viewed from this point, rituals are a strategic tool to maintain and enhance the self-identity of the Cheontae Order. This research was done through several interviews and field survey, as well as literatures including previous researches. I expect to make this research a small contribution to understand the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 동아시아 불교계 종단의 종헌 비교연구

        원영상(Won, Yongsan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0 충청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동아시아 대표적인 불교계 종단의 종헌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한국, 일본, 대만의 불교계 종단의 종헌에 나타난 정신과 교단구조, 그리고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종파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만큼, 종교법으로서의 각 종단의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교단의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는 종헌 외에 국가의 종교법인법에 따른 교단의 운영에 관한 법규를 두고 있다. 대만이나 한국의 경우, 종헌에 교단의 역사적 발원에 관한 언급을 시작으로 전체적인 조직,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동아시아 불교종단의 공통점은 대체로 종단의 역사적 연원, 법의 계승, 종조의 깨달음, 소의경전 등을 명기하는 등 自宗의 전통을 드러냄으로써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 대승불교라고 하는 전체적 이념을 공유하는 동시에 자종의 전통을 강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단 최고지도자의 역할에는 법의 계승, 해석을 통한 종단의 구심적 역할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원불교의 경우는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집단 지도체제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조직적 측면에서는 불법의 가르침에 입각한 종단의 정책 결정, 행정 등이 최고지도자와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분리해가는 면이 나타난다. 근현대 사회의 조직적 분화 또는 권력의 분권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본다. This study compared and studies charters of sects of monastic orders in the East Asian Buddhism Circles. It examined the spirit of Buddhism, structures of religious bodies, and each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harters of sects of the monastic orders in the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Buddhism circles. First of all, character of each monastic order as the religious laws is well reflected as they have sectarian characteristics. In case of Japan, there are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operation of religious bod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religious corporation act except the charters of sects that emphasize their tradition and spirit. In case of Taiwan or Korea, the details about the entire organizations and their operation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charters of sects starting with the mention of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monastic orders in it. For a common point of the monastic orders in East Asian Buddhism they typically tried to secure their identity by showing tradition of the sects of religious order that they belong to sect of one"s own including specifying their historical origin, succession go Dharme, enlightenment of the founders of sects, the main texts of Buddhist schools, etc. It"s because they share an idea called Mahayanist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strongly showed tradition of the sects of religious order that they belong to. And the supreme leaders of the monastic orders strongly show their central roles in the monastic orders through succession to and interpretation of Dharma. Won-Buddhism has found that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that centers on the supreme leaders plays this role. The organizational aspect has found that policies, decis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monastic orders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Buddha-dharma are reasonably separated from the relationships with the supreme leaders. It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systematic differentiation or decentralization of pow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