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19 혁명 유공자 포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임춘식 ( Choon Seek Rim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19 No.1

        우리 현대사에 위대한 족적을 남기고 아직도 진행 중인 4·19혁명의 정신과 이념이 그 동안 역대 정권, 특히 권위주의 정권들의 무책임으로 화석화하였다. 2010년 4·19혁명 50주년에 즈음하여 4·19정신과 이념을 재조명하고 널리 선양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주장만 가지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합리성과 형평성, 법적 장치의 마련, 이에 따른 합당한 포상, 보상정책 등 구체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원인이 동일하면 결과도 같아야 하는 것이 법정신이다. 독립유공 건국포장자와 4·19혁명 유공 건국포장자의 국가유공자의 원인은 ‘건국포장’임으로 국가제도에서 양 대상에 대한 예우를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첫째, 4·19혁명 부상자 1,820명 중 아직도 국가유공자로 선정 되지 않은 자 전원을 국가유공자로 구제하고 둘째, 4·19공로자(건국포장자)를차별한데 대한 적정한 보상이 필요하며 셋째, 아직도 보상에서 제외된 4·19혁명 지도자(4·19혁명 공로자)를 발굴하여 추가포상을 대대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4·19혁명단체들도 5·18기념사업회와 동일한 기념재단을 설립하여 이념 선양과 계승 등 관련 사업을 전문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4·19혁명기념재단”을 설립하여 헌법 전문이 규정하는 4·19혁명 이념 계승을 위한 민간기구로서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original spirit and ideology of the April Civil Revolution (on April 19, 1960), a great step forward of Korean modern history as cherished in our reminiscence, has been diluted due to irresponsible negligence of prior regimes (particularly,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s).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pril Civil Revolution in this Year 2010, it is very important to re-highlight and widely propagate the original spirit and ideology of said Revolution. However, it is not about anything that can be easily resolved just by advocacy, but is something that requires further supports including rationality, equity, legitimate assurance measures, corresponding reasonable prizes and compensation policies. The spirit of law maintains that same results come from same cause. The ‘National Foundation Medal’ is a crucial cause for which both persons of merit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those of merit for the April Civil Revolution are recognized and awarded as persons of national merit, so it is required to maintain equity of honors and privileges granted to both of those persons under the national testimonial system. Thus, this study can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required for our government to restore the honors of people who are not yet nominated as persons of national merit among all 1,820 people who were injured in the April Civil Revolu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s for the persons of merit in the April Civil Revolution (i.e. awardee of National Foundation Medal), because they have been still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merit for national independence. Thirdly, it is required to discover untargeted persons of merit for the April Civil Revolution and provide additional compensations for them on a full scale. And it is important that existing organizations for the commemoration of the April Civil Revolution should establish memorial foundations like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and develop any institutional means to systematically implement relevant projects including ideological exaltation and inheritance in professional manner. In detai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tentatively named “April 19 Revolution Memorial Foundation” as such a private organization for taking over the original ideology of the April Civil Revolution as provided in the full text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operation of said Foundation should be supported with governmental positive financial assistances.

      • KCI등재

        4・19민주항쟁 직후 한국 지식인들의 민주주의 인식 -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이상록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0 사총 Vol.71 No.-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Korean intellectuals how to appropriate the discourse of democracy after democratic struggle at 19 April 1960 in Korea. Liberal democrats were inspired by people’s democratic struggle at 19 April 1960, so they called it ‘civil revolution’. Korean intellectuals had some inferiority complex which ‘underdeveloped’ Korea had not experienced civil revolution ‘developed’ western countries had undergone. Liberal democrats insisted on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for the completion democratic struggle at 19 April 1960 into the revolution. While they criticized people’s democratic movement beyond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after April struggle. Their broadside on students’ and laborers’ struggle implied liberal democrat’s fear 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Liberal democrat, Ham seok heon was an distinctive figure as he criticized capitalist modernization theory and tried to regard the people(Min Joong) as political subject. He insisted that the revolution should be overturn of people’s mind. In this respect April democratic struggle was failed revolution for him. Through the reflection on April democratic struggle, he urged the people to practice nonviolence revolution beyond the violence of material civilization. Democratic socialists insisted on the abolishment of capitalism. They thought that the principle of free market could hinder the dignity of human and civil liberty. They criticized liberal democrat who considered the democracy represented at April democratic struggle as only ‘liberal democracy’. They named 4・19 ‘democratic revolution’ for democratic socialism. They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socialism economy system with industrial nationalization. They didn’t deny self-supporting economy based on the industrialization while they argued the abolition of capitalism.

      • KCI등재

        `시민`적 주체와 이념의 문학사적 재구성

        배하은(Bae, Ha-eun)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8

        이 글은 김윤식 · 김현의 『한국문학사』기획과 집필 작업의 이면에 4 · 19라는 사건이 하나의 (무)의식적인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이들의 문학사 서술 작업은 4 · 19를 계기로 당대 한국 사회의 화두로 떠오른 시민사회의 주체와 이념을 문학사적으로 전유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이 글은 한국문학사의 구체적인 서술 차원에서 확인되는 ‘시민’적 이념과 주체 개념의 문학사적인 재구성 과정과 방식, 이를 둘러싼 4 · 19 이후 사회와 지성 담론을 살펴본다. 당대 사회 지식 담론의 영역에서 4 · 19라는 미완의 혁명은 영속적인 현재로서 실천되고, 달성되어야 할 미래로 상정되는 것과 동시에, 역사적으로 쌓아올린 과거의 지층 위에서 시도된 혁명의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는 당위를 부여받았다. 4 · 19를 시민혁명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시민혁명의 주체와 이념이 필수적이었는데, 이때『한국문학사』에 부여된 임무란 바로 그 4 · 19혁명의 ‘시민’적 주체와 이념을 문학사적으로 재구성하는 일이었다. 김윤식과 김현은 문학의 매체가 언어라는 점을 강조하며 문체 변화에 대한 분석을 주요 방법론으로 삼는다. 이들은 언어에 의해 매개된 문학과 사회의 상호적인 변화의 흐름을 체계화하는데 이것이 바로 고문체(한문체)의 해체-국한문체/국문체-순국문체-한글운동과 글쓰기로 구성된 ‘문체 혁명’의 계보다. 이처럼 언어학적 분석이『한국문학사』 서술의 방법론적 우위를 점하게 된 것은 당대 한국 사회에 혁명과 시민사회의 이념적 토대가 부재하다는 현실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문학사』의 두 저자는 문학사의 이름을 빌려 그것 스스로 정신사를 표방할 수 있게 만드는 ‘문체 혁명’을 통해 근대 시민사회를 경험해본 적 없는 한국 사회가 혁명이라는 역사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념적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한편 ‘시민’적 주체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학사』가 주목한 것은 조선 후기 중인계층의 계보 연장선상에 놓이는 최남선과 이광수, 그리고 4 · 19혁명 이후의 최인훈 문학이다. 최남선과 이광수의 친일 행위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도출한 역사의식과 최인훈 문학의 “뿌리 뽑힌 인간”의 주제의식에서 빚어지는 개인주의가 결합해 ‘시민’적 주체의 문학사적 복원 작업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렇게 탄생한 ‘시민’적 주체란 역사의식과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사회 체제에 대한 비판과 자기반성적인 사유를 실천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다분히 지식인적인 속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결국 이 ‘시민’적 주체는 당대 한국 사회의 현실 속에서 매우 제한적인 차원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시민’에 대한 한국 사회의 열망은 어쩌면 엄밀한 개념적 정의에 따라 역사적인 실체로 존재할 수 없거나, 그것의 재구성된 형태 역시 극히 제한된 차원에서만 실재할 수 있는 ‘시민’적 주체의 딜레마에서 비롯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Hanʼguk munhaksa(1972) written by Kim Yunsik and Kim Hyŏn is a literary appropriation of the discourse regarding the subject and ideology of civil society in 1960s and early 1970s, which was triggered by April Revolution(4.19 Revolution). It was discussed back then among intellectuals in Korea that the incomplete April Revolution should be permanently carried out and defined as a historical outcome of a revolution achieved by citizens. Thus, accordingly, Hanʼguk munhaksa was required to restructure the subject and ideology of civil society in the literary history. The authors of Hanʼguk munhaksa look into how the writing system evolved, particularly analyzing the correlational change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They create a genealogy of “the revolution of writing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s: the collapse of a classical Chinese writing system, the appearance of a combined writing system of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the rise of Korean writing system(Hangŭl), and the social movement for Hangŭl. The discovery of “the revolution of writing sy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llows them to argue that Korea also owns their own ideological foundation of civil society. Meanwhile, they focus on Ch’oe Namsŏn and Yi Kwang-su, pro-Japanese collaborators from the middle class, and Ch’oe Inhun’s novels and characters to redefine the subject of civil societ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ndividualism result from the process of analyzing those three authors. These two ideological elements are defined as the main conditions for the subject of civil society in Korea. However, the subject can hardly emerge in reality because it, in some ways, is analogous to the apogee of the figure of the intelligentsi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2공화국 시기의 ‘좌절된’ 민주주의와 현재적 함의-국가―정치사회―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문병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05 민주주의와 인권 Vol.5 No.2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why the Second Republic's democracy was collapsed, centered on the power relations among state-political society-civil society, basically focusing on democracy, to present the current phases of the Korean democracy which began to be consolidated today. The state under the Second Republic took a relatively clear stance to preserve liberal democracy and existing social-economic structure. Yet it lacked systematic ideology and leadership, and proper executive abilities, required to attain the goal. The political society also did not have sufficient leadership to realize spirits of the April Revolution as well as proper abilities to collect voices of the civil society and set policies out of them. In the meantime, the civil society was getting radical by presenting the issue of reunification between two Koreas, without considering feasibility of their assertion. As seen here, the rapidly-growing gap between the political society and civil society was interfered with democratic development and only maintained its underdeveloped level. In the long run, this circumstance gave rise to a coup d'etat by politicalized military power which was the most modern and organized state apparatus in the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Second Republic's democracy couldn't help falling throu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