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김재현,김영한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al class teachers’ empowerment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ir teaching commitment and aimed to explore whether professionalism recognition has a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eaching commitment factors. Method: This study used a total of 264 copies. In addition, the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n special teacher empowerment,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commitment. Results: First, results showed that empowerment directly influenced sub-factors of teaching commitment such as professionalism, educational affection, pass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in a wide range of factors. Second,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 recognition directly influenced sub-factors of teaching commitment such as professionalism, educational affection, pass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Third,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empowerment enhance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Conclusion: These study found that the empowerment of special class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further teaching commitment, and also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recognition.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 related policy measur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의 관계 속에서 전문성 인식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을 무선표집하여 연구대상을 선정하였으며 26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 형식의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세 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전문성 인식 및 교직헌신 간의 인과성과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임파워먼트는 교직헌신의 하위요인인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 및 교직헌신 전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교직헌신의 하위요인인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 및 교직헌신 전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그들의 교직헌신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줌과 전문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한 교사 연수 등의 개발과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김세루,천혜경,안상화,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what extent can teaching efficacy be predicted from professional recognition? To what extent can teaching efficacy be predicted from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All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3 instruments: Teaching efficacy was measur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eveloped by Enochs & Riggs (1990), professional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Kyung Lee (2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measured by using th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 developed by Kyung-ho Huh (2003).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urthermore,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reliable predictors of teaching efficacy.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through enhancing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광역시, J도 유치원 교사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간에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효능감에 대한 교사 전문성 인식과 의사소통능력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전문성 인식과 의사소통능력을 바탕으로 유아교사가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며,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이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성찰역량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에서 팀티칭 교사 간 소통의 매개효과

        이희주 ( Lee Hee Joo ),강수경 ( Kang Su 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성찰역량과 팀티칭 교사 간 소통, 전문성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찰역량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에서 팀티칭 교사 간 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한 팀티칭을 경험한 보육교사 203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v3.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ayes(2017)가 제안한 model 4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찰역량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 팀티칭 교사 간 소통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성찰역량과 팀티칭 교사 간 소통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찰역량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에서 팀티칭 교사 간 소통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지식적 소통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향상을 위해서 성찰역량과 팀티칭 교사 간 소통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reflection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communic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competenc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a total of 203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team teach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data,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v3.5 program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person correlation and used the Bootstrapping method,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between reflection competenc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 reflection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Seco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reflection competency and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llectual communic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competenc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갑순,주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 및 보육과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 계수, Pearson 적률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전문성인식 및 교사역량과 하위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놀이신념과 교사역량의 하위요인 중 보육계획수립 및 보육과정실행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교사역량의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았을 때 교사역량의 하위요인인 학습지원, 개인적 자질, 유아보호에서는 전문성인식의 완전 매개효과가, 보육과정이해, 학급운영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보육계획 수립 및 보육과정 실행은 매개분석을 위한 기본 가정이 충족되지 못하였다. 이는, 변화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 맞춤형 교사양성과정의 지원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eaching competenc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preliminary research and actual survey were progres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reliability research tools and adequacy review, time use of inspection tools, and difficulty in terms were processed. The survey target was two hundred forty-fiv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were attending three and four year college located in Jeollanam-do from November 20th, 2019 to December 20th, 2019.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is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preparing young children teachers' play belief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subdomain of teaching competency. But,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in between play beliefs and establishing day care plans and enforcing day care curriculum which are the subdomains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cond, the complete mediate effect is showed in the impact on teaching competency through play beliefs. The complete mediate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showed in the subfactors of teaching competency: studying support, personal qualities, and protecting children. Partial mediate effect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appeared in understanding of day care curriculum and class management. Establishing day care plans and enforcing day care curriculum didn't satisfy basic assumption for the mediate analysis.

      •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

        이선혜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06 한국유아교육연구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needs for individual in-service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how the needs for individual in-servic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shown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The sub-categorie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tarting with intellectual faculty, self-control, professional ethics, function of social service but that of the social-economic status is below the average. Second, the needs for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of individual in-service education are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The preference of the contents is the order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evalu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ed by fundament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 for teachers,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 health, technique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rt & culture. The preference order for the method of individual in-service education is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followed by practical use of media, attending an educational institute, participating in the circle activities and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hird, the higher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y have had, the more need of individual in-service education they have gotten,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like high-level recognition group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mid-level, low-level recognition.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하며,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하위영역별로 고도의 지적 능력,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봉사 기능, 사회 경제적 지위의 순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내용의 하위영역은 유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유아교육의 기초, 교사 교육, 정보화 교육, 교육 행정 및 운영, 건강, 대인관계 기술, 예술 및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연수 방법의 하위영역은 문화 활동 참여, 매체 활용, 교육기관 참여, 단체 활동 참여, 사설기관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개인연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가 중집단인 교사가 하집단 교사에 비해 높고, 상집단 교사가 중집단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보람 ( Boram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의 관계에 있어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15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Baron & Kenny의 분석모형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Sobel-test를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놀이교수효능감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교직전문성인식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에 있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과 경로를 밝혔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전문성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lay teaching 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from universities in the G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produc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integral correlations through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Sobel-test after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analytical model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sense of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efficacy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to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and path of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will help to plan capacity building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for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최미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 및 전문성 인식과 교사행동의 관계를 기관유형, 교사학력, 경력별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공사립유치원, 법인, 개인어린이집 교사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상의 행동을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적 반응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행동적 영역에서 공립유치원에 비해 사립유치원과 법인, 개인어린이집 교사들의 행동적 반응이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교수 효능감과 교사행동의 관계에서는 법인어린이집의 경우 행동적 반응에서 의의 있는 부적 예측관계가 도출되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행동 간의 관계에서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행동적 반응은 덜 일어났다. 교사학력에 따라서는 전문대졸이하의 교사가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언어적 반응을 많이 하고 비언어적 행동은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behaviors as they relate to teaching efficac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ubjects were 6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wangju City. Teaching efficacy was measured by using an instrument originally developed by Enochs & Riggs (1990), and the Questionnaire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by Lee (2002) was employed to measur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haviors in the area of behavior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behavior in the area of corporate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havioral respons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behaviors in the area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behavioral respons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hese were dependent upon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갑순,조경희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 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및 본조사를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본 조사는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전문성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개발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ar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and main research were separately proceeded, and the target for the main research was one hundred forty-on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nam-do, South Korea from July 10, 2019 to August 20, 2019. Cronbach’s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s, and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at appeared among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lif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eco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as a found to be a significant static predictor as a variables that influences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upport of a multicultural policy, requires suitabl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과 교직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분석

        송미선(Song, Mi-Su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과 교직전문성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 대학의 21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 교직전문성 인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통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 교직전문성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은교직전문성 인식과 의미있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습실행, 외적 행복, 학습평가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제고를 위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행복 증진을 위한 효율적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influences of the thre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 city.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rcep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s ‘above averag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pe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happiness, ‘learning practice’, ‘external happiness’, and ‘learning evalua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배문조(Moon-Jo Bae),박세정(Se-Je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child care teacher aptitude,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sociability for the infants, but i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other field and implies that compared with gender of child care teacher, desire and qualification are more important for child care teaching. In addition,, in child care teacher aptitude, it is identified that as variable, commitment for duty expressively explicates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the following things are shown as the variables to meaningfully explain the child care efficacy : creativity, self-improvement, sociability for infants, receptiveness, sensitiveness and safety management capacity significantly. Finally, it is turned out that creativity and self-improvement as main variable, expressively explain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t is suggested the necessity to instruct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o possess creativity and be able to develop themselves, and impro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