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사에 관한 배움학적 단상(斷想)

        최항석(Hangseok Choi) 한국배움학회 2011 배움학 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배움학에 근거한 새로운 교사상의 속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교사의 목표는 학습자의 지배가 아니다. 학습자들이 사물에 대한 가치감각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며 성숙시키고 창조적 개조가 이루어지도록 이끌어 주는 사람이다. 교사는 사람의 본성과 능력을 다루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학생들과 더불어 배우는 일에 자기 삶을 거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교사가 우리 교육의 문젯거리로 간주되고 있다. 그 이면에는 학교학이라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우리 교육계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을 위하여 현재의 학교학적 교육의 패러다임이 아닌 새로운 대안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바로 그 새로운 패러다임이 "자유인으로서의 교사", "나그네로서의 교사", 그리고 "호모 에루디티오(Homo Eruditio)로서의 교사"상이다. 배움학에서의 교사는 진리를 가르치기 이전에 학생들과 더불어 함께 배우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가르치기 이전에 생각하는 교사이어야 한다. 즉 교실에서 매일 고민하고, 행복해하며, 결단하는 나그네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상이 제대로 서게 될 때에 어이없는 교사폭행이나 교직 불만족 등의 사건들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 앞에서 당당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 teachers the recommendation conclusively based on the science of erudi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ound that most problems, for example teacher attacks from the students, parents of the students, and supervisors, dissatisfac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s as teachers by themselves, and the process problem of teacher education system, were basically caused by the pedagogical paradigm. To solve these problems, it has to be suggested the new paradigm for teachers. As the new paradigm, the author proposed teachers as "Anarchist", "Homo Eruditio", and "Stranger". Teachers as Anarchist, Homo Eruditio, and stranger can be "interexperience of learning" with their students, because they can learn from each others. It means both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the learner. Therefore, when teachers can be anarchist, stranger, and Homo Eruditio, they retrieve their former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y can upgrade their lives for the self-actualization personally.

      • KCI등재

        이방인으로서 예비교사의 참관실습 경험: 이론과 실제의 통합적 관점에서

        이선,정상원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8 No.1

        교육학 영역에는 이론과 실제의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과 실제의 관계는 교육학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참관실습 경험을 이방인의 관점에서 탐구하여 그들의 경험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질적 접근을 통해 예비교사의 참관실습 경험의 영역과 이방인으로 예비교사가 경험하는 참관실습의 경험적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참관실습의 경험의 영역은 크게 공식적 영역과 비공식적 영역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참관실습의 경험적 주제들은 ‘이론의 세계에서 출발 준비’, ‘실제에서의 경험’, ‘돌아온 이론의 세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교육학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추구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areas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observation practicum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s a stra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ir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derive the domains and experiential them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 practicum experience as strang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rea of ​​observation practice experience largely existed in formal and informal domains, and the experiential themes of observation practicum was constructed with 'preparation to depart from the world of theory', 'experience in practical world', and 'return to the world of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 KCI등재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과학교육 - 교직이수를 위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장원형,유인성,민소원,정명현,홍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and entere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complete the course of teaching were reviewed in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s to talk about sci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nger’ of science education, and to see how each life style has changed through science education. To this end, narratives were compiled and analyz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ers studying science education, the difficulties they felt in it, and the emotions and regrets they received in the academic world of science education. They also looked at how their lives changed, focusing on what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left behind. The study found that: First, unlike the academic community's negative assessment of the motivation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choice of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cess, researchers expressed a will toward being teach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view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secto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Second, we found two factors as academic identity of science education: ‘the central role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nd engagement of learning’ and ‘people-centered learning’. They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olidifying the academic status of science education. Third,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Although problems related to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for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preceding study, this study found that additional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teaching courses, or in recognition of grade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s, researchers found that a varie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look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reliving. 본 연구에서는 화학을 전공하고 교직과정 이수를 위하여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 4명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비사범계 대학원생이자 과학교육의‘이방인’의 시선에서 과학교육을 이야기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삶의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과학교육을 공부하게 된 과정과 인식의 변화, 그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과학교육의 학문세계 속에서 받은 감명과 유감 등 각자가 살아온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정리하고, 이야기들을 탐구하여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남긴 것을 중심으로 각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어 나가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그간 학계에서 비사범계 학생들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직과정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과 달리 연구자들은 교직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범계 구성원의 시각에서 이방인을 바라보는 것과 비사범계 학생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것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과학교육의 학문 정체성으로써 ‘학문의 융합과 통섭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과 ‘사람 중심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발견하였다. 이들은 과학교육의 학문적 지위를 견고히 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직이수 과정에 있어서 내용상․행정상에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간 교직이수와 관련된 문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비사범계 대학원생의 교직이수의 경우 교직이수 신청 과정, 혹은 학점 인정 등에 있어서 특히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 스스로 다시 살아가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미친 영향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이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도달할 때까지-나는 왜 시를 쓰는가-

        한명희 ( Han My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문학치료연구 Vol.8 No.-

        내가 시를 쓰는 것은 `내가 통역되는 세상`에 가려는 노력이다. 애를 써서 원하던 곳에 도착했지만 막상 그곳에 와 보니 이것이 아니었다는 느낌이 오랫동안 나를 사로잡고 있다. 내가 도착한 곳에서 나는 `이방인`이다. 더욱 불행한 것은 그 이방인들 나를 통역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어릴 때부터 시인이 되는 것이 꿈이었다. 조금만 과장하자면 크면 저절로 시인이 될 줄 알았다. 내가 시인이 되고 싶어한 표면적인 이유는 내가 책읽기를 유난히 좋아했고 `국어` 과목을 잘 했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는 그 어떤 칭찬보다도 글을 잘 쓴다는 것이 나를 고무시켰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라면 내가 시인이 된 이유를 아버지, 그리고 초등학교 3학년 때의 담임선생님과 관련시킬 것이다. 나의 글솜씨는 그 선생님의 자랑거리를 넘어 자존심이었다. 아버지와 내 시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은 확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분명하게 설명해내지는 못한다. 시를 쓰면서 `치료`해야 할 문제가 있다면 바로 이 부분일 것이다. 시는 시인의 의식, 무의식을 통해 나오고 그것을 읽는 독자들의 의식, 무의식을 자극한다.내 시가 어떻게 독자의 무의식을 자극했는지에 대한 생생한 사례를 나는 여러 건 가지고 있다. 나는 시를 쓴다는 것이 나 자신을 알아가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나를 안다는 것은 언제나 어려운 일이다. 많은 얘기를 했지만 이것은 지금 이 순간의 나의 시에 대한 사유일 뿐, 조금 후에라도 이러한 생각들은 바뀔 수 있다. 여기서 이야기를 줄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The reason why I write a poem is an effort to reach the world in which I am translated. I was captured with a feeling for a long time that the world is not the place I have thought, however, even though I reached there with much considerable efforts. I am a stranger there I reached. What made me more unhappy is that there is no person who can translate me. I dreamed to be a poet since childhood. Exaggerately speaking a little, I thought I would become a poet by myself as I grew up. A superficial reason I wanted to be a poet was I liked to read a book, especially I was good at Korean language subject. More fundamental reason was that I was inspired by my skillful writing more than any other praises. If Freud analyzed me he would link a reason of being a poet to my father or my 3`rd grade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My writing skill was something more than my teacher`s self-respect exceeding his source of pride. It is sure that my poem is something to do with my father, however it is impossible for me to ensure to explain it. It is the part to be cured if there is something necessary for treatment during writing a poem. A poem comes through poet`s consciousness and with unconsciousness which leads to stimulate reader`s ones. I have got several fresh examples on how my poem stimulated my reader`s unconsciousness. I believe that writing a poem is to know myself, however it is always difficult thing. These are excuses for my poem now which can be changed later at any time. And this is why I have no choice but to conclude here.

      • KCI등재후보

        성숙한 교사를 위한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최항석,김영희 한국성인교육학회 200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6 No.4

        본 연구에서는 성숙한 교사를 위한 새로운 교사상의 속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교사의 목표 는 학습자의 지배가 아니다. 학습자들이 사물에 대한 가치감각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것 이며 성숙시키고 창조적 개조가 이루어지도록 이끌어 주는 사람이다. 교사는 사람의 본성과 능력을 다루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학생들과 더불어 배우는 일에 자기 삶을 거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교사들이 폭행당하고 자신들의 직업에 불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사회에서 그들을 바라보는 눈초리 역시 곱지 못하다. 교사들은 이 모든 것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 러기 위해선 현재의 페다고지적 교육의 패러다임이 아닌 새로운 대안적 패러다임이 필요하 다. 바로 그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그네로서의 교사”, 그리고 “호모 에루디티오(Homo Eruditio) 로서의 교사”상이다. 이러한 교사는 페레의 “아나키즘”적인 자유로운 교사관에서부터 그 뿌 리를 갖추어야 한다. 나그네로서 또는 호모 에루디티오로서의 교사는 진리를 가르치기 이전 에 학생들과 더불어 함께 배우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가르치기 이전에 생각하는 교사이어 야 한다. 즉, 성숙한 교사는 교실에서 매일 고민하고, 행복해하며, 결단하는 나그네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상이 제대로 서게 될 때에 어이없는 교사폭행이나 교직 불만족 등의 사건들 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 앞에서 당당히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