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알림장의 구성요소, 내용, 오류 분석 및 기능의 고찰

        강정원,김승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is study aims to gain insight into teacher-education regarding writing daily reports and to understand teacher–parent communication by analyzing components, contents, and errors of daily reports in day care centers. For this study, 607 daily reports written by 229 teachers and parents were selected. These report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statistics based on model of antecedent research (M. J. Kim & G. S. Kim, 2012). Semi-structu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rincipals, 5 teachers and 6 parents. Research findings were based on conference by 6 exper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daily reports were composed 2 major parts : quantitative recoding part(formal info about children’s health and nourishment) and qualitative narration part(children’s life experiences, messages to parents). Narration writings were mainly about children’s health and feelings, safety accidents, nourishment, adaptation to day care center, play and activities, socialization (episodes with peers and teachers), interests and requests for help of parents. Secondly, the errors from the teacher writing daily reports were found. They included grammatical errors, miscommunication, mishandling of official documents as private documents, and mistakes on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Thirdly, the proper functions and adverse functions of circular notice were analyzed. The proper functions were found as the development of teacher-parent trust, the utilization of documents as a resource for other tasks, and the taking a role of parent-education and day care support. Otherwise, the negative functions were found as the mistake of writings by teachers which would be exposed to parents, unreasonable requests of parents which would be sent to teachers directly, and the limit of communication only with written language. 본 연구는 어린이집 알림장의 구성요소, 내용, 기록의 오류들과 기능을 분석하여 알림장으로이루어지는 교사와 부모 간의 소통을 이해하고, 알림장 작성에 대한 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보육교사 229인이 작성한 알림장 607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알림장 관련 선행연구(김민정, 김갑순, 2012)의 범주에 따른 빈도 분석, 원장 6인, 보육교사5인, 부모 6인과 반구조화된 면담 진행 후 연구 결과의 타당성에 대해 6인의 영유아교육전문가에게 심의를 받았다. 연구결과, 첫째, 알림장의 구성요소는 정량적인 기록(형식적 정보, 영유아의 건강 및 영양)과 정성적인 기록(영유아의 생활경험, 전달사항)으로 구분되었다. 정성적 기록의 주된 내용은 영유아의 건강과 기분, 안전사고, 영유아의 영양, 어린이집 적응, 놀이와 활동, 사회성(또래와 교사 간의 일일에피소드에 대한 내용), 부모의 관심사, 도움 요청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알림장 작성 시 나타나는 오류는 잘못된 문법, 오해의 소통, 공문서의 사문서화, 권리보호의 실수가 발견되었다. 셋째, 알림장은 순기능과 역기능의 분석 결과, 교사-부모 간 신뢰 형성, 다른 업무의 자원으로의 활용, 부모교육과 육아지원의 장으로서의 순기능이 있었다. 반면, 부모에게 바로 노출되는 교사의 알림장 작성의 실수, 알림장을 통하여 교사에게 직접 전달되는 부모의 무리한 요구, 문자만으로 소통되는 한계 등의 역기능이 있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 및 신고의무자 실천의지에 관한 연구

        조은정 ( Eunjung Cho ),박은영 ( Eunyo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신고의무자 실천의지에 따라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 지역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로 전체 2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은 아동학대 수행 정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실천의지가 있는 보육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아동학대 인식을 더 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실천의지가 있는 보육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아동학대 수행 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의 무자 교육을 강화하여 교사의 실천의지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ld abuse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egree of child abuse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e study was analysis on a questionnaire of 276 child care teachers in the G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was higher than performances of child abuse. Second, childcare teachers with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on child abuse are more aware of child abuse perception than childcare teachers without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ird, childcare teachers with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on child abuse perceived a higher degree of child abuse performances than childcare teachers without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 will of teachers to practice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f child abuse reporters for child care teachers to prevent child abuse.

      • KCI등재

        아동학대 신고에 관련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최경일(Choi Kyung Il),임종호(Im Jong 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학교 7개교에 재직 중인 110명과 특수학교 4개교에 재직 중인 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186명에게서 수집한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은 SPSS 13.0 version을 활용해서 빈도분석, 분산분석과 x2, independent sample t-test 및 ANOVA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동학대 사례경험에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차이가 없었으나 신고경험은 일반교사가 특수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별로 없었으나 교육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육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에 관한 지식과 자신감은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가 교육경험이 없는 일반교사보다 높았으며, 사례경험이 없는 특수교사는 사례경험이 없는 일반교사보다 지식수준이 높았으며, 사례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는 사례경험이 있는 일반교사보다 자신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관련 교육에 참여할 의향은 교육경험의 유무와 사례경험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아동학대를 신고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천적 제언을 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child abuse report of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10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83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then analysis answers from 186 teachers. The answers were analysed by frequency, descriptive. x2,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through SPSS 13.0.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experiences to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But reporting experiences were more high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experiences to child abuse education betwee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and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to child abuse are satisfied with educatio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child abuse education have more knowledge and confidence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didn't participated in child abuse education.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child abuse case have more knowledge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former have more confidence than the latter. Finally, every teachers hav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to child abuse in spite of experiences about education and child abuse cas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strategies needed to help report the child abuse for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교원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박미경,김현주,강명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2

        본 연구는 초․중․고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창원지역 초․중․고교 교사 7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아동학대의 심각성 및 아동학대예방에 대한 교사의 책임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동학대 지식점수는 12점 만점에 7.71점으로 나타났고 아동학대 신고의 신고효과성 인식 및 행위통제력에 있어서도 중간수준 이상의 인식수준을 보였다.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여부, 아동학대 인식, 아동학대관련 교육 참여여부, 행위통제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로는 학교내 복지관련 종사자들을 활용하여 교사들의 아동학대 신고관련 행위통제력을 증진시키고 아동학대 인식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학대예방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재정비하고 의무교육 불이행에 대한 처벌규정을 마련하며 교사를 포함하는 아동보호 예방체계의 구축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reporting of child abuse by analyzing 796 reported cases of child abuse in Changwon area particular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not only aware of the severity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prevention, but they also understood their responsibility as teachers. The average score of child abuse awareness was 7.71 points out of 12, and the knowledge of the effectiveness of reporting child abuse and behavior control were in the above average level.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as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teachers’ reporting of child abuse: marital status, knowledge of child abuse cases,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and behavior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practical social implications, such as encouraging social workers at school to report abusive behavior of school teachers and to exercise behavior control.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chool teachers to be aware of specific cases of child abus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restructu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and to establish penalties for non-compliance to compulsory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discuss building a better child protection system inclusive of teachers.

      • KCI등재

        어머니와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재현,장유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and infant teachers’ sensitivity on language development. Thus, a survey was conducted on 264 mothers of infants aged 1 and 2, and 57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sensitivity of mothers and infant teachers was positive above the median. Both mothers and infant teachers perceived that appropriateness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of sensitivity. The mothers responded with consistency as the lowest, while infant teachers with flexibility as the lowest. Second, mothers’ interpretation and flexibility, and infant teachers’ interpretation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infants. Alternatively, promptness of mothers and infant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study the sensitivity of caregivers in detail.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negative impact of promptness, and the importance of caregivers’ interpretation and mothers’ flexibility. 본 연구는 어머니와 영아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264명과 담임교사 57명, 총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모두 중간값 이상으로 긍정적이었다. 어머니와 영아교사 모두 민감성 하위요인중 적절성이 가장 높고, 어머니는 일관성이 영아교사는 융통성이 가장 낮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어머니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정확성, 융통성과 영아교사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정확성은영아의 수용, 표현언어발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와 영아교사의 민감성 중 즉시성은 영아의 수용, 표현언어발달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자의 민감성을 좀 더 면밀하고 자세히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와 함께, 양육자 즉시성의 부정적 영향 및 정확성의 중요성, 어머니 융통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지순(Ji-Sun M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I시 유아교육과 재학생 2학년과 3학년 학생으로 총 168명이다. 연구 검사도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윤리 전체와 관계가 있었다.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는 교직윤리 전체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공감적 관심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인지적 공감은 영유아에 대한 윤리와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공감은 사회에 대한 윤리와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미치는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은 관점취하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그 다음으로 상상하기가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공감적 관심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인지적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관점취하기와 상상하기와 관련된 공감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및 아동학대 신고의 증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고 교직윤리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 service teacher’s empathic ability on teaching ethics, and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The subjects were 168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mic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pre service teacher, were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empathic ability, teaching ethics and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regression analysis. From the major study findings, first, pre-service teacher’s empathic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ing ethics and child abuse report intention. Pre-service teacher’s “take perspective”, “imagine” of the cognitive empathic ability’s subfact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ing ethics. Especially, empathic interes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ing ethics. Cognitive empathy ability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ethics for early child. Emotional empathy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ethics in society.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 ’s teaching ethics were influenced by taking perspective, imagining, and empathic atten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incorporate perspective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thics and child abuse report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결정 경로 분석 -계획행동이론 중심-

        김지운,김용덕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2

        This study constructs independent potential variables that are variables expected to affect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establishe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otenti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planning behavior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and how reporting intention is deter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a convenience sample of nursery teachers working in 67 daycare centers in the C reg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suitable model to explain the child abuse teacher'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Second, the child abuse teacher's knowledge of child abuse is an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reporting intention and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Third, attitudes toward reporting of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most direct factor that predicts reporting intentions. Fourth, subjective norms and reporting intention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sead on these results, basic data for improving child abuse reporting rate of childcare teacher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독립잠재변인을 구성하고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잠재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신고의도가 어떠한 경로로 결정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지역의 67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235명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은 측정모형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델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지식은 신고의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신고의도에 직접적인 연향을 미치고, 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신고에 관한 태도는 신고의도를 가장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주관적 규범과 신고 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신고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율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Roles of Childcare Teachers toward Child Abuse Prevention

        이은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ildcare teachers' self-reported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reporting procedures, and reporting experience in Korea. The total average score of knowledge in child abuse and neglect was relatively high and most childcare teachers consider child abuse and neglect as a highly serious problem. About eighty six percent daycare teachers perceived reporting legislation toward child abuse and neglect, and most teachers in the study population perceived themselves as mandatory reporters. As the Child Welfare Act included a clause on mandated reporters, childcare teachers' role in intervening in child abuse cases has become more critical. In order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report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for childcare teachers to effectively involve them in reporting child abuse and neglect.

      • KCI등재

        한국 단일문화 및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보고와 언어능력의 관계

        양윤희(Yoonhee Y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및 또래 일반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보고가 일치하는지, 다문화 및 단일문화 아동 집단에서 부모와 교사의 보고 중 어떤 정서행동 특성이 언어능력을 잘 설명하는지, 궁극적으로는 다문화 일반 아동 집단의 잔존하는 언어능력을 설명해주는 보호요인으로 정서행동 특성 중 강점(사회지향행동)이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아동은 만 4-6세의 한국 단일문화 아동 18명과 다문화 아동 32명, 총 50명의 아동과 그들의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서행동 특성은 한국어판 강점 난점 설문지를 사용하여 강점인 사회지향행동, 난점인 과잉행동, 정서증상, 행동문제, 또래문제를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경우 교사보다 부모가 아동의 난점을 더 높게 인식한 것을 제외하고, 각 집단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교사의 보고는 일치하였다. 한국 단일문화 아동 집단은 교사의 또래문제 보고가 표현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해준 반면, 다문화 아동 집단은 부모의 과잉행동 보고가 수용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하여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부모의 사회지향행동 보고가 수용언어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 아동 집단은 부모의 보고가 수용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여 다문화 아동 집단에게서 부모보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다문화 아동 중 정상적 언어발달을 경험하는 집단의 경우 부모가 보고한 아동의 사회지향행동의 발현이 언어능력에 유의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and teachers’ reports on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cultural and culturally diverse children are consistent. We tried to identify whether the strength (prosocial behavior) of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explains their language ability as a prot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anguage ability of culturally diverse-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TD). Methods: Participants were 18 Korean mono-cultural children (TD 11, LD 7) and 32 culturally diverse children (TD 16, LD 16) aged 4 to 6 years old,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which included the strength of pro-social behavior, and difficulties of 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s, behavioral problems, and peer problems. Results: Parent-teacher reports on the emotional behavior of each group of children were consistent, with the exception that parents perceived their children’s difficulties higher than teachers in culturally diverse-language delay (D-LD) children. In the Korean mono-cultural children group, the teachers’ peer problem report explained the expressive language significantly; whereas in the culturally diverse children group, the parent’s hyperactivity re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receptive language. In D-TD group, parent’s report of prosocial behavior explained receptive language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parent reports was more significant in culturally diverse children as the parent’s re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receptive langu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TD group who had normal language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ported by parents c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language abil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및 신고 이행에 대한 인식

        홍길회(Hong, Kilhoe),우진경(Woo, Ji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와 신고 이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신고 행동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D 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6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와 면담를 활용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개방형 코딩을 통해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아동학대 신고에 대해 반드시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신고로서 자신들의 올바른 선택을 통해 아동의 삶이 바뀔 수 있다고 인식한 반면 신고의 어려움과 우려 속에 주저하게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관심을 보였으며 미래의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수용 그리고 실천 의지를 보였다. 셋째, 아동학대 신고 행동 증진을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익명성 보장 및 신고자 보호, 신고 후 철저한 후속 조치 및 관리, 아동학대 신고 관련 홍보와 교육의 개선, 사회적 인식 개선과 실천 의지 함양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신고 행동 증진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 신고율 제고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reporting and implementation of reporting child abuse, and then to seek ways to improve reporting behavi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open questionnaires from 6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D Univers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Result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child abuse reports should be made promptly and that children s lives could be changed by making the right decisions, but they could be hesitant in the difficulties and concerns of reporting. Seco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ested in reporting child abuse, and they understood and accepted their role as mandated reporters of child abuse. Thir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their opinions to promote child abuse reporting behavior which include ensuring the anonymity of the reporter, improving publicity and education related to child abuse reporting, and improving social awarenes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 abuse reporting, and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improving reporting behavior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rough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raising the child abuse report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