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AAD 배치와 한중관계 발전 방향

        송세관(Song, Se-gwa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2

        본 논문은 주한미군의 THAAD 배치로 마찰을 빚고 있는 한중관계를 종합분석하고 전망하여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도움이 되고 동아시아 평화를 지속하기 위한 바람직한 한중관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중관계의 현주소, 북한의 핵 위협, 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반발과 경제보복 실태로 범주화한 후 중국의 인식과 정책 노선을 분석하여 우리의 전략적 고민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THAAD 배치 이후 중국 외교부의 발표 및 논평 내용과 경제보복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북한 핵 위협과 THAAD 배치를 둘러싼 미중간의 갈등 요인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주한미군의 THAAD 배치 논란의 중심에는 북한 핵 고도화와 동아시아에서 미중간의 패권 경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은 향후에도 THAAD 배치 반대, 자국민의 한국여행 제한, 그리고 경제보복을 일정 기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전략사고와 실용적인 대중국 외교정책 대안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desirable Korea-China relations that is helpful to the realiz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an sustain the peace in East Asia by integrating, analyzing and prospecting Korean-Chinese relations that are controversial due to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USFK. For this, we suggested our strategic concerns and countermeasures after categoriz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China relations,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China’s resistance to the deployment of THAAD and economic retaliation, and analyzed China’s perceptions and policy lines. The study mainly analyzed the presentations and commentar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hina after the deployment of THAAD and the reality of economic retaliation, and evaluated the conflict factor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over the nuclear threat and the deployment of THAA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center of the THAAD deployment controversy of the USFK lie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advanced and the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USA and China in East Asia. China is expected to continue its opposition to the deployment of THAAD, restrictions on its travel to Korea, and economic retal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face this, our strategic thinking and rational foreign policy alternatives planning toward China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한반도 내 THAAD 배치와 미국의 전략

        모준영 ( Mo Juneyoung )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7

        고도미사일방어(THAAD)는 미국의 미사일방어 체계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적의 탄도미사일을 종말 단계에서 요격하는 방어 수단 일체를 가리킨다. 최근 정부는 한반도 내 THAAD 배치를 발표했고,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적절한 수단으로 강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THAAD와 같은 미국의 미사일방어 체계가 한국에 도입될 때에는 주한미군과 한국을 위협하는 명백한 공격 요인이 새로이 발생했거나 기존의 방어체계로는 미비한 위협 증가로 인해 보완해야 할 필요가 생겼음을 의미할 것이다. 더욱이 그동안 북한의 미사일 기술 증강으로 인한 위협이 증가되어 감에도 미국의 MD에는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미사일방어 체계(KMAD)를 구축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기 때문에, 한반도 내 THAAD 배치에 대해서는 보다 명확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안보전략에 관한 주요 안보기관의 문건들을 통해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내용을 살펴보고, 그 내용에 견주어 미국의 한반도 내 THAAD 배치의 전략과 목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논문은 2장에서 미 국방부가 2012년과 2014년에 각각 발표한 <국방전략지침>(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과 <4년 주기국방 검토보고서>(Quadrennial Defense Review 2014), 그리고 백악관이 2015년에 발간한 <국가안보전략 보고서>(National Security Strategy)의 내용을 살펴보고, 미국의 국제적 안보 관심사가 아태지역으로 전환되었고, 아태지역에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북한의 미사일 위협 증가와 중국의 군사력 증강, 그리고 미국의 주도적 지위 약화임을 파악했다. 그리고 3, 4, 5장에서는 한반도 내 THAAD 배치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즉 미국은 한반도 내 THAAD를 배치함으로써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억지하고, 중국의 군사력 증강을 견제하며, 역내 동맹국 및 우호국들에 대한 안보 보장 공약을 재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6장에서는 미국의 한반도 내 THAAD 배치가 미국의 역내 영향력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추진된 것임을 밝힌다. THAAD is designed to shoot down ballistic missiles at higher altitudes(at altitudes of 40 to 150㎞) in their terminal stages using a hit-to-kill methods.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decision on June 7 to place the THAAD system in the South to counter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nited States explained that the threat of North Korean aggression led the deployment of THAAD. However,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ersistently said that it has no intention to join the US MD system and wants to build up its own "Korea Air and Missile Defense"(KAMD) system to deal with evolving North Korean missile and nuclear threats. Thus, good, definite cause needs to convince the deployment of THAAD. This article tries to grasp the US strategy and purpose to deploy THAAD system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policy.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mon contents of < 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 >, < Quadrennial Defense Review 2014 >, and <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15), drew the common contents that US converted the attention to Asia-Pacific area, perceived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s missile and China`s military and the weakening of US leadership position as the most fatal threat in Asia-Pacific area. And this article presents the deployment of THAAD is extension of the same content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hows that US expects that the deployment of THAAD weakens North Korea`s missile threat, restrains the growth of China`s military and reassures the security commitment to the Alliance.

      • KCI등재

        사드배치에 대한 국회 동의권의 적절성 연구

        전찬희(Chun, Chan-hi),김정수(Kim, Jung-su)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1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점증하고 있는 데 비해 우리의 대응수단은 종말단계 하층방어용인 PAC-3(사거리:15~45㎞+, 고도: 10~15㎞) 미사일만 보유하고 있어 그 이전단계인 종말단계의 상층지역에서 적 미사일 요격이 가능한 THAAD(사거리: 200㎞+, 고도:40-150㎞) 배치는 군사적 효용성 면에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반도 환경에서의 명중률과 유지비용, 배치지역 선정, 중국의 반대 등의 영향으로 배치 반대여론이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찬반갈등으로 2016년의 대한민국은 상당한 진통을 겪었고 극적인 한미합의로 사드 배치 부지까지 결정된 이 순간에도 이 문제는 진행형이다. 또한 국회에서는 한미간의 사드배치에 관한 협약이 우리나라 국회의 비준을 거쳐야하는 사안인지 아닌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었다. 즉 ‘한미 간에 맺은 사드배치에 관한 협약은 국가 간에 맺은 조약에 해당함으로 국회의 동의를 요하여야 한다’는 것이 국회의 입장인 반면 정부 내 주무부서인 국방부는 ‘사드배치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한 전력의 전개・배치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는 조약이 아니므로 국회의 동의나 비준을 거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드배치에 대하여 ‘국회의 동의를 받는 것이 적절한 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보다는 ‘무엇이 국민들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길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우선이며 이런 관점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드배치에 관하여 구체적이고 명백한 군사적 효용성을 제시하여 국민들의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Korea and U.S. had decided to deploy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AAD”) system of the U.S. in the ROK territory on 8th of Jul in 2016. It is necessary to deploy it in order to shoot down the enemy’s missiles even in the terminal phase on high Altitude Area in light of military effectiveness. But opposite opinion was raised with hitting ratio on the target, maintenance expense, deployment area, objection of China. So, in the furious summer heat of 2016, Korea was burnt with the issue about deploying it. And along with the debate on deployment of THAAD, another issue has arisen about whether or not the agreement on deployment of THAAD concluded between Korea and the U.S. Regarding the issue of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U.S. on THAAD deployment, there were both pros and cons, i.e., there were assertions on the one hand that THAAD would be of help to the security of the ROK, and on the other hand, it would not help at all. And as to the agreement on THAAD deployment, too, a sharp confrontation has occurred between the stance of the National Assembly asserting that the relevant agreement should be construed as a treaty, and thus, requires consent from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stance of the Government asserting that such consent needs not be obtained because it is merely an agree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and the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which were already concluded as treaties.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THAAD is important means for Korea’s security, it is not easy to dispel worries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AAD would affect people nearby. It’s mandatory for government to explain the necessity about deployment of THAAD and not causing damage to people. But It is obvious that the establishment , deployment and withdrawal of US troop in ROK are carried out based on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ROK & US. So the deployment of THAAD seem to be the same case. So, the assertion of government is persuasive. Also the right to live of people and nation should be guaranteed in the first place. The debate about National Assembly’s consent to the deployment of THAAD seem to be attritional waste. In conclusion, It’s necessary to suggest the clear criteria by law on which does not need National Assembly’s consent to the deployment of THAAD.

      • KCI등재

        사드(THAAD) 배치 이후 한중관계

        이민자 신아시아연구소 2017 신아세아 Vol.24 No.4

        The China-South Korea relationship was damaged when the ROK government announced on July 8, 2016 that it would deploy the US-le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ntimissile system. This decision shifted the primary issue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to THAAD, the subject of many disputes. This paper examines four elements of the THAAD decision. First, what are South Korean and Chinese perspective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and Korean reunification, and how do they differ? How can China play a role? Second, what are key points in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over THAAD? What led China to oppose THAAD and to normalize relations with South Korea? Third, what options does South Korea have regarding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Northeast Asia? Fourth, what lessons does the South Korea-China THAAD conflict have for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한중관계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문제 이전까지는 안정적이었으나 2016년 7월 8일 한국정부가 사드배치를 공식 발표한 후 급속히 악화되었다. 사드배치 결정 후 한중관계 현안이 북한 핵 제재에서 사드배치 문제로 이동했다. 사드배치를 둘러싸고 한·중 양국은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이 논문은 다음 네 가지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사드가 한중관계에 미친 영향과 과제를 설명한다. 첫째, 북핵문제와 통일정책에서 한국과 중국의 입장은 어떻게 다르고 중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사드배치로 인한 한중갈등의 핵심내용은 무엇인가? 중국이 사드 철수를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관계 개선에 합의한 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동북아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이 패권경쟁을 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가? 넷째,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유지를 위해 사드로 인한 한·중 갈등이 남긴 과제는 무엇인가? 한·중 양국이 공동이익을 추구하며 평화롭게 공존하기 위해 위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며 지혜롭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 KCI등재

        중국 신문보도에 나타난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주민욱 중국학연구회 2016 중국학연구 Vol.- No.78

        This article interests in a dispute of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focuses on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Chinese attitude of THAAD dispute. This article tried to predict potential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from the analysis on Chinese cognition of THAAD disput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ses Chinese newspaper articles about THAA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nese papers make frequent use of words related to the deployment of the THAAD such as 'THAAD', 'deployment', 'system' and 'guided missile'. It also confirmed that some countries which are intimately related with the THAAD such as South Korea, USA, China and North Korea were appeared on Chinese papers. 중국 신문보도에 나타난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207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rticle found out that all Chinese papers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They have attemp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acts that there is big argument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Seongju-gun local Residents and the public.

      • KCI등재후보

        사드와 한국의 국익

        정욱식 ( Jeong Wook Sik ),이용승 ( Lee Yong Seung )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7

        사드 배치가 결정된 이후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안보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것이 단기적인 흐름에 불과한지 아니면 동아시아 안보환경을 이전과는 다른 근본적인 변화로 이끌지 현재로서는 예단하기는 어렵다. 이 글은 사드 배치 찬반을 떠나 그것이 한국의 국익에 유익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사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간 미 국방부가 진행된 사드 시험에 대한 내력을 다루었다. 이어 사드 배치 정당화 논리를 효용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효용성 주장은 위기 조장과 함께 무기체계 도입을 설득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기 때문에 사드 배치를 찬성하는 논리에서 핵심을 차지한다. 4장에서는 사드 배치 비판론을 실효성을 비롯하여 국제관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사드 배치는 한국의 국익과 다른 국가의 국익을 비교하여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국익의 관점에서 몇 가지 대안, 즉 억제, 관계 개선, 협상을 제시하였다. 사드는 단순히 포대 하나를 더 들여오는 문제가 아니라 그것의 파장과 함의가 엄중하기 때문에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필자들의 제안이다. Since the determination of THAAD deployment in Korea, the security 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is changing rapidly. It is difficult to predict at this time whether the determination would lead fundamental change of the 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deferent from the previous day or only a short-term turmoil. This article aims at viewing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nterest of Korea rather than pros and cons of THAAD. For this purpose, the paper inspects what is THAAD and deals with a test history of it. Then we take a look the justifying logic of deployment of THAAD in terms of efficiency. The efficacy claims corresponding to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 makes up the core logic in favor of THAAD deployment, because it is the most potent means of persuasion to introduce of weapons systems alongside with encouraging a crisis. Chapter 4 examines the criticism of deployment of THAAD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conclusion, we argue that THAAD deployment in Korea should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national interests of Korea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U.S. and China. Several alternatives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ional interests are suggested: deterrence, rapprochement, and negotiations. Because THAAD deployment does not mean mere introduction of one artillery battery, but the implications and waves are severe, that needs more discussion.

      •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 : 쟁점과 분석

        황진환,이화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신안보연구 Vol.- No.1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ntroversial issue and its reliability for the deployment of THAAD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res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purpose, We estimate the capability of Nuclear and missile in North Korea at first. Second, We analyze th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and its elements. Finally, We examine the issues concerning the deployment of THAAD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including strategic, technical and economic dimension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rest of South Korea. At first, the deployment of THAAD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s able to be operated as part of the extended deterrence of the US military strategic and complementing the strategic weakness until KAMD’s completion. Second, THAAD has the technical reliability in upper defense in missile defense system coming from far, but there is also no assurance that a complete technical reliability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at overlaps with L-SAM being promoted by KAMD and, it may negatively affect the development for L-SAM. Finally, in economic area, there is a possibility of increased defense burden sharing, and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economic friction with countr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o, in sum, When THAAD deploy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s simply derived as a result of only the 'politics of the THAAD', it may bring the risk. That’s why deployment of THAAD in Korean peninsula seems to require a strict approach in national interest dimension. 본 연구는 한반도 사드 배치 논란의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이익 차원에서 사드 배치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점증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을 평가하고 사드체계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살펴본 다음, 한·미의 대북 ‘맞춤형 억제전략’과 이와 연계하여 사드의 예상되는 기능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가이익 차원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된 다양한 차원에서의 쟁점들을 분석하고 사드 도입에 대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군사전략적, 기술적,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군사전략적 차원에서는 사드 배치가 미국의 확장억제의 한 축으로 작동하며,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가 완성되기 전까지의 전력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중국, 러시아 등 주변 국가들의 심각한 반발을 감수해야 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사드는 현재까지 개발된 상층방어용 요격용 무기체계로써 기술적 신뢰성을 지니지만, 한반도 지형에서의 실전적 타당성은 추가적인 검증을 요구하는 부분이다. 아울러 한국이 진행 중인 KAMD의 상층 요격체계로서의 L-SAM 개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주한미군 도입시 방위분담금 증액의 가능성과 한국군의 직접 도입시 막대한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통한 경제적 손실도 예상된다. 결국 사드 배치의 문제를 단선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국가이익 차원에서 복합적이고 신중한 고려가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 전과 후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연구 - 한국 관광업계 및 유통 채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박성준(Park, SungJun (Steven)),이희정(Lee, HeeJung)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1

        한반도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조치로 중국 정부는 한국산 드라마 및 영화 등 한류 콘텐츠를 금지하는 한한령을 2016년 7월 선포하였고, 이후 한국행 관광 상품을 금지하는 금한령을 2017년 3월 시행하였다. 사드 갈등 이후 한국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이 변화하였지만, 이를 계량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의 변화된 한국에 대한 인식 및 관광 스타일을 파악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사드 갈등 이전인 2015년에 취합된 2 천명의 설문 자료와 사드 갈등 이후인 2016년에 취합된 2천 명의 횡단 (cross-sectional)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4천 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드 갈등 이후 한국에 대한 이성적 이미지와 감성적 이미지가 사드 갈등 이전보다 모두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또한, 변량분석을 통해 사드 갈등 이후 방문지로서 한국에 대한 선호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사드 이후 한국에 대한 변화된 이성적 이미지와 감성적 이미지가 한국 방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드 이후 중국 소비자의 관광 스타일도 변화하였다. 특히, 여행 정보를 검색하는 마케팅 채널에서 차이를 보였다. 전통적인 마케팅 채널인 TV, 잡지/신문, 서적보다 여행사 및 지인을 통한 구전을 중요한 경로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사드 갈등 이후 변화된 중국 관광객의 한국에 대한 이성적 이미지, 감성적 이미지, 선호도 및 관광 스타일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관광산업 및 유통업계에 실무 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Due to the deployment of a THAAD anti-missile defense system, the Chinese government imposed economic sanctions toward Korean cultural contents, such as Korean TV dramas and movies. As a retaliation against THAAD, China’s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also banned the selling of group-packaged tours to Korea from March 2017. Hence,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Chinese perceptions of Korea would not be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THAAD retaliations. Yet,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how Chinese perceptions have been changed by THAAD. To fill this gap,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impact of THAAD on Chinese tourists’ perceptions toward Korea.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preference, and tour styles of Chinese consumers before and after the THAAD retaliations. For the analysis, we analyzed 4,000 questionnaires completed by Chinese tourists and compared the cross-sectional survey data that were collected in 2015 and 2016.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s show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became negative after the THAAD retaliations. Also,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 that the overall images toward Korea as a tourist destination became negative.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lso support the negative preference toward Korea as a tourist destination.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tourist information sources before and after the THAAD retaliation. Notably, in comparison to classical marketing channels such as TV, magazines/newspapers, and books, the changes in the percentage point were greatest within the word-of-mouth effect. Overall, by investigating the changed perceptions of Chinese tourists toward Korea, our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tourism industries and marketing channels.

      • KCI등재

        통일·안보 정책의 정치화와 사드 배치 논란

        김재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6 통일전략 Vol.16 No.4

        Two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discussing strategic value of THAAD. First, defense/offense cannot be generalized into good/evil or stability/instability. Second, balance of threat as well as balance of power should be counted. The current Korean peninsula has severe imbalance in aggressive intention as well as nuclear capability. North Korea’s hostile attitude against South Korea lets South Korea deploy some facilities of missile defense. Controversies over THAAD‘s deployment, however, are not of logical debate in South Korea. Attitudes toward THAAD’s deployment in South Korea are much politicized. Those who support the government party are likely to approve THAAD’s deployment while those who support the opposition party are likely to disapprove it. Even the attitudes of experts toward THAAD’s deployment are politicized. Their evaluation on technical values of THAAD depends on whether they are conservative or progressive.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THAAD are related to preferences over foreign countries. Those who take a serious view of the partnership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re more likely to consent to THAAD’s deployment than those who regard the relationship with China high. Attitudes toward China are structurally balanced with those toward the US or North Korea. In South Korea, the issue of THAAD deployment is just an extension of South-South conflict over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사드의 전략적 가치를 논할 때에는 방어력과 공격력을 선과 악 또는 안정과 불안정으로 늘 구분할 수는 없다는 점 그리고 군사력 균형만큼이나 도발 의도의 균형을 꾀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반도는 핵무장화뿐 아니라 호전적 의도에서도 극심한 비대칭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이 현상 파괴를 원하고 있다고 인식되면 상대국은 미사일 방어의 필요성을 체감하여 실전 배치를 추진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드의 한국 배치와 관련해 찬성과 반대의 두 진영으로 나눠진 논쟁은 국익에 충실한 전략적이고 논리적인 논의가 아니다. 사드 배치에 대한 태도는 지지 정파별로 다르다. 2016년 당시 정부여당을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또 야당을 지지할수록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반면에, 정부여당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뿐 아니라 전문가의 인식도 정치화되어 있다. 특히, 사드 실효성과 같은 기술적인 판단조차 보수이냐 진보이냐에 따라 갈라져 있는 것이다. 사드 배치에 대한 태도는 주변국에 대한 태도와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할수록 사드 배치에 찬성했고,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할수록 사드 배치에 반대했다. 사드 배치는 중국에까지 영향을 주니 중국에 대한 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지만, 결국 중국에 대한 태도 자체는 미국에 대한 태도에서 기인하는 부분이 크다. 사드 배치 문제는 북한 정권과 미국을 두고 전개되는 남남갈등의 연장일 뿐이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적 불편과 희망적 사고

        이기현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8 국제관계연구 Vol.23 No.2

        Why was China so aggressive on the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deployment in South Korea? This question is still important until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not been completely resolved.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major discourses in China related to THAAD into the security threat, technological uselessness, strategic imbalance. But these discourses do not explain exactly why China was so aggressive on South Korea. This is because the THAAD is useful for Korea’s security interests, is not a direct threat to China’s missile system, and its strategic imbalance also has a logical contradiction. Instead, this study argues that China’s anger was due to the strategic discomfort that some countries in the region including South Korea had jumped on bandwagon toward US and the wishful thinking that China was able to lure South Korea. Since the US’ rebalance to Asia happened, there had been a growing trend for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o get on the bandwagon toward the US to check China’s power and achieve its own interests. China had been strategically uncomfortable with the change of environment, it chose an offensive response to solve this problem, unlike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nge of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mprovement of the Korea-China relationship, Xi Jinping government in China expected that South Korea would be a Swing state. However, South Korea’s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was recognized as a full-fledged bandwagon toward the US, as in the case of regional countries, and South Korea’s betrayal of China. So China was so aggressive on the THAAD issue in the South Korea. 중국은 한국의 사드(THAAD) 배치에 왜 공세적으로 대응했는가? 이 질문은 사드 배치 문제로 인해 한중 간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현재까지 여전히 중요하다.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내 사드 관련 주요 담론을 안보이익 침해론, 기술적 무용론, 전략적 불균형론 등으로 분류 ․ 검토하였다. 그러나 이 담론은 중국의 한국에 대한 공세적 대응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드는 한국의 안보이익에 유용하며, 중국의 미사일 체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고, 전략적 불균형론 역시 논리적 모순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신 본 연구는 중국의 공세적 대응 이유가 사드 자체의 위협 때문이라기보다는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의 대미 편승 확대에 대한 전략적 불편(strategic discomfort)과 한국이 자국에게 포섭가능하다는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 때문이었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이후 역내 국가들의 중국 견제 및 자국 이익 실현을 위해 미국에 편승하는 추세가 확대되었다. 중국은 이 환경의 변화가 전략적으로 불편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과거와 달리 공세적 대응을 선택하였다. 한편, 시진핑 정부가 들어서고 중국의 한반도 전략 변화, 한중관계 개선 등의 이유로 중국은 한국을 포섭 가능한 국가로 기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은 중국에게 역내 국가 사례와 마찬가지로 본격적인 대미 편승으로 인식되었고, 중국의 희망적 기대를 걸었던 한국에 대한 배신감이 더해져 중국의 공세적 대응을 야기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