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제전환국 법제의 특징과 구조

        민경배 평화문제연구소 2006 統一問題硏究 Vol.18 No.2

        This thesis aims at finding implications of a transition in Noth Korea``s legal system by categorizing transitional countries per type according to the procedure and gist of how their political systems changed, and then by analyzing the details and changes made in their laws and institutio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legal systems in transition countries is set on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law-abiding state, and the change from a central-government- planned economy to a market one. The former Soviet Union and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the countries that carried out a transition to a democratic market-economy system also conducted political and economical transition at the same time and they established a corresponding legal system. This legal-system transition was conducted in a radical manner. In contrast, the so-called socialist market-economy transition countries, like China or Vietnam, concentrated on changing only the economic sector, without making any fundamental changes to their political system where the Communist Party takes the role of leader. These people, therefore, focused on a transition of legal system to establish and develop a market economy system in order to overcome their economic crises. In addition, the transitions of these countries`` legal system share a common feature: they were planned and gradually conducted. Even Cuba, a country delaying its transition, had a few cases of reforming its legal system but the details still do not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ocialist legal system, politically or economically.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North Korea will take the direction of a gradual reform and open-door policy rather than choose a sudden, rapid systems transition, it will be more appropriate for North Korea to gather the merits of various types of system transitions than to concentrate on one certain kind and thereby combine those features with North Korea``s unique situation and seek its own new model.

      • KCI등재

        사회적 시장경제와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 독일의 에너지전환 분석

        정연미 ( Yeon-mi Ju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5 질서경제저널 Vol.18 No.3

        한정된 자원인 에너지와 환경을 착취하고, 이에 대한 인간의 수요를 계속해서 증가시키는 에너지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경제성장방식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지난 60년간 진행된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와 에너지전환을 분석하고, 사회에서 과잉되어 있는 경제의 위치와 규모에 제자리를 찾아주는 혁신과정으로서 에너지시스템과 경제시스템의 관련성 속에서 에너지전환을 새롭게 문제제기 하였다. 독일의 에너지전환은 자유경쟁과 사회정의 사이의 균형을 잡으려는 사회적 시장경제관을 바탕으로 환경, 경제, 사회의 균형발전을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이념을 수용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시작된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의 풍토 위에서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에너지전환은 1990년대 이후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으로 통합 발전되면서 독일 경제의 생태화와 민주화를 앞당기고 있다. 화석에너지와 핵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현재의 지속불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에너지전환의 핵심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로 이어지는 경제시스템의 전 과정을 생태적으로 혁신하고, 민주적으로 혁신하는 경제의 생태적 전환이다. 따라서 생태시스템 없이는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생태적 지속성, 경제적 효율성, 사회적 형평성의 균형발전을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경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제성장방식을 모색하고, 이에 조응하는 에너지정책을 수립할 것이 요구된다. Social market economy and energy transition in Germany for last 60 year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sustainable development framing inquiry question that energy system and economic growth path are unsustainable which are based on the extraction of limited resources and energy with growing human demand on these.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bout energy transition newly in relation between energy system and economy system as an innovations process to find the place and scale of economy which is excessive in society. Energy transition in Germany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al market economy view to find a balance between free competition and social justice, with accep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deology in which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are harmonized. Energy transition in Germany since the 1970s in social climate, social market economy since the Second World War has been progressed ecolog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economy with developing integrat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the 1990s. Energy transition policy in Germany on the federal government level has been started by the coalition between Social Democracy Party and Green Party in 1998. Energy transition policy continues to be accelerated as a new energy policy, since the german government has planned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officially in the year 1994. The core of energy transition from unsustainable energy system with fossil energy and nuclear energy to sustainable energy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is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conomy which is innovation process ecologically and democratically in economy system including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and mass wast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 economic growth approach should be found on the basis of sustainable economic paradigm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maintenance, economic efficiency and social justice with balance, and then energy policy also should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se aims.

      • KCI등재후보

        북한의 입법체계 및 법제정비에 관한 연구

        허인,김두수 법무부 2020 統一과 法律 Vol.0 No.41

        북한과 같은 잠재적인 경제체제전환국에게는 ‘정치체제’는 기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경제 부문에서만’ 계획경제로부터 시장경제로 전환한 성공 또는 시행착오에 대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사회주의 일인독재체제나 세습체제에는 민주적 의사 결정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정적인 순간에 남북교류협력에서도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으므로, 법적 안정성, 예측 가능성, 투명성, 사법적 분쟁해결 절차 등 ‘법치’를 기반으로 한 남북교류협력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의 체제전환국 연구는 중부 및 동유럽 국가들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냉전의 종식, 즉 소련의 붕괴라는 중요한 사건 때문에 정치와 경제를 ‘동시에’ 전환한 국가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추구하는 경제체제의 전환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 베트남의 경제체제전환은 북한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중국과 베트남이 경제성장에 성공하게 되면서 당-국가가 주도하는 ‘점진주의적’ 개혁이 국제사회로부터 주목받게 되었다. 그리고, 국내 연구에서는 중국 모델을 북한 체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 또는 북한이 중국 모델을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높은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중국, 베트남의 사례를 볼 때 경제체제전환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북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북한이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이나 법제개혁을 추진하는 모습은 중국이나 베트남과 유사한 형식으로 경제체제를 전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2018년 4월 ‘핵·경제 병진로선’의 역사적 임무의 완성을 선언하고, 전 당과 전국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진행하는 ‘경제건설중심로선’의 실시를 결정함과 동시에 2018년 신년사에서 적극적으로 국제관계 개선을 하겠다고 밝힌 것은 역시 북한이 경제체제전환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UN 중심의 강력한 대북제재가 북한 경제가 이에 적응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고, 2018년 한 해에만 중국인 방북 인원 수가 약 120만 명에 달하고 있다고 한다. 북-미 정상회담도 계속적으로 서로 간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있는 가운데 북한이 생각보다 느리게 경제체제의 전환을 할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이 중국식 경제개혁을 통한 단일전환의 방식으로 ‘경제체제만을 전환’할 경우에 한반도의 통일은 요원한 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체제의 변화는 ‘정치체제의 전환’과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에 따른 ‘경제체제의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져야(이중전환)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의 체제전환은 내부 능력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외부 지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남북교류협력도 민감한 부분이 아닌 기본적 내용을 다루는 순수 부문에서 먼저 진행되고, 점차 점진적으로 세세한 내용에 대하여 남한과 북한 간 교류협력을 진행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Potential economic transition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need a case study of the success or trial and error of the transition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in the economic sector only, while the political regime remains intact. However, since the socialist dictatorship or hereditary system has limitations in democratic decision-making, there is bound to be a limit in exchang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e decisive mo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ased on ‘laws’ such as legal stability, predictability, transparency, and judicial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Previous studies of transition economies have focused o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simultaneously transformed politics and economy because of the important event of the end of the Cold Wa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erent from North Korea’s pursuit of economic system. In this regard, the transition of China and Vietnam's economic system has many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As China and Vietnam succeeded in economic growth, the ‘gradual’ reforms led by the party-state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domestic research has expressed high interest in whether the Chinese model can be applied to the North Korean system or whether North Korea will accept the Chinese model. In the case of China and Vietnam, the background for promoting economic system change is the same for North Korea, and North Korea’s ‘our economic management method’ or legislative reform is similar to that of China and Vietnam. In April 2018, North Korea declared the completion of the historic mission of the Nuclear and Economic Translation Line, and decided to implement the Economic Construction Center Line, which proceeds with socialist economic construction by concentrating all the capacities of the party and the nation. At the same time, the 2018 New Year's announcement that it will actively improve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indicates that North Korea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transform its economic syst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arguments that strong UN sanctions on North Korea have led to the North’s economy adapting to it and improving its durability. In 2018 alone, there were about 1.2 million Chinese visitors to North Korea. North Korea-US summit may not be able to narrow the disagreement, but stalled, and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s transition to the economic system is slower than expected. Howeve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far-flung if North Korea ‘transforms its economic system only’ through a single transformation through Chinese economic reform. Therefore, the change in the North Korean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dual change) by the ‘transition of political system’ and the ‘conversion of the economic syste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market economy system. In addition, North Korea’s transition may require external support as its internal capacity may be limited. In this case, South-North exchange cooperation will also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in the pure sector dealing with the basic contents, rather than in the sensitive areas, and if the exchange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gradually progressed in detail, the support will be more effective.

      • KCI등재

        북한의 법제 동향과 체제전환 관점에서 본 북한법제의 개혁방향

        최은석 평화문제연구소 2007 統一問題硏究 Vol.19 No.2

        North Korea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aving a divided territory, not same as other transitional countries.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system transition of North Korea would lead to the special change in the legal system.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the direction what North Korean legal system is heading for and how North Korea will promote the market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Juche ideology and legal theory principles are realized in each law of North Korea. Especially, this study centers on permitting of commercial transactions in the economic life, such as expansion of property and ``7.1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i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lso,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legal theory principles affect on the constitutional system and civil/commercial/private/criminal law systems. Here, it is dealt with not only all sorts of economic legal system for the transition to the market economy system, including private properties of North Korea, but legislative tendency of North Korea since January, 2007. This study searches for the way to reform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for transition, and for problems of the legal system which would be an obstacle on the assumption that North Korea would transit its system.

      • KCI등재

        몽골의 체제전환법제의 동향과 북한법에 주는 시사점

        박정원(PARK, Jeong W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3

        몽골은 1980년대 말부터 구소련방의 해체, 여타사회주의국가들의 체제전환에 의한 사회주의체제의 몰락이라는 세계사적 변화에 대응하여 체제개혁을 단행하였다. 몽골은 사회주의 체제의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하여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 민주주의 체제로의 체제전환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 사회주의국가의 체제붕괴과정에서 일찍이 사회주의체제에서 민주주의체제로의 전환을 완성하여 체제전환의 주요 성공사례국에 해당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몽골의 사회주의체제 전환 이후 민주주주와 자본주의 국가로서의 발전적 기반형성과 관련 법제도의 현황을 살피고, 여전히 사회주의제도 하에 있는 북한의 법제와 비교하되 헌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특히 몽골의 헌법개혁과 북한의 사회주의헌법을 비교 고찰하되, 몽골의 사회주의체제 탈피과정이 북한의 체제개혁의 방향 설정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본다. 사회주의체제전환 사례로서 몽골의 법제변화의 모습은 북한의 법제 변화와 체제개혁의 방향을 찾아보는 데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북한의 경제부문의 개혁·개방은 중국, 동유럽, 베트남, 몽골 등 과거 사회주의 국가의 개혁·개방 경험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분석되어 왔다는 점에서 몽골의 법제개혁은 체제변화와 관련하여 의미가 크다. 몽골은 사회주의체제전환국으로서 사회주의국가인 북한의 개혁과 개방의 방향을 가리키는 하나의 좌표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몽골의 법제동향은 그 배경에서 북한 변화에 주는 시사적인 면을 찾을 수 있다. 몽골과 북한은 전통적으로 외교적인 우호국에 속한다. 몽골은 우리와의 수료 이전 북한과 사회주의 동맹국 차원에서 협력체제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물론 몽골의 사회주의개혁의 방향과 내용이 현재의 북한의 체제와 법제정비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 직접 북한에 영향을 준다고 단정할 수 없다. 독특한 정치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북한은 몽골의 민주적 정치와 경제개혁, 그 법제정비의 방향과 내용을 그대로 뒤따른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개혁의 방향을 잡고 민주체제로의 전환을 시도한다면 몽골의 헌법개혁과 이를 근거로한 법령정비의 방향과 내용은 충분히 북한에게 주는 시사점이 있다. General speaking, since the end of the 1980’s, Mongolia has reformed its system in response to the world historical changes such as the demi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system by the transformation of other socialist countries. Mongolia has pursued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of the socialist system and has been transforming from socialism to capitalism and democratic system. In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state in the 1990s, the transition to the democratic system of the socialist system was completed early, which is a major example of the transition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shareholder and capitalist nation and the related legal system after the transition of socialist system in Mongolia, to analyze the constitution in comparison with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under socialist system. In particular, it can be reviewed the constitutional reform of Mongolia and the Socialist Constitution of North Korea,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of Mongolia as a case of transition to socialist system. The shape of Mongolian legal system change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direction of change of legal system and reform of the system. Reform and openness of North Korea’s economic sector has been analyzed with an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fully absorbing the reform and opening experience of past socialist countries such as China, Eastern Europe, Vietnam, and Mongolia. It should be noted that Mongolia can be presented as a coordinate pointing to the direction of reform and opening of North Korea, a socialist state, as a transition country of socialist system. Mongolia ’s legal system can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Mongolia and North Korea traditionally belong to diplomatic friendship. Mongolia has built up a cooperative system with North Korea and socialist allies prior to its completion. Of course,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socialist reform in Mongolia can not be directly attributed to North Korea in establishing the current direction of North Korean regime and legal reform. North Korea, which is building a monolithic political system, can not be said to follow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Mongolia’s democratic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and its legal reform. Nonetheless, if North Korea adopts the direction of reform and attempts to transform itself into a democratic system,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Mongolia’s constitutional reforms and the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em will have enough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 KCI등재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성지은(Jieun Seong),박인용(Inyong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1

        현재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은 기존의 성장 및 기술공급 위주의 발전전략이 한계를 노정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혁신 경로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ICT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물론 지속가능한 에너지, 농업・농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혁신모델이자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의 니치 실험으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ICT가 에너지 전환, 농업・농촌 시스템 전환, ICT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럽의 SusLab 프로젝트, C@R 프로그램, 대만의 리빙랩 사례 모두 사전기획 단계부터 지역・사용자의 배경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사용자 주도의 혁신활동을 개발프로세스 전반에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전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리빙랩 도입을 검토하는 현 상황에 맞춰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국가 또는 지역 전반의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 실험, 정책 간 연계통합의 수단,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혁신정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용자 및 수요 측면을 반영한 정책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Current Korean innovation system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while the growth-oriented and S&T provide-oriented development strategy. Accordingly, there are needs for not only system transition in various area, such as sustainable energy, agriculture, and rural area but also STI policy paradigm shift to create a new innovative pathway. Living lab is being discussed in European country as a new innovative model based on user participation and as a niche experiments for sustainable system trans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living lab cases which are for the purpose of energy transition, agriculture・rural areas system transition, and STI policy paradigm shift. Based on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Korea. European Suslab project, C@R project, and Taiwan living lab, promoted diverse transitional experiments successfully by collecting users’ background and experiences from pre-planning stage and by maintaining the user-driven innovative actions within the whole development process. This result provides various suggestions to current Korean situation that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living lab. Living lab can also be utilized as a strategic niche experiments for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in region or country, as a mean of policy integration, and as a new regional innovation model. In addition, it can be an important platform to realize the policy integration reflecting the user and demand-side which are highlighted in recent innovative policy paradigm.

      • KCI등재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시스템 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황혜란(Hye-Ran Hwang),정재용(Jae-yong Choung)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해외기술의 모방과 생산과정에의 적용을 통한 추격형 혁신시스템의 성장 잠재력이 소진됨에 따라 혁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새로운 혁신시스템은 중소·중견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주체의 형성, 신기술지식 창출능력에 기반을 둔 급진적 혁신, 장기 사회경제적 효과 창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장, 다양성 원천으로서의 지역기술혁신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글은 지역 차원에서의 ‘시스템 전환’의 가능성과 한계를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출발했다. 국가주도의 연구 집적지로 출발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혁신클러스터 형태로 시스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요인과 촉발요인을 혁신시스템 구조와 기능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시스템 전환은 기존 추격형 레짐의 영향 하에 일부 시스템 기능을 보완하는 보완적 전략을 취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시스템 내부에 전환을 추동할 새로운 주체가 형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체 간 협력관계를 통한 외부효과의 창출이나 새로운 시장 창출 능력, 정당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환을 추동하는 혁신주체의 육성과 산학연 협력관계 형성, 시장창출 기능 등의 정책적 보완도 중요하지만 중앙정부 중심, 공급주도적 거버넌스를 지역수요와 수요기반의 거버넌스로 바꾸는 것이 시스템 전환에 핵심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Korean innovation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catch-up with advanced countries’ technology is requested for transition to innovation-based system. Newly required innovation system includes the varieties of innovation actors, such as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radical innovations which based on knowledge creation capabilities and regional innovations which functions as a wellspring of innovation variet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ducement mechanisms and constraints of innovation system transition, centered on the case study of Daedeok Innopolis which is transforming from national science park to innovation cluster. Based on the integral conceptual framework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approach of innovation system, this paper argue that the augmentation strategy, in which focuses on adding new functions to existing catch-up governance, in the system transition process caused transitional failure. It brought about functional insufficiency, such as the insufficient network externality, the absence of market creation function and legitimation. The policy implication from the analysis suggests that governance rearrange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functional augmentation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system transition.

      • KCI등재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송위진,성지은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과학적⋅산업적 목표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내세우는 사 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문제는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난제인 경우가 많다. 한 번의 사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 게 된다. 따라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대증적 접근이 아니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전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 서 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를 위해 ‘전 환실험화’라는 개념을 토대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전환실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전환 거버넌스 구축’, ‘전환비전 형성과 전환실험 기획’을 연구개발사업 의 전환실험화를 위한 핵심 과정으로 설정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 발사업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살펴보았다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aimed at solving societal problem rather than scientific and industrial fruits have started recently. Societal problem is recognized as dilemma since this problem related to various stakeholders. And this is not solved with single program and needed long-term process. So the perspective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including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from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perspective. ‘Transitioning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 is the key concept of restructuring the program for the system transition. The establishment of multi-layer transition governance and the transition vision-making and transition experiment planning are the key process of transitioning the R&D program. This paper suggests the ways and issues of implementing this process in Socially-oriented R&D program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과 백캐스팅

        성지은(Seong, Ji Eun),정병걸(Jung, Byung Kul),송위진(Song, Wi Chi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2 과학기술학연구 Vol.12 No.2

        지속가능성이 전 지구적인 화두로 등장함에 따라 이를 목표로 한 시스템 전환 노력이 기후·에너지·주거·교통·바이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전환과 그 관리의 수단으로 주로 활용되는 백캐스팅 사례로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한 교통·식품·가정 시스템 전환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덜란드는 지속가능한 교통·식품·가정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현재의 상태에서 출발하는 점진적 변화 방식을 벗어나 지속가능한 미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전향적인 정책 수단을 강구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강조하고 있으며, 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등의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시민사회의 지식과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지식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사회 및 정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경로를 창출해야 하는 시스템 전환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주체의 합의에 기반을 두면서도 관련 정책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참여형 백캐스팅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Transition toward sustainablity being in progress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climate, energy, household, transportation. This study analyzed system transition and backcasting of its management with cas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foods, household system transition in the Netherlands. Backcasting has become a popular approach for sustainability taking a more reflexive perspective and looking back to the participatory experiments. In the Netherlands, participatory backcasting utilized as s innovative approach for long-term strategy for sustainability, based on stakeholder involvement, construction of normative sustainable futures, stakeholder leaning. In this study, we can be understood that transition management requires the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business, government, research and the public & public interest groups and backcating is tool leading to a sustainable future vision, stakeholder involvement. To create a new path toward sustainablity, it requires integrated consideration of related policy perspectives and participatory backcasting aiming at system innovations for influencing transitions.

      • KCI등재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과 기업 혁신활동

        황혜란,송위진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글로벌 수준에서의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의 거대한 도전은 이제까지의 이윤추구 위주의 기업 활동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업은 경제적 주체임 과 동시에 사회적, 환경적 책무를 가진 사회적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 활동이 새로운 현상으로 발흥함에 따라 기업의 정체성, 활동 동기와 비즈니스 모델 진화에 대한 기술혁신 관점에서의 확장된 논의가 요청된 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에 있어 기업의 역할에 주목하고, ‘전환지향적 기업’ 개념을 제출함으로써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서만 고려되어온 기업의 개념을 사 회적 문맥 하에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업이 전환활동에 참여하는 동기,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및 전환을 위한 조직 및 전략 등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의 새로운 범주의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론 및 사례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비즈니스 모델 혁 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혁신, 조직적 혁신, 사회적 혁신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 고 각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기술 (인지)적, 조직적, 시스템적 차원에서 장애요인에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 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기업전략과 시스템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Grand Challenge’ in the global level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on the role of private firm as a profit maximizer. From the new perspective, firms are recognized as a social entity with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Particularly, the importance of transition-orineted firms, which pursue an objective of socio-technological system transition, have increase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request a new understanding on the identification of firms and the evolution of sustainable business model from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spectives. This paper aims on the new understanding on the motivation of firms who participated on the sustainable system transition and the proposal of ‘transition-oriented firms’ concept. Based on literature survey, this paper reviews the role of firms in the process of socio-technological system transition, the cases of transition-oriented firm, the types of sustainable business models and their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