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를 통한 상징화의 발달과 치료적 변형에 대한 사례 연구: 클라인, 시걸, 위니컷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미향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4 현대정신분석 Vol.26 No.2

        본 연구는 한 급성정신증 치료사례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과 그 과정에서 동화의 기여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상징화는 무의식적 환상 및 내부 대상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과정으로 불안을 변형하여 다룰 수 있게 해주며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 잠재적 공간은 내적세계이면서 동시에 외부세계인 과도기적 경험이 발생하는 중간영역이며, 그 속에서 중간대상이 출현되며 진정한 상징은 아니지만 모성대상과의 분리의 갈등과 불안을 처리하는 상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고찰과 임상사례 분석을 통해서 상징화의 발달을 밝힌다. 첫째, 상징은 치료장면에서 형성된 잠재적 공간에서 발달하며, 구체적이고 사물로 등가되는 상징적 동등시에서 추상화되고 정교화된 상징화로 발달한다. 최종적으로 상징화는 그 의미를 의식화하고 언어화하는 것으로 발달한다. 둘째, 잠재적 공간에서 치료자와 내담자의 협력하에 공동-변형되는 동화라는 확장된 중간대상의 출현은 상징화의 발달에 기여한다. 이후 상징화는 점차 다른 상징물, 꿈, 전이 등을 통해서 더욱 활발히 나타나게 된다. 셋째, 상징화의 발달은 내담자의 치료적 변형에 기여한다. 즉, 편집-분열적 경험에서 우울적 경험으로 이동하거나 우울적 자리를 훈습을 하도록 도움으로써 주체가 확립되고 개인내적 및 대인관계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본 고찰을 통해 클라인과 시걸, 위니컷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을 검토하고 확장된 중간대상인 동화와 그 이야기적 변형이 상징화에 기여하는 점을 논증하고, 이러한 상징화의 발달이 치료적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임상사례를 통해 입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in the treatment of an acute psychosis case. Symbolization is a process deeply connected to unconscious phantasies and internal object- relations. This process helps individuals transform and manage anxiety, integrate the experience, and form subject. The potential space is an intermediate area where intermediate experiences, which are both the internal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occur. Within this space, an intermediate object emerges. Although it is not a true symbol, it is used as a symbolic means to process the conflict and anxiety of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object.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and the analysis of a clinical case,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an extended intermediate object is elucidated. First, the symbol develops in the potential space that is formed in the treatment scene and evolves from symbolic equation, which is concrete and equated to things, into abstracted and elaborated symbolization. Eventually, symbolization develops into consciousness and verbalization of its meaning. Second, in the potential space, the emergence of an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such as a fairy tale, which co-transformed under the collabor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fterwards, symbolization gradually appears more actively through other symbols, dreams, and transference, etc. Third,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contributes to the client’s therapeutic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by helping to move from paranoid-schizoid experiences to depressive experiences or to work through depressive position, the subject is established and leads to changes in the internal worl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in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in demonstrating how the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of a fairy tale and its narrative transformation contribute to symbolization; and in establishing through a clinical case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leads to therapeutic transformation.

      • KCI등재

        베이징, 공간배치를 통한 문화정치

        박정희 ( Jeong Hee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1 中國硏究 Vol.52 No.-

        Space is always political, ideological, and strategic due to the fact that it is created by intentional and social practices. If focused on the changing aspect of space, the entailment inherited in the changes of relevant society could be read. This writing will be focused on the reading scenery and space of Beijing.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invisible territory that scenery and space create, in other words, the network, mind cultural influence between scenery and space, instead of individual scenery and space. The place and space that exist regionally have symbolisms themselves, but they also influence the entire society`s network and mind culture, functioning as a part of the whole. In this writing, it is attempted to rea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which the creator of scenery and space faces, from the perspective of semiology of culture for the disassembling reading of scenery and space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space in Beijing. The writing tries to capture the various political symbolisms and strategies, included in the scenery and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 ecultural politics. Through this, I strive to contemplate upon the desire of China(Beijing) in the world, subsumption and rupture of China and Beijing, and new search.

      • KCI등재

        아동정서 및 공격성에 따른 공간사용 유형

        정여주,김안젤라,김은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and space based on the emotional effect of space and symbol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ix diversified feelings(delight, happiness, peace, depression, irritation, fear) and paper space usage pattern related to these feelings. Moreover is examined emotion with attack degree and space sele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20 students(110 boys, 110 girls) of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positive emotion(delight, happiness, peace) correlated with the center of space and negative emotion(depression, irritation, fear) with the corner of space.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low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relating positive emotion, whereas negative emot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Especially, depression of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had high frequency of using the center of spac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preceding theory of space. The group with low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space, positive emotion in the center, and negative emotion is the corner. However,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s mixed in the center of space. Assumingly, differentiation of emotion had not developed in this group of children and negative emo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inner self. This results find that emotional specificity of children through analysis using space connected with emotion in children and can contribute to function not only as to develop the appropriate art therapy of therapeutic factors, art education but also as to applicate the dance therapy. Consequently, the analyzation of the space usage contributes in knowing the emotional traits of children.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20명(남: 110명, 여:1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감정(기쁨, 평화, 행복, 짜증, 우울, 공포)과 관련된 공간사용 유형을 실증적 자료로 분석하고, 또한 공격성의 정도에 따라 정서와 관련된 공간사용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공간사용 유형은 긍정적 정서(기쁨, 행복, 평화)와 관련하여 중앙에 집중되는 유형으로, 부정적 정서(우울, 짜증, 공포)와 관련해서는 상하좌우 네 모퉁이 공간 빈도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이 높은 집단은 공격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공간에서 중앙 집중 빈도가 낮았으며, 부정적 정서와 관련해서는 중앙 빈도가 높았다. 특히 공격성이 높은 집단에서 우울은 중앙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의 개념을 연구한 여러 연구자들의 화지가 자신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면, 공격성이 낮은 집단은 긍정적, 부정적 정서가 중앙과 모퉁이 공간으로 잘 분화된데 비해, 공격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부정적, 긍정적 정서가 중앙에 혼재되어 감정적 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부정적 정서가 중요한 감정이기 때문에 중앙에 높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으로 정서에 따른 공간사용 분석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미술치료, 미술교육, 무용치료에서 아동의 정서와 관련된 공간이해를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공간을 해석하는 범위와 방법의 확장성을 가져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각도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념에 의한 형태론, 행태에 의한 현상론 등 정성적 해석에 의한 기존의 공간분석은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형태에 대한 사회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공간구문론은 많은 연구들에 유의미하게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단위공간의 관계성 외 공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다양한 방법론적 데이터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현황과 향후 개선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의 영역, 분야, 시간적 특성 등 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새로운 분석체계로 재검증하여 그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통제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로 분류하고 변수 영역별 공간분석 키워드(위계성 정립)를 도출하여 기호화한 변수영역별 기호체계(SSV: System of Symbol Variable)를 마련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영역별 특성과 경향을 통시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로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RISS, 국회도서관을 통해 검색된 371개의 학위 논문 중 제목, 목차, 요약의 내용에 키워드가 직접 언급된 68개의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연구의 대상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체 대상의 발표 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결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는 공간의 시대적 변화와 특정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전기와 후기로 분류한 결과 연구의 경향 및 특성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SSV로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공간구문론만을 활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경향과 특정 대상의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경향이 균등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후기에는 타 이론과 병합되어 특정 대상의 공간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기의 연구는 공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기의 연구는 공간과 인식, 행태, 현상 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었다. 이는 일반적 경향 분석에 대한 원인적 근거이며 공간 구문론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결론)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공간분석방법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현대에는 가시영역이론, VAE, ERAM, 등 다양한 이론들과의 병합으로 공간 구문론의 단점을 보완한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복합공간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연구모형의 변화와 요인의 다양성, 변수간의 종속성에 의한 다중적 회귀 분석으로 좀 더 신뢰도의 발전을 가져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변수영역별 기호체계를 통한 분석으로 선행연구의 경향을 객관적 수치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patial recognition have led to the scalability of the scope and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morphology by concept and phenomenology by behavior, provides the first ste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ological relations to physical forms with the emergence of space syntax.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significantly used in many studies, b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space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data of space syntax theory. (Metho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and its re-validation using a new analysis system, the causes and reasons for it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 the space analysis keyword was derived to prepare the system of symbol (SSV: System of Symbol Variab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the diachronic trend in quantitative terms by using SSV. When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a keyword, a total of 68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among 371 theses searched via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set as the target scope of the study. (Results) The study using space syntax theory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pac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those belonging 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As to the SSV analysis results, in the former perio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were found in equal proportions using only space syntax theory.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the tendency to analyze only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ories was predominant. In addition, forme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space itself, while the studies from the later period mainl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perception, behavior, and phenomena. (Conclusions) After the appearance of space syntax theory, the methodological domain of space analysis in modern times has been expand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space syntax theory by merging it with various theories such as visual domain theory, VAE, and ERAM.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complex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hould be improv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earch model, diversity of factors, and interdependency among the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was verified by objective figures through analysis using the preference system for each group of variables.

      • KCI등재

        스포츠공간의 사회적 맥락성과 상징성

        구강본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ports space in a philosophical view and present its social contextuality and symbolic meanings. This research was held focusing spatial concepts such as spatial contextuality, deviating from the current mainstream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time.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was referencing various precedent researches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on the basis of the meaning and social contextuality of sports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space were suggested. As for the social contextuality of sports space the following were presented: First, new understanding of sports space, second, collision between sports space and environment, third, commercialization of sports space, fourth, hegemony in sports space, and fifth, culture creation of sports space. With these contextualities, the symbolic meanings of sports space were suggested into five conceptual categories. First, it is a space that represents the city’s image. Second, it is a spa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rd, it is a space of power and politics. Forth, it is a space of culture creation. Fifth, it is a space of social communication. As so, sports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of sports that has those various meanings implied.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pace when analyzing sport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In the research later on, various space theories will be integrated in its approach. 이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스포츠공간을 조명하고, 사회적 맥락성과 상징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었던 시간적 개념의 연구에서 벗어나 공간적인 개념, 즉 공간적 맥락성을 전제로 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스포츠 공간의 의미와 사회적 맥락성을 바탕으로 스포츠 공간의 상징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스포츠공간의 사회적 맥락성으로 첫째, 스포츠공간의 재인식, 둘째, 스포츠공간과 환경의 충돌, 셋째, 스포츠공간의 상업화, 넷째, 스포츠공간의 헤게모니, 다섯째, 스포츠공간의 문화 창출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맥락성을 기반으로 스포츠공간의 상징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째, 도시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둘째, 생산과 소비의 공간이다. 셋째, 권력과 정치의 공간이다. 넷째, 문화 창출의 공간이다. 다섯째, 사회적 소통의 공간 등이다. 이처럼 스포츠에 있어 스포츠공간은 다양한 맥락성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스포츠를 해석하는데 있어 공간 개념의 이해가 필수요건인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이론을 접목하여 접근할 것이다.

      • KCI등재

        욕망의 대상 및 사건 원인으로서의 소설 공간 -편혜영의 <사육장 쪽으로>와 김이설의 <빈집>을 중심으로-

        박권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3 No.-

        이 논문은 공간이 욕망의 대상a인 경우, 공간과 관련된 욕망이 사건을 추동한다는 것을 논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공간이 사건의 원인인 경우, 공간은 소설의 전경이다. 피터 브룩스(Peter Brooks)는 인물의 욕망이 플롯을 추동한다고 했다. 여기서 욕망의 대상이 무엇인지 의문이 발생한다. 욕망의 대상은 공간과 사물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공간과 관련된 욕망이 사건 혹은 플롯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고, 소설의 중심에 놓이게 된다. 공간에 대한 인물의 욕망은 대타자의 욕망에서 기인한다. 즉, 인물은 상징적 질서가 공간에 부여한 의미와 가치를 욕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간은 욕망의 기표가 된다. 공간과 관련된 욕망을 통해서 인물의 결핍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간에 대한 환상은 욕망을 지속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공간은 대상a이기도 한 것이다. 공간과 욕망의 상호작용이 사건을 추동하는 양상은 편혜영의 <사육장 쪽으로>와 김이설의 <빈집>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공간과 욕망이 상호작용하는 양상은 인물의 증상에 따라 차이가 나기 마련이다. <사육장 쪽으로>의 주인공 ‘그’와 <빈집>의 주인공 ‘수정’은 각각 강박증적 주체와 도착적 주체이다. 이 두 주인공이 공간을 어떻게 욕망하는지를 살펴, 공간과 욕망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예각화 하였다. 나아가 두 소설에서 실재계의 흔적을 찾아보았다. 두 인물의 증상이 증환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공간 속에서 응시하고 있는 실재와의 대면이 필요하다. 공간을 경유하여 두 인물이 실재와의 대면에 성공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공간과 관련된 욕망, 결핍, 환상이 사건의 원동력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설에 따라, 공간은 사건의 단순 배경이 아니라 전경의 위상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space is the 'object a' of desire and that desire related to space is the cause of events. If space can be said to be the cause of an event, we can add a reason why space is the foreground of the novel. Peter Brooks has argued that characters' desires drive the plot.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object of desire is. The objects of desire can be spaces and things. If so, then the desire for space is what drives the events or plot and is at the center of the novel. A character's desire for space stems from the desire of the Other: the character desires the meaning and value assigned to space by ‘The Symbolic’ order. Thus, space becomes a signifier of desire. Through the desires associated with space, we can see what the character’s deprivation. Also, the fantasy of space is the driving force that keeps the desire going. Therefore, space is also object a. The way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desire drives events was examined through Hye-young Pyun's ‘Towards breeding ground’ and Yi-seol Kim's ‘Empty House’. In particular, the way in which space and desire interact differs depending on the symptoms of the characters. The protagonist of ‘Towards breeding ground’, 'He', and the protagonist of ‘Empty House’, 'Soo-jung', are compulsive principal subject, pervert subject. So I looked at the way these two protagonists desire space, and consider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desire. Furthermore, I looked for traces of ‘The Real’ in both novels. In order for the symptoms of the two characters to change into sinthome, it is necessary to face ‘The Real’ that is gazing at the subject in space. So I also looked at whether the two characters succeeded in confronting reality.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see that the desires, deprivations, and fantasies related to space a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vents. Therefore, space of novel is not just the background of the events, but the foreground.

      • KCI등재

        한국적 공간디자인의 의미론적 분석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박경애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mantic analysis model of figurative languages for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hat can be applied in design process under assumption that the cultural identity is not static but dynamic.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At first, it discusses the semantic approach in space design by reviewing system of Semantics and the interaction of signification and semiosis. Secondly, By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sis is taken from the Peirce's Semiotics, the semiotic mapping process structure is classified in status, icons, indeces and symbols. The semantic mapping process model can involve space design process as cultural code that applies the design principles extrac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culture.Thirdly, it suggests 3-Dimensional semantic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analysis, vertical axis is visual mode-synchronic array, and horizontal axis is types of representamen categorized icons, indeces and symbols -diachronic array. Finally,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is analysed relatively by semantic analysis model. This systemization of appropriate classifications to succeed philosophical meanings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will be an aprication of effective design method to express the identity of Korea to the future designs. By establishment of semantic analysis process for Korean space design, this study would be solve the problem to define the designer's dynamic thought in terms of semiotic structure selecting a concept to design Korean traditional space.

      • KCI등재

        RFID 센서를 이용한 실내 기호공간에서의 위치추적

        강혜영,황정래,이기준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3

        최근 실내 공간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공간정보 서비스가 실외공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만큼 공간정보시스템의 중요한 응용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실외 공간과 달리, 실내 공간의 위치 정보는 좌표기반이 아닌, 방 번호와 같은 기호를 기반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이동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이동객체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좌표정보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적 추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FID센서를 이용하여 이동객체의 위치를 항상 명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추적가능 실내 기호공간을 위한 프레임웍을 제안한다. 우선, 실내기호공간과 실내기호공간에서의 위치추적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추적 가능한 실내 기호공간을 위한 접근성 그래프를 정의한다. 둘째로, RFID 리더기의 배치방법, 추적 가능한 실내기호공간을 위한 접근성 그래프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방법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하여 실험결과를 보인다.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in indoor space are an important application area of GIS as in outdoor space. Unlike in outdoor space, a position in indoor space is specified by a symbolic code such as room number, rather than coordinate. Therefore tracking in indoor space is no longer a prediction of coordinates but a symbolic esti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a moving obje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tracking moving objects in indoor symbolic space with RFID sensors. First, we introduce the concepts of indoor symbolic space and tracking in indoor symbolic space, and define the accessibility graph for trackable indoor symbolic space. Second, we propose a deployment method of RFID readers and a construction algorithm of accessibility graph for trackable indoor symbolic space. Third, a tracking method is proposed for moving objects in symbolic indoor space with RFID sensors. Finally, we present an implementation exmaple and the result of experiment with real data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서사적 공간의 상징적 기획

        장일구(Jang Ilgu) 한국언어문학회 2006 한국언어문학 Vol.58 No.-

          The narrative space is not directly correspondent to the places of actual world. Espacially the symbolically projected space refers to the space described by the inverse perspective entirely. So to speak, it is applied to the narratives with the wholly different shapes to the objective ones. We can experience the virtual narrative freedom in the spacious space contrary to the closed place realtive to daily routine, ideologically distorted history, supressing counsiousness and so on.<BR>  The time process defines the key feature of narrative. Therefore, the deconstruction of the linearity is the pivot device of the narrative space. So-called the liminal space laid between actual world and fictional universe shows remarkable spatial features found in Lee, Sungwoo"s recent some novels. And the fantasy projecting the repressed human desire can constitute the narrative space that may liberate human from supressive historical mechanisms. Chon, Myunggwan"s Whale is an example. In addition, indeterminate space can be constituted proper to dissociation of consciousness. In the case of Ahn, Seongho"s novels, most of characters are eager for the virtual narrative space.<BR>  In these ways, the narrative space is at work as the reflexive(not reflective) device on the daily life, history, or consciousness may cause misfortunes. It is the virtual device of narrative freedom.

      • KCI등재

        안도 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표현특성 연구

        김건희,이규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Contemporary religious spaces also have a problem, ‘loss of space identity’, like the other spaceswith numerous different purpose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at methods an architectused to express identity of each religious space for designs of the religious spaces with differentroots and doctrines and what the differences of the result are. The research objects were Church andTemple of Tadao Ando’s religious structures, who is the world-famous architect. Research resultsare as follows: First, the light in the chapel gave an image of the Cross symbolizing a space forworship, and the effect of light changed the cold and quiet space by concrete into the soft textureand made the space holy and reverent; and the light in the temple filled the interior space with acolor to be used as a means to change the whole space emotionally. Second, water in the chapelhighlighted a religious meaning to express religious solemnity and peace by making people seethrough the front window; and in the temple, water was used as an element to make people haveextreme experience and feel wholeness by putting the space under water. Third, the chapel wasexpressed by unifying the restrained symbolic elements as one in the achromatic-colored space;and the space of the temple was made splendidly and abundantly by various symbolic elements inthe red space. To convey the meaning of a space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 Tadao Ando usedthe same component of space as a different meaning in another space with a different religiousidentity. 현대의 종교 공간들 역시 수많은 다른 목적의 공간들과 마찬가지로 ‘공간의 정체성 상실’이라는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건축가가 서로 다른 근원과 교리를 가진 종교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각 종교공간의 정체성을표현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살펴 보고자한다. 연구 대상은 세계적인 건축가인 안도 타다오의 종교 건축 중 교회와 절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건축에서빛은 예배공간을 직접적으로 상징하는 십자가를 형상하며 콘크리트가 만들어 내는 냉정하고 조용한 공간을 빛의 효과로 인해 부드러운 질감으로 바꿔 공간을 성스럽고 경건하게 조성하고 사찰건축에서의 빛은 공간 내부를 색으로 가득채워 공간전체를 감성적으로 변화 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교회건축에서 물은 종교적인 의미를 부각시켜전면 창을 통해 바라보게 하여 종교적인 엄숙함과 평안을 나타내고 사찰건축에서는 공간을 물 밑에 두어 극단적 체험,일체적 감성을 경험하는 요소로 사용하였다. 셋째, 교회건축에서는 무채색의 공간에서 절제된 상징적 요소를 하나로통일하여 표현하였고 사찰건축은 붉은색의 공간에서 다양한 상징적 요소로 공간을 화려하고 풍부하게 만들었다. 안도타다오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같은 공간 구성요소를 종교적으로 정체성이 다른 공간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