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 KCI등재

        근현대 한국선종교단에서 제정된 청규에 관한 고찰

        적멸,조명제 대각사상연구원 2007 大覺思想 Vol.10 No.-

        This research study investigates the recent enactment of the rules by Yong Sung Sunim’s association, the Zen-sect rules of Han Am Sunim, the Gongju rules of Sung Chul Sunim, and the current enactment of the five types of Chogye Buddhism Sect’s clarity rules. However, there does not exist a consistent system in the enactment of the above clarity rules. It is discovered that the clarity rules were enacted at one’s own will according to his personality or thought without any common standard. The clarity rule of Zen-sect, namely, implies the clarity rules of Baekjang Sunim. Various types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have serious discrepancies from the clarity rules of Baekjang Sunim.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have metaphysical, ideological, and doctrinal contents. Or, frequently, they included a personal pledge and a group resolution. And it is hard to find a terminological definition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because its terminological definition is so unclear that the precise standard conception of the clarity rules is quite uncertain. The clarity rules are dubious because they indicate such kinds of precepts, ranking system of monks, regulations of association, articles of association, precept meanings, regulations, ceremonies, pledge sentences, addressments as the clarity rules. Current issue in the clarity rule enactment by Korean Zen-sect order, namely, Chogye sect is the concern of the whole sect. For the enactment of the clarity rule, Korean Zen-sect order established a group of committee member. If Chogye sect wish to announce Baekjang’s clarity rules as their own enactment of clarity rules, first of all, they should be free of prevailing concept of currently enacted clarity rules, secondly, they should investigate the copyed Baekjang’s clarity rules which were written in China precisely. Baekjang’s clarity rule must be the clarity rule of Zen-sect.

      • KCI등재후보

        근현대 한국선종교단에서 제정된 청규에 관한 고찰

        정재일 대각사상연구원 2007 大覺思想 Vol.10 No.-

        This research study investigates the recent enactment of the rules by Yong Sung Sunim’s association, the Zen-sect rules of Han Am Sunim, the Gongju rules of Sung Chul Sunim, and the current enactment of the five types of Chogye Buddhism Sect’s clarity rules. However, there does not exist a consistent system in the enactment of the above clarity rules. It is discovered that the clarity rules were enacted at one’s own will according to his personality or thought without any common standard. The clarity rule of Zen-sect, namely, implies the clarity rules of Baekjang Sunim. Various types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have serious discrepancies from the clarity rules of Baekjang Sunim.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have metaphysical, ideological, and doctrinal contents. Or, frequently, they included a personal pledge and a group resolution. And it is hard to find a terminological definition of the clarity rules enacted by Korean Zen sect order because its terminological definition is so unclear that the precise standard conception of the clarity rules is quite uncertain. The clarity rules are dubious because they indicate such kinds of precepts, ranking system of monks, regulations of association, articles of association, precept meanings, regulations, ceremonies, pledge sentences, addressments as the clarity rules. Current issue in the clarity rule enactment by Korean Zen-sect order, namely, Chogye sect is the concern of the whole sect. For the enactment of the clarity rule, Korean Zen-sect order established a group of committee member. If Chogye sect wish to announce Baekjang’s clarity rules as their own enactment of clarity rules, first of all, they should be free of prevailing concept of currently enacted clarity rules, secondly, they should investigate the copyed Baekjang’s clarity rules which were written in China precisely. Baekjang’s clarity rule must be the clarity rule of Zen-sect. 근대에 제정된 용성선사의 결사회 규칙과, 한암선사의 선문규례와, 성철선사의 공주규약을 고찰하였고, 또한 현금에 이르러 제정된 조계종 5대총림 청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이 모든 청규가 가지는 제도의 일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청규를 제정함에 있어서도 공통적인 기준이 없이 그 청규를 제정하는 사람의 인격이나 사상에 의해 임의로 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선종의 청규는 백장의 청규를 말하는 것인데, 한국 선종교단에서 제정되어 온 제 청규는 『백장청규』와는 상당한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적이고 이념적이며 교리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혹은 개인적인 다짐이나 대중의 결의를 청규에 포함시키고 있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한국 선종교단에서 제정된 청규는 그 용어의 정의가 애매모호하여 어떤 것을 청규라고 하는지 그 기준을 확정하기가 어려웠다. 그 이유는 계율․승제․회칙․정관․율의․규약․의례․결의문․선언문 등을 청규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선종교단인 조계종에서의 청규제정 문제는 거 종단적 관심사이고, 이를 위하여 위원회까지 구성되어 있다. 만약 조계종에서 추구하는 청규 제정이 백장청규를 표방한다고 한다면, 지금 현재 제정되고 있는 청규라는 개념에서 벗어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중국에서 저술된 『백장청규』를 표방하는 청규서를 면밀히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선종의 청규라고 한다면 『백장청규』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퇴옹 성철의 돈오돈수론과 선(禪)수행 담론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퇴옹의 돈오돈수론은 강한 선(禪)수행 담론이다. 이 담론에는 선수행 담론의 핵심쟁점들이 모두 얽혀 있는데, 논자는 돈점 담론 및 퇴옹의 선 수행 담론 모두에서 토대가 되고 있는 두 가지 쟁점담론을 주목한다. 하나는 ‘이해방식 수행과 마음방식 수행의 차이에 관한 담론’이고, 다른 하나는 ‘돈오 범주에 관한 담론’이다. ‘이해방식 수행과 마음방식 수행의 차이에 관한 담론’에 대해서는 이미 다룬 바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돈오 범주에 관한 담론’을 살펴 본 후, 이 두 가지 선수행 담론이 퇴옹의 돈오돈수론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음미하였다. 돈오의 범주 문제는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는 철학적 지평이고, 다른 하나는 현실적 지평이다. 철학적 지평으로서의 돈오는, 중간지대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단박의 불연속적 전환이다. 그러나 현실적 지평에서의 돈오는, 동일한 정체성을 지닌 다양한 수준의 돈오들이 그 좌표와 위상을 달리하면서 배열해 있는 범주가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돈오 지평에 올라선 다양한 돈오 군(群)이 배열된 ‘돈오 범주의 영역/지대(地帶)/폭’을 설정하는 것이 수행현실에 더욱 적합할 것이다. 퇴옹의 돈점 담론은, ‘이해방식과 마음방식의 차이담론’과 ‘돈오 범주의 담론’이 결합되어 있는 복합담론이다. 퇴옹의 돈오돈수론에는 두 가지 담론이 얽혀 있는데, ‘해오(解悟)비판 담론’과 ‘분증(分證)비판 담론’이 그것이다. 퇴옹이 역설하는 증오(證悟)담론은 해오비판 담론과 분증비판 담론이 모두 수렴되는 곳이다. 해오와 분증의 허물과 한계가 모두 극복된 증오를 천명하는 것이 퇴옹의 돈오돈수론이다. 돈오점수와 돈오돈수의 넘나들 수 없는 경계선을 선명하게 획정하고, 선문 안에 돈오점수적 화엄선과 돈오돈수적 공안선이 결코 공존/양립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는 퇴옹의 태도는, 이해방식 행법과 마음방식 행법의 차이 담론에 관한 퇴옹의 입장천명인 셈이다. 또한 일체의 분증(分證)을 돈오에서 배제하려는 퇴옹의 태도는 ‘돈오 범주에 관한 담론’으로 보인다. 퇴옹의 ‘돈오 범주에 관한 담론’은 선불교 내부의 현실 문제를 겨냥한 실용주의적 선택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퇴옹의 돈오돈수론에서는, 돈오 지평 위의 다양한 돈오 군(群)이 배열된 ‘돈오 범주의 영역/지대/폭’을 수용할 수 있는 언어적 공간이 필요해 보인다. The discourse of Suddenness and Gradualness(頓漸論) has produced two important discourses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One is the discourse concerning difference between the Understanding-mode Practice and the Mind-mode Practice, the other is the discourse concerning category of Sudden Enlightenment. By discerning these two kind of discourses, the unnecessary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on the discourse of Suddenness and Gradualness(頓漸論) are to be dissolved. Teo-Ong(退翁性徹)’s Discourse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Practice(頓悟頓修論) reconstructs the two kinds of discourse on Sun(禪)-Practice synthetically. Teo-Ong’s Discourse of ‘Getting Enlightenment from experience completely’(證悟) comprises his two discourses of the critique o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critique on ‘Getting Enlightenment from experience partially’(分證). Teo-Ong’s attitude which excludes all kinds of ‘Getting Enlightenment from experience partially’(分證) seems to be the discourse on the category of Sudden Enlightenment. Teo-Ong’s discourse on the category of Sudden Enlightenment would be his pragmatic choice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un Buddhism. But the Teo-Ong’s Discourse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Practice(頓悟頓修論) needs to allow a linguistic space to receive the realm of the category of Sudden Enlightenment disposed diverse groups of Sudden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