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성과평가에서의 전이효과와 사업단위 특성의 조절효과

        이경태,최병현,이상철 한국관리회계학회 2019 관리회계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가 비재무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평가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개년 간 A기업의 287개 사업단위/년 자료를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며, 독립변수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된 객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객관적성과평가 점수와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조절변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평가는 주관적 성과평가에 모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적 성과평가의회귀계수와 표준화회귀계수가 비재무적 성과평가의 계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주관적 성과평가가 객관적 성과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이효과가 존재하며, 재무적 성과평가가 비재무적 성과평가보다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과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경우,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업단위 성과가 높은 경우, 그리고 사업단위 규모가 큰 경우에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실험에 의한 선행연구와 달리 객관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를 실제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했음은 물론, 객관적 성과평가를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하여, 각각이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의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 불가능한 요인이외에 성과평가의 공정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전이효과와 관련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자료로활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무적인 성과평가 과정에서이러한 전이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Methodology] This study samples 287 business unit data of a Korean company from 1999 to 2003.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both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At the same time, the moderating variables are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The study set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cluding the interaction term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Findings]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At the same time, 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more influential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directionally influenced by objective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In additio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nd business unit siz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On the contrary,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has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These test results imply that whe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is high, sales is used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or the size of the business unit is large,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is high,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Implication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earlier studies, is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not only the spillover effects of objective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u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effects of spillover effects and the differences in such effects depending on the business unit characteristics.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ill serve as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fairly.

      • KCI등재

        주관적 안녕에 대한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의 비교

        한미영,안서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global evalu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was different from episodic one and the difference was interpreted as indicating influence of normative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global evaluation. In study 1, married and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evaluated their life globally and episodically. In study 2, college students made global and episodic evalua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of hypothetical married and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Study 2 aimed to see if college students evaluated hypothetical women differently in the two evaluations and the pattern of difference was different from that of women in their thirties in study 1.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married women evaluated their global subjective well-being more highly than single women. However, episodic eval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The difference in the two evaluations suggests the influence of normative beliefs on global evaluation and the pattern of the difference demonstrates that women in their thirties have normative beliefs that marriage makes their life happier. On the contrary, the results from college students in study 2 showed that the belief in marriage as a norm was somewhat weak. Generational change in normative belief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riage and subjective well-being seemed to be reflected in the differences between global and episodic evaluations.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그 차이를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가 전반적 평가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30대 미혼과 기혼 여성의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에게 가상의 30대 미혼/기혼 여성의 주관적 안녕에 대해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를 하게 하여 두 평가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대학생이 보이는 두 평가 간의 차이가 연구 1의 30대 여성의 차이와 그 양상이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30대 여성의 경우 기혼이 미혼보다 전반적 평가에서 자신의 주관적 안녕을 더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일화적 평가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두 평가 간의 차이는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가 전반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30대 여성은 결혼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행복하다는 규범적 사고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대학생들은 30대 여성보다는 결혼을 사회적 규범으로 받아들이는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나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에서의 세대 간 차이가 주관적 안녕의 두 평가 간의 차이에도 반영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무직 근로자의 핵심자기평가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도전적 직무경험의 매개효과와 개인특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재은,이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to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effect of challenging job experi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mocratic characteristics(gender, age, years of education)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Korean white-collar workers. 244 surveys were col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236 survey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were significant to predict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challenging job experienc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partially significant.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mocratic characteristics, only the years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erms of empirically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challenging job experienc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career success. Also i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on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hallenging job experience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depending on years of educ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in the study. 이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핵심자기평가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두 변인 관계에서 도전적 직무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성별, 연령, 교육년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무직 근로자를 유의표집하여 236개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자기평가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자기평가와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를 도전적 직무경험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자기평가가 도전적 직무경험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교육년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본질적인 기능과 가치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것은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 지각하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수행하고 있는 직무를 더 도전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년수가 높은 사람들은 핵심자기평가가 도전적 직무경험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핵심자기평가와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도전적 직무경험의 역할을 확인했다는 점과 도전적 직무경험의 매개효과가 교육년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기업에서의 개인의 경력개발 관련 시사점과 적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 연구의 한계와 이를 보완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평가자의 청지각적 음성평가와 대상자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김재옥(Jaeock Kim),최홍식(Hong-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객관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이들 뿐만 아니라 음성장애를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지각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120명과 정상인 12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KoreanVoice HandicapIndex: K-VHI, 이하 K-VHI)와 한국어판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Korean Voice-RelatedQuality of Life: K-VRQOL, 이하 K-VRQOL)을 작성하게 하였으며, 숙련된 음성언어치료사와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GRBAS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GRBAS 척도 중 G 척도와K-VHI 및 K-VRQOL의 총점수와 세부영역별 점수 간에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G 척도에 따른 음성장애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K-VHI의 영역별 점수는 높았으며, K-VRQOL의 영역별 점수는 낮았다. 또한 진단별 분류에 따라 K-VHI의 신체 점수를 제외한 K-VHI의모든 영역별 점수와 K-VRQOL의 모든 영역별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청지각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어 평가자가 평가한 음성장애의 정도와 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음성장애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청지각적 평가 분류 및 진단별 분류에 따라 주관적 평가의 차이가 있었다. 이에,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함께 포함하는 다양한 측면의 음성평가가 요구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voice evaluations, objective quantitative evaluations and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re commonly used. However,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must be considered to accomplish a more accurate and total assessment of voice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Methods: We enrolled 120 people with voice disorders and 120 people without voice disorders and asked them to fill out Korean 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Korean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forms. The patients’ voices were perceptually evaluated by an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an otolaryngologist using GRBAS scales. Results: There was a low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G scale on the GRBAS scales and the K-VHI and K-VRQOL self-reports. However, mean scores on both total and subscales in K-VHI and K-VRQOL decreased as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on the G scale Increased. In particular, G3 differed significantly from G0, G1, and G2 in the results of both K-VHI and K-VRQOL. In additio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ifferentl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and subscale scores on the K-VHI and K-VRQOL, with the exception of the physical score on the K-VHI. Discussion &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assessed by clinicians differed from the voice handicap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perceptions of pati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se various assessment methods when evaluating voice disorders, including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김은자,이용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심리적 범주의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를 구안하고,텔파이방법을 통하여 평가준거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를 구안하기 위해서 농촌어메니티의 특성을 구명하였고,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농촌어메니티의 주요영역들을 총 16개로 범주화하여 정리하였으며,이를 서술식 응답내용을 유목화 하기 위한 내용분석의 도구로서 사용하였다.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패널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전통적 텔파이방법을 실시하였다. 농촌어메니티 관련 교수,농촌어메니티 관련 연구원,현장전문가 등으로 구분하여 24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으며,1차부터 5차까지 개방형과 폐쇄형 방식을 병행하는 혼합형 방식을 사용하여 평가영역,평가항목,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준거는 5개 평가영역,10개 평가항목,20개 평가지표로 이루어졌다. 확정된 평가준거의 평가영역은 쾌적성,생태환경성,사회문화성,경제성,조화성이며,평가항목은 각 평가영역별로 2개씩 모두 1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평가지표 역시 각 평가항목별로 2개씩 모두 20개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에서 구명된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를 기초로 농촌어메니티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각각의 지자체,마을 등에 적합한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 개발의 실증 연구,농촌어메니티 평가의 중요 성과 농촌어메니티 평가준거에 대한 인식제고 연구,또한 개발된 평가준거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구명하기 위한 가중치 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확립된 각각의 평가 요소를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평가 자료를 수집하는 방안이나 실제 농촌현장에서 평가준거를 활용할 수 있는 농촌어메니티 평가시스템에 대한 연구 등이 후속 연구로 요구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rural amenity. To verify the selected 16 evaluation criteria, the Delphi Method was implemented. 5-step Delphi Method consisting of a mixture of open-ended and close-ended forms, with a panel of 24 experts, the researcher verified 5 evaluation areas, 10 evaluation items, and 20 evaluation indexes. The confirmed evaluation areas are pleasantness, ecological-environment, social-culture, economy, and harmony. The evaluation items were consisted of 10 items, two for each evaluation area and the evaluation indexes were consisted of 20 items, two for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ree following studies.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rural amenity for related local businesse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rural amenity, the concept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rural amenity and the weighting values. Thi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various aspects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rural amenity. finally, this study is suggestion to study that may about evaluation system for rural amenity.

      • KCI등재후보

        축구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의 비교

        엄한주 ( Han Joo Eom ),김목수 ( Mok S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축구 기초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축구경기의 주요 기술인 헤딩, 지그재그 드리블, 롱 킥, 드리블 슛, 슛, 센터링, 30m 드리블, 10m 왕복 드리블 등 8개의 측정항목을 선정하여 중(n=112), 고(n=133), 대학교 선수(n=114)들을 대상으로 축구기술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와 측정자료의 관련성을 상관 및 교차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선수들의 종합경기력 평가점수와 가장 관련이 깊은 기술요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기술 8개 측정항목의 결과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에서는 대학생이 현저하게 우수한 기록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고교생, 중학생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에서는 대학생과 고교생 집단은 뚜렷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자료와 각 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두 자료의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일치성은 매우 낮았다.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스포츠 기술의 객관적 측정 및 평가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지도자의 종합경기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결과, 중학생 집단은 기술의 정확성과 기초체력에 관련된 변인, 즉 ``패스의 정확성``, ``돌파력``, 그리고 ``10m 왕복 드리블``이 가장 관련이 많았으며, 고교와 대학 집단은 전반적으로 복합적인 요인, 즉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 항목인 ``경기감각``, ``연결동작``, ``킥 및 득점력``이 종합경기력 점수와 가장 관련이 높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for soccer skill performances. Eight test items, such as heading, zigzag dribble, long kick, dribble shoot, shoot, centering, 30m dribble, and 10m shuttle dribble, were devised based on valid measurement procedure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basic soccer skill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59 varsity soccer players (112 junior high, 133 senior high, and 114 university athletes)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mean performance of each skill test among the 3 groups. Correlational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measures of the tests and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corresponding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of the participating players. From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being expected, the comparison of the mean performances among the 3 groups revealed that the university group was prominent in all 8 skill tests, followed by the senior high and junior high school players. 2. It was shown that the coach`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layers` performance on each test was not quite in agreement with the field test scores. In most test items, there was a moderate size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scores and the coach`s evaluation. However,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was not large enough to grant practically meaningful interpretations. 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of the overall playing ability consisted of mostly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 KCI등재

        유형론적 관점에서의 한중 ‘평가성 형태’ 대조 연구

        고은미,단명결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4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43

        평가성 형태(Evaluative Morphology)란 형태론적 수단에 의한 평가 표현으로 언어가 명제 외에 표현하는 주관성 범주와 관련되는데, 음운, 어휘, 형태, 구문 중 ‘형태(morphology)’를 통해 드러나는 평가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Scalise(1984)는 이탈리아어에서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지도 않고, 문법적 의미도 없는 표현력 증진 혹은 부가적인 주관의미만을 나타내는 형태를 발견하고, 이를 평가성 형태로 명명하였다. 평가성 형태는 기존의 파생과 굴절로는 설명할 수 없기에 제3의 형태(third morphology)라고 불리며, 인도유럽어에서 비교적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인도 유럽어에서 보편적인 평가성 형태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고자, 평가성 형태 이론을 근거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평가성 형태의 유형을 귀납하고, 유형별 평가의미를 분석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접미사가 발달하였는데, 한국어의 평가성 형태는 ‘허화된 파생접사’, ‘중첩(완전 중첩, 부분 중첩, 음운 중첩)’으로 실현된다. 명사 평가성 형태는 ‘물질(구성원)의 증대’를 통한 부정 의미, 동사 평가성 형태는 ‘동작(강도, 다중성) 증대’를 통한 부정 의미, 형용사 평가성 형태는 ‘질(속성)의 증대’를 통한 부정 의미, 부사 평가성 형태는 ‘상황(시간, 방식)의 축소나 증대’를 나타낸다. 한국어의 경우, ‘증대-긍정’, ‘증대-부정’이라는 평가 공식을 발견하였으며, 형태 유형에 있어서 접사를 통해 '부정 의미'를 다수 나타내며, 중첩형 의태어를 통해서 '긍정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형태 변화가 없는 고립어로 평가성 형태가 주로 방언의 접사와 중첩(완전 중첩, 부분 중첩), 중첩+접사형으로 실현된다. 명사 평가성 형태는 ‘물질(크기) 축소’를 통한 긍정 의미, 동사 평가성 형태는 ‘동작(강도, 다중성)의 증대’를 통한 부정 의미, 형용사 평가성 형태는 ‘질(속성)의 증대’를 통한 긍정 혹은 부정 의미, 부사 평가성 형태는 ‘상황(시간, 방식)의 축소나 증대’를 나타낸다. 중국어는 기존의 접사, 중첩, 소칭 등의 개별 선행연구 결과가 평가성 형태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소칭(축소)-긍정’, ‘증대-부정’이라는 평가 공식을 발견하였다. 또한, 중국어 표준어에는 평가성 형태의 유형이 중첩 외에는 거의 드물기에, 형태가 아닌 어휘, 통사에 의해서 평가성이 다수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바 향후 이에 대한 진일보한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Evaluative morphology refers to the expression of evaluation through morphological means, relating to the category of subjectivity expressed by language beyond propositions. Scalise(1984) discovered forms in Italian that do not create new words or carry grammatical meaning but only enhance expressiveness or convey additional subjective meanings. He named these forms “evaluative morphology”. Since these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derivation and inflection, they are called the “third morphology”, and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m, particularly in Indo-European languages.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has well-developed suffixes. Evaluative morphology in Korean is realized through bleached derivative suffixes and reduplication. Noun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negative meanings through the increase of material(members). Verb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negative meanings through the increase of action (intensity, multiplicity). Adjective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negative meanings through the increase of quality(attributes), and adverb evaluative morphology indicates the reduction or increase of situations(time, manner). Chinese, being an isolating language without morphological changes, realizes evaluative morphology primarily through dialectal suffixes, reduplication, and reduplication+suffix. Noun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positive meanings through the reduction of material(size). Verb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negative meanings through the increase of action(intensity,multiplicity). Adjective evaluative morphology conveys positive or negative meanings through the increase of quality (attributes), and adverb evaluative morphology indicates the reduction or increase of situations(time, manner).

      • KCI등재

        The Effect of Prior Performance Information on Leniency in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Jeong-Hoon Hyun 한국정부회계학회 2021 정부회계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주관적 성과평가(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과정에서 평가 척도 점 수를 부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평가자의 관대화 경향이 전년도 성과 정보에 영향을 받는가 에 대해 분석한다. 성과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객관적 성과지표 점수 또는 척도 점수의 중간 값을 관대화 경향의 기준점(benchmark)으로 이용하고, 횡단면 연구(cross-sectional research)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관대화 경향의 지속성 여부 및 전년도 성과 정보의 당해 년 도 관대화 경향에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당해 년도 성과 점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전년도 성과 점수를 기본으로 한 기준점을 바탕으로 관대화 경향을 계측한다. 이와 같이 새로 개발된 관대화 경향 변수를 바탕으로 (1) 관대화 경향이 시간이 지 나도 지속되고, (2) 전년도에 성과점수가 낮고(높고), 덜(더) 관대하게 평가 받은 피평가자에 대해 당해 년도에는 관대화 경향이 크다(작다)는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결과 는 평가자의 인센티브가 전년도 성과 정보에 따라 좌우될 수 있고, 그 경향이 지속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supervisors’ leniency in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influenced by the prior performance information of subordinates. While prior studies have used proxies for leniency based on aggregate objective performance level or median of subjective scales, I develop the proxy for leniency at the performance measure level based on prior performance level which is found to be more relevant to the current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I analyze archival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multiple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 Korea over multiple time periods which enables me to develop the new definition of leniency. Utilizing this data set, I empirically find that lenient rating persists over time, and that larger (smaller) amount of leniency is applied to low (high) prior performers and harshly (leniently) evaluated performers in the previous period.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incentives of raters which differ with respect to their previous performance information.

      • KCI등재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평가와 국가기관 신뢰에 대한 실증적 분석 :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 분석

        정일준(Chung Il Joon),김상돈(Kim Sang Do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의식, 국정운영 평가, 국가기관 신뢰에 대해 참여정부 5년(2003~2007)을 비교의 대상으로 경험적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형검증의 추정결과, 첫째, 주관적 계층의식의 인과변인에 있어 2003년도에는 수학년수와 직업위세라는 두 가지 변인이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도에는 사회경제적 지위변인이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정운영 평가의 인과변인에 있어, 2003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로그소득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기관 신뢰의 인과변인으로 2003년도에는 직업위세가 부의 영향인 데 비해 로그소득은 정의 영향으로, 2004년도에는 수학년수가 부의 영향으로, 2005년도에는 수학년수가 정의 영향으로, 2007년도에는 직업위세가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계층의식이 국가기관 신뢰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은 2003년과 2004년, 2006년과 2007년도에는 밀접한 관련성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정운영 평가가 국가기관 신뢰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은 참여정부 5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 직업, 소득변인이 국정운영 평가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이 참여정부 5년 모두 주관적 계층의식에 전혀 매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2006년 자료에서는 수학년수는 주관적 계층의식에 의해 부정적으로 매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government evaluation, trust in state institution. A set of hypotheses we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ment by using KGSS(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3-2007) Module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occupation prestige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 in 2003, while,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uch as education, occupational prestige, income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 in 2004 and 2005, 2006 and 2007. Second,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on Government evaluation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2003. The unit effects of schooling years and incom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2003. Third, The unit effects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n state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in 2003, 2004, 2006 and 2007. The unit effects of government evaluation on state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in all 5 years of participatory government. Lastly,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trust in national institutions, and its indirect effect via schooling years is also on government evaluation and trust in state institutions all through participatory government’s rule.

      • KCI등재

        반폐쇄성도훈련의 주관적 음성평가에 대한 메타분석

        김재옥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SOVTE) using tube or straw phonation on subjective voice (auditoryperceptual and patient’s self) evalua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honia, which was analyzed by Meta-analysis. We also examined if a difference in subjective voice evaluation by subtype of SOV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bration source exists. Methods : Nine studies published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18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9 databases (RISS, Cochrane, EBSCO, EMBASE, ERIC, ProQuest, PsycINFO, PubMed, Science Direct). These nine studies were divided into 13 subjects by dysphonic type and SOVTE subtype, and their effect sizes and mean effect size were calculated using Hedges’ g.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uditory-perceptual voice evaluation (G, R, and B sca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moderate effect size after SOVTE. In self voice evaluation, the total score of Voice Handicap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vo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total score of Vocal Tract Discomfort Scale was unchanged. In addition, the SOVTE subtype by the number of vibration source did not impact auditory-perceptual and self voice evaluation. Conclusions : The study revealed that SOVTE using tube or straw phon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voice quality in patients with dysphonia. 목적 : 본 연구는 최근 음성장애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빨대 발성을 이용한 반폐쇄성도훈련(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SOVTE)이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자가 음성평가의주관적 음성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메타분석을실시하였다. 또한 SOVTE의 진동원 수에 따른 하위 중재 유형에 따라 청지각적 및 자가 음성평가에미치는 효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RISS, Cochrane, EBSCO, EMBASE, ERIC, ProQuest, PsycINFO, PubMed, Science Direct)를 통해 2000년부터2018년 사이에 학술지에 게재된 빨대 발성을 이용한 SOVTE의 주관적 음성평가 효과에 관한 국내외문헌들 중에서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총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연구대상과 중재방법에 따라13편으로 구분하여 Hedges’ g를 사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메타분석 결과, SOVTE를음성장애 환자에게 실시하였을 때 청지각적 음성평가인 G, R, B 척도 모두에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내 SOVTE가 음질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가 음성평가에서는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음질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음성불편감척도(Vocal Track Discomfort Scale)는 SOVTE 실시 전과 후에 차이가 없었다. SOVTE의진동원 수에 따른 하위 중재 유형(빨대 끝을 물속에 넣거나 공기 중에 노출)에 따른 효과는 청지각적및 자가 음성평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빨대 발성을 이용한SOVTE는 음성장애 환자의 음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