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Customer-Subcontractor Relationship on Subcontractors’ Accounting Choices

        허진숙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1

        [Purpose]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customer-subcontractor relationship on the subcontractor’s accounting choice. Subcontractors want to mainta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large customers. For subcontractors, relationships with large customer create two conflicting incentives. Since large customers want stable supply partner that can observe delivery due date and quality, subcontractor have an incentive to report stabl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f profits are excessive, pressure to lower unit prices may increase from large customers, so there is also an incentive to report earning to a low level. In this paper, we analyze whether subcontractors have a high incentive to report stable earning or a high incentive to report low earning. [Methodology]This study used earning smoothing to measure incentives to report stable earning levels of subcontractors, and discretionary accruals were used to measure incentives to report low earnings. Using data from 2004 to 2014,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ning smoothing and earning downward adjustment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by comparing companies that are large customers’ subcontractors and those that do not. [Findings]As a result of test, it was found that subcontractors chose earning downward adjustment rather than earning smooth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subcontractors’ accounting choice tendency to avoid pressure to lower unit prices due to excessive earning rather than incentives to mainta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large customers by reporting stable earnings. [Implications]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transactional relationship is a factor that can affect the subcontractors’ accounting choices. It also showed that the transactional relationship is another governance structure that can affect the decision-making of subcontractors without an equity relationship. Finally, previous studies on the earning downward adjustment studied this behavior in specific circumstances, but this study showed that earning downward adjustment may occur even in continuous transaction relationships.

      • KCI등재

        협력사의 계약환경이 협력사의 회계선택에 미치는 영향

        허진숙 글로벌경영학회 202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effect of the business relationship of large customers and subcontractors on the downward adjustment of subcontractors' profit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ntract environment of subcontractors. Subcontractors may show a downward earning trend on average compared to a company without a partner relationship, but discretionary earnings management cannot be used continuously.The situation in which subcontractors must use the downward earning adjustment may be discriminatory depending on the subcontractors contract environment..In this paper, information asymmetry, profitability of subcontractors, profitability of large customers, and bargaining power of subcontractors were used as contract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9,205 listed companies from 2004 to 2014, only when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large customer-subcontractors was high, the downward earning management was found. High information asymmetry means that earnings management opportunities increase. In addition, a downward earning management was observed only when prices-cut pressure increased, such as when the profitability of subcontractors increased or when the profitability of large customers decreased. This suggests that the subcontractors' downward earning management is not a regular accounting choice, but rather an accounting choice to alleviate unit price cut pressure. In addition, only when the bargaining power of subcontractors is relatively low, the tendency of downward earning management was observed. This indicates that subcontractors who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customer's request for unit price reduction have a high tendency of downward earning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fforts of subcontractors to improve unequal negotiating power against large companies, such as diversifying their customers, can have an impact on accounting choice. In addition, downward earning management can be observed not only in specific circumstances, but also in regular contractual relationships,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ontribution point in that it shows that the incentive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ntractual environment of subcontractors. 본 연구는 대기업 고객사와 협력사의 거래관계가 협력사의 이익의 하향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협력사의 계약환경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협력사가 협력관계가 없는 기업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을 나타낼 수는 있으나 재량적 이익조정은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협력사가 이익의 하향조정을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은 협력사가 처한 계약환경에 따라 차별적일 수 있다. 본 논문은 계약환경으로 고객사-협력사의 정보비대칭, 협력사의 수익성, 고객사의 수익성, 협력사의 협상력을 사용하였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총 9,205개의 기업을 분석한 결과 고객사-협력사의 정보비대칭이 높은 경우에만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이 나타났다. 정보비대칭이 높다는 것은 이익조정의 기회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협력사의 수익성이 증가하거나 고객사의 수익성이 감소한 경우와 같이 단가인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만 협력사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협력사의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이 상시적인 회계선택이 아니라 단가인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회계선택임을 시사한다. 그밖에도 협력사의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만 협력사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이 관찰되어, 고객사의 단가인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협력사에게서 이익의 하향조정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협력사가 고객사를 다변화 하는 등 대기업과의 불평등한 협상관계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회계에도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익조정이 특정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상시적인 계약관계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고객사-협력사의 계약환경에 따라 차별적으로 그 유인이 달라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하도급계약에 따른 법률관계 분석

        남기연(Nam, Ki-Yeon) 한국재산법학회 2011 재산법연구 Vol.28 No.3

        도급계약을 근거로 도급인으로부터 일을 완성하기로 약속한 수급인은 원칙적으로 자유로이 이행보조자 또는 이행대행자를 사용하여 작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행토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급인이 일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완성을 제3자인 하수급인으로 하여금 수행토록 하는 수급인과 하수급인 사이에 계약을 하도급계약이라 하며, 주로 건설이나 자동차, 조선 사업과 같이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곳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하도급거래관계에서 도급인이나 수급인에 비해 경제규모 등에서 열악한 위치에 있는 하수급인의 권리보호를 위해 특별규정이 등장하게 되었다. 우선 수급인과 하수급인 사이의 하도급계약은 당사자의 계약자유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지만, 하도급법과 같은 특별법에서 하수급인을 보호하고자 수급인에게 의무를 부담시키거나 금지행위를 규정하고 있는데, 수급인의 서면교부의무와 부당한 대금감액 금지 및 대금지급보증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계약자유의 원칙을 제한하면서까지 일방 당사자의 권리를 강화시키고자 하는 특별규정의 목적과 그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도급인과 하수급인 사이에는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기 때문에, 도급인은 하수급인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하수급인은 도급인에 대하여 민법 제391조에 따른 수급인의 이행보조자로서의 지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수급인의 권리보호라는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도급인의 하수급인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부과하는 특별규정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하도급법상 하수급인의 도급인에 대한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청구권과 근로기준법상 하수급인 근로자의 임금채권 보장에 관한 내용이다. 이렇게 하수급인의 권리보호를 위한 특별규정을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느냐이다. 소위 약자보호라는 관점에서 하수급인에게 애초에 없었던 권리를 부여한 것이냐 아니면 하수급인이 당연히 누려야할 권리를 확인하는 것이냐이다. 하수급인으로서는 일의 완성에 있어 자신의 노력을 기여하였고, 일의 완성에 따라 궁극적인 이익을 얻는 자가 도급인이라는 점에서 볼 때, 하수급인에 대한 권리 내용은 당연히 가져야 할 것을 규정을 구체화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하수급인의 권리에 관한 특별규정은 약자보호측면에서 소위 베푸는 관점에서 볼 것이 아니라 하수급인이 본래 누려야 할 권리를 그 요건과 내용 및 효과에 있어 구체화할 필요성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is contractual in nature, it is generally observable that the status of the subcontractor is protected from undue influence by the principal contractor within the framework of special provisions for the status of subcontractors in the Fair Transaction in Subcontracting Act. For example, principal contractors are obligated to issue and submit written documents to the subcontractors and they cannot compel the subcontractors to reduce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initiation of manufacturing, etc. Moreover, under this Act, it is possible for subcontractors to request that the original client or developer pay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where payment has been suspended, the principal contractor is bankrupt, or similar circumstances arise. At the same tim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cases where the subcontract agreement is made, an immediate upper-tier contractor shall directly pay the workers employed by a subcontractor an amount of money equivalent to the wages which the subcontractor shall pay at the request of workers employed by such subcontractors. Unlike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bound by a direct contractu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or owner, or developer) and subcontractor is distinct in that it is constituted by law without mutual consent of the parties concerned. Thus an important question is how should these special provisions for the protection of subcontractors be understood? In other words, are these exceptional provisions for subcontractors a way to protect the weak from the strong (principal contractors), or are they the natural, logical results originating from the inherent rights of subcontractors? Given that subcontractors have provided diverse services and efforts for the completion of the ‘Work’ and that the ultimate beneficiary of the ‘Work’ is the client (or developer), these special provisions for protecting subcontractor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aterialization of the inherent and essential rights of subcontractors. In other words, these special provisions should be understood as legislative efforts for the materialization and concretization of the inherent and essential rights of the subcontractors, rather than as the special protection of the weak from the strong. These aspects of the nature of the special provisions on the status of subcontrac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the relevant statutory laws are to be modified or revised in the future.

      • KCI등재

        건설하도급 법률관계의 비교법적 일고찰

        이세중 국제거래법학회 2016 國際去來法硏究 Vol.25 No.1

        국제건설산업은 발주자, 시공자, 하수급인, 공급업자 등 다양한 참여주체가 여러 계약관계로 얽히고, 자금조달을 위한 Project Finance 등 다양한 금융기법이 동원되며 첨단 건설기술과 산업경제적 고려가 가미되는 국제거래의 종합판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건설분야에서 활발히 활약하는 국내건설산업 또한 대한민국의 경제, 산업, 기술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작지 않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국제건설산업에서 하도급 법률관계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본고에서는 한국법과 프랑스법, 영국법에서 규율하는 건설하도급 법률관계의 내용을 검토하고 각 법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국제건설산업에서 하도급분쟁에 적용될 수 있는 법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법, 프랑스법의 하도급 법률관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얻은 결론은, 프랑스법에서 연원하는 직접소권의 성격과 특징을 통해 우리 하도급법도 법정책적 측면에서 더 발전된 하도급법의 개정과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여진다. 즉 프랑스에서는 하도급과 관련한 제반 문제점들을 입법적으로 구체화하여 해결함과 아울러 판례상으로도 적극적으로 하수급인의 보호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하도급 거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것이며, 또한 프랑스법상 지급보증제도나 하도급 승인제도의 시행, 하수급인의 직접지급청구권의 강력한 채권담보 기능에 비례하여 하수급인의 제도 남용과 악용으로 인한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으므로 우리법의 정비나 해석에 있어서 당사자 자치와 형평성의 문제도 균형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한편 영국법제의 하도급 법률관계는 프랑스나 한국의 전개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이나 프랑스법계는 하도급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특별법의 제정을 통해 이를 규율하고 있으나 영국에서는 하도급 법률관계만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특별법은 보이지 않으며, 개별 법률에서 하도급 법률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조항들이 있긴 하지만 「HGCRA1996 Act」의 ‘Pay-when-Paid’ 금지조항을 제외하고는 하도급 법률관계를 주된 규율대상으로 한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한국과 프랑스법에서 중요한 쟁점중 하나인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의 문제에 대해, 영국법제하에서 하수급인이 도급인에게 하도급 대금을 직접 청구하기 위해서는 「Contracts (Rights of Third Parties) Act 1999」 상으로 도급인과 원수급인간에 하수급인이 이를 직접 청구할 수 있도록 원도급계약에 정해야 하므로 이는 사실상 한국 하도급법 제14조의 3자간 합의지급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강제성이 없으므로 하수급인 보호에 다소 미흡하다고 보여진다. 오히려 영국법에서는 발주자 지정 하수급인(Nominated-Subcontractor)의 문제가 큰 쟁점중 하나로서 활발한 판례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프랑스 하도급법상 발주자의 하도급 승인제도의 대척점에 있는 제도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이므로 영국 판례상 축적된 판례와 법리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various partners such as owners, contractors, sub-contractors and suppliers are entangled in multiple contractual relationships, and the various financial techniques such as Project Finance are used for financing, and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is developed with the context of industrial economic effectiveness. That is why it can be called ‘total mixture of international trade’.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s played vital role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sector has huge influences on the economic,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nstruction subcontract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has such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paper the author sought to review the contents of a construction subcontractor legal relationship governing in Korean, French and English law, and to broaden understanding of the leg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subcontractors disputes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legal system. After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ubcontract leg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French law, the conclusion is that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Action Directe’ which has the origin in French law, Korean Subcontract law also be made more advanced revision in the context of legal policy. In French legal system, it resolved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construction subcontract by the legislative implications as well as actively seeking ways of protecting subcontractor by the judgment of the court, that will give suggestions to solve our problems related to the subcontract relationship. In this regard, in proportion to the strong guarantee function of ‘Direct claim of subcontractor system’ ‘Payment guarantee system’, and ‘Approval of subcontract system’ in French law, some problems emerged due to institutional abuse and exploitation of legal system by subcontractor. For this reason, we also need to consider equity and party autonomy in the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our legal system in protecting subcontractor. Meanwhile, the English subcontract law and regulations are showing a slightly different aspects and deployments comparing to French and Korean law. In French and Korean legal system, it is governed through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dealing directly with th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In English legal system, there is no special law dealing directly with the subcontract legal relationship, but there are provisions that can be applied to subcontract relationships in individual law. ‘Pay-when-Paid’ provision of ‘Housing Grant and Construction Regeneration Act 1996’ is a typical provision which deals with subcontract relationship. In particular, regarding the issue of direct claims from subcontractor to owner,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Korea and French law, there is no law governing them directly in English legal system, but 「Contracts (Rights of Third Parties) Act 1999」 is dealing indirectly with this issue. In order to directly claim the payment from subcontractor to owner in English law, owner and contractor must agree on the direct claim by subcontractor according to 「Contracts (Rights of Third Parties) Act 1999」, which means that theres are no previous compulsory provisions like the French and Korean subcontract law that allow subcontractor to claim directly to owner without previous consent, and look insufficient to protect the subcontractor. In English law, the concept of ‘Nominated-Subcontract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nd the very opposite concept to the ‘approval of subcontract by owner’ in French law, we need to have keen considerations on the active discussions and the progress of the various cases about ‘Nominated-Subcontractor’ in English courts.

      • KCI등재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의 우선권성

        오수원(Oh Su-Won)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8

        「하도급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4조는 하수급인의 도급인에 대한 직접지급의무의 형식으로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을 규정하고 있고, 그 제2항은 도급인의 하수급인에 대한 직접지급사유가 발생한 경우 수급인에 대한 도급인의 대금지급채무와 하수급인에 대한 수급인의 하도급대금 지급채무는 그 범위에서 소멸한 것으로 본다. 그럼에도 일부이론에서는 하수급인에 대한 직접지급 사유가 발생하기 전에 수급인의 다른 채권자가 압류 등 선행처분을 한 경우에는 같은 조 제2항과는 달리 수급인이 도급인에 비하여 자력이 견실한 경우에는 수급인의 채권이 소멸 하지 않는 것이 하수급인의 이익에 부합하고 그것이 당사자의 의사에 합치할 수 있고, 이를 존속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거래안전을 해치며, 직접지급 사유발생으로 도급인의 채무나 수급인의 채무가 소멸한다면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항변권이나 수급인의 하수급인에 대한 항변권이 상실하게 된다는 등의 이유로 수급인에 대한 도급인의 대금지급채무는 소멸하지 아니하며, 나아가 이들 압류 등 선해처분을 한 채권자가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하수급인에게 우선한다고 본다. 판례 중에도 같은 내용의 것이 있다. 그러나 수급인의 자력이나 도급인의 자력여하나 하수급인의 이익 또는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특별법이 규정한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아니할 수는 없다. 거래안전은 하나의 이념으로서 입법이나 법해석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성질의 것이지만 이를 이유로 실정법, 그것도 특별한 보호대상이 있어서 만든 특별법까지 실효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만약 거래안전이나 제3자 보호를 이유로 이러한 특별법을 실효시킬 수 있다고 한다면 이들 특별법은 모두 불필요한 것이 될 것이다. 직접청구 사유발생으로 도급인의 채무나 수급인의 채무가 소멸한다고 해서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항변권이나 수급인의 하수급인에 대한 항변권이 모두 상실하게 되는 것도 아니고 상실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은 그 채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별법으로 인정한 것이며, 직접청구권에서 채무자의 제3 채무자에 대한 채권이 존속하든 소멸하든 어느 경우에나 제3채무자가 직접청구권자에게 독립된 채무를 부담하는 것이고,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채무가 존속한다는 이론과 판례에 따르더라도 특별법에 의해 발생한 도급인의 하수급인에 대한 직접지급의무가 소멸할 이유가 없다. 또 수급인의 도급인에 대한 채권에 관한 다른 채권자의 압류 등 선행처분은 수급인의 권리의 승계를 전제로 하는 것이고, 하수급의 경우에 수급인의 다른 채권자는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발생으로 소멸되는 채권을 승계하는 것이므로, 제3자의 압류 등 선행처분이 있더라도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채무가 소멸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하도급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4조 제2항의 문언대로 하수급인에 대한 도급인의 직접지급사유가 발생하면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채무가 소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그럼에도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 발생 전에 수급인에 대한 도급인의 대금지급채무에 대한 압류 등 선행처분이 있으면 이것이 소멸하지 아니한다고 하여, 이를 전제로 선행행위자들이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에 우선하는 것으로 보는 이론과 판례는 합리적인 근거도 없이 법문에 반하는 해석을 한 것일 뿐만 아니라 특별법으로 규정한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을 쓸모없게 만드는 것이다. The article 14 of the Korean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prescribes that the person ordering shall pay remuneration for the result of the work to the subcontractor, when the principal contractor is bankrupt; the agreement upon the direct payment has been made; the principal contractor has failed to pay to the subcontractor two or more installments of remuneration; or the principal contractor has not fulfilled his/her obligation to provide mortgage. The paragraph 2 of this article prescribes that the obligation of the person ordering to pay remuneration to the contractor extinguishes if an event in the preceding paragraph occurs. It is said that this kind of legal figure is an direct action. According to some opinions, if a third party takes an initiative by means of seizure of claim or provisional seizure, prior to the direct action of the subcontractor, the obligation of the person who ordered for work to the contractor cannot extinguish for the sake of the subcontractor"s interest, the safety of transaction, or the performance of the defences for the person who ordered work against the contractor, in spite of the paragraph 2. And from the premises, they maintain the opinions that a third party should have priority over the subcontractor who has a direct action. Also several judicial precedents accepted the logic presented by these opinion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positive law should not be changed on a voluntary basis of the subcontractor. The safety of transaction is an ideology considered in legislation or in the interpretation of law, but any ideology cannot make a positive law void without the change of the law. If it is possible, all the special laws intending to protect a special object will be useless. And all the defences for the person who ordered work could not extinguish with extinction of his obligation to the contractor. In general, the direct action for the subcontractor is recognized by a special law. The obligation of the person who ordered for work against the subcontractor has little or no relationship to his/her obligation against the contractor. The existence of this obligation against the contractor could not extinguish the direct action for the subcontractor. A third party who takes a preceding action succeeds the claim of the contractor which extinguishes with the direct action for the subcontractor. These are reasons why the third party could not be prior to the subcontractor. So according to the words specified in the Article 14 of Korean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the obligation of the person who ordered for work to the contractor extinguishes even if there is a preceding act before the direct action of the subcontractor, and the general third party cannot have priority over the subcontractor who has direct action to the person who ordered work.

      • KCI등재

        건설업 협력회사 안전수준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윤 ( Jae Yun Lee ),오태근 ( Tae Keun Oh )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2

        Subcontractors have an increased risk of accidents compared to large contractors. Subcontractors` safety management system is in close association with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Contractors should strengthen subcontractors` roll and responsibility and provide continual support to prevent an accident. And also these support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to subcontractors` headquarters as well as construction site. Contractors` priority management for subcontractors safety should be transferred from the post management for disciplinary action to the preventive management to improve subcontractors participation and safety performance. Subcontractors can not establish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just a one time supporting only. Contractors support and monitoring should be provided to subcontractors regularly and continuously to establish their self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subcontractors safety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program(SSMSIP)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a effective supporting system for subcontractors to establish and improve their safety management system. If we carry out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and supporting system such as SSMSIP and provide the consequential incentive program to subcontractors, it can contribute to the accident reduction

      • KCI등재후보

        건물공사 하수급인의 유치권

        노종천(Roh Jongchu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論叢 Vol.24 No.-

        건물의 부분공사의 하수급인이 공사대금을 이유로 공사한 건물에 대하여 점유 및 그에 관한 유치권을 주장하는 경우, 도급인이나 수급인은 불법점거에 기한 업무방해 등의 형사고소를 함으로서 형사사건화 하는 일이 증가추세에 있다. 한편으로는 민사상 목적 건물의 명도를 구하는 소송이 함께 진행되기도 한다. 이 경우 형사법적 처리는 하수급인이 적법한 점유 및 유치권을 행사하는 것인지, 또는 불법점거에 의한 유치권 성립이 부정되는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그런데 종래의 해석론이나 기존의 민법 교과서에는 이에 관한 구체적 해석론이 없어, 형사법적 처리를 위하여 민사재판의 결과를 기다렸다 처리하는 경우도 생긴다. 즉 문제해결의 핵심은 민사상 건물공사의 하수급인에게 유치권이 인정될 수 있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유치권이 법률상 성립하는 법정물권임에도 하수급인에게 유치권이 성립하는 가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두가지 측면에서 파악된다. 첫째는 부동산유치권의 공시의 원시성이고, 둘째는 하수급인의 유치권 성립여부에 관한 구체적 해석론이 미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시된 문제에서 건물공사의 하수급인에게 유치권이 인정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논구하여, 하수급인에게 그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건물의 부분공사의 하수급인은 채권과 목적물간의 견련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 점유하고 있는 물건에서 발생한 채권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부분공사의 하수급인은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지 않아 점유의 요건도 결여한다. 결국 부분공사의 하수급인에게는 유치권이 인정될 수 없다. 경제적 약자로서의 하수급인을 전제로 하더라도 이해관계의 조정, 사회평화, 거래안전, 형평성의 기준 가운데 어떤 기준에 의해서도 건물의 부분공사의 하수급인의 유치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런 결론은 유치권을 행사하기 위한 사적 물리력의 행사와 그에 따른 새로운 법률분쟁의 파생을 예방할 수 있는 차원에서 실익이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유치권을 주장하기 위하여 하수급인이 물리력을 동원하게 됨으로서 형사처벌 등의 불이익을 받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형사실무에 적용하여 형사문제해결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하수급인 보호를 위한 제도나 절차를 진행하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problem in the first chapter. I analyze chapter Ⅱ whether the case had the existence requisite of the lien. And I present the conclusion about the lien human desire yes or no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of the subcontractor chapter Ⅲ. The case which the subcontractor insists the lien in an building construction for the construction cost credit. The building owner or contractor denies the existence of the lien. And then do the detective complaint for the reason to hinder the business, present a civil affairs delivery lawsuit. Namely, the problem of the subcontractor of a lien contention stretches at a civil affairs detective and gets up. We must determine the lien recognizing to a civil law subcontractor we serve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The problem of the detective. The processing can be altered according to the subcontractor of such civil affairs. These case which are suggested in the paper, The problem to hinder the business by the occupation does not come into being, If the objective occupation of the subcontractor is the event of legal lien. On the other hand, If the lien does not form, Unlawful occupation becomes and formes business interference about the contractor or the possossor. However, We have the difficulty of a detective business processing, because of the leading research about an real estate subcontractor lien does not exist, except the special cases. Accordingly, I treated and studied on the lien could be formed to the subcontractor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in this theory is suggested the problem, and then I try to offer the criteria for the subcontractor. We may become the data of the detective problem solution with the conclusion to get applies at the detective business. And we can be utilized to the system and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subcontractor.

      • KCI등재

        수급사업자의 직접지급청구권과 원사업자의 채권자에 의한 공사대금채권의 가압류

        양형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Article 14 of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stipulates a claim for direct payment that allows the subcontractor to directly demand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to the client (person placing an order) if a certain ground occurs, in order to prevent the subcontractor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of a chain of defaults on checks due to the contractor (prime contractor)’s delay in payment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According to judicial precedents, however, if there is a provisional attachment, etc. on the contractor's construction consideration claim against the client, the claim of which execution has already been preserved is not extinguished, even though a ground for direct payment occurs after that. Consequently, if there is a competition between a provisional attachment, etc. on construction consideration claim by the contractor's creditor and the subcontractor's claim for direct payment, the one that first reaches the client, among a notice of attachment determination from the court, etc. and the subcontractor’s request for payment, has validity, which is inadequate in protecting the subcontractor. Paragraph 4, Article 14 of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presents a provision which is intended to protect the client: when the client pays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directly to the subcontractor as the relevant subcontractor has requested direct payment, he/she shall pay it minus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that has already been paid to the contractor. However, if the subcontractor who has not received full repayment of the subcontract consideration exercises a lien on completed subject matters, the client is in danger of duplicate payment, even though he/she has entirely discharged his/her contract consideration obligation on the contracto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provision under which when the client discharges the obligation of subcontract consideration payment within the range of the contractor's contract consideration claim, the subcontractor cannot exercise a lien on the client, along with a provision under which the contractor's contract consideration claim against the client cannot be attached or transferred legislatively within the range of the subcontractor's subcontract consideration claim. 하도급법 제14조는 원사업자의 하도급대금 이행지체로 인해 수급사업자가 연쇄부도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게 직접 하도급대금을 청구할 수 있는 직접지급청구권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판례는 원사업자의 발주자에 대한 공사대금채권에 가압류 등이 존재하는 경우, 그 이후에 직접 지급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이미 집행보전된 채권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로 인해 원사업자의 채권자에 의한 도급대금채권의 가압류 등과 수급사업자의 직접지급청구권이 경합하는 경우, 법원의 압류결정 통지 등과 수급사업자의 지급요청 중 발주자에게 먼저 도달한 쪽의 효력이 우선하게 되어, 수급사업자의 보호에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하도급법 제14조 제4항은 수급사업자의 직접지급청구에 따라 발주자가 하도급대금을 직접 지급할 때에는 원사업자에게 이미 지급한 하도급금액은 빼고 지급하도록 하여 발주자를 보호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하지만 발주자가 원사업자에 대한 도급대금채무를 전부 이행하더라도 하도급대금을 전부 변제받지 못한 수급사업자가 완성된 목적물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발주자에게 이중지급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입법적으로 수급사업자의 하도급대금채권 범위 내에서 원사업자의 발주자에 대한 도급대금채권을 압류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는 규정과 함께 발주자가 원사업자의 도급대금채권의 범위에서 하도급대금 지급채무를 이행한 때에는 수급사업자는 발주자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하도급법상 기술자료 보호에 관한 연구

        홍명수(Myungsu Hong)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명지법학 Vol.22 No.2

        The Article 12-3 of the Subcontracting Fairness Act(Subcontracting Act) was introduced through the amendment to prevent the theft of technical data of a subcontractor in an inferior position 2010, but there have been few cases of its application. In this situation, the KFTC's decision in the Samsung SDI case is a meaningful precedent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is regulation. In the case, the KFTC determined that the acts of failing to provide prior consultation and prior written issuance when requesting a source of authorization for the use of technology, failing to provide prior written issuance when requesting facility production drawings, and providing facility production drawings issued by the subcontractor to a third party violated Article 12-3 (2) and (4) of the Subcontracting Act. The KFTC took the position that the technical data in question corresponded to the technical data protected by the Subcontracting Act, that a written delivery that comprehensively and abstractly stated statutory matters could not be considered a legitimate written delivery, and that the technical data of the subcontractor c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technical data owned by the subcontractor, and that this judgment was in line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12-3 of the Subcontracting Act to protect the technology of the subcontractor in subcontracting transactions. Although the KFTC's conclusion seems reasonable, some arguments could be added to support it.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the technical data of the subcontractor, the unique significance of the subcontracting law in the overall legal order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of the subcontractor's technology, the enhancement of effective regulation of the situation where the infringement of the subcontractor's technology occurs indirectly, an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regulations under the subcontracting law can be used as arguments for identifying the technical data of the subcontractor as the technical data held by the subcontractor. 하도급법 제12조의3은 거래상 열등한 지위에 있는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 탈취를방지할 목적으로 2010년 개정을 통해 도입된 규정이지만, 동 규정의 적용 사례는많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SDI 사건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은 동규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의미 있는 선례가 되고 있다. 동 사건에서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술사용 승인원 제공을 요구하면서 사전협의와 사전 서면교부를 하지않은 행위, 설비 제작 도면을 요구하면서 사전 서면교부를 하지 않은 행위 그리고수급사업자로부터 교부받은 설비 제작 도면을 제3자에게 제공한 행위 등과 관련하여, 이상의 행위가 하도급법 제12조의3 제2항 및 제4항에 위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문제가 된 기술자료가 하도급법에서 보호 대상으로 하고 있는 기술자료에 해당하고, 법정 사항을 포괄적·추상적으로 기재한 서면 교부를 적법한 서면 교부로 볼 수 없으며,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가 수급사업자가 소유하는 기술자료로 제한하여 해석될 수 없다는 등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이러한 판단이 하도급거래에서 수급사업자의 기술을 보호하고자 하는 하도급법 제12조의3의 입법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결론은 타당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몇 가지 논거가 추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 이해와 관련하여, 수급사업자의 기술 보호와 관련하여 전체 법질서에서 하도급법이 갖는 고유한 의의, 수급사업자 기술 침해가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한 실효성 있는 규제 가능성 확보 그리고 하도급법상 관련 규정의 종합적인이해 등이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를 수급사업자가 보유하는 기술자료로 파악할 수있는 논거로서 원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하도급대금의 직접지급 청구와 관련된 채권배당절차 실무상 쟁점

        이동기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9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5 No.-

        In order to protect subcontractors who are economically weak in th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nd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low direct subcontracting of subcontracting proceeds to subcontractors. In case that the subcontractor 's subcontracting bill and the garnishment by the creditor of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compete with each other and the contractor makes the mixed deposit, various issues arise in the practice of dividend payout. In the case where the construction bonds of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are held by the advance garnishment, that i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eceding garnishment and the direct claim and the subsequent garnishment, the direct claim is not affected by prohibition disposal of advance garnishment. Since direct claims of the subcontractor are incompatible with the construction company's receivables, direct claims can not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execution, and the latter can participate in the dividend. The preceding garnishment which interferes with the generation of the direct claim shall be construed as including provisional attachment whose subcontractor has the right to pay the subcontract, and the subcontractor may withdraw provisional attachment and exercise the claim directly, before the contractor deposits. In the case of direct claims in the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the contract bonds of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and the direct claim of the subcontractor can coexist in the regulation, the garnishment of the construction bond can be contested with the direct claim after the direct claim is established,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revision of the legislator, it is reasonable that the direct claim of the subcontractor takes precedence, lik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Often in th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may be in bankruptcy or regeneration due to the financial weakness. In particular, if there is a precedent foreclosure prior to the direct claim, and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is bankrupt, if the preceding garnishment is brought to an end due to the bankruptcy sentence, a direct claim is made and the bankruptcy foundation is damaged, so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preceding garnishment is not invalid. In view of the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struction bonds of the immediately proceeding contractor to be invalidated if the direct claim to the subcontractor occurs under the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protect the subcontractor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legal relationship. 하도급계약관계에 있어 경제적 약자인 하수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과 건설산업기본법 등에서 하수급인의 발주자에 대한 하수급공사대금의 직접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다 하수급인의 하도 . 급대금청구권과 원사업자의 채권자들에 의한 압류가 경합하여 발주자가 혼합공탁을 하는 경우에 채권배당실무상 다양한 쟁점이 제기된다. 선행압류에 의하여 원사업자의 공사대금채권이 집행보전된 경우 즉 , 선행압류와 직접청구권과 후행압류와의 관계에서 직접청구권은 선행압류의처분금지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은 원사업자의 공 . 사대금채권과 서로 모순관계에 있기 때문에 집행보전된 범위에서 직접청구권은 성립하지 않고 후행압류권자는 배당에 참가할 수 있다. 직접청구권의 발생에 장애가 되는 선행압류에는 하수급인이 하도급공사대금을 피보전권리로 하는 가압류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하고, 이때 하수급인은 발주자가 공탁하기 전에 가압류를 취하하고 직접청구권을행사할 수 있다. 건설산업기본법상 직접청구권은 규정상 원사업자의 공사대금채권과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이 병존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청구권이 성립한 후공사대금채권에 대하여 압류가 경합할 수 있고 이 경우 입법자의 개정의도 , 등을 감안할 때 하도급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과 같이 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이 우선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하도급거래관계에 있어 종종 원사업자는 재정이 취약하여 파산이나회생절차를 밟는 경우가 있다. 특히 직접청구권에 앞서 선행압류가 있고 원사업자가 파산한 경우에 , 파산선고로 인하여 선행압류를 실효시키게 되면 직접청구권이 발생하여 파산재단에 손해를 끼치게 되므로 이 경우는 선행압류는 실효하지 않는다고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입법론으로 건설산업기본법상 하수급인에게 직접청구권이 발생하면하수급인을 보호하고 법률관계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원사업자의 공사대금채권은 소멸하는 것으로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