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

        지성호,강영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difference of mediation procedures, in regression an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universally applied in social science field. And then, we review both limitations in previous mediation studies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give an alternative suggested by Holmbeck so as to improve reliability of mediation studie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cedure for mediation test in the previous studies was mostly applied in the approach suggested by Baron, Kenny (1986). In addi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on tests was proved on the basis of approach by Baron, Kenny (1986), but both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1) non-consideration of mediation types (full, partial) which will evokes the importance of mediator's under or over-estimation, 2) non-test of total effects which are enable to make a bias of mediation results. With regard to the non-test of total effects, there are both issues; validity of fit index in comparison of non-nested model, and non-consideration of significance on total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dvanc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resul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본 연구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있는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 있어 회귀분석을 활용한 접근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접근에 있어 차이점을 논의한 후, 특히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보완방법으로 Holmbeck (1997)에 의해 제안된 매개효과 검정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은 Baron, Kenny(1986)의 3단계 검증 과정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매개효과 검정에서도 Baron, Kenny(1986)의 3단계 과정에 기초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검증과정에 있어 매개효과 유형 미고려로 인한 매개변인의 중요성에 대한 과소 및 과대평가, 매개효과 검증 과정에서 총효과 검증 부재로 인한 매개효과 연구결과에 대한 편의 가능성이 내포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증시 위계적 chi^2검증과 Holmbeck(1997)의 매개효과 검정단계를 제안한다. 특히 총효과 검증과 관련하여 총효과 검증 부재 및 총효과 유의성 검증 미고려와 매개변인 배제모형과 매개변인 추가모형 비교에 활용되는 적합도 지수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연구에 있어 연구결과의 편의 가능성을 사전에 보완하여 연구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근거이론)와 양적연구(구조방정식모형)의 새로운 통합적 설계

        이현철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양적연구의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통합연구를 위한 가능성과 접점을 탐색해보았다. 이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줄 것이며, 실제 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통합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심화된 논의 전개를 이끌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의 개념, 구조방정식모형의 개념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해당 내용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연구방법론의 통합 가능성에 대하여 이론 및 모형 구축과 검증 의 접점, 패러다임모형과 잠재변수 간의 접점, 개방코딩과 관측변수 간의 접점의 측면들을 중 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연구설계 및 모형적인 측면만 강조되고 있는 통합연구방 법론의 논의 경향을 탈피하고, 그 논의의 장을 좀 더 자료 분석과 글쓰기 영역까지 확장하고자 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will suggest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analysis, using mixed research methods and will lead to deepening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for practical research in fields. For this purpose, I summarized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s, I searched for three possible ways of the methodological integration of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quantitative research): Theory and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relation between paradigm model (grounded theory) and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lation between open coding (grounded theory) and observed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deepen and expand the level of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and provide academic ideas for research writing.

      • KCI등재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정서지능의 효과성 연구

        오숙영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능력모형의 정서지능, 인지적 창의성, 변혁적 리더십,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남자.여자 집단 별 경로계수 차이검정, 특목고.일반고 집단별 경로계수의 차이검정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 으로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적 모형의 적합도과 경 로계수를 검정한다. 둘째,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총 효과, 간접효과, 직접효과의 유의성 을 검정한다. 셋째, 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별 개별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를 검정한다. 넷째, 남자.여자 집단별 구조방정식 모형 경로계수의 차이검정을 하여 성별로 정서지능 효 과성을 파악한다. 다섯째, 특목고 집단, 일반고 집단별 개별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를 검정한다. 여섯째, 특목고.일반고 집단별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를 차이검정한다. 연구 대상은 일반고, 외국어고, 과학고 총 710이며 통계방법은 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정서지능과 변혁적 리더십 검사 도구의 타당도는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로 검정했다. 다중집단 구조방 정식의 검사도구 타당도는 남자.여자 집단별, 일반고.외국어 집단별로 측정동일성(Matric Equivalence)을 검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과 학업성취 간 경로계 수, 정서지능과 변혁적 리더십 간 경로계수, 정서지능과 창의성 간 경로계수, 창의성과 학업 성취 간 경로계수, 변혁적 리더십과 학업성취 간 경로계수,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경 로계수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조적 모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변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 째, 남자와 여자의 개별 경로계수를 보면, 정서지능에서 학업성취로의 경로계수, 정서지능에 서 변혁적 리더십으로의 경로계수, 창의성에서 학업성취로의 경로계수, 변혁적 리더십에서 학업성취로의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자.여자 집단별 경로계수의 차이검정에서는 모든 경로계수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목고.일반고의 개별 경로계수를 보 면, 특목고는 정서지능에서 변혁적 리더십으로의 경로계수, 일반고는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 했다. 특목고.일반고 집단별 경로계수의 차이검정에서는 정서지능에서 변혁적 리더십에 미 치는 영향력만 특목고가 더 강력하게 영향을 주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h relation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regarded as an ability model, creativ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chievement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otal effect,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thir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girls group and boys group by using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ourt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student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hich includ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Science High Schools, and students of high schools by using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710 students in second grade.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are SEM and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effect such emotional intelligence as this, this study present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tes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results of Measurement Equivalence test of the groups between girls students and boys students and the grou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The verifi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path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have an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path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path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lated variables is verified as significant effects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Fifth,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girls group and boys group has no significant effects. And Last, the only path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has significant results.

      • KCI등재

        Introducti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YoungJu Sh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6 연구방법논총 Vol.1 No.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an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hat enables to test various types of mediation model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the focus of measurement model testing, mediation analysis, and SEM with a full measurement model. It also discusses different types of estimation methods to deal with dataset such as non-normality of data distribution and missingness of the data. This paper provides a useful guideline for analysis of social science research that uses survey data.

      • KCI등재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e-PBL(Problem Bas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J.M Keller의 ARCS 동기모형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 및 협동적 지식구성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과 ARCS 학습동기 모형 그리고 학생성과의 구성요인을 개념화하고,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관련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효과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에 소재한 I-의과대학 의학과 1, 2학 년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을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개인배경(6개 문항) 이외에 10개의 하위영역에 대해 5점 척도로 작성된 58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표준화 경로구조도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관측변수로 사용된 문항은 최종 29개이다. 분석결과,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도 0.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모형의 타당화를 위한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역시 기준값을 충족하였다. 제안한 연구모형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10개요인(학습목표 인지도, 협동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사고,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학습만족도, 학습성과)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affe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medium of J. M.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o achieve this, it i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constructs of the student outcome, ARCS learning motivation model, and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to facilitate the medical colleg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and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investigating the meaningful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approp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For this study, 198 medical subjec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t I-Medical College in Busan were sampled. As the measurement scale, we developed 58 items with 5-point scale regarding 10 sub-domain except for the individual background(6 items). Then, we analyzed the goodness of fit in the research model and the standardized path structure map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based on the prior analysis, the total 29 items were used as the final observed variables. Consequently, the construct validity for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was showed appropri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result, Cronbach’s α was 0.934. Both the Construct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Variance Extracted Index also met the base value.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factor structure, the adequac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composed of 10 factors (Define problem & learning objective recognitio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e, Problem solving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was verified.

      • AMOS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구조방정식 모형과 의미

        김경태 ( Kyung Tae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이 연구에서는 공분산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AMOS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응용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된 수학적인 모형을 알지 못하면, 구조방정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할 수 없으며, 구조방정식에 대한 8가지 가정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 수 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었던 LISREL 프로그램으로 RAM과 MOSAN을 구현하였고 AMO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AMOS프로그램은 8가지의 모든 가정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S 프로그램이 MOSAN보다는 RAM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AMO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잠재변수(F)와 측정오차(e)간의 상관값을 산출할 때 충분히 추정을 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추정하여 값을 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it will be examined on mathematical model of AMOS software program that ues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f we have not understood to mathematical model of Covariance Structure, we fail to underst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milarly If We were not understand to mathematical model of AMOS Software, we do not use Software adequately. Therefore we examine two sorts of Software that be design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this research, We will focus on 8 assump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mpare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program with LISREL(Linear Structure RELation) program. We found that A Program of AMOS Software have materialized with RAM(Reticular Action Model).

      • KCI등재

        정보화정책의 진단과 발전방향 :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정보화지수의 계측

        문춘걸 ( Mun Chun Geol ) 정보통신정책학회 200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0 No.2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거하여 부문별 정보화지수의 추정치를 계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의 측정식에서는 통상적으로 비관측 요인으로 설정되는 부문별 정보화지수와 관측 지표들간의 관계를 명시하였고, 구조식에서는 비관측 요인인 부문별 정보화지수들간의 상호관계를 명시하였다. 이 모형을 완전정보최우추정법으로 추정한 후 Bartlett의 요인점수가중치를 사용하여 부문별 정보화지수의 추정치를 계측하였다. 본 연구의 부문별 정보화지수와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2)의 부문별 정보화지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부문별 정보화지수의 종류, 관측 지표의 선정과 부문별 분류, 관측 지표의 수치자료를 모두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2)에서 차용하였다. 다수의 관측 지표로 구성되는 부문에서는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2)와 본 연구가 제시한 부문별 정보화지수값과 국가순위에 차이가 발생 하였다. 부문별 정보화지수를 계측하는 데 있어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2002)의 계측방법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의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본 연구가 제시한 모형을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의 틀 속에서 더욱 확장함으로서 기존 정보화지수들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We present a new way of constructing informatization indices based on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Our model is composed of a set of measurement equations and a set of structural equations: the measurement equations spec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ven observed indicator variables reflecting the informatization levels in the four major areas of informatization and four unobserved latent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four sub-indices of informatization while the structural equations spec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four unobserved latent variables. We estimate the resultant model by FIML and we define the estimates for four sub-indices of informatization by Bartlett factor scores for the unobserved latent variables. Even though our study and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02』(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2002) share subcategorization of the informatization index, compos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observed indicator variables, and the numerical values of the observed indicator variables, their estimates for and inter-country rankings of the informatization sub-indices differ.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explain shortcomings inherent in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s (2002) index construction. We also indicate ways to extend our model specification further within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so as to overcome other shortcomings in existing informatization indices.

      • KCI등재

        공변량 구조 이론모델을 통한 교사들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직무수행능력 및 만족도 관계성 분석

        박성열,남민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omputer literacy on job perform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Building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 theoretic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dop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and using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 program, the model was test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based on the results and findings from the LISREL. First,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of computer literacy made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ability. Secondly, job performance ability, the endogenous variable and the affective domain of computer literacy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del.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오숙영(Oh, Sook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선형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개념화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든 잠재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PL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셋째,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오차 허용범위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하여, 일반계 5개 고등학교 386명을 추출했다. 통계방법은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Smart PLS Version 2.0이 사용되었다. 우선,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도구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수렴 타당도와 집중타당도를 검정했다. 다음으로, 전체 잠재변인들 타당도는 PLS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형(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과 구조모형으로 검정했다. 연구결과, 하위요인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교육수준은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총수입도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교육기간은 인지, 동기, 행동의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 교육수준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기간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교육은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SES는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사교육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부모 SES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사교육은 부모 SES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 SES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 SES와 학업성취 사이에는 사교육의 매개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SES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사교육을 경유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혹은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a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of latent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testify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used are 38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according to 5% permitted range and 95% confidence range. The statistics methods used in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useful for formative indicators.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e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and SmartPLS version 2.0.M3.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includ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presented for validity of self 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clud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tructural Model o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resented for the validity of total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re as followed. 1)Parents’ SES has an effect on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2)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3)Parenrs’ SES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self-regulatory. 4)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5)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6)Parents’ SES has no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As a results, although parents’ SES has no direct effect of achievement, it ca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 Illusions and Realities in Structural Investigation/Assessment : A Call for an Emphasis on Structural Behaviors

        Lee, Dongwoo CHOSUN UNIVERSITY 1997 Basic Science and Engineering Vol.1 No.1

        Structural investigation/assessment is a challenging but rewarding task for the structural engineer. It requires not only his in-depth knowledge in structural engineering but also well-balanced practical experiences and engineering judgment. For the realistic assessment, the structural engineer should focus on structural behaviors and should not depend on artificial analytical models or inappropriate empirical design equations. the essential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structural behaviors is emphasized with several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