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F에 나타난 이방인 정체성과 장소감의 문학교육적 의미

        김수지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본 연구는 SF에 등장하는 이방인 인물이 낯선 세계에서 체득하는 이방인 정체성과 장소감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SF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F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를 통해 SF가 현실의 이방인 문제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는지를 확인하고, SF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방인이 익숙한 세계에서 낯선 세계로 이동하여 마주하는 타자의 응시는 두 세계의 경계를 드러냄으로써 이방인이 이방인 정체성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된다. SF 이방인 서사는 현실의 이방인 문제를 분명하게 환기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구체적인 사건이나 특정 현상을 직접적으로 조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독자는 SF 이방인 서사를 읽으면서 누구나 언제든지 이방인이 될 수 있다는 이방인-되기의 역설을 확인하고, 이방인 또는 이방인을 마주하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타자를 대해야 하는지의 문제에만 집중하여 사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편의 SF 작품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SF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마련하고자 교육의 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blem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that stranger characters in SF acquire in an unfamiliar world and to explore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meaning of stranger narratives in SF based on this. Through the stranger narratives in SF, we identified how SF reproduces the real-life stranger problem literarily and explored the literary educational meaning of SF stranger narratives. The gaze of the other, who moves from a familiar to an unfamiliar world, reveals the boundaries of the two worlds, causing the object of the gaze to have a stranger's identity. The SF stranger narrative reminds us of the real-life stranger problem but does not directly address specific events or specific phenomena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hile reading the SF stranger narratives, the reader can confirm the paradox of becoming a stranger-being that anyone can become a stranger at any time and focus only on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the other.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SF literary works, this study summarizes the literary educational meaning of the science fiction stranger narrative and presents a proposal for educational methods to prepare a specific methodology.

      • KCI등재

        외국인이라는 문제, 그리고 환대

        김정현(Kim, Jung-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8

        이 글은 외국인 환대에 대한 폴 리쾨르의 견해를 분석한다. 법적인 평면에서 외국인은 우리 중 하나가 아닌 사람이다. 동시에, 원한다고 우리 중 하나가 될 수도 없는 사람이다. 이처럼 국민과 외국인의 관계는 비대칭적이다. 환대는 이러한 비대칭적인 관계 속에서, 혹은 그러한 관계를 넘어 외국인을 맞아들이는 것이다. 외국인의 유형은 단일하지 않다. 외국인은 크게, 방문자, 이주 노동자, 난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오늘날 칸트가 말한, 타국에서 적으로 취급되지 않을 권리를 지닌 방문 외국인을 환대하는 것은 방문국의 입장에서 그렇게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삶의 필연성으로 인해 타국으로 온, 정치적 권리가 없는 이주 노동자에 대한 환대가 사실, 칸트가 말한 권리로서의 환대 개념에 더욱 부합한다. 난민의 경우, 문제의 핵심은 국가의 주권적 선택과 난민의 보호 요청권이 충돌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환대는 난민 신청자를 심사하는 전 과정에서 그(녀)를 ‘난민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또 신청자가 자신의 상황을 증명할 자료 제출에 심사국이 공동 주체가 되는 것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리쾨르는 환대의 실천에 이르기 위해서 우리가 단계적으로 넘어야 할 문턱들을 보여준다. 공동체의 구성원은 자신들이 지닌 귀속의 안전감이 동요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그러나 환대에 이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탈안 정화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여기서 핵심적인 것은 우리도 이전에 외국인이었다는 ‘상징적 기억’을 통해, 우리 자신의 외국인됨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지나 우리는 외국인을 우리 자신처럼 대우하는 환대에 도달한다. 귀속의 안정성의 위협을 겪으면서 실천한 환대는 우리에게 삶은, 국민으로 사는 삶, 국가 안에 있는 삶보다 더 큰 것임을 깨닫게 한다. 우리가 법이 규정하는 대로 외국인을 바라보고 대우한다면, 우리의 삶도, 외국인의 삶도 국가의 경계에 의해 제약되는 것이다. 환대는 이런 제약을 벗어나 인간과 삶에 대한 시야를 확장하고, 깊게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question of the stranger. When the stranger is ‘among us,’ he / she becomes a question. In legal plane, the stranger is someone who is not one of ‘us’ and cannot be one of ‘us’ even if he / she wants to be. Like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national) and the stranger is asymmetric. Hospitality is to welcome the stranger in, or beyond this asymmetric relationship. The types of strangers are diverse. Generally, stranger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stranger as visitor, as an immigrant, and as a refugee. Hospitality should be practiced properly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angers. It’s not difficult to be hospitable to the stranger as a visitor who, according to Kant, is considered to have the right not to be treated as an enemy. To the hospitality to immigrant-guest workers-, who does not have the political right, is the original concept of hospitality that Kant kept in mind more correspondent. To be hospitable to them, that is to say, to see and treat them as humans like us, we(nationals) have to change our mentality and legal systems. In case of refugee, his / her right to ask for protection conflicts with the sovereignty of host states. To him / her, should hospitality be done as a form of considering an applicant for refugee status as (potential) refugee during the whole procedure of verification. And host states have to work together with applicants who should submit proofs to be recognized as refugees. Ricoeur shows the thresholds which should be overcome by stages in order for us to arrive at practicing hospitality. The members of community do not want their feelings of security of belonging to be disturbed. To reach hospitality, however, we cannot but pass through the stage of destabilization. It is a core in this stage that we come to recognize ourselves as strangers through the symbolic memory which we were strangers at one time. We arrive at the hospitality through this stage. The practice of hospitality leads us to the comprehension that life is more grand than the life registered in a state. If we see and treat strangers according to the frameworks determined by national laws, our lives will remain limited within the border of a state. Hospitality broadens and deepens our view on life by freeing ourselves from this kind of limits.

      • KCI등재

        교육연구방법론으로서 이방인 탐구의 가능성 탐색

        권다남,정상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1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promoting the exchange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by reducing travel time. And this situation is creating various strangers in our educational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ranger inquiry for educational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typology, and analytical framework of the stranger, and through which the concept of stranger developed from modern to modern times, nine types of strangers, analytical framework for stranger inquiry that is composed of proximity and remoteness, interaction, historicity, and objectivity, etc. were discussed. In addition, we discussed how stranger inquiry can be applied to actual research through examining various studies about various strang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his stranger inquiry must be handled carefully from an eth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we must avoid otherizing strangers.

      • KCI등재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ld Testament: Focusing on the Problem of the Stranger (Ger)

        하경택 한국민중신학회 2010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0 No.14

        Economic integration and interdependence of national economies has increased through a rapid augmentation in cross-border movement of goods, services, technology and capital.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exert intense influence on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a given nation. Specifically, globalization accelerates the birth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countries who participate in the world market. The coexisting heterogeneous elements of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 causes for social conflicts and disputes. Amo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that of immigrants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rder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eek the biblical point of view concerning our problem, I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stranger (ger)in the Old Testament. Here there are economic, political and individual reasons for being a stranger. In the Old Testament the protection of the stranger is regulated in many ways. The requirement that Israel should protect the stranger is based on IsraelØs historical experience, GodØs love of the weak and IsraelØs self-consciousness as the stranger before God. The Old Testament is showing us the ways and steps from the concrete regulations for protecting the weak and strangers to the ideal vision of their integration into society. The study on the problem of the stranger (ger) in the Old Testament sheds light on the nature of moder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ask of solving some of its problems. The witnesses of the Bible are formed in the dynamics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perience and theological insights. They are the mirror of an inner-process of reception and updating that evokes to continue interpreting and adapting the words of God in the current world. The following steps and tasks are needed for a successful multicultural society overcoming the human and social problems of the stranger. 1. The particular care and concern of existing dwellers in the land for the underprivileged stranger. 2. The support of the stranger should be done with concrete help and actions. 3. All the efforts for strangers have to be aiming for integration into a society in which all members enjoy equal rights and protec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노인자살 특징의 분석을 근거로 한 위기목회신학과 개입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우리나라 노인자살에서 질환, 경제문제, 혹은 가족문제와 같은 스트레스에 긴 세월 시달려서 자살행동을 선택하는 취약형 자살이 가장 많다. 이런 경우에 자살을 동경하거나 반대하는 태도를 갖는다. 그리고 만성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살을 촉발하는 사건은 부부관계에서 발생한다. 부부싸움이나 배우 자의 가출 혹은 죽음이 발생하면 자살충동은 크게 증가한다. Dykstra는 위기를 이해하기 위해 이방인이라는 상징을 사용한다. 위기는 낯선 상황이고 혼란된 상황으로 이방인이라는 은유로 표현할 수 있다. 이방인은 두려움의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방인은 외집단의 구성원으로 배척당한다. 무시되거나 배척되는 이방인에 대해 기독교인은 환대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에는 생물학적 환대, 정치문화적 환대, 그리고 신학적 환대를 포함한다. 그런데 각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위기에서 목회자와 하나님을 이방인으로 경험할 수 있다. 노인자살의 위기에서 목회자는 주인의 역할을 하고 노인은 이방인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위기개입 전문가의 태도다. 그러나 노인에게 이방인을 환대하는 주인의 역할을 하도록 목회자가 허용할 수 있다. 더구나 일상에서 낯설게 느껴지는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기를 경험하면 위기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새로운 변환이 나타난다. 자살위험성이 있는 노인은 이방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은 사회적 지지와 과거를 환대하는 회상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the old suicides has risen rapidly. They took their own lives because chronically they have suffered from their psychological or physical diseases, economic hardship, and family conflict. Their chronical stress cannot be tolerated any longer because of their brokeup with their partners or their loss of their partners. To understand crisis and crisis intervention, Dykstra makes use of the metaphor of stranger. Crisis is understood as stranger, because the core experience of crisis lies in the radical newness or radical strangeness. And a stranger brings about a risk at crisis. Strangers are feared and ignored in the individualist culture. Furthermore they are ostracized and attacked in the collectivist culture. Hospitality to the stranger is call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o explain crisis intervention ministry to the old suicides, Dykstra makes the themes of the pastor as stranger and God as Stranger. Not only does the pastor play host to the old suicides as strangers, but allows them to play host to the pastor as stranger. In crisis the pastor can see God as Stranger because sanctuary may be found in very strangeness of the situation itself. Therefore the old suicides are transformed so that they cannot go back to their pre-crisis state of internal equilibrium. In the crisis intervention ministry for the old suicides, it is necessary that they should feel that they are strangers no longer. It is accomplished by means of providing social support, the basis for human health and well-beings. And hospitality to their own past is called by means of reminiscence.

      • KCI등재

        <최고운전(崔孤雲傳)>의 `이방인 서사`와 고전텍스트 읽기교육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3 No.-

        고전텍스트 읽기교육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지금의 독자`에게 의미 있는 독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고전은 현재의 독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줄 수 있어야 하며, 고전 읽기 교육은 그러한 방법을 독자들과 함께 모색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최고운전>에서 `이방인 서사`를 도출한 것은 소외와 갈등이 만연한 현대사회에 유의미하다. <최고운전>은 역사적ㆍ문화적 맥락에서 우리가 나와 다른 사람, 즉 이방인을 어떻게 인식해왔는지를 잘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최고운전>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를 어떻게 읽는가, 어떻게 읽도록 지도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일은 `이방인 서사`가 우리의 현재적 삶과 무관하지 않기에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방인`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공간에서 온 사람을 의미한다. 공간이 다르면 문화도 다르고, 사는 모습도 다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로 이방인이라는 말에는 익숙하지 않은 문화와 외양에 대한 배타 심리를 포함한다. <최고운전>의 역사적 인물 최치원을 중심으로 이방인에 대한 배타적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기실 이방인이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의 문제이다. 관계가 `배타성`을 띠게 되면 상대는 나와 다른 `이방인`이 되는 것이다. <최고운전>은 관계의 배타성을 점층적 공간구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지하세계-신라-중국`으로 확장되는 공간구조 속에서 이전 공간은 새로운 공간에서의 배타적 관계를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 즉 내가 온 곳이 내가 있는 곳에서 형성되는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나를 이방인으로 만든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출신지, 출신학교, 지난 경력 등을 이유로 끊임없이 배타적 관계를 만들어가는 현대사회의 병리와 그 속에서 상처 입는 사람들의 문제로 치환된다. 이처럼 끊임없이 이방인을 만들어내는 고리를 어떻게 끊을 것인가. 고전 읽기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해명하는 과정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고전의 서사가 현재 내가 사는 세상의 서사와 무관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이방인 서사와 자기 서사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화해 지향`의 읽기 교육 방법을 제안해 본다. Classical reading education has to be helpful for discovering a key narrative meaningful in `the present of a reader`. Deriving a `Epic of Stranger` from < Choi-Gowoon Jeon > is reasonable in the context of narrative understanding.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e modern society alienation and conflict are prevalent. The reason is that < Choi-Gowoon Jeon > is a text showing properly how we have recognized a `stranger`, or the one who is different from us from the historicalㆍcultural contexts. A `Epic of Stranger` is relevant to our present life. Therefore, consideration about how we should read a stranger narrative in < Choi-Gowoon Jeon >, how we should instruct to read it will be a meaningful thing. `Stranger` is a man who is from different space. < Choi-Gowoon Jeon > shows the formation of exclusion to a stranger. < Choi-Gowoon Jeon > `s space is expanded, underworld-Silla-China. Past space is the cause of the present exclusive relation. When reading a stranger narrative, for readers, reading while listening to saying of a `stranger` carefully. As an act to understand others and close the distance from them, reading of courteous listening is `sympathetic reading` putting oneself into others` shoes. Eventually sympathetic reading is a `reconciliation-oriented` reading education method to recognize that the epic of a stranger has something to do with one`s own narrative and close the distance between a stranger narrative and self-narrative. Such reading has significance in healing `alienation and hurt` hidden in the inner side of self-narrative.

      • KCI등재

        기형도 시의 이방인과 터부 연구

        송지선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4 No.-

        Gi Hyeong-do paid attention to the ragged strangers hidden in the shadow of modernization and rapid growth in Korea. He reproduced the social context of why the small town community was particularly more sensitive and heartless about strangers. This study serves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meaning of modernity found in strangers as surplus human being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at has not been spotlighted in research on modern poetry. Examining the taboos of the small town community through strangers in Gi Hyeong-do’s poems can form a discussion to reaffirm the uniqueness and social value of his poems. In addition, approaching Gi Hyeong-do’s poems with taboos can create a new paradigm to solve the question of why the sentiment of Gi Hyeong-do’s poems where strangers appear is like tension or rigidity. Strangers were the beings that internalized the fluid conditions of modern society. The fluidity of strangers is compared to the flow of fluids such as ‘cloud’, ‘snow’, and ‘air’ in Gi Hyeong-do’s works. As symbolized as fluids, strangers can migrate anytime as ‘light and temporary beings’, and the small town community seeking stability is reluctant to welcome them. The small town community puts a taboo on strangers in such ways as no contact, ignorance, and avoidance. This is done implicitly within the community. Strangers tabooed by the small town community are depicted as tragic beings damaged entirely by the evil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midst of modernization, we were totally intimidated by the unfamiliar violence of modernity and bolted our hearts against either the members of the small town community tabooing strangers or strangers tabooed by the small town community. The taboo dealt with in this study reveals the implicit psychology of a group trying to establish the well-being of the small town community against the fluidity of modernity. Those living in the modern world can never be free from this kind of taboo. Therefore, this study is persuasive as a public discourse in conjunction with the universal experiences of contemporaries living in the present. 기형도는 한국의 근대화와 고도성장의 그늘에 가려진 남루한 이방인에 주목했다. 그는 소읍공동체가 왜 유독 이방인에게 촉각을 곤두세우고 각박하게 대하는지 그 사회적 맥락을 재현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현대시 연구에서 조명받지 못한 산업화·도시화 과정의 잉여 인간으로서의 이방인에 담긴 근대성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는 계기가 된다. 기형도 시의 이방인을 통해 소읍공동체의 터부를 살펴보는 것은 기형도 시의 고유성과 사회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논의이다. 또한 터부를 통해 기형도 시에 접근하는 것은 이방인이 등장하는 기형도 시의 정서가 왜 긴장감과 경직성으로 다가오는지 그 의문을 해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된다. 이방인은 근대사회의 유동적 조건이 내면화된 존재이다. 이방인의 유동성은 기형도의 작품에서 ‘구름’, ‘눈’, ‘공기’와 같은 유체의 흐름으로 비유된다. 유체로 상징된 바와 같이 이방인은 언제든 이동할 수 있는 ‘가볍고 일시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안정을 추구하는 소읍공동체는 이러한 이방인을 환영하지 않는다. 소읍공동체는 접촉 금지, 외면, 회피와 같은 방식으로 이방인을 터부시했고, 이는 공동체 내에서 암묵적으로 이루어진다. 소읍공동체에서 터부를 받는 이방인은 산업화·도시화의 폐해를 온몸으로 맞는 비극적 존재의 모습을 보여준다. 근대화의 한복판에서 이방인을 터부시하던 소읍공동체의 구성원이었든, 소읍공동체로부터 터부시를 받던 이방인이었든 우리는 낯선 근대의 폭력성 앞에 잔뜩 몸을 사리고 마음의 빗장을 걸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터부는 근대의 유동성에 대항하여 소읍공동체의 안녕을 구축하려는 집단의 암묵적인 심리를 보여준다. 근대의 세계를 사는 사람들은 결코 이러한 터부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보편적 경험과 맞물리면서 공적 담화로서 설득력을 갖는다.

      • KCI등재

        이방인과 환대의 윤리

        김애령(Ae-Ryung Kim)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9 No.-

        이방인은 누구인가? 우리는 이방인을 어떻게 표상해 왔는가? 우리는 이방인을 어떻게 맞아야 하는가? 우리는 이방인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은 이방인과의 만남이 확대되고 있는 오늘날 더욱 절실해 진다. 이방인에 대한 근대적 관용은 이방인이 “우리의 규칙을, 삶에 대한 우리의 규범을, 우리 언어, 우리 문화, 우리 정치 체계 등등을 준수한다”는 조건에 순응할 때 제공된다. 관용은 권력의 불평등에 기초하고 있는 가부장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권위적인 허용의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적이다. 관용과는 달리 절대적 환대는 아무런 조건도, 물음도, 한계도 없이 이방인을 맞아들이는 것이다. 이 글은 이방인과의 관계에서 왜 절대적 환대가 중요한 지향적 이념이 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환대의 이념과 현실적 실행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그리고 환대의 주객관계에서 언어 권력과 젠더 권력이 교차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비판적 검토의 과정에서 환대의 이념은 포기되기보다, 더 온전해 질 수 있을 것이다. Who is a stranger? What have we been representing the stranger with? How should we greet the stranger? How would we coexist with this stranger? These are even more significant questions today when encounters with strangers are ever-expanding. The modern "tolerance" toward a stranger is offered when the stranger is willing to abide by "our rules, our regulations of life, our language, our culture and our political system etc." In fact this tolerance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t is based on inequality of power and authoritative permission. Accordingly it is patriarchal. On the other hand, "absolute hospitality" is, not like the limited tolerance, receiving the stranger without condition, question or limitations. This writing is to speculate on why absolute hospitality is the principle that we should seek after; and to critically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dea of absolute and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the practice of it and the way power of language and gendered power cross-react in subject-object relation of hospitality. In this process, I hope to show that ethical idea of absolute hospitality is not to be given upon but to be considered as a possibility.

      • KCI등재

        이주의 시대, 공동체와 타자 -서성란의 쓰엉 을 중심으로-

        엄숙희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6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서성란의 쓰엉 을 중심으로 공동체와 타자의 문제를 고찰해본 것이다. 초국적 이주의 증가로 급격하게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한국사회는 다양한 이주민들과 공존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서성란의 쓰엉 은 이런 다문화 공동체가 맞닥뜨린 새로운 구성원과의 공존의 문제를 폐쇄적인 산골 마을을 배경으로 보여준다. 쓰엉 에서 산골마을 공동체에 들어온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그녀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영원한 이방인이고, 국내에서 산골마을 공동체로 이주한 외지인도 이방인과 마찬가지로 경계의 대상이다. 쓰엉 은 한 공동체 내에 유입된 이질적인 존재를 들어 동일성을 전제로 한 환대가 아닌 타자 그 자체를 환대하는 타자의 윤리가 필요함을 역설한다. 또한 쓰엉 은 공동체에 유입된 이질적인 이방인과의 갈등이 공동체의 폭력으로 귀결되고 그러는 가운데 취약한 자들의 연대가 이뤄짐을 보여준다. 작중 공동체의 이방인과 같은 취약한 존재들은 서로의 취약성을 이해하고 교감하며 심리적 연대를 이루지만 현실에서도 쉽지 않듯 이들의 연대는 지속되지 못한다. 다문화소설이 보여주듯 이방인과의 공존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은 다문화 공동체의 윤리이다. 공동체에 들어온 이주민은 공동체의 관점에서 이방인이지만 이방인의 관점에서 공동체의 구성원들 또한 이방인일 뿐이다. 서성란이 말했듯 개인들은 결국 서로에게 낯선 이방인일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새로운 다문화 공동체에 필요한 것은 서로의 이질성을 수용하는 포용력으로 이주민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는 것임을 쓰엉 은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of community and others, focusing on Seo Seong-ran's Truong , which is set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Korean society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crease in transnational migration, Korean society is in a situation where it must coexist with various immigrants. Seo Seong-ran's Truong shows the problem of coexistence with new members faced by this multicultural community against the backdrop of a closed mountain village. In Truong , the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an who entered the mountain village community is an eternal stranger because she is a foreigner, and the foreigner who moved from Korea to the mountain village community is also an object of caution like a stranger. Truong emphasizes the need for an ethics of the other that welcomes the other itself rather than hospitality based on the premise of sameness. Additionally, Truong shows that the conflict with heterogeneous strangers introduced into the community results in community violence, and in the meantime, solidarity among the vulnerable is achieved. Vulnerable beings, such as strangers in the community, understand each other's vulnerabilities, communicate, and form psychological solidarity, but as is not easy in reality, their solidarity does not last. As multicultural novels show, coexistence with strangers is an unavoidable situation. What is needed at such times is the ethics of a multicultural community. Immigrants who enter the community are strang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nger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e also strangers. As Seo Seong-ran said, individuals are ultimately strangers to each other. Truong shows that what is needed for a new multicultural community is to seek peaceful coexistence with immigrants through tolerance that accepts each other's heterogeneity.

      • KCI등재

        Zwei Typen von Fremden -Grillparzers und Christa Wolfs Medea

        김용민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유럽사회문화 Vol.0 No.23

        In the course of increasing globalization, we are all confronted by the stranger and the other, alienated in their ethnic, cultural, religious and gender otherness. The Medea myth offers us not only an example, but also a model for the problem of the stranger: because that's the topos of the stranger and others in world literature. Medea is Non-Greek, Barbarian, refugee and women. In my essay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case Medea, which limit and possibility it offers u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ranger. In the works of Grillparzer and Christa Wolf two opposing alien types are presented. The first type of stranger is Medea of Grillparzer, which is willing to erase its own identity and assimilate to the local society. In contrast, the Wolfs Medea represents a second type characterized by preserving one's identity in a foreign society. Not only Medea belongs to these types, but also other characters such as Pryksus or Jason in Grillparzer's <Medea> and the Colchians in Corinth in <Medea> Wolfs. Finally, medea was not accepted by the Corinthians, but excluded and banish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existence with stranger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ism opens up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identity of the subject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s. Through these meetings and exchanges, strangers and locals can understand each other more, and consequently get closer to changing themselves through each other. This ultimately changes the nature of the community so that a new community can b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