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한 표준어 규정 정책의 변화 연구

        김재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Standard language is essentially a method of language unification. It is based on language as a norm in public texts, schools, and broadcasts in a country, and on words spoken mainly in capitals around the world. The standard language in South Korea is the word of the middle class in Seoul being polished and corrected. Dialect, the opposite of standard language, is a system of language that is practiced only in a certain province or class. Their pronunciation, meaning, vocabulary, phonology, and method of the language of a country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language. Today, Korean language is intruded by, mixed with, and deteriorated by foreign languages. However, this study has no time for discussion. In this study, firstly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is briefly defined, and then the history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in Korea is discussed. In addition, it reviews current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In the first part, the principles of standard language assessment are first reviewed, and the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ccording to pronunciation changes is discussed whereas the part 2 mainly discusses standard pronunci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y of policy changes after the enlightenment of Korea. Unfortunately, I would later have to discuss and compare Pyongyang language, which the North Koreans claim to be the standard language at the current time when the issue of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s closely discussed. 표준어란 본래 언어통일의 방법이다. 한 나라의 공용문이나 학교, 방송 등에서 보이는 규범으로서의 언어 주로 세계 각국의 수도에서 쓰이고 있는 말을 기초로 해서 성립된다. 한국에서는 서울의 중간계층의 말을 탁마(琢磨)하고 보정(補正)한 것이다. 표준어의 반대개념인 방언은 어떤 지방이나 어떤 계급층에 한하여서 행하여지는 언어의 체계를 말한다. 한 나라의 언어 중에서 지역에 따라서 발음, 의미, 어휘, 음운, 이법 등이 표준어와 서로 다른 언어체계를 가진 말이다. 오늘날 외래어가 난입되어 우리말과 혼용되고 변질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표준어 개념을 개략적으로 정의하고는 다음으로는 우리나라에서 표준어 규정의 역사를 시대별로 논구한다. 뿐만 아니라 현행 표준어 규정을 검토한다. 제1부에서는 먼저 표준어 사정 원칙을 검토해 보고 다음으로는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에 대하여 논구한다. 2부에서는 주로 표준 발음법을 논구한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우리나라 개화(開化) 이후의 표준어 정책 변화의 역사를 연구해보려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남북 통일문제가 가깝게 논의 되는 시점이 북측에서 표준어라고 자칭하는 평양말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논구하여 비교해 보려고 한다.

      • KCI등재

        남북 언어 통합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유숙(Yu-Sook, Choi),양명희(Myung-Hee, Yang),이찬규(Chan-Kyu, Lee),임현열(Hyeon-Yeol, 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이 연구는 남북 언어 통합을 주제로 진행된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남북 언어 통합을 위해 필요한 연구와 정책, 태도 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일에 대한 기대감 상승에 따라 언어적 측면에서의 남북 통합이 요구되는 데 따른 것이다. 통합을 위한 언어 연구 중 표준어는 통일 시기에 복수 표준어나 공통어를 두고 통일 이후 단일화로 나아가는 방향과, 통합의 비용을 감안하여 남과 북의 것 중 한 쪽으로 표준을 정해야 한다는 두 견해로 정리되었으며 어문 규범은 <겨레말큰사전>의 공동 편찬 과정에서 논의되고 일정 부분 합의되고 있음을 보았다. 또한 남북 학술 교류의 경우 정보처리 분야에서 시작되어 정부 기구 간의 교류로 학술회의가 확대되었으나 실질적인 남북 공동 연구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교재 개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남한 내의 북한어 교육은 국어 교과와 관련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으나 언어 문제를 넘어 통일 교육과의 연계가 필요함도 알 수 있었다. 남북 언어 통합을 위해서는 공동 순화, 언어 정보 처리 등의 연구 과제를 개발하고 남북이 공동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언어 통합 연구를 주관할 기구로는 가칭 남북언어통합위원회 정도를 제안하고, 이 기구에 각각의 공동 과제를 전담할 하위 분과를 두어 지속적인 공동 연구를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남북 주민 간의 소통을 위해 언어 자료를 축적함과 동시에 서로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언어태도 교육이 먼저 남한 사회에서 시도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vious research on the linguistic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to propose measures such as further research, policies and even attitud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linguistic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is study is in due course since linguistic unification has become necessary due to the growing expectations for unification. The method of linguistic unification has been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proposes that linguistic unif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ith multiple standard words or common language being used in the unification process, while the other believes that, when considering the cost of unification, a standard set of words should be set whether it be South or North Korean. The language standard has been debated up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ly compiling the <Gyeoremal Keunsajeon> and has come, in parts, to mutual agreement. Also in the case of academic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Koreas, while it bega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processing, many academic conferences have been held due to the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government organizations, although we still have yet to see substantial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materia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language in South Korea has been mainly discussed as a part of the Korean curriculum, but it might have to be linked to unification education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research projects concerning collaborative efforts for linguistic purification and processing linguistic data. Nominated was ‘the committee for the linguistic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entatively designated name) for the supervision of research concerning linguistic unification. Sub divisions would have to be created in order to oversee and execute each collaborative task for it to become a consistently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As we accumulate linguistic information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simultaneously, efforts to educate the South Korean public on proper linguistic attitudes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 KCI등재

        토양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과 KS ISO규격의 일원화에 관한 연구

        김지인 ( Ji In Kim ),김보경 ( Bo Kyong Kim ),김정화 ( Joung Hwa Kim ),이군택 ( Goon Teak Lee ),이상욱 ( Sang Uk Lee ),안문성 ( Mun Seong Ahn ),임태숙 ( Tae Sook Lim ),한진석 ( Jin Seok Han ),이원석 ( Won Seok Lee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2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5 No.3

        Korea has two type of the environmental official test methods, environmental standards enac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ES) and Korean industrial standard enacted by ministry of knowledge and Economy (KS), which causes the confusion of us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S with KS and to make solutions to unify two types of standards. futhermore, We found the ways to improve ES and KS considering many countries aligned domestic standard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ES for soil quality consisted of sixty official test methods. We focused on thirty official test methods in ES except for the introduction, sampling methods and leak test methods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rresponding KS just translated from ISO standard without any technical changes. By reviews and comparative tests between ES and KS we classified them into “No corresponding standards”, “Pre-unification completed”, “Pre-unification impossible”, “Unification completed” and “Unification impossible”. There were eighteen standards possible to unify, six standards impossible to unify and six standards corresponding no KS. We suggested that ESs for CN, phenols and Cr6+ were needed to adopt parts of the procedures in KS for improving recoveries and reducing the pre-treatment time and labor. We also found that both standards had to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wavelength to analyze metals for user`s convenience.

      • KCI등재후보

        학교통일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변화된 통일 환경 시대에 학교통일교육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통일부가 발표한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결과를 재분석하였다. 아울러, 고교 통일교육 4개 교과목의 11개 교과서와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지원법을 검토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 첫째, 현행 학교통일교육은 남북평화와 통일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둘째, 고교 ‘한국사’, ‘통합사회’,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교육내용은 대체로 양호하나,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특정 교과서의 내용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교 ‘한국사’ 과목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정부와 비교할 때 변한 것이 거의 없다.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첫째,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남북의 평화와 공영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을 저해하는 교과서,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등의 내용은 즉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부의 구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를 대체할 수 있는 교육부의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President Moon Jae-In took the office,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s well as over-all environment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rough this study, I aim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education on national unification, so as to come up with a promotion strategy to achieve more progress in this front. To this end, I began by studying the results of the 2019 Survey on the Status Quo of School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 analyzed eleven different textbooks on four school subjects included in the current high-school education curriculum for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came up with some important points to note: 1.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ter-Korea peace and unification of two Koreas, our schools invest too little time on the subject. 2. Despite all the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nd the landscape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what we have is an obsolet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standards designed during the precedent (and less pro-unification) administration. 3. According to my analysis on existing high-school textbooks for national unification, a part of the content in the subject Life and Ethics needs an urgent revision. 4. We need to revise the general outline of national curriculum to include more content on ‘human characteristics desired in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and ‘core competences to promote peace and integrity’, launching new subjects related to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with improved organizational standards and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용운 ( Yong Un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반세기가 넘는 시간을 교류 없이 지내면서 남북의 우리 겨레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어휘에 적지 않은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어휘적인 차이는 남북의 이념과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므로 단기간에 해소하려 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그 차이를 줄여나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차이나는 남북 규범어의 통일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남북 규범어 차이를 ``규범어 설정 지역``, ``언어관 및 언어 정책``, ``표기 규범``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후 이러한 규범어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규범어 비교``, ``규범어 통합``, ``규범어 통일``이라는 세 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는 남북 규범어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서로의 규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아울러 그 차이점을 밝히게 된다. 다음으로 ``규범어 통합`` 단계에서는 ``규범어 비교`` 단계에서 밝혀진 차이점을 줄이기 위해 남북 규범어를 통합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규범어 통일`` 단계에서는 통합된 규범어를 하나의 규범으로 완성하는 단계인데, 규범어의 완전한 통일은 체제가 통일된 뒤에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상정한 뒤에 현재는 ``규범어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시기라고 보면서, 그 방안으로 남북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대사전을 편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사전편찬과 더불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남북 겨레의 활발한 교류``와 ``어문규범과 문법 등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국가 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고, 또한 체제가 통일되기 이전에 남북 규범을 더 이상 개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We have been in strong aspir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but it would not to be done in a day. South and North Korea betray differences in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e rules of standard Korean, the spelling system of foreign words, the Romanization, etc. How to unify these systems will cause a lot of controversy. In order to reach a mutual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both Koreas are urged to move beyond concepts of the South`s ``standard language`` and the North`s ``cultural language`` and make endeavors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a unified language`` integrating our na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proposed step-by-step phas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e first-phase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second-phase is ``integrati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 third phase is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nd then, I also proposed the practicable measures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those are as follows. <The way for South and North standard language unification> a.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b. The promotion of exchang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c. Set up a national institutions to discuss unifica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prescriptive grammar of South and North Korean d. The current orthography system must not revised before a unitary state as possible. I believe that the union dictionary is a requisite for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And what is more important Union dictionary will serve as bri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unification.

      • 통일 이후 북한의 정당해산심판의 요건과헌법적 판단기준

        최은석 헌법재판연구원 2015 헌법재판연구 Vol.2 No.1

        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s a new opportunity, challenge and future of the unified Korea. Generally, the existence of parties for the separation of powers is essential as long as the nation of society exists. However, the issue is that the existence of parties in North Korea, not based on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should be liquidated through the unconstitutional judgment on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during the process of unification. In particular, to what extent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will be involved in order to assimilate the political difference caused by a long-term division after unification is still question. By all means, the basis for existence of political parties that violates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is inevitably weak, and the political parties that destroy the existing constitutional law will be judged.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constituting principle of organizations for governance in terms of the separation of powers.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has important roles of respecting the future-oriented, constitutional value order and deriving social integration, along with a significant means of protecting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distinct role of the constitution, after unification.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requirements for the unconstitutional judgment on dissolution of the political parties in North Korea, and the legal values and standard of judgment are very important, which can fulfill the basic bond of sympathy among all citizens after unification. First, current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political parties in North Korea are examin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North-South unification are drawn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dissolving the political parties during the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Then, the operation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based on the unification type and the legal standard of judgment are reviewed. Lastly, the roles and challeng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actual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are suggested. 남북한 통일은 통일한국의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며, 미래다. 일반적으로 국가사회가 존재하는 한 권력분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당의 존립은 필연적이다. 문제는 통일과정에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하지 못한 북한 정당의 존립은 위헌정당해산심판을 통해 그 청산할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특히 통일 이후 남북 간 장기간 분단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이질화된 부분을 동질화시키기 위해 정당해산심판제도가 어느 범주까지 관여할 것인가가 문제다. 모름지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정당의존립 근거는 미약할 수밖에 없으며, 기존의 헌법질서를 무너뜨리는 정당은 헌법적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헌법재판제도는 통일국가의 권력분립의 차원에서 통치를 위한 기관의 구성원리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헌법재판제도는 통일 이후 헌법 고유의 책무인 헌법보호의 중요한 수단과 함께 미래지향적인 헌법적 가치질서 존중 및 사회통합을 원만히 이끌어 내는 중대한 책무를 맡고 있는 셈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 이후 모든 국민의 기본적 공감대에 부응할 수 있는 북한 정당에 대한 위헌정당해산심판의 요건과 헌법적 가치 및 판단기준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먼저 북한의 정당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아울러 동서독 통일과정에서 정당해산심판의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남북한 통일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다. 그리고 통일 유형에 따른 정당해산심판제도의 운용과 헌법적 판단기준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통일준비를 위한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 KCI등재

        통합사회 교육과정에서 평화⋅통일교육 개선 방안 탐색

        문경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4 No.-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importance of peace, the educational plan for peaceful unification in future school education will be explored, focusing on the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Integrated Society,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2015 curriculum,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a more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breaking away from the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that was dispersed by subject. However, despite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in schools was not very successful in changing the negative perceptions of young people abou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ccordingly, raising students' awareness of unific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goal of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is also insufficient to evaluate it at a satisfactory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in the 2015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are reviewed. In addition, it proposes the points that the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in schools should aim for and should be improved, focusing on the 2022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이 글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평화⋅통일교육 방안을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사회는 과목별로분산되었던 평화⋅통일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입체적이고 융합적인 평화⋅통일교육의 토대를 제공해주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내용과 방법의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의평화⋅통일교육은 북한과 통일에 대한 청소년의 부정적 의식을 변화시키는 데에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평화⋅통일교육의 목표라 할 수 있는 학생들의 통일의식 고취 역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평가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2015 통합사회 교육과정에서의 평화⋅통일교육 관련 내용체계와성취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평화⋅통일교육이 지향하고 개선되어야 할점을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남북통일에 대비한 건설분야 표준 비교 연구

        전미선,이명식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8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13 No.2

        Simplifying production process and business practices, facilitating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and saving resources are one of the basic functions of the standard. Standards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are found to have increased divergence in terms of the taxonomy, forms, contents and terminology, which are believed to serve as obstacles that could impede communication and further reduce productivity. One of the most urgent task for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r is to set up common standards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this regard, I will compare the standard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analyze standards documents that contain the similar or different contents. Securing the homogeneity of national standards is expected to affect the revitaliza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s well as the reduction of unification costs. Securing homogeneity may start with understanding the standards that are alienated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후보

        ‘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연구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2

        학교 평화·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개혁을 위해서는 현재 범교과학습주제로서 교육뿐만 아니라 독립 교과목 개설이 매우 절실하다. 고등학교 교양과목 ‘평화 와 통일’ 등의 독립 교과목 개설은 기존의 범교과학습주제로서의 학교 평화· 통일교육을 선도하고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과 정 개발과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평화와 통일 및 통합에 진로 관심 이 있는 학생들에게 진로 선택과 진로 준비의 경험을 갖게 한다. 나아가 시민 사회의 평화와 통일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자(2021)의 ‘통일 교과 개설의 필요성: 범교과학습주제로서 한계’의 후속 연구로서,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성격’ , ‘목표’ , ‘내용체계’ 개발을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의 독립 교과 개설과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 개발에 이론적·실제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o raise public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ring us closer to achieving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a cross-curricular learning subject to an independent subject matter in public education. The upgrade will encourage more people to take the lead in achieving peace and unification, serving as a linchpin and core strength to operate and develop the curriculum in a stable and sustainable manner. To this end, I propose‘Peace and Unification’as an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In a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of opening subject matters on peace and unification, I aim to elaborate on the character, objects, and content system of the subject through this study. Firstly, I went over a couple curriculum design models to identify the method, process, and procedures involv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improving general education on peace and unification, I discussed what to consider and what to focus on when it comes to the basis of‘Peace and Unification subject’. Finally, I explained on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 including its character, objects, and standards of the content system.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could provide theoretical and substantial support in launching a 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on peace and unification.

      • KCI등재

        교과서 집필기준 비발간이 통일교육 개선에 주는 의미와 과제

        이병호 한국통일교육학회 2023 통일교육연구 Vol.20 No.2

        2022년 12월 22일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었고, 2023년 1월 27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이 발간되었다. 아울러 2023년 3월 14일 윤석열 정부의 첫 통일교육지침서인 ‘2023 통일교육 기본방향’이 발간되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기준 비발간이 통일교육 개선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 및 과제 탐색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1)교과서 집필기준 비발간의 배경과 이유, 2)통일교육 관련 교과서 집필기준의 문제점, 3)통일·북한의식과 통일교육 시간이 통일교육 개선에 주는 시사점, 4)교과서 집필기준 비발간이 통일교육 개선에 주는 의미와 과제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On December 22, 2022,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and on January 27, 2023, ‘Compilation Points to Consider and Certification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published. In addition, the ‘2023 Basic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 of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was published on March 14,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 the non-publication of textbook writing standard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For research purposes, 1) background and reason for non-publication of textbook writing standards, 2) problems with textbook writing standards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3) implications of unification/North Korea aware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practice for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4) textbook writing standards The meaning and challenges of non-publication in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were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