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07년 체제 성립과정에서 일본의 한국정책과 한국사회의 대응

        한성민(Han, Sung-Min) 일본사학회 2019 일본역사연구 Vol.49 No.-

        The Russo-Japanese War (1904), which broke out dur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ed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powers, In Europe, a confrontational system was established, represented by a ‘Triple Entente’ and ‘Dreibund’. In that extension, Japan became a major partner in the ‘Triple Entente’. As a result, the 1907 system centered on Japan was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the second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in East Asia. In this situation, Emperor Kojong dispatched Yi Sang-sul, Yi Jun, Yi Wi-jong and Hulbert as special envoys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1907). At that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was aware of Korea s move to send a special envoy to Hague in advance. However, Japan did not try to prevent Emperor Kojong from sending them, nor did watch their activities without direct restraint in Hague. There were three important political intentions here. First, Japan intended to secure her right to protect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cond, Japan intended to show off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it had the ability to rule her colonies the same as other Western powers, allowing for open anti-Japanese activities by Korean envoys. Third, Japan intended to further strengthen its dominance over Korean with this case. The dispatch of special envoys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1907) was the last attempt planned by Kojong as the Emperor of the Korean Empire to maintain Korea s independence. In response, the Korean community had little expectation for the Hague Peace Conference(1907) at that time. Howerever, the special envoys’ activities were enough to draw attention. However, Korean society did not give any positive meaning to their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ti-Japanese activities of Korea. Japan has been strongly pressing the Korean government to increase its influence by pressing it hard. Indeed, Faced with the fact that Japan was forced to confront Kojong with the dispatch of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the Korean society deni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Kojong Emperor and the envoys.

      • KCI등재

        대한제국의 헤이그만국평화회의에의 특사파견과 시사점

        전일욱 ( Jeon Il Wook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대한제국의 헤이그평화회의의 참여 시도가 가지고 있는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군비축소와 평화를 구호로 시작한 헤이그 평화회의의 성격은 단순히 국제평화를 위한 회의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대한제국의 참여과정을 통해 살펴 본 제2차 헤이그평화회의는 유럽의 세력균형체제와 미국의 세계법정과 국제경찰제도가 새로운 세계질서를 이끌어 가기 위한 타협의 산물로 만들어 진 과정 속에서 개최 된 것에 불과 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한제국이 헤이그 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한 것은 고종황제의 세계관과 구국의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즉 세계 각국이 모여 만국평화회의에서 표방한 ‘군축과 평화’의 구호를 주목하였고, 제1차 평화회의이후 제2차 평화회의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었다. 또한 주체국인 러시아가 초청을 시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고종은 이를 통해 대한제국에도 열강들의 힘에 의해 평화가 도래할 수도 있다는 판단을 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대한제국의 고종이 특사에게 기대한 목표는 두 가지였다고 분석되어진다. 하나는 일본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행태를 국제사회에 고발하고 ‘평화와 정의를 주장하는’ 열강의 지지를 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헤이그현지 활동에만 목표를 둔 것이 아니라, 이상설 등을 통해 해외독립운동의 기반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hed new lights on the meaning of Greater Korean Empire (Daehan Jeguk)’s participation attempt in the Hagu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First, even though the Hagu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was initiated under the slogan of disarmament and peace, it was not a meeting merely for international peace. The meeting was just initiated in compromising process of power balance system of Europe and international police system of U.S.A. Second, the Emperor Gojong dispatched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due to his view of the world and his strong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at is, the Emperor Gojong noticed the slogan of disarmament and peace in th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and showed his willingness to attend the second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after the first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Also, Russia, the host of th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invited the Emperor Gojong. Hence, the Emperor Gojong seemed to think that the great powers could bring peace to Greater Korean Empire. Third, the Emperor Gojong sent the special envoy to Hagu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with two purposes. The one was to let the world know illegal and violent actions of Japan, and to seek support from the great powers advocating peace and justice. The other was to seek a base for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o promote the activity in Hague.

      • KCI등재

        沿海州 韓人社會의 갈등과 鄭淳萬의 피살

        박걸순(Park Geol-So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정순만(1876~1911)은 한말부터 망국에 이르는 시기에 국내는 물론 연해주에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한 중요한 인물이다. 1906년 그는 이상설, 이동녕 등과 함께 망명하여 북간도에서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을 건립하여 운영하다가,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온 이래 사거할 때까지 연해주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자금 모금을 통해 헤이그 특사 사행을 지원하였고, 海潮新聞을 창간하여 주간·주필·총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는 논설을 통해 냉혹한 사회진화론적 국제질서를 이겨나가기 위해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초빙해 온 장지연과 극심한 불화 관계가 조성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는 공립협회에도 참여하여 국민회 지회장에 피선되는 등 미주 동포사회와 연계를 맺으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뒤 이어 창간된 大東共報에도 주필로 참여하였다. 당시 정순만은 同義會라는 비밀결사에 안중근과 함께 참여하였는데, 이를 배경으로 안중근의거를 계획하고, 의거후에도 안중근의 변호에 힘을 쏟았다. 이는 그가 민족운동을 위해서는 대립되는 계몽운동과 무장투쟁을 병행할 수 있다는 독립운동 이념의 포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해주 한인사회의 분파와 파쟁은 조국 독립을 위한 그의 꿈을 접게 만들고 말았다. 그는 연해주에서 ‘정순만파’나 기호파(경성파)의 수장으로 성장하였으나, 자신이 연해주 한인사회로부터 신망을 잃었다고 여긴데다 민회에서 서북파에게 밀린 나머지 격정을 이기지 못하고 1910년 1월 23일 양성춘을 사살하는 ‘양성춘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우발적 상황에서 오발에 의해 발생한 사고였으나, 이를 둘러싸고 제기된 각종의 설은 복잡다기한 한인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여파는 양성춘의 형 양덕춘과 미망인의 개인적 복수 참극을 일으켰고, 결국 출옥 후 의병투쟁 등 재기를 도모하던 정순만은 1911년 6월 21일 처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다. 정순만의 36년 일생은 민족운동 시기의 양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즉, 국권회복을 다방면으로 모색한 모범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적 파쟁과 개인의 격정을 관용하지 못한 편협성은 반성하여 마땅한 것이다. 그는 민족운동 시기의 지역적 분파와 파쟁이 가져온 가해자요 피해자였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결국 연해주 한인사회의 반성과 단합을 촉구하여 권업회를 창립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적지 않다. Jeong Soon-Man(1876~1911) is an important figure who led a movement to restore Korea’s national sovereignty in Primorie, Russia as well as Korea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ill national ruin. He went into exile into North Jiandao together with Sang-Seol Lee, Dong-Nyeong Lee and others in 1906, and established and managed Seojeonseossok(a school to educate Koreans abroad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n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rimorie till the last since he came to Vladivostok to support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He supported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through fund raising and began publication of “Haejoshinmun(Haejo Newspaper)” and did his part as its chief manager, chief editor and manager. In his editorial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overcome the grim international order, however, unfortunately a bitter feud with Ji-Yeon Jang who was invited to Vladivostok was bred. As he took part in Gongriphyeobhoi(a body established in San Francisco in 1905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was elected branch chairman of Gookminhoi(Grand Korean’s National Assembly), he establishedties with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and participated in the racial movement. After that, he worked for Daedonggongbo(a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 National Assembly in Vladivostok) as the chief editor, too. As Soon-Man Jeong participated in a secret society “Dongeuihoi” together with An Jung-geun at that time, he planned the noble undertaking of An Jung-geun and did his best to defend him after the undertaking on this background. This shows us that his ideolo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embraced the two conflicting movements, that is, enlightenment movement and armed struggle for the racial movement. But the factional strife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Russia collapsed his dream for the independence of his fatherland. He grew into the head of Jeong Soon-Man faction or Geeho faction(or Gyeongseong faction), however, as he considered that he lost his confidence and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and he couldn’t restrain his passion driven by being overpowered by Seobook faction(Northwest faction), he caused the case of murdering Seong-Choon Yang on 23rd of January, 1910. Though the case was caused by an accidental shooting in an accidental situation, various views raised on his murder reflected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however, in the aftermath of the incident, as Deok-Choon Yang, Seong-Choon Yang’s brother, and his widow avenged his death, Soon-Man Jeong who attempted to make a comeback after his coming out of prison met with a violent end on 21st of June, 1911. His 36 year life clearly shows the double-sideness of the time of the racial movement, that is, there was a model side seeking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in various fields, however, a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and bigotry which didn’t tolerate a private passion should be reconsidered. He was the harmer as well as victim of the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But what is important is, as his death demanded the reflection and unity of Korean society in Primorie, it served as a momentum to establish Kwoneobhoi(a body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후보

        한말 李儁의 정치 · 계몽활동과 민족운동

        崔起榮(Gi-Young Cho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이준(1859-1907)은 함경도 북청 출신으로 중앙정계에 진입하여 법관을 역임하였고, 국민계몽에 관심을 가진 활동가였다. 전통교육을 받고 갑오경장 뒤에 설치된 법관양성소를 졸업한 그는 아관파천 이후 일시 일본에 망명한 바 있고, 1905년까지는 일본의 아시아연대론에 호응한 바 있었다. 그러나 을사조약 강제체결 전후에 일본의 한국침략 의도를 명확하게 깨닫고 반일활동에 나섰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계몽활동을 통하여 국권회복을 시도하는 한편, 법률의 공정한 집행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이준은 1904년 말 공진회를 조직하여 활동할 때부터 황제와 연결 되었고, 이후 1905년 을사조약 강제체결 전후에도 황제의 밀명으로 황실과 동학세력과의 제휴를 이루어냈던 것으로 보인다. 1907년 헤이그특사로의 활동 역시 그러한 배경에서 가능하였다. 국민교육회, 헌정연구회, 한북흥학회 등과 같은 계몽단체의 주도적 인물이었다. 1905년경 기독교에 입교하여 기독교인으로도 크게 활동한 바 있다. 헤이그에서 분사하였다. Jun Lee (1859-1907) who was from Buk-Chung, Hamkyeong Province entered the central arena of politics and served as a judge, and he was an activist who was interested in enlightening his fellow countrymen. After getting a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n graduating from a judicial training center established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a government system reform in 1894), he went into exile in Japan temporarily after Agwanpacheon(royal flight from the palace to the Russian legation in 1896) and he acted in concert with Japanese “Asian Solidarity”. But it seems that he started anti-Japanese activities after definitely perceiving the Japanese purpose to invade Korea before or after the compulsive conclusion of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an enlightenment movement, he attempted to recover national rights, while he tried to enforce a law fairly. When he organized Gongjinhoi (a society for an enlightenment movement) by the end of 1904 and worked on positive lines, he was connected with the Emperor. Since then, before or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rotectorate Treaty in 1905, it seems that he realized the coalition between the Imperial Household and Donghak force (a force of the religion of Cheondo) according to the Emperor’s secret order. Such his background made it possible for him to carry out his mission as an special envoy to The Hague in 1907. H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organizations for enlightening the public like Gookmingyoyookhoi (the national education society), Society for studying constitutionalism, Hanbukheunghakhoi, etc. He entered the church since around 1905 and led an active life remarkably as a Christian. He died in a fit of anger in The Hague.

      • KCI등재

        한반도 전쟁과 대한제국의 헤이그 특사파견

        김원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1

        In this article, I was to reconsider the Diplomacy of Korean Special Envoy to the Second Hague Peace Conference in terms of global historical perspective. Especially focusing on interconnecting it with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the Portsmouth Peace Conference and the Quadruple Entente. As mentioned above, Japanese military invasion and the protectoration of Korean peninsula were illegal and coercive measures. Further more, On the pretext of the dispatch of special envoy, Japan deposed the Korean king by force, as well as illegally concluded the 3rd Korean-Japanese Agreement(1907) plundering Korea’s internal affairs and furthermore, dismissed the Korean army by force, to penetrate into the Gando Area in Manchuria. All of this were due to the planned invasion of Japan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lso it had been great influenced by imperialistic scramble for supremacy over the East Asia during the War period. Another more, Diplomatic Revolution of 1907 also had a major impact. Thus Hague Incidents around Korean Envoy of 1907 were not simply confined dimensions of regional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lso It’s as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East Asia,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and global. It was a worldhistorical event of global dimension. These historical facts are evident, when the special envoy was connected with the Quadruple Entente of 1907 and The German -American-Chinese Entente of 1907-8. Imperial envoy for dispatch of the Hague Peace Conference was also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on that extension. It was one of a series of international affairs surrounding the independence guarante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se events with transnational dimension in world history as well as Korean history. 청일전쟁(1894)과 러일전쟁(1904)은 전쟁 목적이 한반도의 지배권을 탈취하려는 것이었고, 전장도 한반도에서 시작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세기전환기에 한반도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난 두 차례에 걸친 한반도 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이후 또 다시 한반도에 전쟁위기가 고조되자, 고종황제는 전쟁 재발방지와 자주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외교적 선행조치를 취하였다. 그럼에도 한반도에서 러일전쟁은 발발하였고, 일본군의 군사적 점령 상태에서 대한제국은 강제로 보호국화 되었다. 이에 고종은 미국과 러시아에 특사외교를 전개하였지만 냉담한 반응을 읽고, 이후 취한 후속조치가 바로 헤이그 특사 파견이었다. 특사의 활동은 러일전쟁과 을사늑약의 침략성, 불법성을 알리고, 열강의 한국문제에 대한 공동 개입을 국제회의에 호소하려는 것이었다. 그것은 한반도의 전쟁 방지를 위해 중립화 시도와 전시중립까지 선포한 대한제국을 불법 침략하여 전쟁터가 된 것이 정당한 것인지를 묻는 것이었다. 그리고 서구 열강과 통상조약체결로 보장받은 대한제국의 자주 독립을 러일전쟁과 포츠머스강화조약의 미명하에 말살할 권리가 있는지, 나아가 전쟁이 종결되었음에도 군사적 강점을 지속하는 행위가 타당한 것인지 그 부당성을 국제적으로 환기하려 한 것이었다. 또한 그것은 대한제국의 자주적인 외교적 판단에 입각한 것이었고, 기존의 한러관계가 지속되는 한 실현가능한 정책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헤이그 평화회의와 청일전쟁, 러일전쟁, 포츠머스회의, 4국앙탕트(the Quadruple Entente) 및 독미청동맹기도의 상호 작동을 비교, 고찰하는 것은 대한제국의 전쟁과 보호국화 문제를 한반도, 동아시아의 지역문제에서 뿐 만 아니라 전쟁과 평화의 세계문제로서 그 세계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유의미하다.

      • KCI등재후보

        헤이그특사와 한러 관계

        朴鍾涍(Chong-Hyo Par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청일전쟁(1894-1895) 이후 일본은 바로 한국을 지배하려는 음모를 가졌었으나 러시아가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고 개입하게 되면서 러일간에 상반된 이해관계가 충돌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일본은 러시아와 전쟁(1904-1905)을 시작하여 한국을 점령하고 만주와 대마도 해전에서 대승하자 태평양의 강국으로 부상하는 것에 불안을 느낀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가 중재자로 러일 포츠머스 평화조약(1905년 9월 5일)을 체결하게 하였다. 조약체결 직후 러시아는 전후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헤이그 제2차 세계평화회의 개최를 계획하면서 한국도 일본이 무단으로 강점하고 있는 실정을 헤이그 세계평화회의에서 밝힐 수 있도록 1905년 10월 9일 뻬쩨르부르그 주재 한국공사 이범진에게 평화회의 초청장(1905년 10월 9일)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곧 을사조약(1905년 11월 17일)을 강제로 체결하였다. 이에 고종황제는 니꼴라이 Ⅱ세 황제에게 “일본이 무력으로 국새와 외부대신의 관인을 강탈하여 미리 작성한 조약문에 일본 스스로 날인한 후 서명을 강요하였으나 완강히 거부하였으므로 무효이니 미국과 유럽 문명국가에 이 사실을 전해 주권을 회복시켜 달라”는 친서를 전한다. 러시아 외무성은 한국의 실정을 동정하고 바로 1905년 11월 22일 미국, 영국, 불란서, 독일, 스페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 서방 해외 주재 자국 공관장들에게 을사조약이 불법임을 주재국 정부에 설명하고 주재국 정부의 대책을 보고하라”는 훈령을 하였다. 러시아는 해외 공관장으로부터 잇달아 각국 정부가 무관심한 반응과 냉담한 태도를 취한다는 보고를 받으면서 이때부터 한국의 독립지지정책을 완전히 포기하게 되고 일본과의 화해와 전후 문제해결만을 추구하였다. 고종황제는 이와 같은 러시아의 전후 영향력의 상실과 대한 정책전환을 파악하지 못해 니꼴라이 Ⅱ세의 이전 독립지지 정책에 모든 희망을 걸고 “특사가 평화회의에 참석해 일본의 만행을 폭로하여 문명 열강이 일본을 규탄해 주권을 회복 할 수 있게” 후원을 간청하는 친서를 지참시켜 특사를 뻬쩨르부르그에 보낸다. 하지만 도리어 러시아 외상 이즈볼스끼(Izvolsky A.P.)는 헤이그 평화회의 의장 넬리도프(Nelidov A.I)에게 전후 일본과의 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한제국의 특사의 요청을 거절하라는 전문을 발송했다. 이렇게 모순적인 러시아의 태도로 특사들은 비록 본회의장에는 입장을 할 수 없게 되었으나 회의에 참석한 각국대표들에게 통신문을 보내 고종황제의 성명서를 전달하고 헤이그 평화궁전에 모인 전 세계 기자들에게 을사조약은 불법무효임을 선언하여 세계역사상 국제무대에서 최초로 대한제국이 주권회복투쟁을 한 사건이 되게 하였다.

      • KCI등재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1907)와 대한제국 언론의 세계인식 :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최덕수(Choi Deok-s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이 글은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1907)가 태동한 세계사적 배경과 당시 한국의 지식인들의 평화회의와 특사단 활동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자료로는 당시 주요 언론이었던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이용하였다. 당시 국내 지식인들은 러일전쟁 이후 한국의 위상, 즉 보호국화의 가능성에 대해 주의하고 있었으며, 포츠머스 조약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알려지면서 조약 내용 가운데 조선의 ‘보호 지도 감독’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전개에 대해 논의와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이 시기 보호국화를 둘러싼 논쟁의 주요 특징은 당시 일본국내 국제법학자들의 견해의 영향을 받아 보호국에 대한 인식을 가졌으나, 향후 한국인들이 교육과 실력 양성을 통해 보호국의 지위를 벗어나 대등한 국가로의 자립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였다. 첫째 일본 국내의 조선보호국화에 대한 논의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보호국논쟁이었던 점에 비하여 국내 신문에 전개된 보호국화의 논의는 상반된 것이었다. 둘째로 대한제국 시기 국제법에 대한 인식 수준은 국내 언론의 경우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국내지식인들은 열강에 대한 인식, 특히 미국에 대해서 당시 고종을 비롯한 대한제국 정부가 가지고 있었던 우호적인 인식과 다른 세계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국내지식인들은 고종을 비롯한 집권층과 달리 헤이그 평화회의가 회의의 성격상 당시 대한제국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않을 것이며, 서구 열강들도 대한제국 문제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The thesis is concerned with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the 1907 Hague Peace Conference and Korean special envoys who was dispatched to Hague in connected with the world history background of quicken of Hague Peace Conference and the situation of the Great Han Empire. These questions have not, so far, been noticed, nor have they been studied in detail. In this thesis, I will attempt to analyze articles of Hwangseong S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which were major dailies of the Great Han Empire in those days.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who paid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Korea,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of Korea's Protectorate, after Russo-Japanese war, developed heated discussions about the carrying out ArticleⅡ of Treaty of Portsmouth, "guidance, protection and control which the Imperial Government of Japan may find necessary to take in Korea" on becoming generally known Treaty of Portsmouth.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controversy about Protectorate was that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understood Protectorat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opinion.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however, thought that if Korean received an education and promoted abilities, Korea would overcome Protectorate and become independent state. According to making clear new historical facts that have been little examined,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the next research; first, though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discussed 'Protectorate' in order to make Korea her colony, Korean intellectuals thought quite the opposite, second, it was possible to judge that the level of major dailies' perceptions about International law were a high standard. On the other hand Emperor Go-jong as well as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United States amicably, Korean intellectuals illustra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bout world.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Korean intellectuals thought that the matter of the Great Han Empire would not be dealt with directly by reason of characteristics of conference in Hague Peace Conference and Western powers would not intervene in the matter of the Great Han Empire.

      • KCI등재

        高宗의 헤이그특사 파견과 국내항일투쟁

        金祥起(Sang-Gi Ki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고종은 헤이그의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일제의 불법적인 한국 침략을 규탄하고 한국의 자주독립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제국주의 열강은 고종의 호소를 외면했고 오히려 고종은 일제에 의해 강제로 퇴위당하고 말았다.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려 한다는 소식에 同友會를 중심으로 서울시민들의 시위가 7월 17일부터 벌어졌다. 19일 새벽 고종의 양위 소식이 전해지자 격분한 시민들은 일진회의 국민신문사를 파괴하고 일본인 가옥을 부수고 일본군경과 투석전을 감행하였다. 구한국 군인들도 무장한 채 탈영하여 시민들과 함께 종로의 파출소를 공격하였다. 시민들은 결사대를 조직하고 이완용과 이지용, 이근택 등 친일파의 가옥을 불태웠다. 일제는 시위를 주도한 동우회를 급습하여 회장을 비롯하여 회원들을 체포하여 종신형과 10년형을 선고하고 전라도 지도와 진도로 유배시켰다. 고종의 강제 퇴위 소식이 발표되자 독약을 먹고 자결하는가 하면 고종의 일본행을 막기 위해 열차를 저지시킬 계획을 세우다 체포되어 총살형을 당한 이도 나왔다. 일제의 구한국 군대의 해산에 맞서 시위대는 박승환 대대장의 자결을 신호로 하여 일본군과 시가전을 벌이면서 항쟁하였다. 지방의 진위대도 해산을 거부하고 무장한 채탈영하여 항일의병에 합류하였다. 또한 잠시 소강상태에 있던 의병 세력들도 분개하여 의병을 재기하여 전국적인 항쟁에 돌입하였다. 고종의 헤이그특사 파견은 군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한 자주적 처사였다. 고종은 이 사건으로 강제로 퇴위되었지만 시민들은 퇴위 반대항쟁 과정에서 민족적 역량을 축적해갔으며, 전국적인 규모의 의병전쟁으로 확대되어 저항적 민족이념이 자리잡게 하였다. The Emperor Gojong dispatched an special envoy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 censured the Japanese act of illegal invasion of Korea and appealed to the Conference for Korea’s autonomy. But the imperialist Powers disregarded the Emperor’s appeal and Gojong was deposed by force by Japanese imperialism to the contrary. As soon as the news spread that Gojong would be deposed compulsively, the demonstration of the citizens of Seoul with Dongwoohoi (a society of like-minded friends) as the center started to take place from the 17th of July. As the citizens heard of the news of Gojong’s abdication of the throne at the crack of dawn on the 19th of July, they were enraged and destroyed the office building of “Gookmin newspaper” which was the bulletin of Iljinhoi (a pro-Japanese organization) and the houses of Japanese people, and carried out resolutely to throw stones at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Also the Korean soldiers who once served in the former Korean army deserted from encampment with their arms attacked a police box in Jongro, Seoul together with the citizens. The citizens organized a do-or-die squad organization and burned the houses of Wan-Yong Lee, Ji-Yong Lee and Geun-Taek Lee. Imperialist Japan made a sudden attack on Dongwoohoi which led the demonstration and arrested its members including its chairman, and passed a life sentence and 10 year jail sentence upon them, and banished them to Jido and Jindo, Jeollado. As the news that Gojong was deposed compulsively was announced, some people made suicide and some were arrested and shot to death because they made a plan to stop a train in order to obstruct Gojong’s deportation to Japan. With the battalion commander Seung-Hwan Park’s committing suicide, the demonstrators to meet the dismissal of the Korean troop struggled against the Japanese army starting street fighting. The army in the provinces rejected its dismissal and the soldiers deserted from encampment with their arms and joined the anti-Japanes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lso other forces of the anti-Japanes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a momentary state of lull rose again and dashed into nationwide armed resistance. Gojong’s dispatch of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was an autonomous measure to carry out his responsibilities as a ruler. Although he was deposed compulsively due to the event in The Hague, the citizens stored up national capacity in the course of struggle against Gojong’s abdication. And the anti-japanese struggle by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which was developed into a nationwide scale, made it possible for a resistant national principle to settle in the mind of Korea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2회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特使에 대한 일본의 대응

        한성민(韓成敏)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1907년 고종은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이상설?이준?이위종 및 헐버트를 특사로 파견하였다. 이러한 고종의 움직임을 사전에 파악한 일본은 평화회의 의장국인 러시아에게는 집요하게 한국의 참가 불허를 요구했다. 하지만, 고종의 특사 파견을 사전에 저지하려 하지도 않았고, 헤이그에서 한국특사단의 활동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제지를 하지 않고 방관하였다. 여기에는 2가지 중요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한국의 만국평화회의 참가문제는 ‘한국병합’을 추진하고 있던 일본에게 커다란 타격을 가할지도 모를 중대 사안이었다. 한국이 이 회의에 정식으로 참가하게 되면 그 자체로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조약은 死文化 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독립국으로 공인받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반대로 한국대표가 회의 참가를 허가받지 못할 경우 그 자체로 한국에 대한 일본의 권리를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공인받는 계기가 될 것이었다. 일본은 포츠머드조약에 근거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하지만 이 조약에서 규정한 일본의 한국에 대한 ‘보호, 지도 및 감리’의 범위가 불분명했기 때문에 애초에 한국의 외교권 박탈의 근거로 이용되기에는 불충분했다. 한국의 평화회의 참가 문제는 이러한 일본의 고민을 열강들과의 특별한 협의과정 없이 해결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일본은 열강과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였다. 첫째 국제사회를 향해 일본은 한국특사단의 공개적인 반일활동을 허용할 정도로 한국에 대해 자유롭고 문명적인 지도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도 다른 서구 열강과 동일하게 식민지를 통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둘째 이 사건을 빌미로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한층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러한 일본의 의도는 제2회 만국평화회의 기간 동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일본은 열강으로부터 한국의 회의 참가 불허를 약속받음으로써 한국에 대한 보호권을 공인받았다. 그리고 고종의 강제 퇴위와 한국의 내정권을 박탈한 제3차 한일협약(丁未條約)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