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상담에 대한 인식과 기대

        한송이,김경미,이미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n their related consul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themes of parent consultation mainly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their perception about parent consultation, and the conditions to satisfy their needs. Method: The study was implemented the structured-interviews of open-ended questions and conducted the written form for 123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nd the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process of interviewing them and categorizing data inductively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themes of parent consul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were education, career, problem behaviors, sociality, and consultation related to disabilities and health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themes, the related issues also included parents, economic conditions, and families, putting the content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aside. Second, parents perception on parent consul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were based on an empathic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finding out their potential developments, and they were used to having consultations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qualified experts of parent consultation, a formation of mutual trus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ounselors based on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the time and place for parent consultation were critical factors for satisfied consult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reflecting the expectation of the par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ar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parent consult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In addition to mutual efforts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parents,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level of support to cultivate the counselor experts for parent consultation for the meaningful one.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기대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특수학급의 장애학생 부모가 부모상담에서 주로 상담하는 주제,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가 바라보는 부모상담에 대한 인식, 만족스러운 부모상담이 되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부모 12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 형식의 구조화된 인터뷰를 서면으로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상담에서 주로 상담하는 주제는 장애자녀에 대한 내용인 교육, 진로, 문제행동, 사회성 그리고 장애 및 건강과 관련한 상담 내용과 장애자녀 관련 이외의 부모, 경제, 그리고 가족과 관련된 주제의 상담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는 부모상담이 장애학생 부모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장애학생 양육에 관한 조언 얻으며, 장애학생이 지닌 장애의 특성 파악하는 동시에 장애학생 가족 문제에 대한 도움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부모가 바라보는 이상적인 부모상담은 부모와 상담자 간의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잠재가능성을 발견하며 장애학생 부모상담 전문가와의 상담하는 것이라고 나타났다. 셋째, 만족스러운 상담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부모상담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춘 상담자와의 상담, 부모와 상담자 간 상호 신뢰관계 형성, 상담시간 및 장소의 확보할 수 있는 부모상담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지원이 바탕이 되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상담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기대를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부모의 기대를 반영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의미 있는 부모상담이 될 수 있도록 상담자와 부모 간의 상호 노력과 더불어 부모상담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 학생 부모의 경험에 근거한 교사와의 관계: 좋음과 싫음을 중심으로

        김정현,고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relations between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in common schools and teachers. The subtitle "With a focus on like and dislike" was added to exclude any possible interpretations of findings as "right or wrong."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s selected nine mo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snowball sampling, collected data from them with an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data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Findings were examined according to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emantic type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included "being considerate" and "rejecting part of a wall." Tho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ed "feeling" and "gap of thinking."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different desires and levels of expectations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anted inclusive class teachers to be considerate of their children not to get alienated from their peers, believing that it was one of teachers’ important roles. The parents expected more active roles in many aspect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n inclusive class teachers. The parents usually experienced conflicts due to the feeling that their children were rejected by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conflicts over different ideas and methods to approach certain situations and issues fr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hich examined how parents experienced their trust in and conflicts with teacher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현재 일반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 학생의 부모가 경험한 교사와의 관계를 다룬다. -좋음과 싫음을 중심으로–의 부제는 ‘옳음과 틀림’으로 해석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장애 학생의 어머니 9명을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나타난 의미유형은 ‘배려할 려(慮)’와 ‘거부하는 벽간(壁間)’으로, 특수교사에게서 나타난 의미유형은 ‘느낄 감(感)’과 ‘생각의 간극(間隙)’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장애 학생의 부모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와의 관계에서 다른 기대 욕구와 기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교사에게는 자녀가 또래 친구들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배려해주고, 이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특수교사에게는 여러 측면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에게는 자녀가 거부당하는 느낌에서 생겨나는 갈등을 주로 경험한다면, 특수교사에게는 특정 상황이나 문제에 접근하는 생각과 방법이 서로 다름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현장에서 부모가 교사와의 신뢰와 갈등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살펴본 본 연구 결과가 앞으로의 교사-부모 간의 소통과 협력의 초석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인식 연구

        한경임 ( Han¸ Kyung-im ),권상희 ( Kwon¸ Sang-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통합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특수교사, 담임교사, 치료사와의 부모상담에 대한 인식

        김경미 ( Kim Kyungmi ),한송이 ( Han Songyi ),이미숙 ( Lee Misu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 담임교사, 치료사를 중심으로 통합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상담에 대한 실태, 만족도,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부모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부모는 특수교사에게 상담을 가장 많이 요청하였고, 상담에 도움이 되는 대상도 특수교사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상담은 주로 ‘상담할 일이 생길 때 마다’ 이루어지고 있었다. 통합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특수교사, 담임교사, 치료사와의 부모상담 만족도에 대한 평균을 살펴본 결과, 특수교사, 치료사, 담임교사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모상담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통합학급 장애학생 부모상담은 부모 스스로가 자녀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자녀의 교육과 치료를 담당하는 특수교사, 담임교사, 그리고 치료사와 부모간의 상담에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부모상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level of satisfaction, and efficacy regarding parent consultation focused on the consult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therapists. For the study, 132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respond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it was special teachers who were the most helpful to have a consultation with and received the most consultation request from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he parents mostly requested the consultation whenever they had something to consult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 consult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therapists was found to be higher in ord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apists, and homeroom teachers. The parents also highly recognized the efficacy of the parent consultation. Therefore, parent consultation for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one in the way of helping the parents to develop their confidence on child- rearing. Further, it is essential to build trust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therapists.

      • KCI등재

        특수학급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분석

        박 미 화 한국발달지원학회 2012 발달지원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장애자녀를 일반학교에 통합시키고 있는 특수학급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태도의 유형과 학부모의 개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일반 초, 중, 고등학교 특 수학급에 다니고 있는 학생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무작위로 추출된 38개교 의 특수학급에 27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215부(79.6%)가 회신되었으며 총 206부(76.3%)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학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는데 보 통수준 이상의 양육스트레스를 갖고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젊은 연령대의 학부 모와 월평균 수입이 낮으며, 자녀의 월평균 교육 및 치료비 지출이 많은 경우 높은 경제적 스트레스를 갖고 있다. 둘째, 특수학급 학부모는 긍정적인 양육태도인 애정적 양육태도가 보 통수준 이상이며, 학부모의 학력이 높고 월평균 수입이 높은 경우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보다 높고, 부정적 양육태도인 거부적 양육태도는 낮다. 셋째,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특수학급의 학 부모는 장애자녀를 양육하는데 부정적 양육태도를 보이며,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경우는 긍정 적 양육태도가 높다. 따라서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다양한 지원의 모색을 통해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갖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